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27B1 -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27B1
KR102631027B1 KR1020210169102A KR20210169102A KR102631027B1 KR 102631027 B1 KR102631027 B1 KR 102631027B1 KR 1020210169102 A KR1020210169102 A KR 1020210169102A KR 20210169102 A KR20210169102 A KR 20210169102A KR 102631027 B1 KR102631027 B1 KR 10263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isplay device
connection part
wir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234A (ko
Inventor
이용화
석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6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지선측 또는 조가선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반대편에서 조가선 또는 지선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적인 탄성 수단; 상기 탄성 수단을 내장하며,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된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형성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한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소정의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색상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DEVICE FOR DISPLAYING TENSION STATUS OF MESSENGER WIRE}
본 발명은 전주와 전주 간에 가설되어 통신케이블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조가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가선의 장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전주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시함으로써 전주의 절손사고로 인한 각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조가선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가선은 전력분야에서 공가 ‘조가선’이라고 칭하며, 지지물과 지지물간 통신케이블 설치 시 지지물 경간에 통신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물 사이에 설치하는 아연도 철선을 의미한다.
조가선(Messenger wire)은 전주에 지선밴드나 암타이어 랙밴드와 접속클램프와 같은 고정구를 통해 연결된 일정장력을 갖는 와이어의 한 종류로서, 이러한 조가선에는 바인드선이나 행거를 통해 통신기지국 간에 신호전달을 위해 설치되는 각종 통신케이블이 가설되어 사용된다.
전주와 전주의 사이에 지선밴드를 포함한 고정구를 통해 와이어를 규칙적으로 꼬아서 성형한 조가선이 가설되며, 상기 조가선에는 바인드선이나 행거를 통해 통신기지국 간에 신호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케이블이 결합된다.
전주와 전주의 사이에 조가선을 통해 통신케이블을 가설하면, 상기 조가선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통신케이블이 바람이나 외부하중 등에 의해 보호되어 통신기지국 간에 신호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조가선이 적당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조가선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조가선에 대한 설치 기준 등에서는 전주에 조가선을 설치 시에는 적정한 이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전주로부터 조가선을 철거할 때는 장력을 천천히 늦추어 전주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며, 통신설비 시설내역 현장확인 점검표(배전전주)에 의거 조가선 이도 적정여부를 기재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공가 조가선 최초 설치 시 공가통신 회사에서 이도 기준을 준수해야 하지만,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없어 시공자별 주관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통신회사별, 작업자별 설치한 조가선 이도가 달라 이로 인한 전주에 걸리는 장력이 과도할 수 있는 개연성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전주로부터 조가선을 철거할 때는 장력을 천천히 늦추어 전주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고만 규정할 뿐, 전주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는 계량화된 수치가 없어 실질적으로는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정기/특별순시를 시행할 때 적정 이도를 판단하는 것도 순시 직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뿐이었다.
또한, 공가 조가선 최초 설치 이후 공가케이블 추가설치로 인한 조가선이 전주에 미치고 있는 상시하중을 알 수 없다. 이도가 적당하여도 공가케이블 무게에 의해 전주에 하중이 미칠 수 있으며, 다수의 공가케이블에 걸리는 순간 풍압에 의해 전주에 과도한 하중 영향 우려도 존재한다.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장비는 조가선이 차량 진행에 걸려 장력이 과다하게 걸렸을 때 전주 도괴를 방지하기 위해 조가선 밴드를 이탈하게 하는 용도가 목적일 뿐이며 조가선의 운영 중 적정 장력을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10-1997100호
본 발명은 작업자 또는 순시자가 외부에서 조가선의 장력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지선측 또는 조가선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반대편에서 조가선 또는 지선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적인 탄성 수단; 상기 탄성 수단을 내장하며,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된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형성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한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소정의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색상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수단은,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이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 실장되며, 일단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제한하는 제한 턱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외부 유출을 제한하되, 상기 가이드 바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리형 벽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상 표식은, 상기 가이드 바의 상기 제한 턱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상 표식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져서, 각 영역들이 서로 대비 되는 색상들로 칠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는, 하나의 장력 상태에서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며, 다른 장력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윈도우 주위 영역에는, 상기 색상 표식의 이동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눈금 표시가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수단은,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의 이탈시 장력 보다 낮은 장력에서 최대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실시하면, 작업자 또는 순시자가 외부에서 조가선의 장력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작업자가 최초 공가조가선 설치 시 공가 조가선 장력상태 표시장치를 통해 전주에 걸리는 장력을 파악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무리하게 전주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순시자가 지상에서도 공가 조가선 장력상태 표시장치의 색상을 통해 현재 공가조가선이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 상태를 쉽게 파악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순간적인 높은 하중(풍압 등)이 걸려도 공가 조가선 장력 표시 장치 자체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여 하중 분담 역할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전주에서의 조가선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4a 내지 4c는 도 3b의 탄성 수단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
도 5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주의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경고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정상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주의 상태에서 경고 상태로 넘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전주에서의 조가선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조가선은 전주의 저압선 아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력용 통신망 설치 운용자용 상단 조가선과, 일반 통신사업자용 하단 조가선을 의미하며, 상술한 2개의 조가선 각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지선측 또는 조가선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 상기 제1 연결부(10)의 반대편에서 조가선 또는 지선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20); 상기 제1 연결부(10)와 상기 제2 연결부(20)를 연결시키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적인 탄성 수단(40); 상기 탄성 수단을 내장하며,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된 하나 이상의 윈도우(66)를 형성한 가이드 프레임(60); 및 상기 탄성 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한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60)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66)를 통해 외부로 소정의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색상 표식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선로의 전체 조가선은 상기 제1 연결부(10)와 상기 제2 연결부(20)를 통한 조가선 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전체 조가선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따라 상기 탄성 수단(40)의 길이가 확장된다.
상기 탄성 수단(40)은 길이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나선형 압축 스프링, 나선형 인장 스프링, 공기 압축 스프링, 공기 인장 스프링, 압축용 고분자 탄성재, 인장용 고분자 탄성재 등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을 적용한 경우로 구체화하여 예시하겠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수단(40)은,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의 이탈시 장력 보다 낮은 장력에서 최대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3b의 탄성 수단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상기 탄성 수단(40)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44); 및 상기 나선형 압축 스프링(44)이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60) 내부에 실장되며, 일단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제한하는 제한 턱(49)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20)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46)를 포함한다.
상기 구체화된 탄성 수단(40)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60)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10)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44)의 외부 유출을 제한하되, 상기 가이드바(46)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리형 벽체(68)가 형성된다.
상기 색상 표식(50)은, 도 3a 및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색상 영역들(52, 5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바(46)의 상기 제한 턱(49)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상기 색상 표식(50)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60)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영역(52, 54)으로 나누어져서, 각 영역들이 서로 대비 되는 색상들로 칠해진 모습을 가진다. 다른 구현에서는, 3개 이상의 영역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색상들로 칠해진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상기 가이드 바(46)는 가운데 부분이 중공을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나선형 압축 스프링(44)이 보다 가느다란 경우, 중공없는 원통형 막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0) 및 상기 제2 연결부(20)는 조가선 등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다른 구현에서는 조가선 등을 파지하는 클램프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주의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경고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정상 상태인 경우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조가선의 장력이 주의 상태에서 경고 상태로 넘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에서 장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66)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60)의 외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윈도우(66)는 절개된 공간 형태로 형성하거나, 절개된 공간을 투명 재질로 막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작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누적 노출되는 빗물, 먼지 등으로 나선형 압축 스프링(44)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시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상기 색상 표식의 노란색으로 주의 상태 색상을 표시하며, 붉은 색으로 경고 상태 색상을 표시한다. 문구 등의 알림보다 색상으로 장력 상태를 표시하는 본 발명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는, 먼거리에서도 외부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장력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2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시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제1 연결부(10)는 전주의 지선그립측에 연결되며, 제2 연결부(20)는 반대편 조가선에 연결되어 전체 조가선 선로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전주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설치하면, 작업자가 최초 공가조가선 설치 시 공가 조가선 장력상태 표시장치를 통해 전주에 걸리는 장력을 파악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무리하게 전주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순간적인 높은 하중(풍압 등)이 걸려도 공가 조가선 장력상태 표시장치의 스프링이 완충작용을 하여 하중 분담 역할을 분담하며, 순시자가 지상에서도 공가 조가선 장력상태 표시장치의 색상을 통해 현재 공가조가선이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 상태를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경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윈도우(66-1)는, 하나의 장력 상태에서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며, 다른 장력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면적을 가지는 것에 상기 도 2의 경우와 차별점이 존재한다. 이는 주의 상태나 경고 상태의 장력 상태를 보다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이점을 부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의 경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윈도우(66-2)는, 상기 윈도우 주위 영역에는 상기 색상 표식의 이동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눈금 표시(67)가 기재된 것에 상기 도 2의 경우와 차별점이 존재한다. 이는 비록 가까이서만 확인이 가능하지만, 점검자가 조가선 장력 상태의 정도를 눈금(67)으로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부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상세 설명에서는 전주에 설치된 조가선으로 구체화하여 예시하였지만, 전철 팬타그래프와 접촉하는 전차선 지지를 위한 조가선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 제1 연결부 20 : 제2 연결부
40 : 탄성 수단 44 : 나선형 압축 스프링
46 : 가이드 바 49 : 제한 턱
60 : 가이드 프레임 66 : 윈도우
68 : 고리형 벽체 50 : 색상 표식

Claims (8)

  1. 지선측 또는 조가선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반대편에서 조가선 또는 지선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적인 탄성 수단;
    상기 탄성 수단을 내장하며,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된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형성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한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소정의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색상 표식
    를 포함하되,
    상기 색상 표식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져서, 각 영역들이 서로 대비 되는 색상들로 칠해진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이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 실장되며, 일단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제한하는 제한 턱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
    를 포함하는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외부 유출을 제한하되, 상기 가이드 바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리형 벽체가 형성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표식은,
    상기 가이드 바의 상기 제한 턱에 고정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하나의 장력 상태에서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며, 다른 장력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면적을 가지는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윈도우 주위 영역에는, 상기 색상 표식의 이동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눈금 표시가 기재된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의 이탈시 장력 보다 낮은 장력에서 최대 변위를 가지는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KR1020210169102A 2021-11-30 2021-11-30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KR10263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102A KR102631027B1 (ko) 2021-11-30 2021-11-30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102A KR102631027B1 (ko) 2021-11-30 2021-11-30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234A KR20230081234A (ko) 2023-06-07
KR102631027B1 true KR102631027B1 (ko) 2024-01-31

Family

ID=8676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102A KR102631027B1 (ko) 2021-11-30 2021-11-30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83Y1 (ko) 2005-04-06 2005-07-07 성신산업 주식회사 자동장력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969U (ko) * 2012-11-12 2014-05-21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 스프링식 자동장력장치
KR20170005297A (ko) * 2015-07-02 2017-01-12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7-05 유충희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KR102238173B1 (ko) * 2019-06-12 2021-04-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 장력 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83Y1 (ko) 2005-04-06 2005-07-07 성신산업 주식회사 자동장력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234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11657A1 (en) Mechanical fuse for use with overhead telecommunications cable
WO2012060737A3 (ru) Грозозащитный трос с оптическим кабелем связи
KR102631027B1 (ko)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CN107834425B (zh) 架空导线更换施工用接地保护装置
CN206524606U (zh) 一种架空线路防掉线装置
CN203747346U (zh) 一种精确控制斜拉线拉力的装置
CN102611057A (zh) 跨越网
CN109188647A (zh) 一种adss光缆电腐蚀观测装置
CN212409755U (zh) 一种绞线机新型断线检测装置
CN211166861U (zh) 一种基于动态botda技术的长距离索道在线监控系统
CN209852528U (zh) 一种系泊浮体沿程缆索锚固系统
CN202474756U (zh) 跨越网
CN208106030U (zh) 一种10kV线路双电源手拉手联络结构
US20170237243A1 (en) Conduit guard
KR100392351B1 (ko)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CN216016395U (zh) 磁吸式快装裸导线绝缘护套
JP5883729B2 (ja) 架線作業方法及び支持ネット
KR102645324B1 (ko) 가공송전선로용 커버
JP3026055B2 (ja) 送電線事故様相特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465809U (zh) 架空光缆布放装置
KR20130050756A (ko) 지선 장력계
CN202121280U (zh) 三线交叉保护套
CN209902123U (zh) 光缆折弯器和光缆障碍判断装置
JP2010268637A (ja) 架空配電線の分岐装置及び分岐方法
CN203013904U (zh) 具有识别损伤功能的漏泄同轴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