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283B1 -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 Google Patents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283B1
KR102631283B1 KR1020230171589A KR20230171589A KR102631283B1 KR 102631283 B1 KR102631283 B1 KR 102631283B1 KR 1020230171589 A KR1020230171589 A KR 1020230171589A KR 20230171589 A KR20230171589 A KR 20230171589A KR 102631283 B1 KR102631283 B1 KR 10263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g member
core unit
coupling ho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제일체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체육공사 filed Critical (주)제일체육공사
Priority to KR102023017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6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the rod or tubular part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2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rigidly comb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2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2Detachabl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과 지지다리의 결합에 있어 별도의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결합을 구현해 부정목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요부품의 절감과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억제함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인접한 부재간의 강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구조 안정을 도모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Combination play facility with irregular tree}
본 발명은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과 지지다리의 결합에 있어 별도의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결합을 구현해 부정목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요부품의 절감과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억제함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인접한 부재간의 강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구조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관한 것이다.
부정목(不淨木, irregular tree)이라 함은 정결하지 못한 나무를 일컷는 말로, 외관이 다소 수려하지 못하지만, 이를 다듬어 사용할 경우 충분한 활용가치가 존재하기에 목재를 이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목재로 이루어지는 각종 간이 시설물이나 놀이기구와 같이 사용자들이 시설물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놀이시설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놀이시설은 구조물을 지지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주축 역할을 하는 부정목 지지다리에 상판을 설치하고, 그 상판 주위로 미끄럼틀, 그네, 그물, 헤먹 등의 구조물을 기하학적인 구조로 연계 설치하여 시공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지다리와 상판의 연결 구조인데, 이들을 상호 고정 결합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통상, 작업 편의와 구조 간소화를 위해 못이나 피스를 박아 고정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돈되지 않은 부정목에 그대로 못이나 피스를 박게 되면 쐐기 현상으로 인해 목재 틈이 갈라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파손은 시설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과 더불어 구조 안정성을 현저하게 떨어트리는 심각한 하자로 작용한다.
또한, 부정목 재료의 특성상 계절별로 수축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변형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결합 부붐간의 결합력이 불안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판에 지지다리의 결합을 위한 타공을 형성하고, 이 타공으로 지지다리를 삽입해 기결합시켜야 하는데, 지지다리와 타공의 직경이 상이할 경우 시공 자체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1997-000822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판과 지지다리의 결합에 있어 별도의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결합을 구현해 부정목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요부품의 절감과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억제함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인접한 부재간의 강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구조 안정을 도모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길이로 재단된 부정목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 각각은,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및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상판의 결합홀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양 단부에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가 각각 연결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복수 개의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나사체가 연장 형성되는 코어유닛;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홈에 가이드되어 삽입홈의 형성 범위 내에서 압축 및 이완되며 압축시에 상기 코어유닛의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결합홀 내부에 억지 끼움되고 이완시 코어유닛 방향으로 수축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나사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함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을 압축 또는 이완되게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홈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압축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는 복수 개의 팽창암;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암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코어유닛 외측에서 상하로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팽창암 각각은, 상기 연결링에 연결되며 팽창시 상판의 하면에 걸림 지지되는 제1 접철암; 상기 제1 접찰암의 상단에 연결되며 결합홀 내부에서 결합홀 내측면을 향해 팽창하는 제2 접철암; 및 상기 제2 접철암의 상단에 연결되며 팽창시 상판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는 제3 접철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철암, 제2 접철암 및 제3 접철암 각각은, 상기 삽입홈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사이에서 코어유닛의 외측을 향해 편심 이동하여 고정유닛의 팽창을 유도하고, 반대로,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사이에서 코어유닛의 외측면을 향해 이동해 고정유닛의 수축을 유도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편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구조의 보상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상편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보상편 단부를 탄성 가압해 보상편을 신장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신장된 상기 보상편을 일제히 수축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작동유닛과 고정유닛의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링; 및 상기 조절링과 보상편을 연결하여 조절링의 하부 이동시 보상편을 견인하여 작동편 방향으로 수축 변형시키는 조절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유닛에는 상기 조절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와이어통과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판과 지지다리의 결합에 있어 별도의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결합을 구현해 부정목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요부품의 절감과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억제함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인접한 부재간의 강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구조 안정을 도모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지지다리와 상판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고정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고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고정부가 결합홀 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보상편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이하, 놀이시설이라 함)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3),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3) 상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1) 및 상기 상판(1)에 연계 설치되는 유희구조물(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다리(3)는 놀이시설의 주요 주축을 구성하는 구조물로서, 부정목을 일정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지지다리(3)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돼 하단은 지면에 매립되고, 상단에는 지붕, 캐노피, 차양 등과 같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인접한 지지다리(3)와 지지다리(3) 사이에는 횡프레임(5)이 결합돼 인접한 지지다리(3)의 안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판(1)은 부정목을 사용하거나 혹은 통상의 합판이나 원목판을 이용하며, 인접한 지지다리(3)에 연계 설치되는 넓은 판상의 구조물로서, 사용자가 상판(1) 위를 올라가 이와 연계된 각종 유희구조물(4)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설명에서 말하는 유희구조물(4)이라 함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 터널, 로프, 계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에는 결합홀(2)이 관통 형성되고 이 결합홀(2)로 지지다리(3)가 삽입돼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판(1)과 지지다리(3)의 결합시 별도의 나사, 피스 등을 사용하지 않으며, 단지 지지다리(3)의 일부 구성이 결합홀(2) 내에서 팽창함으로써 상판(1)과 지지다리(3)의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나사,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지지다리(3)에 추가적으로 체결하여 고정력을 보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별도의 나사나 피스를 사용하지 않으며, 결합홀(2)과 지지다리(3)의 직경 차이에 구애받지 않고 양자간의 결합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지지다리(3) 각각은, 제1 다리부재(10), 제2 다리부재(20), 커버(30) 및 고정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다리부재(10)와 제2 다리부재(20)는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막대형 구조물로서, 전체가 부정목이며, 고정부(40)를 통해 서로 일자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40)의 상단에는 제1 다리부재(10)가, 고정부(40)의 하단에는 제2 다리부재(20)가 각각 연결되어 일체형의 지지다리(3)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40)는 제1 다리부재(10)와 제2 다리부재(20) 사이에 결합되어 제1 다리부재(10)와 제2 다리부재(20)를 연결하며. 상판(1)의 결합홀(2)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다리부재(10)와 제2 다리부재(20)는 상판(1)과 별다른 고정을 수행하지 않고, 고정부(40) 부분에서만 상판(1)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고정부(40)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홀(2)의 직경, 구조에 큰 제약 없이 결합홀(2) 내 탄성적으로 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40)는 크게, 코어유닛(100), 고정유닛(200), 작동유닛(300) 및 조절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코어유닛(100)은 고정부(40)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며, 양 단부에 상기 제1 다리부재(10)와 제2 다리부재(20)가 각각 연결되고, 고정유닛(200), 작동유닛(300) 및 조절유닛(400)을 적소에 지지한다.
코어유닛(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복수 개의 삽입홈(110)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수나사 구조의 나사체(120)가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각각의 삽입홈(110)에는 후술 될 고정유닛(200)의 팽창암(210)이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체(120)에는 작동유닛(30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코어유닛(100)의 내부로는 후술 될 조절유닛(400)의 조절와이어(42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코어유닛(100)의 상단에는 제1 다리부재(10)의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후술 될 팽창암(210)이 삽입홈(110) 내에서 더 이상의 상부 이동이 제한되게끔 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유닛(200)은 코어유닛(100)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결합홀(2)의 벽면에 고정력을 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의 삽입홈(110)에 가이드되어 삽입홈(110)의 형성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압축시에 상기 코어유닛(100)의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결합홀(2) 내부에 억지 끼움되고 이완시 코어유닛(100)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고정부(40)를 결합홀(2)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유닛(200)은 필요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면서 압축시에는 코어유닛(100) 주위로 팽창해 결합홀(2)에 강하게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완시에는 팽창된 부피가 수축되어 결합홀(2)로부터 고정부(40)의 분리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고정유닛(200)의 압축 및 이완 작용은 후술 될 작동유닛(30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유닛(200)은 크게, 팽창암(210) 및 연결링(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팽창암(210)은 복수 개의 삽입홈(110) 각각에 삽입되어 삽입홈(110)에 가이드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별도의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삽입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펴져 코어유닛(100) 외측으로 별도의 돌출 구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하부에서 소정의 압축력이 가해지면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결합홀(2) 벽면에 강하게 압입 지지되거나 혹은 일부는 결합홀(2)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팽창하여 상판(1)의 상단과 하단에 걸림 지지되게끔 하는 구조를 이룬다.
팽창암(210)은 각각의 삽입홈(110) 대응개소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서로 이격된 각각의 팽창암(210) 하단이 연결링(22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각각의 팽창암(210) 상단은 자유단으로서 연결부재(130)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연결링(220)은 복수 개의 팽창암(210) 하단을 연결하여 각각의 팽창암(210)을 동기화시키며 코어유닛(100) 외측에서 상하로 슬립 가능하게 결합돼 상하로 이동하며 팽창암(210)을 견인한다.
일례로, 연결링(220)을 최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각각의 팽창암(210)은 길게 펴져 코어유닛(100) 외측으로 별도의 돌출 구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연결링(220)을 상부로 견인하면 연결링(220)과 연결부재(130) 사이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각각의 팽창암(210)이 방사상으로 팽창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복수 개의 팽창암(210) 각각의 일실시예로, 팽창암(210)은 크게,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2 접철암(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2 접철암(212)은 위치에 따라 구분한 구성으로서, 모든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일례로, 제1 접철암(211)은 팽창암(210)의 최 하단을 구성하며 연결링(220)에 연결되고, 제2 접철암(212)은 팽창암(210)의 중간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접철암(211)에 연결되고, 제3 접철암(213)은 팽창암(210)의 최 상단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접철암(212)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2 접철암(212)은 일렬로 연결돼 단일의 팽창암(21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3 접철암(213)은 각각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특히, 제2 접철암(212)을 제외한 제1 접철암(211)과 제3 접철암(213)은 결합홀(2) 외부에서 팽창하고 제2 접철암(212)이 결합홀(2) 내부에서 팽창하여 결합홀(2)에 고정력을 가할 수 있다.
일례로, 결합홀(2) 내 고정부(40)의 삽입 후, 제1 접철암(211)은 상판(1)의 하면에 걸림 지지되게끔 결합홀(2)의 하측 외부에서 팽창하고, 제2 접철암(212)은 결합홀(2) 내부에서 결합홀(2) 내측면을 향해 팽창하며, 제3 접철암(213)은 상판(1)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게끔 결합홀(2)의 상측 외부에서 팽창할 수 있다.
즉, 결합홀(2) 내 동일선상에 위치한 팽창암(210) 구간은 결합홀(2)의 벽면에 강하게 압입될 수 있으며, 결합홀(2)에서 노출된 팽창암(2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판(1)의 상면과 하면 주위에서 팽창하여 고정부(40)의 상하 유동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한편, 상판(1)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노출된 제3 접철암(213)과 제1 접철암(2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30)가 이용될 수 있다.
커버(30)는 상판(1)을 관통한 고정부(40) 주위, 예를 들어, 상판(1)의 상면과 하면으로 노출된 고정부(40)의 상단과 하단 주위에 결합되어 그 주변을 밀폐시킴으로써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아울러, 고정부(40)의 외부 노출로 인한 미관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3 접철암(213)은 압축 또는 이완 작용에 따라 각각 유연하게 굴곡되는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홀(2)의 직경, 형상 등에 구애받지 않고, 결합홀(2)의 벽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거나 혹은 결합홀(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팽창하여 고정부(40)를 상판(1) 주위에 강하게 걸려 고정되게끔 한다.
예컨대, 제1 접철암(211), 제2 접철암(212) 및 제3 접철암(213) 각각은 한 쌍의 가이드블록(214) 및 한 쌍의 가이드블록(214) 사이에 연결되는 작동편(215)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214)은 삽입홈(11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성이며, 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작동편(215)을 연결 지지한다.
가이드블록(214)이 삽입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그 사이에 연결된 작동편(215)은 이와 연동해 코어유닛(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214)은 삽입홈(110)에 삽입 연결되는 구성인 반면, 작동편(215)은 삽입홈(110)에 삽입되지 않고, 삽입홈(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유닛(100)의 외측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구성으로, 삽입홈(110)에 구속되지 않고,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 배치돼 고정유닛(200)의 팽창을 유도한다.
작동편(215)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가이드블록(214)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블록(214)과 작동편(215) 사이에는 다수 회 접철돼 인장시 판상으로 전개되고, 압축력이 가해지면 접철 유도되면서 작동편(215)을 코어유닛(100)의 외측 방향으로 편심 이동시키게끔 하는 연결편(216)이 형성돼 가이드블록(214)에서 작동편(215)이 유연하게 이동되도록 하였다.
즉, 가이드블록(214)은 삽입홈(110)에서 상하 이동만을 수행하고, 작동편(215)은 이러한 가이드블록(214)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코어유닛(100)의 외측으로 편심 이동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압축력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블록(214)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편(216)은 접철 유도되는 한편 이러한 연결편(216) 사이에 연결된 작동편(215)은 코어유닛(100)의 외측을 향해 편심 이동하여 고정유닛(200)의 팽창을 유도하게 된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장력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블록(214)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편(216)은 전개 유도되는 한편 이러한 연결편(216) 사이에 연결된 작동편(215)은 코어유닛(100)의 외측면을 향해 이동해 고정유닛(200)의 수축을 유도하게 된다.
즉, 고정유닛(200)이 압축하게 되면 각각의 팽창암(210)이 방사상으로 팽창하는 구조가 되어 고정부(40)를 상판(1)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고, 반대로 고정유닛(200)이 이완되면 각각의 팽창암(210)이 코어유닛(100)에 밀착되는 구조가 돼 고정부(40) 자체를 결합홀(2)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팽창암(210)은 등간격으로 배치 구성되어 있는 구조상 인접한 팽창암(21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코어유닛(100)의 주변으로는 빈 공간과 팽창암(210)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되면서 결합홀(2) 벽면에 큰 접촉면적을 확보하는데 분리한 구조가 된다.
이럴 경우, 고정력에서 손해를 볼 뿐만 아니라, 주위로 비산하는 각종 모래, 목재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여 위생관리가 힘들고 심하게는 팽창암(210)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팽창암(210)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를 메워주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의 팽창암(210)을 구성하는 작동편(215)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구조의 보상편(217)이 형성되도록 하여 빈 공간을 상기 보상편(217)을 통해 대체하도록 하였다.
이때, 보상편(217)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보상편(217) 단부를 탄성 가압해 보상편(217)을 신장시키는 스프링(21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2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보상편(217)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가 유지되어 인접한 팽창암(210)의 보상편(217)이 서로 인접 지지되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유닛(100)의 주변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작동편(215)과 보상편(217)이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홀(2) 내벽과의 접촉면적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한편, 놀이시설의 유지 보수의 필요에 따라 상판(1)과 지지다리(3)의 분리 목적으로 고정부(40)를 결합홀(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이러한 보상편(217)을 수축시켜 팽창암(210)의 원상 복귀 및 결합홀(2)로부터 고정부(40)의 분리가 쉽게 유도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조절유닛(400)은 각각의 팽창암(210)에서 신장된 보상편(217)들을 일제히 수축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절유닛(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작동유닛(300)의 설명에서 부연하도록 한다.
작동유닛(300)은 코어유닛(100)의 나사체(1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서 작동유닛(300) 위에 배치된 고정유닛(200)의 연결링(220)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작동유닛(30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연결링(220)이 상부로 견인되면서 연결링(220)과 연결부재(130) 사이에 개재된 팽창암(210)이 압축력을 받아 방사상으로 팽창하게끔 작동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서 작동유닛(300)을 고정하게 되면 이러한 팽창암(210)의 팽창 변형 상태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작동유닛(30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하부로 이동된 만큼 연결링(2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돼 결국 팽창된 팽창암(210) 전체를 다시 이완시켜 코어유닛(100) 주위로 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작동유닛(300)은 내측에 나사 곡선(310)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 조작함에 따라 코어유닛(100)의 외측에서 상하로 위치 조정이 이루어져 상부에 인접한 고정유닛(200)을 압축 또는 이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절유닛(400)은 크게, 조절링(410) 및 조절와이어(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조절링(410)은 작동유닛(300)과 고정유닛(200)의 연결링(220)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형 구조물로서, 작동유닛(300)을 상하 조절함에 따라, 전술한 연결링(220)과 더불어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조절와이어(420)는 이러한 조절링(410)과 보상편(217)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조절링(4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상편(217)의 내측 단부에 연결돼 조절링(410)의 위치 조정에 따라 각각의 보상편(217)을 조절링(410)에 연동시켜 신축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작동유닛(300), 연결링(220), 나아가 이 사이에 개재된 조절링(410)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조절링(410)에 연결된 각각의 조절와이어(420)가 하부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조절와이어(420)에 연결된 보상편(217) 단부가 조절와이어(420)의 당겨짐에 의해 견인되어 작동편(215) 방향으로 수축 변형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조절링(41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조절와이어(420)에 의한 견인력이 제거되는 한편, 각각의 보상편(217)은 스프링(218)의 탄성 복원에 의해 다시 작동편(215)의 외측을 향해 전개되는 형상으로 원상 복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코어유닛(100)에는 조절와이어(420)가 통과하기 위한 와이어통과홀(140)이 관통 형성돼 조절와이어(420)가 코어유닛(100) 내측을 통과하여 각각의 팽창암(210)을 향해 분기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와이어(420)는 조절링(410)과 보상편(217)을 1:1 구조로 연결하기 위해, 조절링(410)에서부터 코어유닛(100)의 내측을 경유해 팽창암(210)의 작동편(215) 내측을 통과해 보상편(217)에 이르러 연결이 되는 구조로 구현되거나 혹은 조절링(410)에서부터 코어유닛(100)의 내측을 경유한 다음 복수의 다발로 분기된 단부가 각각의 팽창암(210)의 작동편(215) 내측을 통과해 보상편(217)에 이르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상판
2: 결합홀
3: 지지다리
4: 유희구조물
5: 지지다리
40: 고정부
100: 코어유닛
200: 고정유닛
300: 작동유닛
400: 조절유닛

Claims (5)

  1. 일정 길이로 재단된 부정목을 이용한 복수 개의 지지다리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 각각은,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및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상판의 결합홀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양 단부에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가 각각 연결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복수 개의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나사체가 연장 형성되는 코어유닛;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홈에 가이드되어 삽입홈의 형성 범위 내에서 압축 및 이완되며 압축시에 상기 코어유닛의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결합홀 내부에 억지 끼움되고 이완시 코어유닛 방향으로 수축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나사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함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을 압축 또는 이완되게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홈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압축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팽창하는 복수 개의 팽창암;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암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코어유닛 외측에서 상하로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팽창암 각각은,
    상기 연결링에 연결되며 팽창시 상판의 하면에 걸림 지지되는 제1 접철암;
    상기 제1 접철암의 상단에 연결되며 결합홀 내부에서 결합홀 내측면을 향해 팽창하는 제2 접철암; 및
    상기 제2 접철암의 상단에 연결되며 팽창시 상판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는 제3 접철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암, 제2 접철암 및 제3 접철암 각각은,
    상기 삽입홈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사이에서 코어유닛의 외측을 향해 편심 이동하여 고정유닛의 팽창을 유도하고, 반대로,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사이에서 코어유닛의 외측면을 향해 이동해 고정유닛의 수축을 유도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구조의 보상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상편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보상편 단부를 탄성 가압해 보상편을 신장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신장된 상기 보상편을 일제히 수축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작동유닛과 고정유닛의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링; 및
    상기 조절링과 보상편을 연결하여 조절링의 하부 이동시 보상편을 견인하여 작동편 방향으로 수축 변형시키는 조절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유닛에는 상기 조절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와이어통과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KR1020230171589A 2023-11-30 2023-11-30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KR10263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589A KR102631283B1 (ko) 2023-11-30 2023-11-30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589A KR102631283B1 (ko) 2023-11-30 2023-11-30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283B1 true KR102631283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1589A KR102631283B1 (ko) 2023-11-30 2023-11-30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224U (ko) 1995-08-17 1997-03-27 신천희 조합 시설물용 목재 기둥 고정장치
JP2010193968A (ja) * 2009-02-23 2010-09-09 Jakuetsu Kankyo Jigyo:Kk 屋外用組立式遊具
KR101317544B1 (ko) * 2011-10-18 2013-10-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변형 부시 유닛
KR101442558B1 (ko) * 2014-05-07 2014-09-22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체험 시설물
KR102418027B1 (ko) * 2021-08-25 2022-07-06 (주)가이아 글로벌 놀이기구용 원형목재기둥의 원형연결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224U (ko) 1995-08-17 1997-03-27 신천희 조합 시설물용 목재 기둥 고정장치
KR200205067Y1 (ko) * 1995-08-17 2000-12-01 신천희 조합 시설물용 목재 기둥 고정장치
JP2010193968A (ja) * 2009-02-23 2010-09-09 Jakuetsu Kankyo Jigyo:Kk 屋外用組立式遊具
KR101317544B1 (ko) * 2011-10-18 2013-10-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변형 부시 유닛
KR101442558B1 (ko) * 2014-05-07 2014-09-22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체험 시설물
KR102418027B1 (ko) * 2021-08-25 2022-07-06 (주)가이아 글로벌 놀이기구용 원형목재기둥의 원형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9167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 having a central lock
CN108026736A (zh) 一种中心锁及帐篷
US5487402A (en) Portable shelter with expandable frame
US6598614B2 (en) Foldable tent frame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US6929017B2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structure of a regular polygon
KR100203520B1 (ko) 지보공
US8469045B2 (en) Collapsible tent frame
US20090229644A1 (en) Expandable-collapsible multipurpose frame apparatus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US9924803B2 (en) Corner assembly for a modular bed foundation
US6899112B2 (en) Tent structure
KR102110717B1 (ko) 케이블 보도교용 케이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
KR102631283B1 (ko)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WO2019242497A8 (zh) 一种遮阳篷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US3128781A (en) Tent
AU624796B2 (en) Shelter apparatus
US1330363A (en) Tent-pole
KR102109903B1 (ko) 데크 난간 기둥
CN110388018A (zh) 一种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48626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CN210828466U (zh) 一种多功能户外围合廊架设施
KR200283572Y1 (ko) 접이식 간이의자
WO2004072414A1 (en) Canopy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