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28A -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828A
KR20210026828A KR1020190108150A KR20190108150A KR20210026828A KR 20210026828 A KR20210026828 A KR 20210026828A KR 1020190108150 A KR1020190108150 A KR 1020190108150A KR 20190108150 A KR20190108150 A KR 20190108150A KR 20210026828 A KR20210026828 A KR 2021002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service
data
transmission
autonomou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503B1 (ko
Inventor
박민규
조장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5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dapting coding or compre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5Individual queue per QOS, rate or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자율 주행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과,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율 주행 시스템은 인공 지능(Artificail Intelligenfce) 모듈,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로봇,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장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등과 연계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AUTONOMOUS DRIVING CONTROL METHOD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 기반의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autonomous vehicle)이란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를 말하며, 자율 주행 시스템(autonomous driving system)은 이러한 자율 주행자동차가 스스로 운행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자율 주행 차량은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하기 때문에 주변 지형과 물체(object)를 빠르고 정확하게 실시간 센싱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들을 필요로 한다.
자율 주행 차량에서, 서버를 통한 실시간 센서 데이터 기반 차량 서비스들(ex: 위치 기반 서비스, 원격 주행 서비스, 위험 차량 판별 등)을 이용하려면 차량에서 생성되는 실시간 센서 데이터들에 대한 서버로의 전송이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서비스들을 위해 차량의 모든 센서 데이터를 항상 서버로 올린다면 서비스 이용에 필요 없는 잉여 데이터도 함께 전송될 확률이 높다. 그리고 고 품질의 센서 데이터만을 올리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량도 증가하게 되어 많은 서비스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만약 네트워크 상황이 갑자기 나빠질 경우, 서버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받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과,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연결부;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들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데이터 연결부; 상기 서비스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연결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데이터 제어부;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목표 전송률로 센서 데이터를 코딩하는 센서 데이터 코딩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에 의해 코딩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에서, 차량이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센서 데이터 전송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황이 나빠지더라도 어느 정도 수준까지는 서버로부터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상황에서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과 5G 네트워크의 기본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5G 통신을 이용한 차량 대 차량 간의 기본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V2X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V2X 사이드링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제1예시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제2예시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자율 주행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장치 및/또는 자율 주행 차량이 필요로 하는 5G 통신(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을 단락 A 내지 단락 G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A. UE 및 5G 네트워크 블럭도 예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자율 주행 장치)를 제1 통신 장치로 정의(도 1의 910)하고, 프로세서(911)가 자율 주행 상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와 통신하는 다른 차량을 포함하는 5G 네트워크를 제2 통신 장치로 정의(도 1의 920)하고, 프로세서(921)가 자율 주행 상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장치로, 자율 주행 장치가 제 2 통신 장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제 2 통신 장치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단말, 수신 단말,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자율 주행 장치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UE(User Equipment)는 차량(vehicle),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VR, AR 또는 MR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 1 통신 장치(910)와 제 2 통신 장치(920)은 프로세서(processor, 911,921), 메모리(memory, 914,924), 하나 이상의 Tx/Rx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915,925), Tx 프로세서(912,922), Rx 프로세서(913,923), 안테나(916,926)를 포함한다. Tx/Rx 모듈은 트랜시버라고도 한다. 각각의 Tx/Rx 모듈(915)는 각각의 안테나(926)을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살핀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프로세서 (921)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924)와 관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L(제 1 통신 장치에서 제 2 통신 장치로의 통신)에서, 전송(TX) 프로세서(912)는 L1 계층(즉, 물리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수신(RX) 프로세서는 L1(즉, 물리 계층)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구현한다.
UL(제 2 통신 장치에서 제 1 통신 장치로의 통신)은 제 2 통신 장치(920)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통신 장치(910)에서 처리된다. 각각의 Tx/Rx 모듈(925)는 각각의 안테나(926)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Tx/Rx 모듈은 RF 반송파 및 정보를 RX 프로세서(923)에 제공한다. 프로세서 (921)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924)와 관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B.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UE는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BS와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201). 이를 위해, UE는 BS로부터 1차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2차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BS와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에서 P-SCH와 S-SCH는 각각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와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로 불린다. 초기 셀 탐색 후, UE는 BS로부터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수신하여 셀 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UE는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UE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2).
한편, BS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UE는 BS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03 내지 단계 S206). 이를 위해, UE는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서 전송하고(S203 및 S2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4 및 S2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과정(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UE는 이후 일반적인 상향링크/하향링크 신호 전송 과정으로서 PDCCH/PDSCH 수신(S2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2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UE는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UE는 해당 탐색 공간 설정(configuration)들에 따라 서빙 셀 상의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 세트(control element set, CORESET)들에 설정된 모니터링 기회(occasion)들에서 PDCCH 후보(candidate)들의 세트를 모니터링한다. UE가 모니터할 PDCCH 후보들의 세트는 탐색 공간 세트들의 면에서 정의되며, 탐색 공간 세트는 공통 탐색 공간 세트 또는 UE-특정 탐색 공간 세트일 수 있다. CORESET은 1~3개 OFDM 심볼들의 시간 지속기간을 갖는 (물리) 자원 블록들의 세트로 구성된다. 네트워크는 UE가 복수의 CORESET들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탐색 공간 세트들 내 PDCCH 후보들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라 함은 탐색 공간 내 PDCCH 후보(들)에 대한 디코딩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UE가 탐색 공간 내 PDCCH 후보들 중 하나에 대한 디코딩에 성공하면, 상기 UE는 해당 PDCCH 후보에서 PDCCH를 검출했다고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PDCCH 내 DCI를 기반으로 PDSCH 수신 혹은 PUSCH 전송을 수행한다. PDCCH는 PDSCH 상의 DL 전송들 및 PUSCH 상의 UL 전송들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PDCCH 상의 DCI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과 관련된, 변조(modulation) 및 코딩 포맷과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하향링크 배정(assignment)(즉, downlink grant; DL grant), 또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과 관련된, 변조 및 코딩 포맷과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UL grant)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여,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초기 접속(Initial Access, IA) 절차에 대해 추가적으로 살펴본다.
UE는 SSB에 기반하여 셀 탐색(search), 시스템 정보 획득, 초기 접속을 위한 빔 정렬, DL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SSB는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과 혼용된다.
SSB는 PSS, SSS와 PBCH로 구성된다. SSB는 4개의 연속된 OFDM 심볼들에 구성되며, OFDM 심볼별로 PSS, PBCH, SSS/PBCH 또는 PBCH가 전송된다. PSS와 SSS는 각각 1개의 OFDM 심볼과 127개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되고, PBCH는 3개의 OFDM 심볼과 576개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셀 탐색은 UE가 셀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셀의 셀 ID(Identifier)(예, Physical layer Cell ID, PCI)를 검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PSS는 셀 ID 그룹 내에서 셀 ID를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SSS는 셀 ID 그룹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PBCH는 SSB (시간) 인덱스 검출 및 하프-프레임 검출에 사용된다.
336개의 셀 ID 그룹이 존재하고, 셀 ID 그룹 별로 3개의 셀 ID가 존재한다. 총 1008개의 셀 ID가 존재한다. 셀의 셀 ID가 속한 셀 ID 그룹에 관한 정보는 상기 셀의 SSS를 통해 제공/획득되며, 상기 셀 ID 내 336개 셀들 중 상기 셀 ID에 관한 정보는 PSS를 통해 제공/획득된다
SSB는 SSB 주기(periodicity)에 맞춰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초기 셀 탐색 시에 UE가 가정하는 SSB 기본 주기는 20ms로 정의된다. 셀 접속 후, SSB 주기는 네트워크(예, BS)에 의해 {5ms, 10ms, 20ms, 40ms, 80ms, 160ms}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 정보 (system information; SI) 획득에 대해 살펴본다.
SI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와 복수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들로 나눠진다. MIB 외의 SI는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으로 지칭될 수 있다. MIB는 SIB1(SystemInformationBlock1)을 나르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파라미터를 포함하며 SSB의 PBCH를 통해 BS에 의해 전송된다. SIB1은 나머지 SIB들(이하, SIBx, x는 2 이상의 정수)의 가용성(availability) 및 스케줄링(예, 전송 주기, SI-윈도우 크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SIBx는 SI 메시지에 포함되며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각각의 SI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시간 윈도우(즉, SI-윈도우) 내에서 전송된다.
도 2를 참고하여,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Random Access, RA) 과정에 대해 추가적으로 살펴본다.
임의 접속 과정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임의 접속 과정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핸드오버, UE-트리거드(triggered) UL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UE는 임의 접속 과정을 통해 UL 동기와 UL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임의 접속 과정은 경쟁 기반(contention-based) 임의 접속 과정과 경쟁 프리(contention free) 임의 접속 과정으로 구분된다. 경쟁 기반의 임의 접속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다.
UE가 UL에서 임의 접속 과정의 Msg1로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PRA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길이를 가지는 임의 접속 프리앰블 시퀀스들이 지원된다. 긴 시퀀스 길이 839는 1.25 및 5 kHz의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대해 적용되며, 짧은 시퀀스 길이 139는 15, 30, 60 및 120 kHz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적용된다.
BS가 UE로부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BS는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Msg2)를 상기 UE에게 전송한다. RAR을 나르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는 임의 접속(random access, RA)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RA-RNTI)로 CRC 마스킹되어 전송된다. RA-RNTI로 마스킹된 PDCCH를 검출한 UE는 상기 PDCCH가 나르는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로부터 RAR을 수신할 수 있다. UE는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즉, Msg1에 대한 임의 접속 응답 정보가 상기 RAR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자신이 전송한 Msg1에 대한 임의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상기 UE가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Msg1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UE는 전력 램핑(power ramping)을 수행하면서 RACH 프리앰블을 소정의 횟수 이내에서 재전송할 수 있다. UE는 가장 최근의 경로 손실 및 전력 램핑 카운터를 기반으로 프리앰블의 재전송에 대한 PRACH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상기 UE는 임의 접속 응답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공유 채널 상에서 UL 전송을 임의 접속 과정의 Msg3로서 전송할 수 있다. Msg3은 RRC 연결 요청 및 UE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Msg3에 대한 응답으로서, 네트워크는 Msg4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DL 상에서의 경쟁 해결 메시지로 취급될 수 있다. Msg4를 수신함으로써, UE는 RRC 연결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C. 5G 통신 시스템의 빔 관리(Beam Management, BM) 절차
BM 과정은 (1)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는 DL BM 과정과, (2)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이용하는 UL BM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 BM 과정은 Tx 빔을 결정하기 위한 Tx 빔 스위핑과 Rx 빔을 결정하기 위한 Rx 빔 스위핑을 포함할 수 있다.
SSB를 이용한 DL BM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SSB를 이용한 빔 보고(beam report)에 대한 설정은 RRC_CONNECTED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빔 설정 시에 수행된다.
- UE는 BM을 위해 사용되는 SSB 자원들에 대한 CSI-SSB-ResourceSetList를 포함하는 CSI-ResourceConfig IE를 BS로부터 수신한다. RRC 파라미터 csi-SSB-ResourceSetList는 하나의 자원 세트에서 빔 관리 및 보고을 위해 사용되는 SSB 자원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SSB 자원 세트는 {SSBx1, SSBx2, SSBx3, SSBx4, ??}으로 설정될 수 있다. SSB 인덱스는 0부터 63까지 정의될 수 있다.
- UE는 상기 CSI-SSB-ResourceSetList에 기초하여 SSB 자원들 상의 신호들을 상기 BS로부터 수신한다.
- SSBRI 및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보고와 관련된 CSI-RS reportConfig가 설정된 경우, 상기 UE는 최선(best) SSBRI 및 이에 대응하는 RSRP를 BS에게 보고한다. 예를 들어, 상기 CSI-RS reportConfig IE의 reportQuantity가 'ssb-Index-RSRP'로 설정된 경우, UE는 BS으로 최선 SSBRI 및 이에 대응하는 RSRP를 보고한다.
UE는 SSB와 동일한 OFDM 심볼(들)에 CSI-RS 자원이 설정되고, 'QCL-TypeD'가 적용 가능한 경우, 상기 UE는 CSI-RS와 SSB가 'QCL-TypeD' 관점에서 유사 동일 위치된(quasi co-located, QCL)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QCL-TypeD는 공간(spatial) Rx 파라미터 관점에서 안테나 포트들 간에 QCL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UE가 QCL-TypeD 관계에 있는 복수의 DL 안테나 포트들의 신호들을 수신 시에는 동일한 수신 빔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CSI-RS를 이용한 DL BM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CSI-RS를 이용한 UE의 Rx 빔 결정(또는 정제(refinement)) 과정과 BS의 Tx 빔 스위핑 과정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UE의 Rx 빔 결정 과정은 반복 파라미터가 'ON'으로 설정되며, BS의 Tx 빔 스위핑 과정은 반복 파라미터가 'OFF'로 설정된다.
먼저, UE의 Rx 빔 결정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 UE는 'repetition'에 관한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NZP CSI-RS resource set IE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BS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RRC 파라미터 'repetition'이 'ON'으로 세팅되어 있다.
- UE는 상기 RRC 파라미터 'repetition'이 'ON'으로 설정된 CSI-RS 자원 세트 내의 자원(들) 상에서의 신호들을 BS의 동일 Tx 빔(또는 DL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을 통해 서로 다른 OFDM 심볼에서 반복 수신한다.
- UE는 자신의 Rx 빔을 결정한다.
- UE는 CSI 보고를 생략한다. 즉, UE는 상가 RRC 파라미터 'repetition'이 'ON'으로 설정된 경우, CSI 보고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BS의 Tx 빔 결정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 UE는 'repetition'에 관한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NZP CSI-RS resource set IE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BS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RRC 파라미터 'repetition'이 'OFF'로 세팅되어 있으며, BS의 Tx 빔 스위핑 과정과 관련된다.
- UE는 상기 RRC 파라미터 'repetition'이 'OFF'로 설정된 CSI-RS 자원 세트 내의 자원들 상에서의 신호들을 BS의 서로 다른 Tx 빔(DL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을 통해 수신한다.
- UE는 최상의(best) 빔을 선택(또는 결정)한다.
- UE는 선택된 빔에 대한 ID(예, CRI) 및 관련 품질 정보(예, RSRP)를 BS으로 보고한다. 즉, UE는 CSI-RS가 BM을 위해 전송되는 경우 CRI와 이에 대한 RSRP를 BS으로 보고한다.
다음으로, SRS를 이용한 UL BM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 UE는 'beam management'로 설정된 (RRC 파라미터) 용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예, SRS-Config IE)를 BS로부터 수신한다. SRS-Config IE는 SRS 전송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SRS-Config IE는 SRS-Resources의 리스트와 SRS-ResourceSet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각 SRS 자원 세트는 SRS-resource들의 세트를 의미한다.
- UE는 상기 SRS-Config IE에 포함된 SRS-SpatialRelation Info에 기초하여 전송할 SRS 자원에 대한 Tx 빔포밍을 결정한다. 여기서, SRS-SpatialRelation Info는 SRS 자원별로 설정되고, SRS 자원별로 SSB, CSI-RS 또는 SRS에서 사용되는 빔포밍과 동일한 빔포밍을 적용할지를 나타낸다.
- 만약 SRS 자원에 SRS-SpatialRelationInfo가 설정되면 SSB, CSI-RS 또는 SRS에서 사용되는 빔포밍과 동일한 빔포밍을 적용하여 전송한다. 하지만, SRS 자원에 SRS-SpatialRelationInfo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UE는 임의로 Tx 빔포밍을 결정하여 결정된 Tx 빔포밍을 통해 SRS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빔포밍된 시스템에서, RLF(Radio Link Failure)는 UE의 회전(rotation), 이동(movement) 또는 빔포밍 블로키지(blockage)로 인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잦은 RLF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BFR이 NR에서 지원된다. BFR은 무선 링크 실패 복구 과정과 유사하고, UE가 새로운 후보 빔(들)을 아는 경우에 지원될 수 있다. 빔 실패 검출을 위해, BS는 UE에게 빔 실패 검출 참조 신호들을 설정하고, 상기 UE는 상기 UE의 물리 계층으로부터의 빔 실패 지시(indication)들의 횟수가 BS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기간(period) 내에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threshold)에 이르면(reach), 빔 실패를 선언(declare)한다. 빔 실패가 검출된 후, 상기 UE는 PCell 상의 임의 접속 과정을 개시(initiate)함으로써 빔 실패 복구를 트리거하고; 적절한(suitable) 빔을 선택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다(BS가 어떤(certain) 빔들에 대해 전용 임의 접속 자원들을 제공한 경우, 이들이 상기 UE에 의해 우선화된다). 상기 임의 접속 절차의 완료(completion) 시, 빔 실패 복구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D.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NR에서 정의하는 URLLC 전송은 (1) 상대적으로 낮은 트래픽 크기, (2) 상대적으로 낮은 도착 레이트(low arrival rate), (3) 극도의 낮은 레이턴시 요구사항(requirement)(예, 0.5, 1ms), (4) 상대적으로 짧은 전송 지속기간(duration)(예, 2 OFDM symbols), (5) 긴급한 서비스/메시지 등에 대한 전송을 의미할 수 있다. UL의 경우, 보다 엄격(stringent)한 레이턴시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을 만족시키기 위해 특정 타입의 트래픽(예컨대, URLLC)에 대한 전송이 앞서서 스케줄링된 다른 전송(예컨대, eMBB)과 다중화(multiplexing)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 가지 방안으로, 앞서 스케줄링 받은 UE에게 특정 자원에 대해서 프리엠션(preemption)될 것이라는 정보를 주고, 해당 자원을 URLLC UE가 UL 전송에 사용하도록 한다.
NR의 경우, eMBB와 URLLC 사이의 동적 자원 공유(sharing)이 지원된다. eMBB와 URLLC 서비스들은 비-중첩(non-overlapping) 시간/주파수 자원들 상에서 스케줄될 수 있으며, URLLC 전송은 진행 중인(ongoing) eMBB 트래픽에 대해 스케줄된 자원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eMBB UE는 해당 UE의 PDSCH 전송이 부분적으로 펑처링(puncturing)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을 수 있고, 손상된 코딩된 비트(corrupted coded bit)들로 인해 UE는 PDSCH를 디코딩하지 못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NR에서는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는 중단된 전송 지시(interrupted transmission indicatio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프리엠션 지시와 관련하여, UE는 BS로부터의 RRC 시그널링을 통해 DownlinkPreemption IE를 수신한다. UE가 DownlinkPreemption IE를 제공받으면, DCI 포맷 2_1을 운반(convey)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UE는 DownlinkPreemption IE 내 파라미터 int-RNTI에 의해 제공된 INT-RNTI를 가지고 설정된다. 상기 UE는 추가적으로 servingCellID에 의해 제공되는 서빙 셀 인덱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INT-ConfigurationPerServing Cell에 의해 서빙 셀들의 세트와 positionInDCI에 의해 DCI 포맷 2_1 내 필드들을 위한 위치들의 해당 세트를 가지고 설정되고, dci-PayloadSize에 의해 DCI 포맷 2_1을 위한 정보 페이로드 크기를 가지고 설졍되며, timeFrequencySect에 의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지시 입도(granularity)를 가지고 설정된다.
상기 UE는 상기 DownlinkPreemption IE에 기초하여 DCI 포맷 2_1을 상기 BS로부터 수신한다.
UE가 서빙 셀들의 설정된 세트 내 서빙 셀에 대한 DCI 포맷 2_1을 검출하면, 상기 UE는 상기 DCI 포맷 2_1이 속한 모니터링 기간의 바로 앞(last) 모니터링 기간의 PRB들의 세트 및 심볼들의 세트 중 상기 DCI 포맷 2_1에 의해 지시되는 PRB들 및 심볼들 내에는 상기 UE로의 아무런 전송도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프리엠션에 의해 지시된 시간-주파수 자원 내 신호는 자신에게 스케줄링된 DL 전송이 아니라고 보고 나머지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E. mMTC (massive MTC)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은 많은 수의 UE와 동시에 통신하는 초연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5G의 시나리오 중 하나이다. 이 환경에서, UE는 굉장히 낮은 전송 속도와 이동성을 가지고 간헐적으로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mMTC는 UE를 얼마나 낮은 비용으로 오랫동안 구동할 수 있는지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mMTC 기술과 관련하여 3GPP에서는 MTC와 NB(NarrowBand)-IoT를 다루고 있다.
mMTC 기술은 PDCCH, PUCCH,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 등의 반복 전송, 주파수 호핑(hopping), 리튜닝(retuning), 가드 구간(guard period) 등의 특징을 가진다.
즉,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PUSCH(또는 PUCCH(특히, long PUCCH) 또는 PRACH) 및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PDSCH(또는 PDCCH)가 반복 전송된다. 반복 전송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통해 수행되며, 반복 전송을 위해, 제 1 주파수 자원에서 제 2 주파수 자원으로 가드 구간(guard period)에서 (RF) 리튜닝(retuning)이 수행되고, 특정 정보 및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은 협대역(narrowband)(ex. 6 RB (resource block) or 1 RB)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F. 5G 통신을 이용한 자율 주행 차량 간 기본 동작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자율 주행 차량과 5G 네트워크의 기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자율 주행 차량(Autonomous Vehicle)은 특정 정보 전송을 5G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1). 상기 특정 정보는 자율 주행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G 네트워크는 차량의 원격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 여기서, 상기 5G 네트워크는 자율 주행 관련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G 네트워크는 원격 제어와 관련된 정보(또는 신호)를 상기 자율 주행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S3).
G. 5G 통신 시스템에서 자율 주행 차량과 5G 네트워크 간의 응용 동작
이하, 도 1 및 도 2와 앞서 살핀 무선 통신 기술(BM 절차, URLLC, Mmtc 등)을 참고하여 5G 통신을 이용한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후술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5G 통신의 eMBB 기술이 적용되는 응용 동작의 기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S1 단계 및 S3 단계와 같이, 자율 주행 차량이 5G 네트워크와 신호, 정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해, 자율 주행 차량은 도 3의 S1 단계 이전에 5G 네트워크와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절차 및 임의 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은 DL 동기 및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SSB에 기초하여 5G 네트워크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초기 접속 절차 과정에서 빔 관리(beam management, BM) 과정,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과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차량이 5G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QCL(quasi-co location) 관계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차량은 UL 동기 획득 및/또는 UL 전송을 위해 5G 네트워크와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5G 네트워크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으로 특정 정보의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UL grant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UL grant에 기초하여 상기 5G 네트워크로 특정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5G 네트워크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으로 상기 특정 정보에 대한 5G 프로세싱 결과의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DL grant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5G 네트워크는 상기 DL grant에 기초하여 상기 자율 주행 차량으로 원격 제어와 관련된 정보(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술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5G 통신의 URLLC 기술이 적용되는 응용 동작의 기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차량은 5G 네트워크와 초기 접속 절차 및/또는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한 후, 자율 주행 차량은 5G 네트워크로부터 DownlinkPreemption IE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율 주행 차량은 DownlinkPreemption IE에 기초하여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을 포함하는 DCI 포맷 2_1을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자율 주행 차량은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에 의해 지시된 자원(PRB 및/또는 OFDM 심볼)에서 eMBB data의 수신을 수행(또는 기대 또는 가정)하지 않는다. 이후, 자율 주행 차량은 특정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5G 네트워크로부터 U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술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5G 통신의 mMTC 기술이 적용되는 응용 동작의 기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단계들 중 mMTC 기술의 적용으로 달라지는 부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S1 단계에서, 자율 주행 차량은 특정 정보를 5G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5G 네트워크로부터 UL grant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특정 정보의 전송에 대한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UL grant에 기초하여 특정 정보를 5G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그리고, 특정 정보의 반복 전송은 주파수 호핑을 통해 수행되고, 첫 번째 특정 정보의 전송은 제 1 주파수 자원에서, 두 번째 특정 정보의 전송은 제 2 주파수 자원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정보는 6RB(Resource Block) 또는 1RB(Resource Block)의 협대역(narrowband)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H. 5G 통신을 이용한 차량 대 차량 간의 자율 주행 동작
도 4는 5G 통신을 이용한 차량 대 차량 간의 기본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다.
제1 차량은 특정 정보를 제2 차량으로 전송한다(S61). 제2 차량은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제1 차량으로 전송한다(S62).
한편, 5G 네트워크가 상기 특정 정보, 상기 특정 정보에 대한 응답의 자원 할당에 직접적(사이드 링크 통신 전송 모드 3) 또는 간접적으로(사이드링크 통신 전송 모드 4) 관여하는지에 따라 차량 대 차량 간 응용 동작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5G 통신을 이용한 차량 대 차량 간의 응용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5G 네트워크가 차량 대 차량 간의 신호 전송/수신의 자원 할당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G 네트워크는, 모드 3 전송(PSCCH 및/또는 PSSCH 전송)의 스케줄링을 위해 DCI 포맷 5A를 제1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는 특정 정보 전송의 스케줄링을 위한 5G 물리 채널이고,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는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5G 물리 채널이다. 그리고, 제1 차량은 특정 정보 전송의 스케줄링을 위한 SCI 포맷 1을 PSCCH 상에서 제2 차량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차량이 특정 정보를 PSSCH 상에서 제2 차량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5G 네트워크가 신호 전송/수신의 자원 할당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1 차량은 모드 4 전송을 위한 자원을 제1 윈도우에서 센싱한다. 그리고, 제1 차량은, 상기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윈도우에서 모드 4 전송을 위한 자원을 선택한다. 여기서, 제1 윈도우는 센싱 윈도우(sensing window)를 의미하고, 제2 윈도우는 선택 윈도우(selection window)를 의미한다. 제1 차량은 상기 선택된 자원을 기초로 특정 정보 전송의 스케줄링을 위한 SCI 포맷 1을 PSCCH 상에서 제2 차량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차량은 특정 정보를 PSSCH 상에서 제2 차량으로 전송한다.
앞서 살핀 5G 통신 기술은 후술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과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화하거나 명확하게 하는데 보충될 수 있다.
주행
(1) 차량 외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도로나 선로 위를 주행하는 수송 수단으로 정의된다. 차량(10)은, 자동차, 기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차량(1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차량(10)은 개인이 소유한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은, 공유형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2) 차량의 구성 요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자율 주행 장치(26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자율 주행 장치(26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각각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상호간에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사용자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2) 오브젝트 검출 장치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카메라, 레이다(Radio Detection and Ranging, RADAR), 라이다(Light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2.1) 카메라
카메라는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차량에서 FOV(field of view)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Front Camera)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Rear Camera)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2.2) 레이다
레이다는 전파를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자파 송신부, 전자파 수신부 및 전자파 송신부 및 전자파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다(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다(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는 연속파 레이다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다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2.3)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 송신부, 광 수신부 및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3) 통신 장치
통신 장치(220)는,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인프라(예를 들면, 서버, 방송국), 타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C-V2X(Cellular V2X)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V2X 기술은 LTE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및/또는 NR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C-V2X와 관련된 내용은 후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IEEE 802.11p PHY/MAC 계층 기술과 IEEE 1609 Network/Transport 계층 기술 기반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기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DSRC (또는 WAVE 표준) 기술은 차량 탑재 장치 간 혹은 노변 장치와 차량 탑재 장치 간의 단거리 전용 통신을 통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통신 규격이다. DSRC 기술은 5.9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3Mbps~27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IEEE 802.11p 기술은 IEEE 1609 기술과 결합되어 DSRC 기술 (혹은 WAVE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또는 DSRC 기술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및 DSRC 기술을 하이브리드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4) 운전 조작 장치
운전 조작 장치(23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은, 운전 조작 장치(23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230)는, 조향 입력 장치(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 가속 입력 장치(예를 들면,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를 포함할 수 있다.
5) 메인 ECU
메인 ECU(24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6) 구동 제어 장치
구동 제어 장치(250)는, 차량(10)내 각종 차량 구동 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 샤시 구동 제어 장치, 도어/윈도우 구동 제어 장치,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 램프 구동 제어 장치 및 공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는, 동력원 구동 제어 장치 및 변속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구동 제어 장치는, 조향 구동 제어 장치, 브레이크 구동 제어 장치 및 서스펜션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는, 안전 벨트 제어를 위한 안전 벨트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적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구종 제어 장치(25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5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 트레인, 조향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7) 자율 주행 장치
자율 주행 장치(260)는,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path)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생성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기 위한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른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생성된 신호를 구동 제어 장치(250)에 제공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DAS는,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CC : Adaptive Cruise Control), 자동 비상 제동 시스템(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전방 충돌 알림 시스템(FCW : Foward Collision Warning),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 : Lane Keeping Assist),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LCA : Lane Change Assist), 타겟 추종 보조 시스템(TFA : Target Following Assist), 사각 지대 감시 시스템(BSD : Blind Spot Detection), 적응형 하이빔 제어 시스템(HBA : High Beam Assist), 자동 주차 시스템(APS : Auto Parking System), 보행자 충돌 알림 시스템(PD collision warning system), 교통 신호 검출 시스템(TSR : Traffic Sign Recognition), 교통 신호 보조 시스템(TSA : Trafffic Sign Assist), 나이트 비전 시스템(NV : Night Vision),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DSM : Driver Status Monitoring) 및 교통 정체 지원 시스템(TJA : Traffic Jam Assi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동 주행 모드로의 전환 동작 또는 수동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장치(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동 주행 모드로 전환하거나 수동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8) 센싱부
센싱부(27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데이터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센싱부(270)는, 차량 자세 데이터, 차량 모션 데이터, 차량 요(yaw) 데이터, 차량 롤(roll) 데이터, 차량 피치(pitch) 데이터, 차량 충돌 데이터, 차량 방향 데이터, 차량 각도 데이터, 차량 속도 데이터, 차량 가속도 데이터, 차량 기울기 데이터, 차량 전진/후진 데이터, 차량의 중량 데이터, 배터리 데이터, 연료 데이터, 타이어 공기압 데이터, 차량 내부 온도 데이터, 차량 내부 습도 데이터,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데이터, 차량 외부 조도 데이터,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 등을 생성할 수 있다.
9)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 및 D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센싱부(270)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
차량(10)은,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는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매개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에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내부 통신 시스템(5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CAN, LIN, FlexRay, MOST, 이더넷)을 이용할 수 있다.
(3) 자율 주행 장치의 구성 요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 장치(260)는,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자율 주행 장치(26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통신 모듈,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10)에 포함된 파워 소스(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율 주행 장치(26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메인 ECU(2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280), 전원 공급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프로세서(170)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4) 자율 주행 장치의 동작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신호 흐름도이다.
1) 수신 동작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로부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 장치(220)로부터, HD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270)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2) 처리/판단 동작
프로세서(170)는,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데이터, HD 맵 데이터, 차량 상태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1)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 생성 동작
프로세서(170)는,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driving plan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Electronic Horizon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horizon)까지 범위 내에서의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호라이즌은, 기 설정된 주행 경로를 기준으로,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 기설정된 거리 앞의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호라이즌은, 기 설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차량(10)이 소정 시간 이후에 도달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는, 호라이즌 맵 데이터 및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2.1.1) 호라이즌 맵 데이터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토폴로지 데이터(topology data), 도로 데이터, HD 맵 데이터 및 다이나믹 데이터(dynamic da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토폴로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1 레이어, 도로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2 레이어, HD 맵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3 레이어 및 다이나믹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4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스태이틱 오브젝트(static object)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도로 중심을 연결해 만든 지도로 설명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량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표시하기에 알맞으며, 주로 운전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형태일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로에 대한 정보가 제외된 도로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량(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도로의 경사 데이터, 도로의 곡률 데이터, 도로의 제한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추월 금지 구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HD 맵 데이터는, 도로의 상세한 차선 단위의 토폴로지 정보, 각 차선의 연결 정보, 차량의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을 위한 특징 정보(예를 들면, 교통 표지판, Lane Marking/속성, Road furnitur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HD 맵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동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나믹 데이터는, 공사 정보, 가변 속도 차로 정보, 노면 상태 정보, 트래픽 정보, 무빙 오브젝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까지 범위 내에서의 맵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2.1.2)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까지의 범위 내에서 차량(10)이 취할 수 있는 궤도로 설명될 수 있다.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디시전 포인트(decision point)(예를 들면, 갈림길, 분기점, 교차로 등)에서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할 상대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 확률은, 최종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시전 포인트에서, 제1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 제2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보다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작은 경우, 제1 도로를 선택할 확률은 제2 도로를 선택할 확률보다 더 높게 계산될 수 있다.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메인 패스와 서브 패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패스는, 선택될 상대적 확률이 높은 도로들을 연결한 궤도로 이해될 수 있다. 서브 패스는, 메인 패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시전 포인트에서 분기될 수 있다. 서브 패스는, 메인 패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시전 포인트에서 선택될 상대적 확률이 낮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를 연결한 궤도로 이해될 수 있다.
3) 제어 신호 생성 동작
프로세서(170)는, 제어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 제어 신호, 브라이크 장치 제어 신호 및 스티어링 장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구동 제어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파워 트레인(251), 브레이크 장치(252) 및 스티어링 장치(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V2X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V2X 통신은 차량 사이의 통신(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을 지칭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eNB 또는 RSU(Road Side Unit) 사이의 통신을 지칭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및 개인(보행자, 자전거 운전자, 차량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UE 간 통신을 지칭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V2N(vehicle-to-network) 등 차량과 모든 개체들 간 통신을 포함한다.
V2X 통신은 V2X 사이드링크 또는 NR V2X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거나 또는 V2X 사이드링크 또는 NR V2X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V2X 통신은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 자동 주차 시스템, 협력 조정형 크루즈 컨트롤(Cooperative adaptive cruise control: CACC), 제어 상실 경고, 교통행렬 경고, 교통 취약자 안전 경고, 긴급 차량 경보, 굽은 도로 주행 시 속도 경고, 트래픽 흐름 제어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
V2X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V2X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차량과 모든 개체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특정 네트워크 개체(network ent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개체는, BS(eNB), RSU(road side unit), UE,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예, 교통 안전 서버(traffic safety server)) 등일 수 있다.
V2X 통신을 수행하는 UE는, 일반적인 휴대용 UE(handheld UE)뿐만 아니라, 차량 UE(V-UE(Vehicle UE)), 보행자 UE(pedestrian UE), BS 타입(eNB type)의 RSU, 또는 UE 타입(UE type)의 RSU, 통신 모듈을 구비한 로봇 등을 의미할 수 있다.
V2X 통신은 UE들 간에 직접 수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개체(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V2X 통신의 수행 방식에 따라 V2X 동작 모드가 구분될 수 있다.
V2X 통신은, 사업자(operator) 또는 제3자가 V2X가 지원되는 지역 내에서 UE 식별자를 트랙킹할 수 없도록, V2X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에 UE의 익명성(pseudonymity) 및 개인보호(privacy)를 지원할 것이 요구된다.
V2X 통신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RSU (Road Side Unit): RSU는 V2I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동 차량과 전송/수신 할 수 있는 V2X 서비스 가능 장치이다. 또한, RSU는 V2X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고정 인프라 엔터티로서, V2X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다른 엔터티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RSU는 기존 ITS 스펙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며, 3GPP 스펙에 이 용어를 도입한 이유는 ITS 산업에서 문서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RSU는 V2X 어플리케이션 로직을 BS(BS-타입 RSU라고 함) 또는 UE(UE-타입 RSU라고 함)의 기능과 결합하는 논리적 엔티티이다.
- V2I 서비스: V2X 서비스의 일 타입으로, 한 쪽은 차량(vehicle)이고 다른 쪽은 기반시설(infrastructure)에 속하는 엔티티.
- V2P 서비스: V2X 서비스의 일 타입으로, 한 쪽은 차량이고, 다른 쪽은 개인이 휴대하는 기기(예, 보행자, 자전거 타는 사람,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UE기).
- V2X 서비스: 차량에 전송 또는 수신 장치가 관계된 3GPP 통신 서비스 타입.
- V2X 가능(enabled) UE: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UE.
- V2V 서비스: V2X 서비스의 타입으로, 통신의 양쪽 모두 차량이다.
- V2V 통신 범위: V2V 서비스에 참여하는 두 차량 간의 직접 통신 범위.
V2X(Vehicle-to-Everything)라고 불리는 V2X 어플리케이션은 살핀 것처럼, (1) 차량 대 차량 (V2V), (2) 차량 대 인프라 (V2I), (3) 차량 대 네트워크 (V2N), (4) 차량 대 보행자 (V2P)의 4가지 타입이 있다.
V2X 통신은 V2V, V2P, V2I 및 V2N 등 네가지 타입의 V2X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네가지 타입의 V2X 어플리케이션은 최종 사용자를 위해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적 인식(co-operative awareness)"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차량, 길가 기반 시설,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보행자와 같은 엔티티들이 협동 충돌 경고 또는 자율 주행과 같은 보다 지능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식을 처리하고 공유하도록 해당 지역 환경에 대한 지식(예, 근접한 다른 차량 또는 센서 장비로부터 받은 정보)을 수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능형 운송 서비스 및 관련 메시지 세트는 3GPP 밖의 자동차 SDO(Standards Developing Organizations)에 정의되어 있다.
ITS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 가지 기본 클래스: 도로 안전, 교통 효율성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ETSI TR 102 638 V1.1.1: " Vehicular Communications; Basic Set of Applications; Definitions"에 기술된다.
V2X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와 V2X 통신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기본적으로 사이드링크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및 물리 계층(PHY)를 포함하고,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RLC, MAC, 물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에 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3GPP TS 23.303, 3GPP TS 23.285, 3GPP TS 24.386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0은 V2X가 사용되는 사이드링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을 예시한다.
사이드링크에서는 도 10의 (a)와 같이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이격되어 할당되고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들이 이격되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서로 다른 PSCCH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하여 할당되고, PSSCH들도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하여 할당될 수도 있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는 필수적이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 ICI)을 야기하게 되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이는, V2X에도 마찬가지이다. V2X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사용하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SL-V2X(master information block-sidelink-V2X)를 사용할 수 있다.
V2X에서 동기화의 소스(source) 또는 동기화의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UE(user equipment)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BS(base station) 또는 이웃한 다른 UE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시간/주파수 동기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GNSS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GNSS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UE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GNSS가 동기 소스로 설정된 경우, UE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UE는 BS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BS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UE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UE는 BS가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S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동기화 정보를 이웃한 다른 UE에게 제공할 수 있다. BS 타이밍이 동기화의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UE는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BS(서빙 셀)은 V2X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상기 BS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V2X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아무 셀도 검출하지 못하였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UE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UE는 BS가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UE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의 소스 및 선호도는 UE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BS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SLSS는 사이드링크 특정적인 시퀀스(sequence)로,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각 SLSS는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동기화 ID(identity)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값은 예를 들어 0부터 335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값들 중에서 어느 값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동기화 소스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0, 168, 169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1에서 167은 BS, 170에서 335은 커버리지 바깥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동기화 ID(identity)의 값들 중에서 0에서 167은 네트워크에 의하여 사용되는 값들이고, 168에서 335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바깥에서 사용되는 값들일 수도 있다.
동기화 정보를 다른 UE에게 제공하는 UE는 동기화의 기준(synchronization reference)으로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UE는 SLSS와 함께 추가적으로 동기화에 대한 정보를 SL-BCH(sidelink broadcast channel)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에는 전송 모드 1, 2, 3 및 4가 있다.
전송 모드 1/3에서는, BS가 UE 1에게 PDCCH(보다 구체적으로 DCI)를 통해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UE 1은 해당 자원 스케줄링에 따라 UE 2와 D2D/V2X 통신을 수행한다. UE 1은 UE 2에게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한 후, 상기 SCI에 기반한 데이터를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모드 1은 D2D에, 전송 모드 3은 V2X에 적용될 수 있다.
전송 모드 2/4는, UE가 스스로 스케줄링을 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 모드 2는 D2D에 적용되며,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UE가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여 D2D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 모드 4는 V2X에 적용되며, 센싱 과정을 거쳐 선택 윈도우 내에서 UE가 스스로 자원을 선택한 후 V2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E 1은 UE 2에게 PSCCH을 통해 SCI을 전송한 후, 상기 SCI에 기반한 데이터를 PSSC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전송 모드를 모드로 약칭할 수 있다.
BS가 PDCCH를 통해 UE에게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이라 칭하는데 반해, UE가 PSCCH를 통해 다른 UE에게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SCI라 칭할 수 있다. SCI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CI에는 여러 가지 포맷이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SCI 포맷 0과 SCI 포맷 1이 있을 수 있다.
SCI 포맷 0은 PS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0에는, 주파수 홉핑 플래그(1 비트), 자원 블록 할당 및 홉핑 자원 할당 필드(사이드링크의 자원 블록 개수에 따라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음),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시간 어드밴스 지시(time advance indication), 그룹 목적지 ID(group destination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1은 PS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1에는, 우선권(priority), 자원 예약(resource reservation),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의 주파수 자원 위치(사이드링크의 서브 채널 개수에 따라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음), 초기 전송과 재전송 간의 시간 갭(time gap between initial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MCS, 재전송 인덱스 등을 포함한다.
SCI 포맷 0은 전송 모드 1, 2에 사용될 수 있고, SCI 포맷 1은 전송 모드 3, 4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V2X에 적용되는 모드 3 및 모드 4에서의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모드 3에 대해 설명한다.
모드 3은 스케줄된 자원 할당이라고 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RRC_CONNECTED 상태일 수 있다.
도 10은 UE가 모드 3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UE는 BS에게 전송/수신 자원을 요청하고, BS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수신에 관한 자원(들)을 UE에게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된 자원 할당을 위해 사이드링크 SPS가 지원될 수도 있다. UE는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다른 UE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UE는 BS에게 전송/수신 자원을 요청하고, BS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수신에 관한 자원(들)을 UE에게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된 자원 할당을 위해 사이드링크 SPS가 지원될 수도 있다. UE는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다른 UE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모드 4는 UE 자율적 자원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이라 할 수 있다. UE는 사이드링크 자원의 (재)선택을 위한 센싱(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특정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 중에서 UE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임의로 선택/예약할 수 있다. UE는 최대 두 개의 병렬적인 독립된 자원 예약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는 모드 4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 위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센싱 윈도우 내에서의 센싱을 통해 다른 UE가 예약한 전송 자원들 또는 다른 UE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들을 파악하고, 선택 윈도우 내에서 이를 배제한 후 남아 있는 자원들 중 간섭이 적은 자원에서 임의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센싱 윈도우 내에서, 예약된 자원들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SCCH를 디코딩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결정된 자원들에서 PSSCH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PSSCH RSRP 값이 임계치(threshold)를 초과하는 자원들을 선택 윈도우 내에서 제외할 수 있다. 그 후, 선택 윈도우 내의 남은 자원들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센싱 윈도우 내에서 주기적인 자원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하여 예컨대, 하위 20%에 해당하는 간섭이 적은 자원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주기적인 자원들 중 선택 윈도우에 포함된 자원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을 임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SCCH의 디코딩을 실패한 경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살핀 5G 통신 기술은 후술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과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화하거나 명확하게 하는데 보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제1예시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제2예시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에는 크게 통신 장치(220)와 센싱부(270) 등이 포함된다.
통신 장치(220)는 모뎀(221), 서비스 연결부(223) 및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와 같이, 모뎀(221), 서비스 연결부(223) 및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 중 하나 이상은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독립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모뎀(221)은 네크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뎀(221)은 4G 또는 5G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연결부(223)는 모뎀(221)을 통해 자율 주행 시스템(자율 주행 차량)과 서버를 연결하고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시, 서비스 연결부(223)는 전송할 센서 데이터의 정보(센서 데이터의 종류, 최적 품질, 최소 품질, 전송 데이터의 포맷)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연결부(223)는 각 센서 데이터에 전송할 리소스 식별자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s)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연결부(223)는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 및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서비스 연결부(223)에 의한 서버와의 접속 시(접속 중)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결과를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센서부들(271),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 및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와 같이, 센서부들(271),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 및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 중 하나 이상은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들(271)은 자율 주행 차량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에 존재하는 센서들은 Brake 등과 같이 이벤트 특징을 가진 센서(제어 센서), GPS 등과 같이 주기 특징을 가진 센서(위치 센서), 카메라 영상이나 오디오 사운드 등과 같이 데이터 용량이 커서 압축이 필요한 센서(이미지 센서, 사운드 센서) 등을 일례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자율 주행 차량에 포함된 센서부들(271)에 연결되어 센서부들(271)에 포함된 센서들의 모든 상세한(specific)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들(271)에 포함된 센서들의 모든 상세한(specific) 정보의 예를 들면, 센서들과 통신 방법, 데이터의 유형(주기성, 가변성 등), 데이터의 포맷 등을 일례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취합후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는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로부터 전달받은 코딩 데이터를 모뎀(221)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는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로부터 전달받은 코딩 데이터를 서비스 연결부(223)에서 확인한 센서 데이터 정보 확인 결과(서비스 연결부에서 정의한)에 부합하는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서비스 연결부(223),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 및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센서 데이터 종류, 최적 품질, 최소 품질, 전송 데이터 포맷, 네트워크 대역폭, 센서들과 통신 방법, 데이터 유형, 데이터 포맷 등)를 바탕으로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의 센서 데이터 코딩 방법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센서 데이터 코딩부 제어 정보(데이터 전송률 및 전송 주기 등)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로부터 전달받은 센서 데이터 코딩부 제어 정보(전송률, 전송 주기 등)를 바탕으로 설정된(부여된) 목표 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른 센서 데이터 코딩 방법을 적용하고, 적용된 코딩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 전송부(275)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4는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 방법은 다음의 도 13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11). 서비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을 확인할 목적으로 서비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2). 센서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다면(No),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서비스 정보가 발생할 때까지 서비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11). 그러나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Yes), 센서 데이터의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S113).
다음, 센서 데이터를 전송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 이때,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다면(No), 센서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절차로서 센서(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고(S115), 센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7). 여기서, 센서와 연결이 되었다면(Yes), 연결된 센서와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할 수 있다(S116). 하지만, 센서와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No), 서비스 불가한 상태(S119)로 판단하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상황과 달리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면(Yes),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고(S116),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S118).
한편, 상기와 같은 흐름을 기반으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의 도 14와 같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을 확인할 수 있다(S211). 상기 확인 결과, 이전 내용(이전 환경)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Yes),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S213). 이때,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들 간의 우선 순위를 한번 더 확인(재차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내용(이전 환경) 대비 변경 사항이 없는 경우(No),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S211).
다음,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후, 우선 순위가 높은 센서 데이터부터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그리고 해당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최적 센서 데이터 품질까지 조절할 수 있다(S216). 이때, 상기 조절값은 다른 서비스에서의 최적 센서 데이터 품질 조절시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다음에는 상기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까지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부터 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기준으로 서비스들을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중복 센서 데이터 부분을 함께 고려(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할 수 있고, 큐에 저장되지 않는 서비스들은 서비스 불가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큐에 저장된 서비스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부터 센서 데이터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 방법에 기초한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자율 주행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1 내지 도 14를 함께 참고한다.
(1)하나의 서비스 수행 시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
서비스 연결부(223)는 Geo-fencing 서비스(특정 구역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주는 위치기반의 지오 펜싱 서비스) 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5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GPS : 1 Frame size ( 100 Byte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4,000 bps 및 최적 : 1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 : 샘플링 주기 20 Hz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는 서비스 연결부(223)를 통해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항목 확인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사항 확인 결과, GPS 센서가 필요하고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에 GPS 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GPS 센서 데이터에 대한 최소 및 최적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데, 최소와 최적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최소 : 8 * 100 * 5 = 4,000 bps
최적 : 8 * 100 * 20 = 16,000 bps
(2)네트워크 대역폭 변화에 따른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
서비스 연결부(223)는 Geo-fencing 서비스(특정 구역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주는 위치기반의 지오 펜싱 서비스) 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5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GPS : 1 Frame size ( 100 Byte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한 가지 이상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Case 1 : 10 Mbps ( 10,000,000 bps ), Case 2 : 1 Mbps (1,000,000 bps ), Case 3 : 0.1 Mbps ( 100,000 bps ) 이상 총 3가지 경우에 대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전송 할당 대역폭은 Case 1 : 100,000 bps, Case 2 : 10,000 bps, Case 3 : 1,000 bps와 같이 1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Case 1 -> Case 2 변경은 가능하나 Case 2 -> Case 3으로 변경할 경우 서비스 불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 (Case 1)로 설정되지만 10,000 bps (Case 2)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 : 샘플링 주기 12 Hz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는 서비스 연결부(223)를 통해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항목 확인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사항 확인 결과, GPS 센서가 필요하고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에 GPS 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GPS 센서 데이터에 대한 최소 및 최적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데, 최소와 최적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최소 : 8 * 100 * 5 = 4,000 bps
최적 : 8 * 100 * 20 = 16,000 bps
다음,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로부터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확인 결과, 최대 활용 대역폭이 10,000 bps (Case2) 일 경우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의 샘플링 주기를 10,000 / (100 * 8) = 12.5 = 12 Hz과 같이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네트워크 대역폭 확인 결과, 1,000 bps (Case3)일 경우 최소 전송률이 4,000 bps 미만이므로 서비스 불가로 판단할 수 있다.
(3)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른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
서비스 연결부(223)는 Geo-fencing 서비스(특정 구역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주는 위치기반의 지오 펜싱 서비스) 환경과 EEB(Emergency Electronic brake) 서비스(긴급 상황에서 전자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전자 브레이크 서비스) 환경을 가질 수 있다. Geo-fencing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5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EEB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5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서비스 우선 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가 EEB 서비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1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 2순위는 EEB 서비스)
다음,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GPS : 1 Frame size ( 100 Bytes )로 Brake : 1 Frame size ( 50 Byte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한 가지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1 Mbps (1,000,000 bps )에 대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전송 할당 대역폭은 100,000 bps와 같이 1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eo-fencing 서비스 및 EEB 서비스를 결합한 서비스(동시 서비스)는 불가하다. 이때,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로 설정될 수 있고, Brake : 최소 8,000 bps 및 최적 : 20,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12,000 bps 및 최적 : 3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eo-fencing 서비스만 단독(서비스 우선 순위에 의한 단독 서비스)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때,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4,000 bps 및 최적 : 1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EEB 서비스만 단독(서비스 우선 순위에 의한 단독 서비스)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때, GPS : 최소 1,600 bps 및 최적 16,000로 설정될 수 있고, Brake : 최소 8,000 bps 및 최적 : 20,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9,600 bps 및 최적 : 3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 : 샘플링 주기 12 Hz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는 서비스 연결부(223)를 통해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항목 확인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사항 확인 결과, GPS 센서가 필요하고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에 GPS 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GPS 센서 데이터에 대한 최소 및 최적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데, 최소와 최적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최소 : 8 * 100 * 5 = 4,000 bps
최적 : 8 * 100 * 20 = 16,000 bps
다음,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로부터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따르면, Geo-fencing 서비스와 EEB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각각 단독 서비스는 가능하다. 그러나 서비스 우선 순위에 의해 Geo-fencing 서비스만 수행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판단 결과에 따라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만 전송하는 환경이 될 수도 있다.
(4)데이터 우선 순위에 따른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 1
서비스 연결부(223)는 Geo-fencing 서비스(특정 구역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주는 위치기반의 지오 펜싱 서비스) 환경과 EEB(Emergency Electronic brake) 서비스(긴급 상황에서 전자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전자 브레이크 서비스) 환경을 가질 수 있다. Geo-fencing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5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EEB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10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5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덧붙여, 센서 데이터 우선 순위는 GPS가 Brake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서비스 우선 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가 EEB 서비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1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 2순위는 EEB 서비스)
다음,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GPS : 1 Frame size ( 100 Bytes )로 Brake : 1 Frame size ( 50 Byte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한 가지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225)는 1 Mbps (1,000,000 bps )에 대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전송 할당 대역폭은 100,000 bps와 같이 1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eo-fencing 서비스 및 EEB 서비스를 결합한 서비스(동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때,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로 설정될 수 있고, Brake : 최소 4,000 bps 및 최적 : 20,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8,000 bps 및 최적 : 3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 : 샘플링 주기 7 Hz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는 서비스 연결부(223)를 통해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항목 확인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사항 확인 결과, GPS 센서가 필요하고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에 GPS 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GPS 센서 데이터에 대한 최소 및 최적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데, 최소와 최적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최소 : 8 * 100 * 5 = 4,000 bps
최적 : 8 * 100 * 20 = 16,000 bps
다음, 서비스 연결부(223)는 서비스별 센서 데이터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별 센서 데이터 특성 확인 결과, 센서 데이터 품질을 최소 수준 이상으로 Geo-fencing 서비스 및 EEB 서비스를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시 서비스 가능여부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 샘플링 주기를 최소 5 Hz에서 7 Hz 로 조절할 수 있다.
(4)데이터 우선 순위에 따른 센서 데이터 전송률 설정 예시 2
서비스 연결부(223)는 Geo-fencing 서비스(특정 구역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주는 위치기반의 지오 펜싱 서비스) 환경과 EEB(Emergency Electronic brake) 서비스(긴급 상황에서 전자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전자 브레이크 서비스) 환경을 가질 수 있다. Geo-fencing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5 Hz)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EEB 서비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최소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Front Camera : 480p (option)로 설정될 수 있고, 센서 데이터 최적 요구 사항은 GPS : Periodicity (Period : 20 Hz)로 Brake : Periodicity (Period : 50 Hz)로 Front Camera : 1080p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서비스 우선 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가 EEB 서비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1순위는 Geo-fensing 서비스, 2순위는 EEB 서비스)
다음,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는 GPS : 1 Frame size ( 100 Bytes )로 Brake : 1 Frame size ( 50 Bytes )로 Front Camera : 480p (0.5 Mbps), 720p (2 Mbps), 1080p (5 Mbps)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는 Geo-fencing 서비스 및 EEB 서비스를 결합한 서비스(동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때, GPS : 최소 4,000 bps 및 최적 16,000 bps로 설정될 수 있고, Brake : 최소 8,000 bps 및 최적 : 20,000 bps로 설정될 수 있고, Front Camera : 최소 500,000 bps 및 최적 : 5,000,000 bps로 설정되어 합이 최소 12,000 bps 및 최적 : 3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EEB 서비스의 Front Camera 사용 시 합이 최소 512,000 bps 및 최적 : 5,036,000 bps 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는 GPS : 샘플링 주기 5 ~ 20 Hz 로 Brake : 샘플링 주기 20 ~ 50 Hz 로 Front Camera : None(미사용시), 480p, 720p, 1080p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는 서비스 연결부(223)를 통해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항목 확인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사항 확인 결과, GPS 센서가 필요하고 센서 데이터 연결부(273)에 GPS 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GPS 센서 데이터에 대한 최소 및 최적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데, 최소와 최적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최소 : 8 * 100 * 5 = 4,000 bps
최적 : 8 * 100 * 20 = 16,000 bps
다음, 서비스 연결부(223)는 서비스별 센서 데이터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별 센서 데이터 특성 확인 결과, EEB 서비스의 Front Camera의 특성이 옵션인 경우, 센서 데이터 제어부(277)에서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여 Front Camera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여부 판단 결과를 센서 데이터 코딩부(279)의 코딩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경에서,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이 512,000bps 이하면 Front Camera를 제외한 센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Geo-fencing 서비스 및 EEB 서비스를 결합한 서비스(동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르면, 차량은 서버로부터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센서 데이터 종류 및 센서 데이터의 품질 기준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 구비된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공받은 센서 데이터 품질 기준을 고려하여 센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기반으로 센서 데이터의 적응적 전송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1. 동일한 센서 데이터를 각기 다른 서비스들이 요구할 경우 ]
[2.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중 특정 서비스만 종료되는 경우]
[3. 추가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서비스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 센서 데이터들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 품질을 확인한다.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 내용을 바탕으로 전송할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정한다.
[4. 네트워크 대역폭이 변경되었을 경우 ]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전송률을 확인한다. 센서 데이터 간의 전송 우선 순위와 최소 및 최대 전송률을 확인한다. 만약,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 현재 센서 총합 전송률 조건 이라면, 선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해상도 업, 샘플링 주기 증가, 화질 개선 등 )한다. 그러나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 현재 센서 총합 전송률 조건 이라면, 후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 (해상도 다운, 샘플링 주기 감소, 화질 감소 등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은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51).
서버는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한 차량에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을 확인하고, 이러한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한다(S152 및 S153).
차량은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의 요구사항을 확인하여 서버가 요청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차량은 서버가 요구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센서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고, 상기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로 센서 데이터를 코딩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54 및 S155).
차량과 서버의 데이터 송수신은 앞서 설명한 V2X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5G 네트워크가 차량과 서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5G 네트워크는 차량과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 직접적(사이드 링크 통신 전송 모드 3) 또는 간접적으로(사이드링크 통신 전송 모드 4) 관여하는지에 따라 차량과 서버 간의 응용 동작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는 모드 3 전송(PSCCH 및/또는 PSSCH 전송)의 스케줄링을 위해 DCI 포맷 5A를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율 주행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자율 주행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과,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상기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이전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전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과 서비스들 간의 우선 순위를 재차 확인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센서 데이터,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그리고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최적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센서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불가한 상태로 판단하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전송률 확인하고, 센서 데이터 간의 전송 우선 순위와 최소 및 최대 전송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기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총합 전송률보다 높으면, 선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기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총합 전송률보다 낮으면, 후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전송률 조절에 의해 해상도, 샘플링 주기 및 화질 중 적어도 하나는 증감할 수 있다.
상기 자율 주행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자율 주행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연결부;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들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데이터 연결부; 상기 서비스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연결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데이터 제어부;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목표 전송률로 센서 데이터를 코딩하는 센서 데이터 코딩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에 의해 코딩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센서 데이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센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종류, 최적 품질, 최소 품질 및 전송 데이터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과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고, 이전 환경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후 서비스들 간의 우선 순위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까지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부터 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기준으로 서비스들을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서비스들을 상기 큐에 저장할 때, 중복 센서 데이터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하고, 상기 큐에 저장되지 않는 서비스들은 서비스 불가로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센서들의 상세 정보는 상기 센서들과의 통신 방법, 주기성이나 가변성을 구분하는 데이터의 유형 및 데이터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전송률 및 전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설정된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센서들은 이벤트 특징을 갖는 제어 센서, 주기 특징을 갖는 위치 센서, 데이터 압축을 필요로하는 이미지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센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연결부에서 정의한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패킷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11: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다수의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중 하나만 단독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다수의 서비스 중 둘 이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2: 상기 다수의 서비스는 지오 펜싱 (Geo-fencing) 서비스 및 긴급 전자 브레이크 (Emergency Electronic brake; EEB)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20: 통신 장치 221: 모뎀
223: 서비스 연결부 225: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270: 센싱부 271: 센서부들
273: 센서 데이터 연결부 275: 센서 데이터 전송부
277: 센서 데이터 제어부 279: 센서 데이터 코딩부

Claims (20)

  1. 서비스 정보 업데이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과,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최적 센서 데이터 전송률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이전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전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과 서비스들 간의 우선 순위를 재차 확인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센서 데이터,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그리고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최적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불가한 상태로 판단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 및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전송률 확인하는 단계; 및
    센서 데이터 간의 전송 우선 순위와 최소 및 최대 전송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기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총합 전송률보다 높으면, 선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기 현재 센서 데이터들의 총합 전송률보다 낮으면, 후순위 센서 데이터부터 전송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순위 센서 데이터의 전송률 조절에 의해 해상도, 샘플링 주기 및 화질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감되는 자율 주행 제어 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 서비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연결부;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들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데이터 연결부;
    상기 서비스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연결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데이터 제어부;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목표 전송률로 센서 데이터를 코딩하는 센서 데이터 코딩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에 의해 코딩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센서 데이터 정보를 전달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종류, 최적 품질, 최소 품질 및 전송 데이터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들과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고,
    이전 환경 대비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비스들마다 요구하는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후 서비스들 간의 우선 순위를 재차 확인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최소 및 최적 품질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용 네트워크 대역폭까지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부터 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기준으로 서비스들을 큐(Queue)에 저장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서비스들을 상기 큐에 저장할 때, 중복 센서 데이터 부분을 확인하여 최소 센서 데이터 품질을 조절하고, 상기 큐에 저장되지 않는 서비스들은 서비스 불가로 판정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센서들의 상세 정보는
    상기 센서들과의 통신 방법, 주기성이나 가변성을 구분하는 데이터의 유형 및 데이터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전송률 및 전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설정된 목표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적용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이벤트 특징을 갖는 제어 센서, 주기 특징을 갖는 위치 센서, 데이터 압축을 필요로하는 이미지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연결부에서 정의한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패킷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다수의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 감지부, 상기 센서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센서 데이터 코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중 하나만 단독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다수의 서비스 중 둘 이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는
    지오 펜싱 (Geo-fencing) 서비스 및 긴급 전자 브레이크 (Emergency Electronic brake; EEB) 서비스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
KR1020190108150A 2019-09-02 2019-09-02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KR10223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0A KR102231503B1 (ko) 2019-09-02 2019-09-02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0A KR102231503B1 (ko) 2019-09-02 2019-09-02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28A true KR20210026828A (ko) 2021-03-10
KR102231503B1 KR102231503B1 (ko) 2021-03-24

Family

ID=7514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50A KR102231503B1 (ko) 2019-09-02 2019-09-02 자율 주행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67B1 (ko) * 2021-12-28 2023-03-09 한국교통연구원 커넥티드 자율 주행차의 안전 모니터링 및 운영설계범위를 지원하는 관제 서버
KR102631681B1 (ko) * 2023-06-08 2024-02-01 국방과학연구소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672A (ko) * 2016-01-29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63250A1 (en) * 2016-09-29 2018-04-0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nomous vehicle with modular architecture
KR20180115790A (ko) * 2016-02-29 2018-10-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JP2018538647A (ja) * 2015-11-04 2018-12-27 ズ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律車両の軌道修正のための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9028269A2 (en) * 2017-08-02 2019-02-07 Strong Force Iot Portfolio 2016,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OF COLLECTING INTERNET DATA FROM OBJECTS WITH LARGE DATA S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8647A (ja) * 2015-11-04 2018-12-27 ズ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律車両の軌道修正のための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90672A (ko) * 2016-01-29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5790A (ko) * 2016-02-29 2018-10-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WO2018063250A1 (en) * 2016-09-29 2018-04-0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nomous vehicle with modular architecture
WO2019028269A2 (en) * 2017-08-02 2019-02-07 Strong Force Iot Portfolio 2016,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OF COLLECTING INTERNET DATA FROM OBJECTS WITH LARGE DATA SE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67B1 (ko) * 2021-12-28 2023-03-09 한국교통연구원 커넥티드 자율 주행차의 안전 모니터링 및 운영설계범위를 지원하는 관제 서버
WO2023128406A1 (ko) * 2021-12-28 2023-07-06 한국교통연구원 커넥티드 자율 주행차의 안전 모니터링 및 운영설계범위를 지원하는 관제 서버
KR102631681B1 (ko) * 2023-06-08 2024-02-01 국방과학연구소 무인항공체계 임무 장비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503B1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277B1 (ko)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차량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159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sharing using MEC server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KR102262232B1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군집주행의 제어방법
KR102226067B1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가상 신호등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16008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method in restricted area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195939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028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error of a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US20200033147A1 (en) Driving mode and path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US20210273714A1 (en) Method for intelligently tracking beam and autonomous vehicle therefor
KR20190098094A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차량이 수신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37421B1 (ko)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데이터 기반의 어플레이케이션 갱신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09482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0056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parked vehicle for an emergency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US2019037305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p2p method between vehicles in automated vehicle &amp; highway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59980A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혼합현실 디바이스 및 차량
US11403942B2 (en) Remote driving method using another autonomous vehicle in automated vehicle and high systems
KR102205794B1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서버브릿지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90394230A1 (en) Security method for vehicle network, firewall for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US2021011829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in an autonoumous drving system
US20200033875A1 (en) Image sensor system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070701A (ko)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227287B1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차량의 멀티안테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088881A (ko) 전기차량의 배터리 공유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사용자 보상방법
KR20210091394A (ko) 탑승자 시선에 기초한 자율주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06844A (ko) 입력 신호 우선 순위에 따른 자율 주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