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77657A1 -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77657A1
WO2023277657A1 PCT/KR2022/009542 KR2022009542W WO2023277657A1 WO 2023277657 A1 WO2023277657 A1 WO 2023277657A1 KR 2022009542 W KR2022009542 W KR 2022009542W WO 2023277657 A1 WO2023277657 A1 WO 20232776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drone
line
buil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5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ublication of WO20232776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776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Definitions

  • the coordinate points of the power lin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f the transmission line tower are measured by any measuring device (mounted with a GNSS receiver) or optical wave equipped on a drone to cut the length of the power line on the ground and compress and clamp, It relates to a transmission line twisted and long line method for connecting power lines to a shackle fixed to a plate on a steel tower.
  •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refers to a transmission line installed in the air using a structure such as a steel tower as a line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generated in a power plant to a distribution operator.
  • stranded wire construction refers to the work of connecting power lines between each steel tower and between steel towers. refers to the work of fixing the power line to the suspension insulator.
  • Stranded wire work is to wire overhead wire and power line to the steel tower after steel tower assembly work, and corresponds to the work before long wire work. , is classified as a twisted pair of power lines.
  • the semi-prefab metho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765 KV transmission lines is a method of long line work in which only part of the line is compressed.
  • the compressed man-made clamp is clamped on the ground, passed through the block,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eel tower, and stranded, and the compressed man-made clamp compressed on the ground in the built-in steel tower at both ends is insulated.
  • the above-described semi-prefab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efficiency, quality, and high safety of wiring work because there is no straight sleeve area in the span and part of the tower compression work is unnecessary.
  • the topography is rough and the transmission line is mainly located in a mountain, making accurate measurement difficult with a general surveying machine.
  • the difficulty of the surveying technology due to the topographical difficulties of the prefab method that is, the accurate measurement between the power line support points and the wire considering the length and ear of the insulator for each small conductor
  • the coordinate points of the power lin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f the transmission line tower are measured by any measuring device mounted on a drone or a light wave on the ground, but accurately cutting and It is related to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pair and long line method, which prevents power lines from being wasted by compression clamping and improves quality by ensuring that the power line compression clamping works on the ground is in good condition.
  • the power line after cutting the power line on the ground by mounting, on all built-in steel towers in the divided twisted pair section, the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shackle) fixed to the plate for fixing the power line to terminate the work.
  • the connecting member shackle
  • It is related to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pair and long line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by eliminating the compression clamping work of the power line at the top.
  •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related to a transmission line twisted and long lin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in which a worker falls during work at height connecting a power line to a transmission line pylon.
  • a second working step of connecting the compression-clamped power line to a shackle fixed to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n the built-in steel tower; provides a transmission line twisted and long line method comprising a.
  •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pair and long lin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the coordinate points of the power lin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f the transmission line tower are measured by a surveying device mounted on a drone or a light wave on the ground, and the length of the power line is cut and compressed according to mounting on the ground to prevent waste of the power line.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s and improve the quality and workability of the power line because the compression clamping condition of the power line working on the ground is good.
  • the power lines are connected to the shackle fixed to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n top of all transmission line pylons in the divided twisted pair section to complete the work,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and reducing labor costs. can be saved and the working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pair and long lin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in the long-line method shown in FIG.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plate of the steel tower in the twisted line method shown in Figure 1;
  •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tensioner of the drum field (twisted wire) through which the compression-clamped power line is passed in the long stranded wire method shown in Figure 1,
  •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ng line work of the short line section in the long line method shown in Figure 1;
  •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wire and long wir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Power line 16 to plate 14 for fixing power lines of a plurality of built-in steel towers (100, 200, 300) installed in the divided twisted section between the drum yard (A) equipped with tensioner (C) and engine yard (B) equipped with engine plug )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line twisted pair and long line method for connecting,
  • the user lifts the drone 11 by manual operation of a controller (not shown) on the ground, and the camera 10 mounted on the drone 11 (for example, a camera equipped with a function to store and transmit photographed data) can be used) moving the drone 11 to an arbitrary position above the built-in steel towers 100, 200, and 300 by checking the image (see S10);
  • a controller not shown
  • the camera 10 mounted on the drone 11 for example, a camera equipped with a function to store and transmit photographed data
  • the data of the coordinate point of the plate 14 of the built-in steel towers (100, 200, and 300) measured by steps S40 and S50 is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data storage unit on the ground, and the level of the power line 16 fixed to the neighboring built-in towers (100, 200, 300) Calculating distance and range (see S60);
  • a step of connecting the compression-clamped power line 16 to a conventional shackle 19 fixed to the power line fixing plate 14 on the built-in steel tower 100, 200, 300 (see S8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coordinate points are measured by reading the fixed points of the power line fixing plate 14 of each built-in steel tower using a light digger (not shown) on the ground, and the power line ( The horizontal distance and slope distance of 16) can be calculated.
  • the drone 11 is attached to the power line fixing plate 1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pper (stopper) (13a) to be able to maintain the height set for.
  • the above-described drone 11 has a mesh for preventing damage to internal parts (eg, a camera 10, a surveying device 17 (mounted with a GPS receiver), etc.) due to an impact generated during a f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emispherical protector 21 consisting of.
  • the aforementioned drone 11 is
  • the body 11b of the drone 11 is leveled by driving a preset program, or by receiving data input by a user on the ground and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 11 to keep it level.
  • PDA / smart phone 20 capable of receiving an OSR or SSR signal so as to correct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ate 14 for fixing the power lin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7.
  • the user remotely controls the PDA/smartphone 20 on the ground, inputs data into the PDA/smartphone 20, and inputs information values to correct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ate 14 in the GPS receiver. to be characterized
  • the order of the long line work is: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1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3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2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5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4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7 ⁇ Connecting the built-in tower No. 6; be able to connect to
  • the coordinate points of the power lin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f the transmission line tower are measured by a measuring device mounted on a drone or a light wave on the ground, but the length of the power line is mounted on the ground and cut.
  • compression clamping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waste of the power line and improving the quality and workability of the power line.
  • the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shackle fixed to the power line fixing plate on all transmission line pylons in the divided twisted pair secti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and work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드론을 이용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전력선 연결홀의 좌표점을 측량한 후, 지상에서 전력선을 재단 및 압축클램핑하여 철탑 위에서 플레이트의 샤클에 클램핑된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은 소긴선구간의 이웃한 내장철탑 사이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드론에 탑재되는 임의의 측량수단에 의해 측량 및 연산하되, 연산값에 따라 지상에서 재단된 전력선을 압축인류클램프에 의해 압축클램핑시키는 제1작업공정, 상기 압축클램핑된 전력선을 내장철탑 위에서 전력선 고정플레이트의 샤클에 연결시키는 제2작업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본 명세서는 송전선로 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전력선 연결홀의 좌표점을 드론에 탑재된 임의의 측량기기(GNSS 수신기 탑재) 또는 광파기에 의해 측량하여 지상에서 전력선 길이를 재단 및 압축클램핑하되, 철탑 위에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공송전선로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전사업자에게 송전하는 선로로서 철탑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중에 설치되는 송전선로를 의미한다.
가공송전선로 철탑 공사시 연선 공사는 전력선을 각 철탑과 철탑 사이에 연결하는 작업을 말하고, 긴선 작업이란, 연선 된 전력선을 내장형 철탑 간 에서 소정의 장력으로 인상하여 내장 애자장치에 취부하고, 현수철탑은 전력선을 현수 애자장치에 고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연선 공사는 철탑 조립공사 후에 가공지선과 전력선을 철탑에 가선하는 것으로, 긴선 작업 이전의 공사에 해당하며, 연선 공사는 와이어 연선(인력 연선과 헬기 연선의 두가지 방법이 사용됨)과, 가공지선 연선과, 전력선의 연선으로 분류된다.
765 KV 송전선 건설에 적용되고 있는 세미-프리팹(semi-prefab) 공법은 일부만 지상 압축이 이루어지는 긴선작업을 하는 공법이다. 즉 한 개의 내장 철탑을 건너서 소긴선 작업 구간별로 제작된 전력선 양단에 연선 시 지상에서 압축인류 클램프하여 블록 통과하여 양단 철탑에 취부하고 연선한 후, 양단 내장 철탑에서는 지상에서 압축한 압축인류 클램프를 애자련에 취부하고, 중간 내장 철탑에서 상탑하여 전력선에 압축인류 클램프를 압축작업을 하여 철탑에 연결하여 이도(전력선의 처짐량) 조정을 조정하면 긴선 작업이 완료되는 지상에서 일부 압축이 이루어지는 긴선공법이다.
전술한 세미-프리팹 공법은 경간 내에 직선 슬리브 개소가 없을 뿐 아니라 탑상 압축작업 일부가 불필요하므로 가선 작업의 효율성, 품질 확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세미-프리팹 공법은 송전선로의 특성상 지형이 험하고 산악에 주로 송전선로가 위치해 있어 일반 측량기로는 정확한 측량이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정확한 실장 계산이 어려워 내장철탑에 상탑하여 작업하는 공정이 50%정도 혼합이 되어 있는 세미-프리팹 공법을 아직까지도 모든 송전선로에 적용하고 있어 안전 및 품질이 완전 해소되지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에는 임의거리를 유지하는 드럼장(소위, '연선장'을 말함)과 엔진장(소위, '권양장'을 말함)사이에 임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내장철탑과 현수철탑에 전력선을 설치하는 연선 작업시, 드럼장에서 드럼장에 인접한 제1내장철탑과, 엔진장에 인접한 제3내장철탑 위치의 전력선을 압축클램프하여 전력선을 공급하고(소긴선구간을 말함), 제1내장철탑과 제3내장철탑사이의 제2내장철탑 위에서 전력선의 압축클램핑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내장철탑 위에서 전력선의 압축클램핑 작업을 다수인이 협력작업(5-6명 투입됨)을 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철탑 위에서 작업하는 전력선의 압축클램핑 상태가 불량하여 전력선이 압축클램프로부터 이탈되어 탈선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전력선의 압축클램핑 상태가 불량하여 전력선의 품질이 저하(전력선이 손상(찌그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측량기술을 도입하여, 프리팹 공법의 지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나타내는 측량기술의 난제점, 즉 전력선 지지점 간의 정확한 측량과 소도체별로 애자련의 길이 및 이도 등을 고려한 전선 실장, 블록 통과 등으로 인한 실장 등을 정밀하게 연산하여 전선 제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송전선로 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전력선 연결홀의 좌표점을 드론에 탑재된 임의의 측량기기 또는 지상에 있는 광파기에 의해 측량하되, 지상에서 전력선 길이를 정확하게 재단 및 압축클램핑하여 전력선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상에서 작업하는 전력선 압축클랭핑 상태가 양호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지상에서 전력선을 실장으로 재단한 후, 분할연선구간의 모든 내장철탑 위에서는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샤클)에 전력선을 연결하여 작업을 종료시킴에 따라 철탑 상부에서 전력선의 압축클램핑 작업이 일체 불필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전력선을 송전선로 철탑에 연결하는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추락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텐셔너가 구비되는 드럼장과 엔진플러가 구비되는 엔진장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소긴선구간의 이웃한 내장철탑 사이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드론에 탑재되는 임의의 측량수단에 의해 측량 및 연산하되, 연산값에 따라 지상에서 전력선을 실장으로 재단 및 재단된 전력선을 압축인류클램프에 의해 압축클램핑시키는 제1작업공정;
상기 압축클램핑된 전력선을 상기 내장철탑 위에서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연결시키는 제2작업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텐셔너가 구비되는 드럼장과 엔진플러가 구비되는 엔진장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드론을 내장철탑의 상부 임의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드론의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를 상기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결합시키는 단계;
지상에서 상기 드론에 탑재된 임의의 측량기기에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시켜 전력선이 고정되는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의 좌표점을 측량하는 단계;
측량된 좌표점의 데이터를 저장 및 지상의 데이터저장부에 전송하여 이웃한 내장철탑에 고정되는 전력선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지상에서 연산값에 따라 상기 전력선 길이를 재단 및 상기 전력선을 압축인류클램프를 이용하여 압축클램핑하는 단계;
압축클램핑된 상기 전력선을 상기 내장철탑 위에서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송전선로 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전력선 연결홀의 좌표점을 드론에 탑재된 측량기기 또는 지상의 광파기에 의해 측량하되, 지상에서 전력선 길이를 실장에 따라 재단 및 압축클램핑하여 전력선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재비용을 줄이고, 지상에서 작업하는 전력선 압축클랭핑 상태가 양호하여 전력선의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지상에서 전력선을 재단 및 압축클램핑시킨 후, 분할연선구간의 모든 송전선로 철탑 위에서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전력선을 연결하여 작업을 종료시킴에 따라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을 줄여 인건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선을 송전선로 철탑에 연결하여 압축하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되는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의 작업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선 긴선 공법에서, 드론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선 긴선 공법에서, 철탑의 플레이트에 전력선 연결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선 긴선 공법에서, 압축클램핑된 전력선이 통과되는 드럼장(연선장)의 텐셔너의 도면대용 사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선 긴선 공법에서, 소긴선구간의 연선, 긴선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의 작업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카메라
11; 드론
11a; 날개
11b; 본체
13; 가이드 바
13a; 스토퍼
14;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
15; 결합홀
16; 전력선
17; 측량기기
18; 압축인류클램프
19; 샤클(shackle)
20; PDA/스마트폰
21; 보호구
22; 수평유지구
100,200,300; 내장철탑
400; 현수철탑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은
텐셔너(C)(권취형 연선차를 말함)가 구비되는 드럼장(A)과, 엔진플러(동력권양기를 말함)가 구비되는 엔진장(B)(권양장을 말함)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철탑(100,200,300)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전력선(16)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소긴선구간의 이웃한 내장철탑(100,200,300) 사이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드론(11)에 탑재되는 임의의 측량수단(GNSS 수신기 탑재) 또는 지상에서 광파기(미 도시)에 의해 사거리 및 수평거리를 측량 및 연산하되, 연산값에 따라 지상(공장을 말함)에서 전력선(16)을 실장으로 재단 및 재단된 전력선(16)을 압축인류클램프(18)에 의해 압축클램핑시키는 제1작업공정(S1000);
압축클램핑된 전력선을 내장철탑(100,200,300) 위에서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고정되는 샤클(19)에 연결시키는 제2작업공정(S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은
텐셔너(C)가 구비되는 드럼장(A)과 엔진플러가 구비되는 엔진장(B)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철탑(100,200,300)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전력선(16)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사용자가 지상에서 컨트롤러(미 도시)의 수동 조작으로 인해 드론(11)을 부양시키되, 드론(11)에 탑재된 카메라(10)(일 예로서, 촬영한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의 영상 확인에 의해 드론(11)을 내장철탑(100,200,300)의 상부 임의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참조);
드론(11)의 레이저 발사기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전력선(16) 연결점을 찾는 단계(S20 참조)(즉 레이저 빔에 의해 고정점을 가리키면 바로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드론(11)의 본체(11b)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13)를 내장철탑(100,200,300)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형성되는 결합홀(15)에 결합시키는 단계(S30 참조);
지상에서 드론(11)에 탑재된 임의의 측량기기(17)에 임의의 데이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송시켜 전력선(16)이 고정되는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의 좌표점을 측량하는 단계(S40 참조);
드론(11)을 인접한 내장철탑(100,200,300) 상부에 이동시켜 S20, S30 및 S40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플레이트(14)의 좌표점을 측량하는 단계(S50 참조)
S40 및 S50 과정에 의해 측량된 내장철탑(100,200,300)의 플레이트(14)의 좌표점의 데이터를 저장 및 지상의 데이터저장부에 전송하여 이웃한 내장철탑(100,200,300)에 고정되는 전력선(16)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연산하는 단계(S60 참조);
지상에서 연산값에 따라 전력선(16) 길이를 재단 및 전력선(16)을 통상의 압축인류클램프(18)를 이용하여 압축클램핑하는 단계(S70 참조);
압축클램핑된 전력선(16)을 내장철탑(100,200,300) 위에서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고정되는 통상의 샤클(19)에 연결시키는 단계(S80 참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지상에서 광파기(미 도시)를 이용하여 각각의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의 고정점을 읽어 좌표점을 측량하고, 이웃한 내장철탑을 연속적으로 측량하여 전력선(16)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가이드 바(13)의 외측면 하부 임의위치에 형성되고, 가이드 바(13)를 결합홀(15)에 결합시 드론(11)이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에 대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1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드론(11)은 추락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내부 부품(일 예로서, 카메라(10), 측량기기(17)(GPS 수신기 탑재) 등을 말함)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mesh)로 이루어지는 반구 형태의 보호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드론(11)은
드론(11)의 본체(11b)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게 되거나 또는 지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드론(11)의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측량기기(17)에 의해 측량한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14)의 좌표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OSR 또는 SS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PDA/스마트폰(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지상에서 PDA/스마트폰(20)을 원격조정하여 데이터를 PDA/스마트폰(20)에 입력하여 GPS수신기에 플레이트(14)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해 정보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모든 내장철탑에 대해 연선이 완료되는 경우, 모든 내장철탑에 대해 금구류를 취부하고 지상에서 전력선(16)에 압축된 압축인류클램프(18)를 금구류에 연결하는 긴선 작업을 하게 된다.
긴선 작업 순서는 1호 내장철탑 연결 → 3호 내장철탑 연결 → 2호 내장철탑 연결 → 5호 내장철탑 연결 → 4호 내장철탑 연결 → 7호 내장철탑 연결 → 6호 내장철탑.....순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송전선로 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전력선 연결홀의 좌표점을 드론에 탑재된 측량기기 또는 지상의 광파기에 의해 측량하되, 지상에서 전력선 길이를 실장하여 재단 및 압축클램핑함에 따라 전력선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선의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상에서 전력선을 재단 및 압축클램핑시킨 후, 분할연선구간의 모든 송전선로 철탑 위에서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전력선을 연결함에 따라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선을 송전선로 철탑에 연결하여 압축하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텐셔너가 구비되는 드럼장과 엔진플러가 구비되는 엔진장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소긴선구간의 이웃한 내장철탑 사이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드론에 탑재되는 임의의 측량수단에 의해 측량 및 연산하되, 연산값에 따라 지상에서 전력선을 실장으로 재단 및 재단된 전력선을 압축인류클램프에 의해 압축클램핑시키는 제1작업공정(S1000);
    상기 압축클램핑된 전력선을 상기 내장철탑 위에서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연결시키는 제2작업공정(S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2. 텐셔너가 구비되는 드럼장과 엔진플러가 구비되는 엔진장 사이의 분할연선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한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에 적용되고,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드론을 상기 내장철탑의 상부 임의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드론의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를 상기 내장철탑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결합시키는 단계(S20);
    지상에서 상기 드론에 탑재된 임의의 측량기기에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시켜 전력선이 고정되는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의 좌표점을 측량하는 단계(S30);
    상기 드론을 인접한 내장철탑 상부에 이동시켜 S20 및 S30 과정을 반복하여 플레이트의 좌표점을 측량하는 단계(S40);
    측량된 좌표점의 데이터를 저장 및 지상의 데이터저장부에 전송하여 이웃한 내장철탑에 고정되는 전력선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연산하는 단계(S50);
    지상에서 연산값에 따라 상기 전력선 길이를 재단 및 상기 전력선을 압축인류클램프를 이용하여 압축클램핑하는 단계(S60);
    압축클램핑된 상기 전력선을 상기 내장철탑 위에서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샤클에 연결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외측면 하부 임의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를 상기 결합홀에 결합시 상기 드론이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에 대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추락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내부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로 이루어지는 반구 형태의 보호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의 본체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게 되거나 또는 지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의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측량기기에 의해 측량한 상기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의 좌표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OSR 또는 SS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PDA/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상에서 상기 PDA/스마트폰을 원격조정하여 데이터를 상기 PDA/스마트폰에 입력하여 GPS수신기에 정보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내장철탑에 고정되는 전력선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 연산은
    지상에서 광파기를 이용하여 철탑 각각의 전력선 고정용 플레이트의 고정점을 읽어 좌표점을 측량하되, 이웃한 철탑을 연속적으로 측량하여 상기 전력선의 수평거리 및 사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PCT/KR2022/009542 2021-07-02 2022-07-01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WO20232776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441 2021-07-02
KR20210087441 2021-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657A1 true WO2023277657A1 (ko) 2023-01-05

Family

ID=8469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542 WO2023277657A1 (ko) 2021-07-02 2022-07-01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6761A (ko)
WO (1) WO20232776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351B1 (ko) * 2000-07-11 2003-07-2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JP2014180171A (ja) * 2013-03-15 2014-09-25 Kandenk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への複数ケーブルの一括延線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延線工法
KR101552589B1 (ko) * 2015-06-12 2015-09-14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KR20180050157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US20190218076A1 (en) * 2018-01-16 2019-07-18 Quanta Associate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and tensioning an aerial rope through a traveler of a power l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351B1 (ko) * 2000-07-11 2003-07-2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JP2014180171A (ja) * 2013-03-15 2014-09-25 Kandenk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への複数ケーブルの一括延線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延線工法
KR101552589B1 (ko) * 2015-06-12 2015-09-14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KR20180050157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US20190218076A1 (en) * 2018-01-16 2019-07-18 Quanta Associate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and tensioning an aerial rope through a traveler of a power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761A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0192A1 (ko)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측량 장치 및 방법
WO2017018845A1 (ko) 포스트텐션 긴장력 컨트롤 시스템
CN102431090B (zh) 光纤光栅预制梁预应力智能张拉控制系统和实现方法
WO2023277657A1 (ko) 송전선로 연선, 긴선 공법
CN109269704A (zh) 斜拉桥的索力测量系统及方法、施工监测系统及方法
KR101314638B1 (ko) 휴대용 윈치를 이용한 전력선 긴선 공법
CN102347596A (zh) 一种8分裂导线紧挂线及附件安装方法
CN108414130A (zh) 电缆敷设牵引力测量设备
CN113903154A (zh) 一种防触碰输电线的报警方法及系统
WO2010071260A1 (ko) 초고층 건물의 방재 시스템 및 방법
CN201794010U (zh) 捣固车光电测量系统
WO2017188716A1 (ko) 다축센서를 이용한 거동 측정 및 유지보수 방법
CN103628918B (zh) 公路隧道照明工程施工方法
WO2011043556A2 (ko) 전차선로의 고장점 표정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132180A (zh) 长大隧道内施工时的通讯系统及其搭建方法
CN211089984U (zh) 长大隧道内施工时的通讯系统
CN215053222U (zh) 简易快速预制管廊首节段安装定位结构
CN220746596U (zh) 临时索夹及使用临时索夹的悬索桥起梁孔钢箱梁合龙装置
KR100392351B1 (ko) 765kv 송전선로의 연선공법
CN208762891U (zh) 一种钢丝绳调节装置及桥面索道施工设备
CN210380133U (zh) 一种网络工程用分线盒
CN215256197U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盾尾间隙监测装置
CN114575245B (zh) 一种空间主缆悬索桥扶手绳的施工方法
CN219843654U (zh) 一种钢绞线穿束可视化装置
CN208206186U (zh) 识别电缆的信息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337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