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681B1 -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681B1
KR102631681B1 KR1020230073654A KR20230073654A KR102631681B1 KR 102631681 B1 KR102631681 B1 KR 102631681B1 KR 1020230073654 A KR1020230073654 A KR 1020230073654A KR 20230073654 A KR20230073654 A KR 20230073654A KR 102631681 B1 KR102631681 B1 KR 10263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mission equipment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이혜림
강지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007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5Individual queue per QOS, rate or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장치가 전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고,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고,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Controlling of Transmission Rate of Mission Equipment in Unmanned Aerial Systems and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무인항공체계를 통해 운용되는 무인 비행체에 탑재될 임무 장비의 통신을 기술에 대한 것이다.
무인항공체계(Unmanned Aircraft System(UAS))는 감시 및 정찰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체계로서,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에 탑재되는 임무 장비, 비행체를 제어하고 비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상 통제 장비(Ground Control Station(GCS)), 및 무인 비행체와 지상 통제 장비 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장비로 구성된다. 무인항공체계의 무인 비행체는 다양한 종류의 임무 장비가 장착되어 운용될 수 있고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표적 영상 획득하는 등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장시간 운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의 임무장비들은 개별적 특성에 맞춰 사전에 계획된 임무 스케줄을 기반으로 운용이 되고, 수집된 데이터는 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지상 통제 장비에 대한 데이터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정된 대역폭을 가지고 운영되는 무인항공체계에서 데이터 전송 통로인 데이터링크 대역폭을 충분히 넓게 할당 받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운용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면서 무인 비행체의 운용에 필수적인 데이터링크 대역폭을 충분히 할당 받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할당 받은 제한적인 데이터링크 대역폭 내에서 수집한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지상통제장비로 전송하기 위해 각 임무 장비에 할당되는 개별 대역폭을 임무장비 전송률로 정의하고 장비의 운용 상태에 맞는 가변적 임무장비 전송률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무인항공체계는 지상통제장비를 활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고 감독하는 복합적인 시스템으로서, 물리적인 조작으로 유인 비행체를 통제하는 것이 익숙한 조종사가 지상통제장비의 화면 및/또는 버튼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인항공체계를 운용해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합한 운용 절차를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상통제장비를 이용하는 사용자(즉, 무인 비행체의 조종사)는 표적 영상 획득을 위해 무인 비행체에 대한 비행 통제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비행 경로에 종속된 임무 장비의 임무 수행 스케줄을 수시로 체크하여 각 임무 장비 전송률을 임무 장비의 통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으로 개별 할당해야 했었다. 이 때문에 체계 운용에 대한 집중도가 상승하게 되어 조종사의 업무 부하와 피로도는 증가하게 된다. 임무 장비의 전송률이 빈번하게 변경되어 임무 장비의 운용에 대한 집중도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무인 비행체의 비행 통제에 대한 집중도가 낮아져 비행 통제 운용의 실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임무 장비의 전송률이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장시간 운용 등으로 인한 조종사 교대 시 임무 장비의 운용 상태 및 마지막 전송률 설정 조건에 대한 인수인계 절차가 필수적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복수의 무인비행체 운용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면서 한 명의 조종사가 통제하는 무인 비행체의 수가 늘어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다수의 무인 비행체 각각에 대한 임무 장비의 전송률 제어에 필요한 조종사의 업무 부하에 대한 부담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비행 통제 관련 자동화 기술이 아닌 임무 장비의 전송률 제어에 대한 공개된 자동화 기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무인항공체계 운용 시에 데이터링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임무 장비의 전송률 제어를 자동화함으로써 임무 장비의 운용으로 인한 조종사의 워크로드의 경감 및 무인 비행체의 안정적인 비행 통제를 위해 체계 운용 환경 및 조건들이 고려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 제어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장치가 전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고,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고,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제2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정보 중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응되는 정보를 결정하여 제1 데이터 세트에 포함시킴으로써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무인 비행체가 상호 운용성이 제공되는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무인 비행체가 상호 운용성이 제공되는 무인 비행체인 경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운용 시간 정보는 무인 비행체의 운용 중인 현재가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나타내고, 운용 모드 정보는, 무인 비행체가 이륙 중인지, 착륙 중인지 또는 임무 정보에 대응되는 임무를 수행하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우선순위 및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의 복수의 전송률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대역폭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확대되는 경우, 확대된 대역폭에 기초하여 추가할 전송률을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추가할 전송률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상향 제어하고,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축소되는 경우, 축소된 대역폭에 기초하여 축소할 전송률을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축소할 전송률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하향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임무 정보에 따른 임무의 절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률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전송률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전송률이 변경되지 않은 나머지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률이 감소한 경우, 감소한 전송률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송률이 감소한 임무 장비 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상향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률이 증가한 경우, 증가한 전송률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송률이 증가한 임무 장비 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하향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는 단계;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방법은: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는 단계;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제안한 임무 장비의 전송률 제어 기술의 적용으로 임무 장비 운용에 대한 조종사의 워크로드 및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기술을 통해, 임무 장비 전송률 할당 시 고려되어야 하는 복잡한 요소들을 조종사가 수동으로 판단하여 조종사의 워크로드가 증가하는 경우 임무장비의 우선순위를 오판단하거나 임무장비 전송률을 적시에 할당하지 못해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실패 하는 등 임무수행에 발생할 수 있는 인적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기술을 통해 조종사는 무인항공체계의 운용 시 무인 비행체의 통제에 대한 집중도가 향상됨으로써 한 명의 조종사가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수의 상승에 기여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기 식별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장치가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을 포함하는 전송률 종합 테이블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확대된 경우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축소된 경우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중지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착된 다른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시작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착된 다른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장치"는 컴퓨터, 휴대용 단말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군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장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명령어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전송율 제어를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10) 및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임무 장비의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종래의 기술에 따라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는 RAM, ROM, CPU,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버스(B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장치(1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는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는, GPU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다양한 방법을 장치(100)가 수행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은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예를 들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커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이 커널 또는 미들웨어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130)는 장치(100) 외의 외부 장치(150)의 통신하도록 구성하도록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송수신부(130)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은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에 통신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자가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통신 기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150)에는 장치(100)가 속하는 무인항공체계에 속하는 기 식별 무인 비행체, 무인항공체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미 식별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및 무인항공체계 외의 외부 시스템 등 다양한 장치나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30)는 외부 장치(150)에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송수신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15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및/또는 무인 비행체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정보란, 무인 비행체의 비행의 시작과 종료를 수행하도록 지시한 목적을 완료하기 위해 무인 비행체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임무의 수행 절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임무 정보에는 무인 비행체의 임무 절차에 포함되는, 이륙 및 착륙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다양한 임무의 종류(예를 들면, 감시, 정찰, 운송, 통신 중계, 탐색, 구조, 조난 신호 송신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무 정보에 포함되는 임무 절차에서 전송이 필요한 임무 장비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전송률이 요하는지 등에 대해 장치(100)는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 내지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30)가 정보의 송수신함에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13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종 외부 장치와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2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장치(100)가 속한 무인항공체계에 함께 속한 기 식별 무인 비행체 또는 장치(100)가 속한 무인항공체계에 속하지 않은 미식별 무인 비행체를 다른 무인 비행체와 구분하여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송수신부(130)를 통해 획득되는 무인 비행체의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는 송수신부(130)를 이용한 여러가지의 종래의 원격 식별(remote ID)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S22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한 식별자를 기초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행의 임무목적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될 수 있는 임무 장비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종류를 먼저 식별하고 각 임무 장비의 설정 가능한 전송률 세트를 확인하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가 무인항공체계에 속한 기 식별 비행체인지 또는 무인항공체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미 식별 비행체인지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는 과정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미 식별 비행체란, 상호 운용성이 담보되는 무인 비행체로서, 무인 비행체 및/또는 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제어권에 대한 요청 및 승인 과정을 통해 무인항공체계에서 운용성을 넘겨 받아 운용 가능한 무인 비행체이다. 기 식별된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23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란, 임무 장비에서 지원하는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로서 임무 장비 및/또는 장착된 무인 비행체의 통신 환경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변경 가능한 전송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가 무엇인지 식별되면, 장치(100)는 그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장비 별 지원하는 전송률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임무 장비 각각은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송률 중 하나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임무 장비 목록(예를 들면, 표 1)에서 무인 비행체에 실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임무 장비 별로 지원하는(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제2 데이터 세트로서 지칭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표 1에 포함된 임무 장비의 종류 및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는 단지 본 개시에서 장치(100)가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를 적어도 포함하는 다양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 저장 내지 관리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들이므로, 본 개시의 특징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제2 데이터 세트에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만을 선택하고 통합하여 표 2와 같은 장착된 임무 장비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테이블인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고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에서는 전방주시 전자광학장비(CCD #1) 및 착륙장치 주시 전자광학장비(CCD #2), 전방주시 적외선장비(FLIR), 임무용 전자광학장비(EO), 임무용 적외선장비(IR), 및 영상레이더 장비(SAR)가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표 1은 무인 비행체에 장착 가능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실제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 2에는 표 1에 포함된 임무 장비의 종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일 실시예에 따라 표 1 및 표 2에서 제시된 임무 장비의 종류는 본 개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종류 및 전송률을 설명한 것이므로 표 1 및 표 2에 제시된 정보에만 한정하여 해석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 표 1 및 표 2에 제시된 전송률의 단위는 Kbps, Mbps, Gbp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S240단계에서 장치(100)는 S230단계에서 결정된 제1 데이터 세트 및 S210단계에서 식별된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란 무인항공체계에서 지상통제장비와 무인 비행체 간에 통신하기 위하여 할당된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최대 양일 수 있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의 총 합은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의 제어는 이러한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은 무인항공체계의 운용 환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하는 경우 임무 장비에 대하여 할당되는 전송률 역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기 식별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장치가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을 포함하는 전송률 종합 테이블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무인항공체계에 속한 기 식별 비행체인지 결정할 수 있다. 장치(100)는 무인항공체계에 속하는 것으로 미리 저장된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S210 단계에서 식별된 무인 비행체가 기 식별된 무인 비행체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기 식별된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가 미리 저장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장치(100)는 식별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가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것이거나 또는 식별된 무인 비행체를 향해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식별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 식별된 무인 비행체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310 단계에서 무인 비행체가 기 식별된 무인 비행체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S315단계에서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 가능한 임무 장비에 대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S315단계에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실제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식별된 비행체에 대해서 전송률을 제어하는 경우, 장치(100)는 S320 단계에서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임무 장비 목록(예를 들면, 표 1)에서 무인 비행체에 실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310 단계에서 무인 비행체가 미 식별 무인 비행체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S330단계에서 미 식별 무인 비행체와 원격 통신을 통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를 무인 비행체에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340 단계에서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로부터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신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에는 실제로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0)는 이러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S350단계에서 장착된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한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무인 비행체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장치(100)는 S360 단계에서 미 식별 무인 비행체로부터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미 식별 무인 비행체의 경우 미 식별 무인 비행체로부터 실제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수신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미 식별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S330 단계 및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S350 단계는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장착된 임무 장비 및 그 각각에 대항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미 식별 무인 비행체에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330 단계 내지 S360 단계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거나 그 선후 관계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미 식별의 무인 비행체에 임무 장비의 정보 및/또는 그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장비 수만큼 반복하여 수신되어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로서 누적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 세트가 생성될 수도 있다.
S37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 종합 테이블인 제1 데이터 세트(예를 들면, 표 2)를 결정할 수 있다. S370 단계에 대한 특징은 도 2의 S230단계에 대한 특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종류뿐만 아니라,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임무 장비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즉, 각 임무 장비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정보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임무 모드에는 표적영상 획득을 위한 임무용 장비에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야간에 무인항공체계를 운용 중인 경우 광학 장비는 영상 식별이 어려우므로 적외선 장비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표 2와 같이 설정된 장착된 임무 장비에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 제1 데이터 세트를 기준으로 하여,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대한 예시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운용 시간 정보는 무인항공체계의 운용 시간 및/또는 날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무인항공체계가 운용 중인 현재 시간이 주간인지 야간인지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간 또는 야간인지를 나타내는 운용 시간 정보는 현재 운용 중인 날짜에 따라 섬머 타임이 적용되는 날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간 및 야간인지 여부에는 임무 장비의 활용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무인항공체계의 운용 시각 및/또는 운용 날짜를 체크하여 계절에 따라 주간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시간 간격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나타내는 운용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월 내지 10월 사이라면 하절기로 판단하여 주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7시부터 18시로 설정하고, 11월~3월 사이라면 동절기로 판단하여 주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8시부터 17시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100)는 무인항공체계가 운용 중인 시간 및 날짜에 기초하여 현재 주간인지 야간인지 결정하고, 주간 또는 야간에 기초하여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운용 모드 정보는 무인 비행체가 이륙 중인지, 착륙 중인지 또는 임무 정보에 대응되는 임무를 수행하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가 현재 이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방 주시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무인 비행체가 현재 착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착륙장치 주시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무인 비행체가 현재 할당된 임무 수행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임무 수행에 필요한 임무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운용 모드 정보에 기초로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 및 운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가 주간 중에 이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방 주시 전자광학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무인 비행체가 야간 중에 이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방 주시 적외선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가 주간 중에 착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착륙장치 주시 전자광학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야간 중에 착륙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임무용 적외선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가 주간 중에 할당된 임무 수행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임무용 전자광학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야간 중에 할당된 임무 수행 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임무용 적외선 장비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임무 장비 이외의 나머지 임무 장비들에 대하여 설정되는 예시적인 순위는 상술한 표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케이스를 식별하고, 식별된 케이스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용 시간, 운용 모드 또는 임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인항공체계의 운용 환경이 변경될 때 운용 환경에 적합하게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각 임무장비의 전송률을 재설정함으로써 무인항공체계의 장시간 운용 시에도 휴먼 에러 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적절하고 신속하게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경우에도, 전송률을 무인항공체계의 사용자가 장치(100)에 장착된 각 임무 장비의 수동으로 제어하지 않고 각 임무장비 별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전송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확대된 경우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41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으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확대된 것인지 여부(즉, 변경된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보다 큰 경우, 장치(100)는 변경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크기에 기초하여 확대 가능한 전송률(R)을 결정하고, 확대 가능한 전송률(R)에 기초하여 전송률을 확대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P)를 최상위 순위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장비 별 설정 가능한 전송률의 크기는 연속적이지 않고 불연속적일 수 있으므로(표 1 또는 표 2 참조), 확대 가능한 전송률의 크기는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변경된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확대 가능한 전송률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어떤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을 확대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확대된 경우에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대시킬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전송률의 확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S420 단계에서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케이스 별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무인 비행체의 운용 환경에서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대 시키기 위해 우선 순위 정보(P)를 최상위 순위로 초기화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확대에 따른 임무 장비의 전송률의 확대는 무인 비행체의 운용 환경에 따른 최우선 순위에 대응되는 임무 장비부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S43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 상태인지 여부(즉, P순위 임무 장비가 무인항공체계에서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S440 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전송률 중 최대 전송률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최대 전송률을 미리 설정된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최대 전송률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 S450단계에서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상향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얼마나 상향 제어할 것인지는 제1 데이터 세트 및 확대 가능한 전송률(R)에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확대 가능한 전송률(R) 이하의 범위에서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임무 장비에 대하여 상향 제어 가능한 전송률 중 최대의 크기로 전송률을 상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를 참고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P순위 임무 장비가 CCD #1이고 현재 전송률이 4이고 확대 가능한 전송률(R)에 3인 경우, 장치(100)는 CCD #1의 전송률을 4에서 6으로 상향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 2를 참고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P순위 임무 장비가 FLIR이고 현재 전송률이 2이고 확대 가능한 전송률(R)에 5인 경우, 장치(100)는 FLIR의 전송률을 2에서 4로 상향 제어할 수 있다.
S460단계에서 장치(100)는 확대 가능한 전송률(R) 중 S45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상향 제어 후 남은 전송률에 기초하여 추가로 확대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확대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43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거나, S44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이긴 하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대 전송률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S460단계에서 추가로 확대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S442단계에서 장치(100)는 P가 나타내는 값이 현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즉,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모든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100)는 더 이상 전송률을 제어해야 하는 임무 장비가 남아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가 나타내는 값이 현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S444단계에서 장치(100)는 P가 나타내는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우선 순위 정보(P)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니거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대 전송률에 해당하거나, 또는 추가로 확대 가능한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 다음 순위(P+1)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 제어를 위한 S430단계 내지 S46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442단계에서 P가 나타내는 값이 현재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확대 가능한 전송률(R)이 P순위 임무 장비에 대하여 상향 제어 가능한 전송률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25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S425단계에서의 판단을 위해 제1 데이터 세트(예를 들면, 표 2) 및 우선 순위 정보(예를 들면, 표 3)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를 참고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P순위 임무 장비가 CCD #1이고 현재 전송률이 4인 경우 그 다음으로 상향 제어 가능한 전송률이 6이므로 확대 가능한 전송률(R)에 1로는 CCD #1의 전송률을 6로 상향 제어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확대 가능한 전송률(R)이 P순위 임무 장비에 대하여 상향 제어 가능한 전송률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410단계에서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의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확대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S415단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415단계에 이후의 절차에 대한 특징은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축소된 경우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51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으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축소된 것인지 여부(즉, 변경된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보다 작은 경우, 장치(100)는 변경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크기에 기초하여 회수해야 할 전송률(R)을 결정하고, 회수해야 할 전송률(R)에 기초하여 전송률을 축소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P)를 최하위 순위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장비 별 설정 가능한 전송률의 크기는 연속적이지 않고 불연속적일 수 있으므로(표 1 또는 표 2 참조), 회수해야 할 전송률의 크기는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변경된 크기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회수해야 할 전송률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어떤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을 회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축소된 경우에는 최하위 순위의 임무 장비로부터 전송률을 회수할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낮은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전송률을 회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520 단계에서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케이스 별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무인 비행체의 운용 환경에서 최하위 순위에 해당하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회수 시키기 위해 우선 순위 정보(P)를 최하위 순위로 초기화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링크 대역폭의 축소에 따른 임무 장비의 전송률의 회수는 무인 비행체의 운용 환경에 따른 최하위 순위에 대응되는 임무 장비부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510단계에서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제2 데이터 링크 대역폭으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축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S53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S540 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전송률 중 최소 전송률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을 미리 설정된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은 0이 아닌 전송률로서 임무 장비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가장 작은 크기의 전송률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최소 전송률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 S550단계에서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얼마나 하향 제어할 것인지는 제1 데이터 세트 및 회수해야 할 전송률(R)에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회수해야 할 전송률(R) 이상의 범위 내에서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임무 장비에 대하여 하향 제어 가능한 전송률 중 최대의 크기로 전송률을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를 참고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P순위 임무 장비가 IR이고 현재 전송률이 12이고 회수해야 할 전송률(R)에 10인 경우, 장치(100)는 IR의 전송률을 12에서 0으로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 2를 참고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P순위 임무 장비가 EO이고 현재 전송률이 8이고 회수해야 할 전송률(R)에 10인 경우, 장치(100)는 EO의 전송률을 8에서 0로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즉,
S560단계에서 장치(100)는 회수해야 할 전송률(R) 중 S55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하향 제어 후 남은 전송률에 기초하여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 순위 임무 장비가 EO이고 현재 전송률이 8이고 회수해야 할 전송률(R)에 10인 경우, EO의 전송률을 8에서 0로 하향 제어 후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은 2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53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거나, S54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이긴 하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S560단계에서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S542단계에서 장치(100)는 P가 나타내는 값이 최상위 순위에 대응되는 값과 동일한지 여부(즉, 최상위 순위에 대한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100)는 더 이상 전송률을 제어해야 하는 임무 장비가 남아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가 나타내는 값이 최상위 순위에 대응되는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S544단계에서 장치(100)는 P가 나타내는 값에 1을 뺀 값으로 우선 순위 정보(P)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니거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에 해당하거나, 또는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 다음 순위(P-1)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 제어를 위한 S530단계 내지 S56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542단계에서 P가 나타내는 값이 최상위 순위에 대응되는 값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장치(100)는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장치(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률이 변경(예를 들면, 전송 중지 상태에서 전송 상태로 변경 또는 전송 상태에서 전송 중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송률을 무인항공체계의 사용자가 장치(100)에 장착된 각 임무 장비의 수동으로 제어하지 않고 각 임무장비 별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전송률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가 수행해야하는 임무의 절차에 기초하여 임무 장비의 전송이 필요해지거나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 장치(100)는 이러한 임무 장비의 전송의 시작 또는 중지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체에 대하여 할당된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적응적으로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중지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착된 다른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61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가 전송이 중지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또는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임무 장비의 전송 상태를 유지해야하는지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또는 임무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특정 임무 장비에 대해서는 전송 상태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 특정 임무 장비에 대해서는 전송이 중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의 전송이란, 임무 장비가 장착된 무인 비행체의 송수신부를 통해 임무 장비에 관련된 정보를 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S610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가 전송이 중지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S620단계에서 확대 가능한 전송률(R)을 결정하고 전송률을 확대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P)를 최상위 순위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확대 가능한 전송률(R)은 S610에서 전송이 중지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 임무 장비가 종전에 사용 중이었던 전송률의 크기에 대응된다.
도 6의 S625단계 내지 S660단계에 대한 특징은 상술한 도 4의 S425단계 내지 S460단계에 대한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이용하는 데이터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시작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착된 다른 임무 장비에 대한 전송률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710단계에서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일부가 전송이 시작된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S610단계와 유사하게,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또는 임무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임무 장비의 전송 상태를 유지해야하는지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또는 임무 정보가 변경되어, 전송 상태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없었던 특정 임무 장비가 전송 중인 상태로 전송 상태를 변경해야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특정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이 시작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임무 장비가 전송 중지 상태였음에 따라 해당 임무 장비가 이용하지 않았던 전송률을 다른 임무 장비들이 대신 이용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송 중지 상태였던 임무 장비가 다시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전송률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S720단계에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중지 상태였던 임무 장비가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회수해야 할 전송률(R)을 결정하고, 전송률을 회수하기 시작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를 전송을 시작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에 1을 더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전송을 시작할 임무 장비보다 후순위의 임무 장비들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S730, S740, S750 및 S760단계에 대한 특징은 각각 상술한 도 5의 S530, S540, S550 및 S560단계에 대한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73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거나, S740단계에서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이긴 하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S760단계에서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S742단계에서 장치(100)는 P가 나타내는 값이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즉,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보다 후순위의 모든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742단계에서 P가 나타내는 값이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S744단계에서 P가 나타내는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우선 순위 정보(P)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P순위 임무 장비가 전송상태가 아니거나 P순위 임무 장비의 현재 전송률이 설정 가능한 최소 전송률에 해당하거나, 또는 추가로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 다음 순위(P+1)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 제어를 위한 S730단계 내지 S76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742단계에서 P가 나타내는 값이 임무 장비의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S770단계에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운용 환경에 따라 최하위 순위를 가지는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 중지 상태로 전송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 중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보다 후순위의 모든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였음에도 회수해야 할 전송률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라면 최하위 순위를 가지는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 중지 상태로 전송 상태를 변경하여 전송률을 최대한 회수함으로써, 데이터링크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임무 장비가 전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링크 대역폭을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S720단계에서 장치(100)는 전송률을 회수하기 시작할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를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또는 임무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 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하위 순위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최하위 순위의 임무 장비로부터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 바로 아래 순위까지, 우선 순위가 낮은 순서대로 전송률을 회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100)는 S742단계에서 P가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에서 1을 뺀 값과 동일한지 여부(즉,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바로 아래 순위의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742단계에서 P가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에서 1을 뺀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S744단계에서 P값에서 1을 더한 순위의 임무 장비에 대하여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인 S730, S740, S750 및 S76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742단계에서 P가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우선 순위 정보(P)에서 1을 뺀 값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즉, 전송을 시작한 임무 장비의 바로 아래 순위의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률을 회수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경우), S770단계에서 장치(100)는 최하위 순위를 가지는 임무 장비에 대해 전송 중지 상태로 전송 상태를 변경하여 전송률을 최대한 회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개시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개시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개시 내용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1)

  1.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전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상기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시작된 경우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 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모든 임무 장비로부터 회수된 전송률이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중에서 최하위 순위에 대응하는 임무 장비의 전송을 중지 상태로 변경하여 관리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 환경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상기 운용 시간 정보는, 현재 운용 중인 날짜가 기 설정된 기간에 포함될 경우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에 대응되는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세트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호 운용성이 제공되는 무인 비행체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호 운용성이 제공되는 무인 비행체인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시간 정보는 무인 비행체의 운용 중인 현재가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나타내고,
    상기 운용 모드 정보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이륙 중인지, 착륙 중인지 또는 상기 임무 정보에 대응되는 임무를 수행하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중지된 경우 상기 전송이 중지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이 중지된 임무 장비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임무 장비에 대해 상기 전송이 중지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 범위 내에서 최대의 크기로 전송률을 상향 제어하기 위해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장치.
  10. 무인항공체계에서 지상통제장비에 내장되어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상기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시작된 경우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 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모든 임무 장비로부터 회수된 전송률이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중에서 최하위 순위에 대응하는 임무 장비의 전송을 중지 상태로 변경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 환경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상기 운용 시간 정보는, 현재 운용 중인 날짜가 기 설정된 기간에 포함될 경우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방법.
  11. 무인항공체계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각각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에게 할당된 임무 정보 및 상기 제1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 내에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링크 대역폭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무인항공체계에 포함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임무 장비 중 일부의 전송이 시작된 경우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 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모든 임무 장비로부터 회수된 전송률이 상기 전송이 시작된 임무 장비의 전송률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중에서 최하위 순위에 대응하는 임무 장비의 전송을 중지 상태로 변경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운용 시간 정보, 운용 모드 정보 및 임무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 환경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상기 운용 시간 정보는, 현재 운용 중인 날짜가 기 설정된 기간에 포함될 경우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30073654A 2023-06-08 2023-06-08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3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54A KR102631681B1 (ko) 2023-06-08 2023-06-08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54A KR102631681B1 (ko) 2023-06-08 2023-06-08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681B1 true KR102631681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654A KR102631681B1 (ko) 2023-06-08 2023-06-08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6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783A (ko) * 2015-04-24 2016-11-02 국방과학연구소 자체 운용 모드를 지원하는 항공임무 수행시스템, 항공임무연동장치 및 항공임무 수행방법
KR20200108983A (ko) * 2019-03-12 2020-09-2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이동플랫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6828A (ko) * 2019-09-02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783A (ko) * 2015-04-24 2016-11-02 국방과학연구소 자체 운용 모드를 지원하는 항공임무 수행시스템, 항공임무연동장치 및 항공임무 수행방법
KR20200108983A (ko) * 2019-03-12 2020-09-2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이동플랫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6828A (ko) * 2019-09-02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6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US100549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090348B2 (en) Portable control system for rotary-wing aircraft load management
US20160077573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ake-up packet, and wake-up system and method
US108097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528625B (zh) 用于控制天线的方法和使用天线的电子设备
KR102275025B1 (ko)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8032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수행 방법
EP3379896B1 (en) Method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522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home screen page
EP4243304A1 (en) Antenna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06175A1 (en) Method of operating nearb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0943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command for vehicle
EP3223580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US20160050712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2631681B1 (ko)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0049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364161A1 (en) External de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473904B1 (ko)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EP2743826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106452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when a requested function is not properly executable
US120019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arcode scanners with a wedge application
US20230164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5g n3iwf server based on context-aware selection criteria
JP7374990B2 (ja) 情報処理装置
US202203983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arcode scanners with a wedg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