KR102514314B1 -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14B1
KR102514314B1 KR1020220142626A KR20220142626A KR102514314B1 KR 102514314 B1 KR102514314 B1 KR 102514314B1 KR 1020220142626 A KR1020220142626 A KR 1020220142626A KR 20220142626 A KR20220142626 A KR 20220142626A KR 102514314 B1 KR102514314 B1 KR 10251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unit
connec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재
심완섭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to KR102022014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및 이동보조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카메라가 기체의 상태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계획된 지점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AUTOMATIC PHOTOFLIGHT SYSTEM FOR ACQUIRING HIGH-PRECISION IMAGE}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기술은 크게 조종사와 촬영사가 비행기 조종석과 카메라 옆에 착석하여 촬영하는 유인촬영과 모형 헬리콥터나 비행선과 같이 사람을 태울 수 없는 기체에 무선송수신 제어기를 장착하여 무선으로 비행기를 조종하면서 촬영하는 무인촬영기술로 구분된다.
항공촬영시스템은 촬영기기가 장착된 비행기를 이용하여 촬영계획 지역으로 비행사가 해당 촬영구역 경로를 따라 비행기를 조종하여 이동하면 촬영사가 촬영 장치를 이용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기, 촬영장비, 자동항법장치로 구성된다.
비행선촬영시스템은 항공측량방법이나 원격탐측기법의 고비용, 과다한 시간소요, 데이터취득절차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소 및 헬륨과 같이 가벼운 기체를 채울 수 있는 비행선 기낭과, 추진 및 제어기,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곤돌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시스템, 지상관제시스템, 조종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항공사진은 지형지물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 정보 등을 수치화하여 적용하고, 이렇게 확보된 수치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이용된다. 특히 최근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촬영기술 및 항공기술의 발달, 정밀 광학 기계 및 계측기기의 발달 등은 사실감 있는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항공촬영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항공촬영은 항공기(P)에 설치된 고배율, 고해상도를 갖는 고성능 카메라(C)가 일정 고도에서 초당 수회에 걸쳐 지상을 촬영하며 진행되고, 이러한 촬영을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이미지들 중 수치지도 제작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선별해 도화이미지의 대상으로 활용한다.
하지만, 항공기(P)는 창공을 일정속도로 운항하는 기기이므로, 항공기(P)의 고도 조정, 조향 조정 등에 따라 항공기(P) 기체의 자세가 변할 수 있고, 기체의 자세 변화는 카메라(C)의 촬영각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C)가 의도한 대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항공기(P)의 운항 행태에 따라 카메라(C)에 적용되는 각도 변화는 카메라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은 대상을 촬영하게 하거나 광학적인 오차를 야기해서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 수집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가 기체의 상태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계획된 지점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안정적으로 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기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및 이동보조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항공기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삼각프레임; 삼각프레임의 하단에 힌지결합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결합구의 중심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 및 삼각프레임의 일측과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의 경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회전구동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삼각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연결브라켓에 움직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승강축;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기초대의 상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하부지지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기초다리의 받침부 내측 상부면에 맞닿아 상부지지구와 받침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하부지지구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하부지지구와 받침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상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면부에 상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하측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하부조절바; 를 포함하고, 하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상승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상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고, 중심바의 상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모듈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보조장치는,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카메라부를 항공기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항공기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하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승강이동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항공기의 운항 상태에 상관없이 촬영 업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항공기로부터 카메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안정적으로 항공 촬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항공촬영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은 각도조절부재(100), 이동수단(900), 진동흡수부(700), 기초대(500), 모듈연결부(400), 이동보조장치(600) 및 카메라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00)는 항공기(200)의 하부면에 받침대(101)가 설치되고, 받침대(101)의 하부면에 지지프레임(104)을 이루는 2개의 삼각프레임(102)과, 삼각프레임(102)의 하단에 힌지결합구(123)가 형성되고 힌지결합구(123)에 지지프레임(104)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4)은 힌지결합구(123)에 의해 삼각프레임(10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프레임(104)은 힌지결합구(12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가 조절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4)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은 회전구동기(110)이다.
상기 힌지결합구(123)는 주변으로 경사도센서(121)가 결합되어 경사도센서(121)의 외주면에 각도가 표시된 눈금판(124)이 형성된다. 경사도센서(121)는 지지프레임(104)의 경사각을 측정하여 경사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회전구동기(110)는 삼각프레임(102)과 지지프레임(104)의 사이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104)의 상면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축(112)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회전구동기(110)는 삼각프레임(102)의 일측과 지지프레임(104)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104)의 경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112)에는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바라 타입의 커버(111)가 씌워져 있다.
상기 회전구동기(110)는 승강축(112)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지지프레임(104)을 힌지결합구(123)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제공된다.
상기 회전구동기(110)는 삼각프레임(102)의 측면으로 연결브라켓(113)에 움직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114)과, 하우징(114)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승강축(112)과, 승강축(112)의 상하 방향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기구(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전환기구는 하우징(114)의 내부에 구비되며 윔기어(미도시)와 윔기어와 치형 결합되는 윔휠(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4)의 상면에는 반원 형상의 안내부재(103)가 설치된다. 안내부재(103)는 힌지결합구(123)의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04)이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이동한다.
상기 경사도센서(121)는 항공기(200)의 중력에 따른 수평 기울기를 센싱하여 출력 전압값으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300)가 항공기(200) 선회로 인하여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경사도센서(121)로부터 항공기(200)의 중력에 따른 수평 기울기를 센싱하여 경사각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경사도센서(121)의 출력 전압값에 따라 전환기구에 결합된 회전모터(125)를 구동하여 승강축(112)의 상하 방향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시켜 지지프레임(104)의 무게 중심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지상을 촬영하고 고도계측기와 연동해 고도에 따라 다양한 배율로 지상을 촬영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항공기(200)의 하부면에는 각도조절부재(100)가 결합되고, 각도조절부재(100)의 하부에는 이동수단(900)이 결합되며, 이동수단(900)의 하부에는 진동흡수부(700)가 결합되고, 진동흡수부(700)의 하부에는 기초대(500)가 결합되며, 기초대(500)의 하부에는 모듈연결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듈연결부(400)의 하부에는 이동보조장치(6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동보조장치(600)의 하부에는 카메라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진동흡수부(700)는, 기초대(500)의 상부에 형성된 기초다리(51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710), 단턱(7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20), 하부지지구(7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730), 일단은 하부지지구(720)에 맞닿고 타단은 상부지지구(7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30)와 하부지지구(72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40), 일단은 상부지지구(730)에 맞닿고 타단은 기초다리(510)의 받침부(511) 내측 상부면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30)와 받침부(511)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750) 및 하부지지구(720)와 상부지지구(730)와 받침부(511) 내측 상부면에 구비된 흡수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4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탄성체(4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상기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 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710)은 기초다리(510)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초다리(51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초다리(51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하부지지구(720)의 하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초다리(510)의 내벽에 단턱(7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지지구(720)는, 하면이 기초다리(510)에 형성된 단턱(710)에 맞닿고 상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74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720)는 기초다리(51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기초다리(510)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지지구(730)는 하부지지구(7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7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하면이 기초다리(510)의 상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5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덮개(512)에 형성된 결합부(51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730)는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7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하방돌기(7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7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750)가 상방돌기(7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부지지구(730)는 제2탄성체(7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740)의 타단을 상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740)가 하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740)는, 하부지지구(720)와 상부지지구(730)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720)와 상부지지구(7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은 하부지지구(720)의 상면에 맞닿고 타단은 상부지지구(730)의 하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7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기초대(500) 및 카메라부(30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기초다리(51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기초대(500) 및 카메라부(30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750)는 상부지지구(730)와 받침부(511)의 내측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730)와 받침부(511)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탄성체(7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7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부는 좁고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511)의 내측 상닥면의 직경이 기초다리(510)의 상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511)의 내측 상부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760)는 하부지지구(720)와, 상부지지구(730) 및 받침부(511)의 내측 상부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제1탄성체(740)와 제2탄성체(7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7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진동흡수부(700)는 상측부는 받침부(51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부지지구(730)의 상방돌기(732)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73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770), 상측부는 상부지지구(730)의 하방돌기(73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하부지지구(720)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72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하부지지구(72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중심지지부(780), 하부지지구(720)와 받침부(5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덮개(512)에 마련되어 하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790)를 더 포함한다.
제1중심지지부는, 기초다리(510)의 승강 시 기초다리(51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다리(51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제1중심지지부(7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51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는 받침부(511)에 상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771a)이 마련된 상부조절바(771), 상부조절바(771)의 하면부에 상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772), 하측부는 상방돌기(732)에 마련된 제2홈(733)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부에는 제1스프링(772)이 지지되는 하부조절바(773)를 포함한다.
제1중심지지부의 상부조절바(771)는 받침부(511)에 나사 결합되므로 상부조절바(771)의 받침부(511)에의 결합 깊이를 조절상면 제1스프링(772)의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조절바(771)를 하부조절바(773)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기초다리(510)의 지지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1)의 하부에는 제1홈(771a)이 마련되고, 제1홈(771a)에는 상부지지구(730)의 하강 시 하부조절바(773)에 마련된 제1돌기(77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1)의 상측 외벽에는 제1나사산(771b)이 마련되어 받침부(511)에 마련된 홈을 통과한 후 이동블럭(920)에 마련된 블럭홈(9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부(511)에 마련된 홈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나사산(771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중심지지부의 제1스프링(772)은 상측부는 상부조절바(771)의 하면부에 지지되고 하측부는 제1돌기(773a)를 통과하여 하부조절바(773)의 상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스프링(772)은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조절바(771)와 하부조절바(773)의 결합 깊이 조절에 의해 제1스프링(772)의 탄성 에너지는 조절될 수 있다.
제1중심지지부(770)의 하부조절바(773)는 외벽에 마련되는 제2나사산(773b)에 의해 상방돌기(732)에 마련된 제3나사산(7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3)는 결합 상태에서 상부지지구(730)에 마련된 제2홈(73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3)를 상부조절바(771)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의 사이즈는 제2탄성체(750)보다 작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도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2탄성체(750)의 수축 및 팽창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제2중심지지부(780)는 기초다리(510)의 승강 시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기초다리(51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다리(51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감쇄할 수 있고, 제2중심지지부(7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51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중심지지부(780)는 하방돌기(731)에 마련된 제3홈(735)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781), 상측부는 제2스프링(781)에 지지되고 하측부는 하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4홈(721)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78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상측부는 제3홈(735)에 슬라이딩 승강되고, 이는 제2스프링(781)이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하부에는 제4나사산(782a)이 마련되고, 중심바(782)는 제4나사산(782a)을 통해 하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5나사산(7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심바(782)를 상부지지구(730)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2스프링(781)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20)와 상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구(730)와 하부지지구(7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승강가이드부(790)는 하부지지구(720)와 받침부(5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덮개(512)에 마련되어 하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부(790)는 하부지지구(72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축(791), 가이드축(791)의 하부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기초다리(510)에 마련된 다리홀(51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792), 덮개(512)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792)의 양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포스트(79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포스트(793)에는 가이드바(79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가이드홈(793a)이 마련되는 하부지지구(720)의 승강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부는 받침부(51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레일(9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51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800), 이동블럭(920)과 지지다리부(800)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8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810)를 더 포함한다.
지지다리부(800)는 하측부는 받침부(51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레일(9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511)를 지지함으로써 카메라부(300)의 이동 시 받침부(5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기초다리(5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800)는 받침부(51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수평부(801), 제1수평부(801)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마련되는 수직부(802), 수직부(802)의 단부에서 레일(910)의 방향으로 마련되어 레일(910)의 측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부(80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수평부(803)는 레일(9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레일홈(9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진동흡수부(700)의 하부에 결합된 기초대(50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510)가 레일(910)을 이동 시 제2수평부(803)도 제2레일홈(9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800)는 받침부(51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진동감쇄부(810)는 이동블럭(920)과 지지다리부(80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8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부(810)는 지지다리부(8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바디(811), 일측부는 진동감쇄바디(81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이동블록(620)과 지지다리부(8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81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바디(811)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812)을 4개의 영역에서 등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스프링(812)은 지지다리부(800)의 내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812)을 기준으로 정할때,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812)의 단부는 제1수평부(801)에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812)의 단부는 수직부(802)에 결합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812)은 제2수평부(803)에 결합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812)은 이동블록(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부(300)를 항공기(200) 상에서 수평방향(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9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900)은 각도조절부재(100) 하부에 배치된 레일(910)과, 받침부(511)에 구비되며 레일(9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9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910)은 각도조절부재(100)의 하면에 배치되되 항공기(200)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920)은 받침부(511) 상면에 구비되어 레일(9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9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920)에는 블럭돌기(921)가 마련되고, 블럭돌기(921)는 레일(910)에 마련된 제1레일홈(9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920)은 받침부(51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보조장치(60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마련되고, 제1커넥터(450)는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45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돌기(451)가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500)의 하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형성되어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46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2돌기(461)가 이격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연결부(400)는 이동보조장치(600)와 기초대(500)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부에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460)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410)와,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410)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420)와,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커버(430)와, 커플러바디(410)의 타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커버(4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록킹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복수의 단턱부(412)의 사이에 마련되며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턱부(412) 중 어느 하나의 단턱부(412)에서 다른 하나의 단턱부(412)까지 두께가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록킹부(420)의 제1두께부(421b)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얇게 마련되고, 록킹부(420)의 제2두께부(421c)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단턱부(4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부(412)는 3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에는 복수의 바디홀(4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바디홀(413)에 잠금 부재를 삽입시켜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바디홀(413)의 내벽에 마련된 나사산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전방 외벽과 후방 외벽에는 바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커버(430)와 제2커버(4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는, 커버 바디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록킹부(420)는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421)와,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422)와,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간극을 유지시키는 연결부재(42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퍼돌기(421a)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는 제1두께부(421b)와, 제1두께부(421b)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4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두께부(421b)에서 제2두께부(421c)로 갈수록 록킹바디(42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스토퍼플랜지(422)는 록킹바디(421)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록킹바디(421)에 접하는 영역이 길게 마련되고,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연결부재(423)는 각각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록킹바디(421)가 같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된 바디홈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에 탈착 시 스프링의 힘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커플러바디(41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23)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록킹부(420)가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글 시, 잠그기 전보다 더 노출되어 록킹바디(421)의 잠금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록킹바디(42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록킹부(4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부(420)가 커넥터를 잠그기 전에 제2두께부(421c)는 단턱부(412)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410)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시키면, 두꺼운 영역의 록킹홈(411)이 제2두께부(421c)를 가압하여 제1커넥터(4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이 잠금의 회전은 커플러바디(4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30)는 커플러바디(4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440)는 커플러바디(4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보조장치(600)는 모듈연결부(4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카메라부(300)를 항공기(200)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610)와, 제1구동부(610)에 마련되어 항공기(200)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620)과, 연결유닛(620)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카메라부(3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6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610)는 이동바디(611)와, 이동바디(6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612)와, 수평이동조절부(612)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620)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610)의 이동바디(611)는, 모듈연결부(4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610)의 수평이동조절부(612)는 이동바디(611)의 하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612a)과, 상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61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612b)과, 한 쌍의 제1블록(612b)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612b)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612c)와, 이동플레이트(612c)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612d)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610)의 승강조절부(613)는 승강지지플레이트(612d)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613a)과, 한 쌍의 제2레일(613a)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613b)을 포함하고, 연결유닛(620)은 한 쌍의 제2블록(613b)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부(3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630)는 연결유닛(620)에 결합되고, 연결유닛(620)은 한 쌍의 제2블록(613b)에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제2블록(613b)의 승강 시 카메라부(300)도 항공기(200)의 높이 방향인 한 쌍의 제2레일(613a)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613a)은 승강지지플레이트(612d)에 결합되고, 승강지지플레이트(612d)는 이동플레이트(612c)와 같이 이동되고, 이동플레이트(612c)는 한 쌍의 제1블록(612b)에 의해 한 쌍의 제1레일(61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블록(612b)과 제2블록(613b)은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620)은 일측부는 한 쌍의 제2블록(613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구동부(630)에 결합되며 제2구동부(630)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제2구동부(630)에 장착된 카메라부(3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유닛(620) 제2블록(613b)에 결합되는 결합판(621)과, 결합판(621)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베이스바디(622)와, 연결베이스바디(622)의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재(623)와, 제2구동부(630)에 마련된 프레임바디(631)에 탈착 결합되며 내부에 볼부재(623)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바디(624)와, 결합바디(624)의 내벽과 볼부재(623)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62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바디(625)와, 결합판(621)과 마주보는 영역의 결합바디(624)에 마련되어 볼부재(6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시트(62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동부(630)는 프레임바디(631)에 의해 결합바디(624)에 탈착 결합되고, 결합바디(624)는 볼부재(623)에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구동부(63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2구동부(630)에 마련된 카메라부(3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베이스바디(622)의 내부에는 홀부재(622a)가 마련되고, 이 홀부재(622a)는 볼부재(623)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바디(625)의 내벽에는 지지돌기(625a)가 마련되고, 이 지지돌기(625a)는 볼부재(623)의 외벽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볼부재(623)의 회전을 더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각도조절부재 101 : 받침대 110 : 회전구동기
120 : 회전부재 200 : 항공기 300 : 카메라부
400 : 모듈연결부 410 : 커플러바디 411 : 록킹홈
412 : 단턱부 413 : 바디홀 420 : 록킹부
421 : 록킹바디 421a : 스토퍼돌기 421b : 제1두께부
421c : 제2두께부 422 : 스토퍼플랜지 423 : 연결부재
430 : 제1커버 440 : 제2커버 450 : 제1커넥터
451 : 제1돌기 460 : 제2커넥터 461 : 제2돌기
500 : 기초대 510 : 기초다리 510a : 다리홀
511 : 받침부 512 : 덮개 513 : 결합부
600 : 이동보조장치 610 : 제1구동부 611 : 이동바디
612 : 수평이동조절부 612a : 제1레일 612b : 제1블록
612c : 이동플레이트 612d : 승강지지플레이트 613 : 승강조절부
613a : 제2레일 613b : 제2블록 620 : 연결유닛
621 : 결합판 622 : 연결베이스바디 622a : 홀부재
623 : 볼부재 624 : 결합바디 625 : 회전가이드바디
625a : 지지돌기 626 : 지지시트 630 : 제2구동부
631 : 프레임바디 700 : 진동흡수부 710 : 단턱
720 : 하부지지구 721 : 제4홈 722 : 제5나사산
730 : 상부지지구 731 : 하방돌기 732 : 상방돌기
733 : 제2홈 734 : 제3나사산 735 : 제3홈
740 : 제1탄성체 750 : 제2탄성체 760 : 흡수체
770 : 제1중심지지부 771 : 상부조절바 771a : 제1홈
771b : 제1나사산 772 : 제1스프링 773 : 하부조절바
773a : 제1돌기 773b : 제2나사산 780 : 제2중심지지부
781 : 제2스프링 782 : 중심바 782a : 제4나사산
790 : 승강가이드부 791 : 가이드축 792 : 가이드바
793 : 가이드포스트 793a : 가이드홈 800 : 지지다리부
801 : 제1수평부 802 : 수직부 803 : 제2수평부
810 : 진동감쇄부 811 : 진동감쇄바디 812 : 진동감쇄스프링
900 : 이동수단 910 : 레일 911 : 제1레일홈
912 : 제2레일홈 920 : 이동블럭 921 : 블럭돌기
922 : 블럭홈

Claims (1)

  1. 항공기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및 이동보조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항공기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삼각프레임; 삼각프레임의 하단에 힌지결합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결합구의 중심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 및 삼각프레임의 일측과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의 경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회전구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기는,
    삼각프레임의 측면 일측에 연결브라켓에 움직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승강축; 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기초대의 상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하부지지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기초다리의 받침부 내측 상부면에 맞닿아 상부지지구와 받침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하부지지구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하부지지구와 받침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상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면부에 상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하측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하부조절바; 를 포함하고, 하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상승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상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고, 중심바의 상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며,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며,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카메라부를 항공기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항공기의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모듈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하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0220142626A 2022-10-31 2022-10-31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51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26A KR102514314B1 (ko) 2022-10-31 2022-10-31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26A KR102514314B1 (ko) 2022-10-31 2022-10-31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314B1 true KR102514314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626A KR102514314B1 (ko) 2022-10-31 2022-10-31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75B1 (ko) * 2023-04-06 2023-10-04 중앙항업(주)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N117401199A (zh) * 2023-12-13 2024-01-16 山东龙建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形测量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75B1 (ko) * 2023-04-06 2023-10-04 중앙항업(주)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N117401199A (zh) * 2023-12-13 2024-01-16 山东龙建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形测量装置
CN117401199B (zh) * 2023-12-13 2024-02-23 山东龙建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形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314B1 (ko)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US9609282B2 (en) Camera for photogrammetry and aerial photographic device
KR101692710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의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
US10189580B2 (en) Image stabilization and pointing control mechanization for aircraft imaging systems
KR102174827B1 (ko)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를 이용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450702B1 (ko)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CN105938369A (zh) 飞行器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567926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1551380B1 (ko)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198193B1 (ko) 회전식 다방향 항공촬영 카메라의 타깃별 촬영 초점 조정장치
CN107367267B (zh) 基于步进分幅式成像的航摄仪及航摄成像的方法
JP6199418B2 (ja) 小型無人飛行機を利用した遠隔構造物の検査システム
KR101591996B1 (ko)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KR102573683B1 (ko) 항공촬영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CN101354250A (zh) 具有自校验自稳定功能的组合宽角航空数码相机系统
CN110823188A (zh) 一种全自动地形图测绘装置及测绘方法
CN111703589A (zh) 用于航空相机检测的具有像移补偿的地面模拟平台
KR101349255B1 (ko)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 시스템
CN106686306B (zh) 一种目标跟踪装置和跟踪方法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Brake Control system development for small uav gimbal
KR101948810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의 실시간 영상처리시스템
KR102174826B1 (ko)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2597369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597367B1 (ko)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