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51B1 -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 Google Patents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51B1
KR100392351B1 KR10-2000-0039548A KR20000039548A KR100392351B1 KR 100392351 B1 KR100392351 B1 KR 100392351B1 KR 20000039548 A KR20000039548 A KR 20000039548A KR 100392351 B1 KR100392351 B1 KR 10039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ower
drum
transmission lin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225A (ko
Inventor
임병준
Original Assignee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65kv 송전선로 연선공법에 관한 발명으로써, 765kv 송전선로는 철탑이 대형화되고 전선이 다도체화 되므로 고소 탑상 작업량이 증가되며 대개 험준한 산악지를 경과하게 되므로 시공조건의 어려움을 동반하게 되는 바, 확실한 시공품질 확보와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고안된 공법이다.
본 발명은 기존 시공방법에 비하여, 소긴선 구간에 맞추어 전선을 섹션발주하며, 드럼장ㆍ엔진장의 규모는 최소 30M×80M 이상을 확보하고 반드시 내장철탑에 위치 하며, 가지선을 채택하지 않은 연선단말 철탑을 채택하고, 전동식 드럼가대 및 릴와인더를 사용하며, 전선발주시 내장철탑간 전선실장을 계산하여 연선하는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 즉, 내장구간의 한쪽을 지상에서 압축하고 다른 한편은 탑상에서 압축작업을 병행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법의 적용으로 인해 전선실장을 계산하여 시공함으로써 전선의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및 안정된 시공을 함으로써 가선환경에 많은 변화를 주게되었다.

Description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The method of conductors string on 765kv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765kv 송전선로 연선공법에 관한 발명으로써, 종래의 4도체 연선공법은 345kv 송전선로에서 이용하는 공법으로 외국의 경우 8도체 공법도 4도체 연ㆍ긴선후 다시 4도체를 연ㆍ긴선하므로 결국 4도체 공법과 같다. 그러나 765kv 송전선로는 6도체방식 이므로 우리현장의 여건상 4도체 연ㆍ긴선후 다시 2도체를 연ㆍ긴선 반복 시공 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또한 가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암내측전체에 블럭을 배치하게되는 불리한점과 이로인한 이도관측의 어려움, 현수애자련에 전선셋팅시 중,하선 외측전선의 선옮김 작업발생등으로 6도체 일괄 연선방식은 어려움이 많은 공법이다.
765kv 송전선로는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중요설비이므로 무보수 개념에 의한 설계 및 시공을 함으로써 예상되는 고장에 대하여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연선공법대로 가선할경우 필연적인 전선간접속개소가 발생되며 잘못 시공될때 단선고장으로 이어져 전력계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바,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확실한 시공품질 확보와 작업의 안전성 도모를 위하여 고소탑상 작업량을 지상작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써, 고소탑상 작업을 지상작업으로 전환하여 작업 안전성을 도모하고,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며한섹션 전체를 연선한 후 긴선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적 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긴선 구간에 맞추어 전선을 섹션 발주하며, 드럼장(연선장)ㆍ엔진장(권양장)의 규모는 최소 30M×80M이상을 확보하고 반드시 내장철탑에 위치하며, 가지선을 채택하지 않은 연선단말 철탑을 채택하고, 전동식 드럼가대 및 릴와인더를 사용하며, 전선발주시 내장철탑간 전선실장을 계산하여 연선하는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을 제공하는 바, 이는 내장구간의 한쪽을 지상에서 압축하고 다른 한편은 탑상에서 압축작업을 병행하는 공법이다. 즉, 전선발주시 내장철탑간 전선실장을 계산하여 조장발주하고, 전선의 한쪽끝은 금차통과형 인류크램프를 지상에서 압축하여 프로텍터(Protector)를 취부하고, 다른 한쪽끝은 연선크램프를 취부하여 애자련길이에 맞는 연결와이어를 접속하여 연결 와이어가 내장철탑 와이어에 위치하게 연선하는 공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드럼장(연선장)의 LAY OUT
도 2는 엔진장(권양장)의 LAY OUT
도 3은 드럼장(연선장)의 평면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탑상전선 인류 접속저감 연선공법의 개요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금차통과형 크램프의 연선개요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선실장의 보정계산 약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2,55 : 텐셔너(권취형연선차) 2 : 압축기
3 : 전동식 드럼가대 4 : 드럼(DRUM)
5 : 캄아롱 (Come-along) 6,33 : 단말철탑(연선경계철탑)10 : 내장철탑
100,200 : 드럼장(연선장) 300,400 : 엔진장(권양장)
13 : 발전기 14 : 와이어릴장
15 : 크레인 16 : 전선드럼 적치장
17 : 휴계실 18 : 공구함
19 : 화장실 20 : 압축작업장
21 : 작업대 31 : 엔진플러(동력권양기)
32 : 릴 와인더(자동권양장치) 46,54 : 프로텍타(크램프보호관)
41 : 금차 42,51 : 연결와이어
43,53 : 특수 크레비스링크(Clevis Link)
50 : 금차통과형 인류크램프 45,52 : 전선57 : 분할연선구간 58 : 소긴선구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선공법은 연선계획 수립단계, 드럼장ㆍ엔진장 확보단계,연선 및 전력선 끌기 순으로 진행되며
우선 연선계획 수립시 (긴선제외) 필히 검토되어야 할사항에 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선구간의 결정으로 송전선로 경과지의 지형, 적당한 드럼장(연선장)(100)ㆍ엔진장(권양장)(300)의 입지조건,연선거리, 금차(41)통과 횟수, 철탑간 고저차의 기복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첫째, 연선구간 단말 철탑형은 C형 이상인 개소를 선택한다.
둘째, 연선거리는 지형에 따라 4-5KM를 표준으로 정한다.
셋째, 금차(41)통과횟수는 10회 전후로 정한다.
넷째, 한구간에 중각도 철탑이 다수 있을 경우 연선구간 및 금차(41)통과 횟수를 줄인다
다섯째, 드럼장(100)장은 각종 장비의 출입이 원활하고 장애물이 없는 곳을 택한다.
여섯째, 드럼장(100)장의 넓이는 30M×80M이상 종방향이 유리하며 텐션너(권취형연선차)(1) 앞 작업장의 길이를 30M이상 확보되는 곳으로 정한다.
일곱째, 한 연선구간에 154kv 송전선로, 345kv 송전선로 고속도로 등의 횡단공작물이 복합적으로 있을경우 연선구간을 짧게 정한다.
선로경과지 측량과 더불어 드럼장(100)ㆍ엔진장(300)을 결정하여야 하며 필요시에는 드럼장(100)ㆍ엔진장(300)장을 먼저 정하고 여기에 맞도록 경과지를 선정하거나 철탑형을 결정해야 한다.
다음은, 전선절단의 결정으로 우선 전선절단 계획의 수립을 위하여는 연선구간별로 평면중심경간을 기준으로한 축소종단면도를 작성검토하며 여기에 포함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단에는 연선구간의 철탑평면도를 그리며 수평각도가 있을 경우 넌 스켈(축척이 없이 그린 그림)으로 처리하여 철탑상단에 각도표기, 하단에는 지지물의 고저차를 감안한 축소종단도를 그리며 철탑상단에는 애자련형 표시, 현수철탑을 제외한 내장철탑의 지지점,고저차를 철탑하단부에 + - 부호를 붙여 숫자표기, 아랫단에는 철탑번호형 및 높이 경간지지점 고저차를 표기한다.
다음 전선 절단점의 결정으로 블럭통과형 크램프 취부 철탑과 탑상양긴선 철탑을 결정하게 되면 전선절단점이 결정된다. 이것은 전선조장 발주로 이어지며 현장여건의 변동이 있을 경우 시공이 쉽지 않다. 따라서 지지점간의 고저차, 전선 드럼당 길이제한 범위에 맞는 경간선택, 전선의 가데나리각, 작업조건등을 면밀히 검토 결정하야한다.
그과정은 각 연선구간의 축소종단도를 바탕으로 실제작업상황을 고려하여 지반고저차가 제일높은 철탑을 우선 금차통과형 인류크램프(40,50) 취부철탑 으로 정하여 이는 곧 전선절단점이 되는 것이며 한기 거른 내장철탑(10)에도 역시 금차통과형 인류크램프(40,50) 를 취부하여 이 두철탑 사이에 있는 내장철탑이 곧 탑상 양긴선 철탑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정해나간다.
다음 전선절단점간 전선길이는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 에서 정한 전선 한드럼장 조장인 1500M-2500M 범위내에서 있도록 정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검토된 모든사항을 총정리 집약한 전선 조장 산출서를 작성하며 서식 마지막란의 전선절단 길이란에는 전선의 여유장을 반영한 전선길이를 표시한다.
또한 전선조장 산출서상 절단길이란은 실제전선을 발주할 길이표시이므로 전선제작
공장에서 제작하여 단위드럼으로 납품할수 있도록 전선납품 세부내역서를 작성하며 또한 절단점 표시길이는 연선시 풀림기준으로 제작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한다. 연선구간별 회선별 전선발주 길이가 다르므로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현재 표시내용 이외의 선로명, 공구명, 연선구간(철탑no),회선별(#1,#2 송전선로),감긴길이, 절단표시길이를 추가 표시하는 연선계획 수립단계를 거치며,
다음은, 드럼장(100)ㆍ엔진장(300)의 확보단계로써, 765kv 송전선로의 연선은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 을 적용하므로 작업여건과 장비의 배치에 적합한 규모의 드럼장(100)을 선정해야하며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드럼장(100)은 연선구간 단말철탑(6) 뒷쪽에 있도록한다. 평탄한 지형이며 전선인상 각도가 10도 이하가 되는 장소를 택한다. 적당한 장소가 없을 경우는 단말철탑주변에 드럼장(100)을 정하고 단말철탑간에 철주를 이용하여 연선하는 방법도 고려한다. 단말철탑 뒷측에 적당한 드럼장이 없는 경우에는 산림형질을 변경해서라도 드럼장을 확보한다. 드럼장(100)에 부득이 경사가 있을 경우는 텐션너(1) 앞측 전선작업장을 가설작업대(21) 설치로 조성한다. 장비의 전입이 용이하고 드럼적재차량의 출입이 원활한 곳을 정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할 경우 진입로를 조성한다. 가급적 선로 방향으로 긴형태의 부지를 선정한다. 765kv 송전선로 연선공사는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 등 신공법적용과 낙후된 가선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신장비를 설치 운영하게 되며 주요장비로는
권취형 테셔너(1) : 4대 전동식 드럼가대(3) : 2대
발전기(13) : 1대 와이어 드럼가대 : 8대
이동용 하이드로 크레인(15) : 1대
등이 필요하며 장비배치는 중앙에 통로를 두고 양측에 회선별 전선드럼을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전선용 텐셔너(1)를 양외각에 배치한다. 전동식 드럼가대(3)의 배치는 텐셔너(1) 후방에 설치하며 텐셔너(1)와의 간격은 약 10m 유지한다.
와이어 텐셔너(1)는 드럼장중앙에 배치하며 후방에는 와이어 드럼가대(3)와 릴(14)을 배치한다. 이동용 하이드로 크레인(15)은 중앙통로에 배치한다.
그리고 드럼장(100)의 확보 면적은 작업의 여유와 효율성을 증대시키므로 넓을 수록 좋으나 최소한의 확보면적은 약 800평(30m×80m)으로 한다.
엔진장(300) 역시 단말철탑 후단에 오도록 선정하며 장비설치가 용이하고 와이어 운반차량의 출입이 원활하게 될수있는 장소를 택한다. 종방향으로 다소 긴 지형이 좋으나 플러(31)의 인입 각도를 방향바꿈블럭으로 조정할수 있으므로 횡방향의 넓은 지형도 가능하다. 엔진장(300) 장비배치는 엔진플러(동력권양기)(31)와 릴와인더(32)이며 1선1조 동시4조 연선 공법일경우는 엔진플러(31) 2대, 릴와인더(32)4대를 배치해야 하며 1선2조 동시4조 연선공법일경우 대형엔진플러(31) 1대 및 릴와인더(32) 2대를 배치한다. 또한 지상연선의 경우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앙카설치 공간과 연선요크 분리 작업장을 엔진플러(31) 전방측에 10m이상 길이로 확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럼장ㆍ 엔진장 확보단계를 거치고,
다음은,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 의 적용으로, 전기 공법은 내장구간 경간에 맞추어 드럼당 1500-2500m의 범위내로 전선을 제작하여 한기 거른 내장철탑에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가 오도록 드럼장(100)에서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양단말에 취부하고 애자련길이 만큼의 연결와이어(42)를 연결하여 연선완료하고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가 와있는 내장철탑(10) 에서는 양긴선하여 탑상에서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압축취부하는 공법이며, 슬리브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무스리브 공법적용으로 블럭통과형 크램프를 사용한다.
블럭통과형 압축시공에서 전선단말에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압축취부하는 것은 기존방법과 같으나 다만 압축시 200TON 유압 콤프레서를 배치하고,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가 금차(41)를 통과할시 충격방지와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보호하기 위한 링식 프로덱터(크램프보호관)(46,54)를 씌운다. 또한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상호간에는 애자련 길이 만큼의 연결 와이어(42) 를 특수 크레비스링크(43) 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이 와이어는 연선와이어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하며 긴선시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애자련에 취부할시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앞의 전선의 부풀음을 방지하고 캄아롱(5) 설치 해체작업을 줄이기 위하여 캄아레스 금구를 삽입한다. 연결은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캄아래스 금구-특수 크레비스링크(43)-연결와이어(42) 순으로 한다.
Semi Pre-fab 공법적용시 주의 점으로는
첫째, 전선 제작회사에서 납품되는 전선계획의 오차는 +1/1000 이내로 지켜야하며 정밀계척장치 설치를 의무화 해야한다.
둘째, 전선드럼(4)의 사용처 표시를 철저히 확인하여 전선계획표에 의한 위치에 정확히 연선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도체의 같은 상내에서 소선의 연선장력이 같지 않게 연선되었을 경우 실장의 차이 및 이도의 불균형이 일어 나므로 같은 장력으로 연선 되어야 한다.
넷째, 크램프 프로덱터(46)가 금차(41)를 통과 할때 장력의 급격한 변화는 전선의 벌어짐 현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보선원과의 긴밀한 연락으로 텐셔너(55) 측의 제동력을 조정해야 한다.
다섯번째, 전선의 회전으로 삽입 와이어에도 회전토크가 확대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선토크에 유사한 강도종류,구조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회전토크가 축척되면 연결와이어(51) 를 제거할시 급격히 회전토크가 해방되기때문에 작업자의 사고가 있을 경우에 대비해야 하는 바,상기 내용을 포함하는 전선 인류크램프 탑상접속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의 적용단계를 거치며,
끝으로, 헬기연선된 9m/m의 와이어를 와이어 텐셔너(12)를 이용하여 굵은 와이어로 교체 한후 전선단말에 장치되어 있는 런닝보드에 연결하고 엔진플러(31)에서 당기어 와이어를 뛰워 놓는다. 연선속도는 텐셔너(12) 제동력과 플러의 견인력에 제한을 받지만 통상20-40m/분 정도를 유지하며 연선장력은 검토 결정된것을 사용하며 통상 전선 최대 사용력의 1/3이하를 표준으로하고 가급적 1/2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다음 접속공구를 점검하고 접속관내의 오염을 확인한후 전선이 벌어지지 않도록 바인드선을 감고 단말을 자른다. 이경우 소선절단기를 이용하여 철탑에 손상이 없도록 조치하며 다이스의 규격을 확인하고 200TON 콤프레셔를 사용하여 전선이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며 구부러지지 않도록 압축표시에 따라 압축하며 다이스가 밀착할때까지 정확히 압축한다. 또한 압축케이지로 검사하고 실장치를 실측하여 기록하고 표준치와 비교하여 적부를 판정하며 신장율이 부족한 경우에는 책임자의 지시에 따른다. 철심을 압축하고 알미늄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씌워 압축하기 전에 공극에 충진제를 주입한후 압축을 시행하며 공극에 알루미늄 라이나 를 채우고 전체를 압축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가 휘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크램프 압축시 가장 문제되는 것은 전선이 접속관에서 밀려나와 부풀음이 생기는 것이다. 로프를 이용하여 전선회전 방향으로 조여서 전선의 압축신장을 막도록 해야한다.
블럭통과는 1선2조 공법의 경우 현수철탑에서는 자동통과형 런닝보드를 사용하고 딸려나가는 와이어는 옆의 금차(41)에서 설치한다. 내장은 선바꿈 작업을 시행하여 런닝보드를 통과시킨다.
전선단말처리는 드럼에서 다풀린 전선이 텐셔너(55)를 넘어오기 전에 전선단말에 와이어를 가접속하여 텐셔너(55)를 넘긴후 전선단말에 금차통과형 압축인류 크램프(50) 를 장착하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단말철탑까지 연선한후 그끝을 캄아롱(5)으로 탑상 고정하고 와이어는 제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765kv 송전선로 연선공법은 기존과 달리 전선간의 연결접속이 없도록 하는 공법을 시행함으로써 운전중 단선고장의 원인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고도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고소탑상 작업량의 일부를 지상작업으로 전환하여 작업이 수월해졌고 시공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잇게 되었고, 사용자재인 전선의 실장을 계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과 사용공구 및 장비의 성능개선과 현대화로 가선작업환경을 한차원 높임으로써 765kv 송전선로 건설공사에 적합한 환경과 효율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분할연선구간의 경계철탑을 단말철탑으로 시공하고 소긴선구간에 사용할 전선은 실장을 계산하여 확보하고 연선장에는 텐셔너(권취형 연선차) 및 전동식 드럼가대를 설치하고 엔진장(권양장)에는 자동권양장치를 부착한 엔진플러(동력권양기)를 설치하고 연선용 와이어는 무염회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선작업을 하는 연선공법에 있어서, 한기 거른 내장철탑(10)에 금차통과형 인류크램프(50)를 지상에서 압축 취부하여 연선하는 전선인류 크램프 탑상접속 저감 연선공법(Semi Pre-fab 공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65kv 송전선로 연선공법.
  2. 삭제
KR10-2000-0039548A 2000-07-11 2000-07-11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KR10039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48A KR100392351B1 (ko) 2000-07-11 2000-07-11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48A KR100392351B1 (ko) 2000-07-11 2000-07-11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225A KR20010069225A (ko) 2001-07-25
KR100392351B1 true KR100392351B1 (ko) 2003-07-22

Family

ID=1967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48A KR100392351B1 (ko) 2000-07-11 2000-07-11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25B1 (ko) 2018-03-05 2018-09-04 (주)미동이엔씨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이용한 헬기 연선 공법
WO2023277657A1 (ko) * 2021-07-02 2023-01-05 김동철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5772B (zh) * 2023-07-11 2023-09-19 安徽博诺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35kV电网工程电缆敷设施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25B1 (ko) 2018-03-05 2018-09-04 (주)미동이엔씨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이용한 헬기 연선 공법
WO2023277657A1 (ko) * 2021-07-02 2023-01-05 김동철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225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1935C1 (ru)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110259246A (zh) 一种风塔用钢绞线体外拉索结构体系及其制作安装方法
KR100392351B1 (ko)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RU2461939C1 (ru)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S6267505A (ja) 架空線への光ケ−ブル布設方法
JP2850207B2 (ja) ホールプレハブ架線工法
CN212478731U (zh) 一种高海拔地区带检修平台的三回路电缆终端铁塔
JP5788033B2 (ja) 架空送電線支持構造物
JP2580672B2 (ja) 架空線の架線方法
KR102631027B1 (ko)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CN217765891U (zh) 一种预绞丝检测装置
CN214669778U (zh) 一种快速抢修用adss光缆接续金具
JPS5956806A (ja) 架空地線内における光フアイバーケーブルの引き換え方法
CN112327433A (zh) 一种adss光缆备份线夹装置
CN106384963B (zh) 软母线预制用安装装置
KR20110064513A (ko) 가공송전선로용 활차를 이용한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연선 공법
JPH0214098Y2 (ko)
Ishihara et al. Development of new type up-rating conductors with low sag
RU2594205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JP3175384B2 (ja) プレハブ架線用ドラム巻き電線
RU2594202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60099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586552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594195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59419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озвед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