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67B1 -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367B1
KR102597367B1 KR1020230087501A KR20230087501A KR102597367B1 KR 102597367 B1 KR102597367 B1 KR 102597367B1 KR 1020230087501 A KR1020230087501 A KR 1020230087501A KR 20230087501 A KR20230087501 A KR 20230087501A KR 102597367 B1 KR102597367 B1 KR 10259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etachable
ball
connection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철
고동일
김동찬
조정민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8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G03B35/06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with axial movement of lens or gate between exp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21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cameras and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대,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및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테레오카메라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자유로운 촬영각 조절을 통해 정확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AERIAL PHOTOGRAPHY DEVICE FOR HOLDING STEREO CAMERA VERTICALLY}
본 발명은 항공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기술은 크게 조종사와 촬영사가 비행기 조종석과 카메라 옆에 착석하여 촬영하는 유인촬영과 모형 헬리콥터나 비행선과 같이 사람을 태울 수 없는 기체에 무선송수신 제어기를 장착하여 무선으로 비행기를 조종하면서 촬영하는 무인촬영기술로 구분된다.
항공촬영시스템은 촬영기기가 장착된 비행기를 이용하여 촬영계획 지역으로 비행사가 해당 촬영구역 경로를 따라 비행기를 조종하여 이동하면 촬영사가 촬영 장치를 이용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기, 촬영장비, 자동항법장치로 구성된다.
비행선촬영시스템은 항공측량방법이나 원격탐측기법의 고비용, 과다한 시간소요, 데이터취득절차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소 및 헬륨과 같이 가벼운 기체를 채울 수 있는 비행선 기낭과, 추진 및 제어기,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곤돌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시스템, 지상관제시스템, 조종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항공사진은 지형지물의 좌표 정보 등을 수치화하여 적용하고, 이렇게 확보된 수치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이용된다. 특히 최근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촬영기술 및 항공기술의 발달, 정밀 광학 기계 및 계측기기의 발달 등은 사실감 있는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은 촬영시스템 중 유인 항공촬영시스템은 촬영자가 직접 화면을 확인하며 사물을 촬영하기 때문에 항공기 자체의 고진동, 바람 또는 카메라 자체의 무게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이나 각도가 맞지 않더라도 카메라를 바로 수정함으로써 정확하게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인 항공촬영시스템은 저고도에서는 촬영이 위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촬영을 해야 하며 따라서 선명하고 고화질의 사진이나 영상을 얻기 힘든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항공촬영용 카메라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 항공촬영용 카메라의 고장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사용이 어렵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카메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없으므로 카메라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레오카메라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자유로운 촬영각 조절을 통해 정확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기의 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대;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및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촬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촬영부는,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베이스; 카메라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부재; 카메라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스테레오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의 하부를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구동모터, 스테레오카메라 및 감지센서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수평위치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에서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영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항공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 또는 비닐과 같은 물체에 의해 오류가 발생한 촬영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촬영을 해야할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장치는, 항공기(100)의 하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720), 수평지지대(7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600), 수평위치부(6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500), 상하구동유닛(5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대(730), 안착대(730)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300) 및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촬영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200)는,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베이스(210), 카메라베이스(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20), 가이드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30), 회전축(230)에 고정되는 회전부재(240), 카메라베이스(210)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50), 회전부재(240)에 결합되는 스테레오카메라(260), 스테레오카메라(260)의 하부를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70) 및 구동모터(250), 스테레오카메라(260) 및 감지센서(27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280)을 포함한다. 항공기(100)에는 터치스크린패널(11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막대형상을 가지고, 카메라베이스(2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부재(220)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30)은, 양단이 각각의 가이드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250)의 작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재(240)는, 각각의 가이드부재(220)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축(230)에 삽입고정되는 수직바(241)와, 수직바(2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수평패널(242)로 구성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60)는,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회전부재(240)의 수평패널(242)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270)는, 회전부재(240)의 수평패널(242)의 저면에 설치되어 스테레오카메라(26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감지센서(270)는, 스테레오카메라(260)의 하부 주변을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어유닛(280)은, 촬영영역과, 촬영영역에 따른 항공경로를 별도의 단말장치에 의해 입력받아, 항공기(100)가 항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스테레오카메라(260) 및 감지센서(270)를 작동제어하며, 터치스크린패널(110) 각각의 메뉴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의 역할을 터치스크린패널(110)이 할 수 있어, 제어유닛(280)은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촬영영역 및 항공경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280)은 감지센서(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가 수신될 당시의 촬영 위치를 확인하여 재촬영 영역으로 지정한다.
상기 제어유닛(280)이 항공경로를 설정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10)은, 통상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어유닛(28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이때, 터치스크린패널(110)은 항공기(100)의 조종석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센서(120)는, 인공위성(13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받는 통상의 것으로, 제어유닛(28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상기 인공위성(130)은, GNSS센서(120)에 위치정보를 주는 통상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별도의 단말장치를 매개로 제어유닛(280)에 항공촬영을 할 대상지역을 촬영영역으로 설정하고, 촬영영역에 따른 항공경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영역과 항공경로가 설정되면, 작업자는 항공기(100)를 이륙시켜, 항공경로를 따라 항공기(100)를 운행한다.
상기 항공기(100) 운행 중, 제어유닛(280)이 GNSS센서(120)로부터 촬영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제어유닛(280)는 스테레오카메라(260)와 감지센서(27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각이 부정확하거나 정확한 영상 이미지를 담을 수 없을 시, 작업자는 터치스크린패널(110)의 각도조절메뉴(115)을 터치하여, 회전부재(24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즉, 각도조절메뉴(115)에 의해 회전부재(240)의 회전각이 설정되면, 제어유닛(280)은 구동모터(250)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회전부재(24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각에 따라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영역 촬영 중 새와 같은 촬영방해물체가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각 내로 들어오면, 감지센서(270)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유닛(28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테레오카메라(260)에 의해 대상지역이 촬영중 일 때,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각 안으로 새와 같은 촬영방해물체가 지나가면,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영상 이미지에 촬영방해물체가 표시되어, 정확한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280)는, 감지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경도 및 위도를 확인하여, 해당지역을 재촬영지점으로 지정한다.
항공촬영을 마친 작업자는, 항공촬영 영상 이미지가 오류없이 촬영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가 터치스크린패널(110)에 맵메뉴(111)와 재촬영영역확인메뉴(112)가 나타나도록 셋팅된 상태에서, 재촬영영역확인메뉴(112)를 터치하면, 터치스크린패널(110)은 재촬영영역확인메뉴(112)가 사라지면서 오류위치메뉴(113)가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오류위치메뉴(113)를 통해 어느 정도의 항공촬영 영상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오류위치메뉴(113)을 터치하면, 오류표시메뉴(114)를 통해 해당오류위치와 해당오류위치에 대한 경도 및 위도 위치가 표시되고, 맵메뉴(111)에는 해당오류위치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가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오류위치를 확인하여 오류위치에 대한 재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장치는 스테레오카메라(260)의 촬영각을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한 항공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새 또는 비닐과 같은 물체에 의해 오류가 발생한 촬영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인해 재촬영을 해야할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700)와 제2수직지지대(7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700)과 제2수직지지대(7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은 수평위치부(60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부에 결합된 안착대(730) 및 촬영부(200)를 승강시키거나 안착대(730) 및 촬영부(200)를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은, 안착대(730)와 수평위치부(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유닛바디(510)와, 구동유닛바디(510)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520)와, 일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안착대(730)에 결합되어 안착대(7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30)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5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어 안착대(7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540)와, 구동유닛바디(5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5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550)와, 구동유닛바디(510)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530)와 수평회전부(54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56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구동유닛바디(510)에는 제1베어링(511)이 마련되어 회전바디(5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승강구동부(530)는 안착대(730)에 연결되어 안착대(730) 및 그 하부에 장착된 촬영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530)는 회전바디(52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531)와, 승강실린더(531)에 마련되어 안착대(730)의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로드(532)와, 일측부는 승강로드(53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안착대(73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53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부(530)의 승강실린더(531)는 배터리(560)에 연결되어 배터리(56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53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승강실린더(531)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530)의 결합플레이트(533)는 승강로드(532)와 안착대(73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수평회전부(540)는 안착대(7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부(540)는, 구동유닛바디(51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41)와, 구동모터(541)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542)와, 일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구동베벨기어(542)와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동베벨기어(54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피동베벨기어(543)의 중심축은 회전바디(520)에 고정 결합되어 피동베벨기어(543)와 회전바디(52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회전댐핑부(550)는 구동유닛바디(510)에서 회전바디(52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댐핑부(550)는, 구동유닛바디(510)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551)과, 제1프레임(551)과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프레임(552)과, 일측부가 제2프레임(552)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553)과, 제1스프링(553)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롤러지지바디(554)와, 롤러지지바디(55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회전바디(520)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롤러부재(55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디(520)의 회전 시 롤러부재(555)의 상면부를 가압하므로 회전바디(5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바디(52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롤러부재(555)를 통해 진동이 제1스프링(553)으로 전달되고, 제1스프링(553)으로 전달된 진동은 제1스프링(553)의 진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배터리(56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벽부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531)와 구동모터(54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는 상측부는 수평지지대(720)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하구동유닛(500)에 연결되어 수평지지대(720)의 기울어짐에도 안착대(730) 및 촬영부(20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포스트(610)와, 볼포스트(6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볼포스트(6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볼부재(620)와, 볼부재(620)가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볼하우징(630)과,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630)에서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640)와, 일측부는 볼하우징(63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수평지지대(720)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65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포스트(61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상면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포스트(610)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볼포스트(61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부재(620)는 볼댐핑부(640)에 둘러 싸여서 볼하우징(6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620)는 수평지지대(72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볼하우징(630)이 기울어지는 경우 볼하우징(630)의 내부에서 볼댐핑부(640)와 같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착대(730) 및 촬영부(2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하우징(630)은 가장자리에 볼플랜지(631)가 마련되고, 볼플랜지(631)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6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6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댐핑부(640)는 볼하우징(6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부재(620)를 둘러싸며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안착대(7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볼댐핑부(640)는,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620)의 일측부를 덮으며 볼포스트(610)가 관통되는 제1댐핑바디(641)와,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620)의 타측부를 덮는 제2댐핑바디(642)와, 제1댐핑바디(641)에 마련된 제1블록결합홈(6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블록(643)과, 제1지지블록(643)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644)과, 제2댐핑바디(642)에 마련된 제2블록결합홈(642a)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644)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블록(645)과,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의 회전시 볼하우징(630)과 제1댐핑바디(641), 볼하우징(630)과 제2댐핑바디(642)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부재(646)를 포함한다.
상기 볼댐핑부(640)의 제1댐핑바디(641)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볼하우징(6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댐핑바디(641)에는 볼포스트(610)가 관통되는 포스트홀(641a)이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블록(643)이 끼우 맞춤 결합되는 제1블록결합홈(641b)이 마련될 수 있고, 윤활부재(646)가 결합되는 바디홈(641c)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댐핑부(640)의 제2댐핑바디(642)는 제1댐핑바디(641)와 같이 볼부재(620)를 둘러싸서 볼하우징(6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댐핑바디(642)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1댐핑바디(641)와 합쳐서 볼부재(620)를 원형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2댐핑바디(642)에는 제2지지블록(645)이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제2블록결합홈(64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는 제2스프링(644)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부재(6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볼하우징(630)으로부터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제2스프링(644)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제1댐핑바디(641), 제2댐핑바디(642)와 같이 상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볼댐핑부(640)의 윤활부재(646)는 제1댐핑바디(641)의 외벽에 마련된 바디홈(641c)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64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646)는 제2댐핑바디(642)에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646)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연결플레이트(650)는 수평지지대(7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안착대(730)의 하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촬영부(2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촬영부(20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안착대(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상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상승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에는 촬영부(200)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상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하부에 놓이는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서 내리고,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하강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하강된다. 탈착승강부(320)가 하강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촬영부(200)는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항공기 110 : 터치스크린패널 120 : GNSS센서
130 : 인공위성 200 : 촬영부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상하구동유닛 510 : 구동유닛바디
511 : 제1베어링 520 : 회전바디 530 : 승강구동부
531 : 승강실린더 532 : 승강로드 533 : 결합플레이트
540 : 수평회전부 541 : 구동모터 542 : 구동베벨기어
543 : 피동베벨기어 550 : 회전댐핑부 551 : 제1프레임
552 : 제2프레임 553 : 제1스프링 554 : 롤러지지바디
555 : 롤러부재 560 : 배터리 600 : 수평위치부
610 : 볼포스트 620 : 볼부재 630 : 볼하우징
631 : 볼플랜지 632 : 체결부재 640 : 볼댐핑부
641 : 제1댐핑바디 641a : 포스트홀 641b : 제1블록결합홈
641c : 바디홈 642 : 제2댐핑바디 642a : 제2블록결합홈
643 : 제1지지블록 644 : 제2스프링 645 : 제2지지블록
646 : 윤활부재 650 : 연결플레이트 700 : 제1수직지지대
710 : 제2수직지지대 720 : 수평지지대 730 : 안착대

Claims (1)

  1. 항공기의 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대;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및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촬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베이스; 카메라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부재; 카메라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스테레오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의 하부를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구동모터, 스테레오카메라 및 감지센서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며,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위치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0230087501A 2023-07-06 2023-07-06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59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501A KR102597367B1 (ko) 2023-07-06 2023-07-06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501A KR102597367B1 (ko) 2023-07-06 2023-07-06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67B1 true KR102597367B1 (ko) 2023-11-02

Family

ID=8874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501A KR102597367B1 (ko) 2023-07-06 2023-07-06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664A (zh) * 2019-09-06 2021-03-09 詹春婷 自稳定的球形无人机车辆摄像机组件
KR102296591B1 (ko) * 2021-01-27 2021-09-02 (주)한송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밀 측량시스템
KR102297180B1 (ko) * 2021-01-28 2021-09-02 (주)한송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시스템
KR20230025260A (ko) * 2021-08-13 2023-02-21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tm 좌표 기반의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664A (zh) * 2019-09-06 2021-03-09 詹春婷 自稳定的球形无人机车辆摄像机组件
KR102296591B1 (ko) * 2021-01-27 2021-09-02 (주)한송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밀 측량시스템
KR102297180B1 (ko) * 2021-01-28 2021-09-02 (주)한송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시스템
KR20230025260A (ko) * 2021-08-13 2023-02-21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tm 좌표 기반의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683B1 (ko) 항공촬영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074637B1 (ko) 구조물 점검용 비행 장치
JP6122591B2 (ja) 写真測量用カメラ及び航空写真装置
EP0576427B1 (en) Flight simulator
CN212332992U (zh) 一种基于无人机搭载的多功能三光吊舱及系统及无人机
US20030048357A1 (en) Digital imaging system for airborne applications
KR102514314B1 (ko)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551380B1 (ko)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CN104881049A (zh) 有限空间内无人机全景拍摄云台
KR101893078B1 (ko) 측정된 수치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3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591996B1 (ko)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CN204650290U (zh) 有限空间内无人机全景拍摄云台
CN107367267B (zh) 基于步进分幅式成像的航摄仪及航摄成像的方法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N102514718A (zh) 一种辅助飞行器助降方法
KR101838734B1 (ko) 고정밀 이미지 획득을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1589925B1 (ko)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 처리가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97367B1 (ko)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338776B1 (ko)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 영상처리 시스템
CN115371732A (zh) 一种电梯井道高精度测量与数据处理方法
CN112478968B (zh) 电梯井道巡检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KR102597369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631884B1 (ko)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597368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정밀하게 획득할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596656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안정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