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78B1 - 응축수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78B1
KR102630878B1 KR1020230039469A KR20230039469A KR102630878B1 KR 102630878 B1 KR102630878 B1 KR 102630878B1 KR 1020230039469 A KR1020230039469 A KR 1020230039469A KR 20230039469 A KR20230039469 A KR 20230039469A KR 102630878 B1 KR102630878 B1 KR 10263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sensor
pump
heat exchanger
recover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23003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6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6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low or high water level, e.g. for checking, suppressing, extinguishing combustion in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7/00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 F22D7/06Rotary devices, e.g. propellers
    • F22D7/08Arrangements of pumps, e.g. outside th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7/00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 F22D7/12Control devices

Abstract

응축수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응축수 회수 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고압의 증기를 발생하는 보일러 본체에 연결되어 증기가 이동 공급되는 증기 공급 라인과, 증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열교환 작용후 발생된 응축수가 회수되는 응축수 회수라인과, 응축수 회수라인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회수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 펌프와, 응축수 회수 라인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센싱하는 응축수 센서와, 응축수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응축수의 발생 상태로 확인되면 응축수 펌프를 구동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축수 회수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DRAIN}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열교환 작용으로 발생된 응축수의 발생 상태의 확인 및 배출이 가능한 응축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함에 따라 얻어지는 고압의 증기는 실내의 난방, 세탁소, 봉제공장, 취사장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증기는 통상 증기 보일러에 의해 얻어진다.
종래의 장치인 특허 제613397호에는 보일러의 상부에 증기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기 공급관의 끝단에는 열 교환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열 교환기의 타단에는 증기가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을 이루고 남에 따라 발생되는 응축수를 회수하는 응축수 회수관이 연결되어있는데, 이때 응축수 회수관 상에는 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응축수의 회수는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정확하게 센싱하기 용이하지 않아 응축수의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10-207669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일러 작동에 의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작용 후 발생된 응축수의 센싱 및 적절한 배출이 가능한 응축수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을 가열하여 고압의 증기를 발생하는 보일러 본체에 연결되어 증기가 이동 공급되는 증기 공급 라인과, 증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열교환 작용후 발생된 응축수가 회수되는 응축수 회수라인과, 응축수 회수라인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회수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 펌프와, 응축수 회수 라인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센싱하는 응축수 센서와, 응축수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응축수의 발생 상태로 확인되면 응축수 펌프를 구동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응축수 센서는, 응축수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는, 응축수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응축수 펌프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응축수 센서는, 응축수 회수라인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 온도 미만이면 응축수 펌프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 본체의 작동에 의한 열교환기의 열교환 작용으로 발생된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여, 제어부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발생 상태에서 응축수 펌프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응축수의 효과적인 회수 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가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100)는, 물(11)을 가열하여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본체(10)와, 보일러 본체(10)에 연결되어 증기가 이동 공급되는 증기 공급 라인(20)과, 증기 공급 라인(20)에 설치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30)와, 열교환기(30)에 연결되어 열교환 작용후 발생된 응축수가 회수되는 응축수 회수라인(40)과, 응축수 회수라인(40)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회수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 펌프(70)와, 응축수 회수 라인(40)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센싱하는 응축수 센서(50)와, 응축수 센서(5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응축수의 발생 상태로 확인되면 응축수 펌프(70)를 구동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일러 본체(10)는 설치 공간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가열원이 설치되어 물(11)을 가열하여 고압의 증기가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일러 본체(10)의 작동 및 내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이하에서 생략한다.
이러한 보일러 본체(10)에는 물의 가열에 따라 발생된 고압 증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증기 공급 라인(20)이 설치될 수 있다.
증기 공급 라인(20)은 일측은 보일러 본체(10)에 연결되고 타측은 긴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고압 증기가 열교환기(30)로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증기 공급 라인(20)에 설치되어 고압 증기를 공급 받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의 난방, 세탁소, 봉제 공장 또는 취사장 등과 같이, 소정의 열교환 대상에 열교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30)는 실내의 난방, 세탁소, 봉제 공장 또는 취사장 등의 소정의 열교환 대상에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증기 공급 라인(20)에서 공급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열교환 대상과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증기 공급 라인(20)에 단일개로 설치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열교환기(30)는 증기 공급 라인(20)에 단일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교환 대상의 변경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변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열교환기(30)에는 고압 증기에 의해 열교환 대상과 열교환 작용이 발생된 상태에서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열교환기(30)에 연결된 응축수 회수 라인(40)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응축수 회수 라인(40)은 일측은 열교환기(30)에 연결되고 타측은 긴 길이로 연장되는 것으로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회수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회수 라인(40)에는 응축수 펌프(70)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수 펌프(70)는 응축수 회수 라인(40)에 설치되어 응축수 발생 상태로 확인되면 후술하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응축수를 펌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 회수 라인(40)에는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센싱하는 응축수 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수 센서(50)는 열교환기(30)의 작동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된 상태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할 수 있다.
응축수 센서(50)는 본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50)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응축수 센서와 온도 센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온도 센서(50)는 열교환기(30)와 응축수 펌프(7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열교환기(30)와 응축수 펌프(70)의 사이 위치의 응축수 회수라인(40)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50)는 열교환기(30)와 응축수 펌프(70)의 사이에서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응축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으로, 응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인지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온도 센서(50)의 센싱 신호를 전송 받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온도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온도 센서(50)의 센싱 신호를 전송 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60)는 온도 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6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50)의 센싱 신호를 송신받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변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온도 센서(50)를 통해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의 응축수의 온도를 전송받아, 응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센싱된 응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열교환기(30)의 작동을 통해 응축수가 충분하게 생성된 것으로 확인하여, 응축수 펌프(7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수 펌프(70)는 열교환기(30)에서 실내의 난방, 세탁소, 봉제 공장 또는 취사장 등의 소정의 열교환 대상 위치에서 열교환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적절하게 펌핑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 회수 라인(40)을 통해 회수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부(8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응축수 회수 장치(100)는, 보일러 본체(10)의 작동에 의한 열교환기(30)의 열교환 작용으로 발생된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60)는 응축수의 발생 상태에서 응축수 펌프(7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응축수의 효과적인 회수 배출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200)의 응축수 센서(150)는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응축수 센서와 압력 센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압력 센서(150)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하여 응축수 회수라인(40)를 통해 이동되는 응축수를 센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 압력 센싱에 의해 응축수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센서(150)의 센싱 신호는 제어부(60)로 전송되 수 있다.
제어부(60)는 압력 센서(150)의 압력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열교환기(30)와 응축수 펌프(70)의 사이에 설치된 응축수 회수라인(4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에 응축수가 충분하게 생성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응축수 펌프(70)를 적절하게 구동 제어하는 바, 응축수의 효과적인 펌핑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회수 장치(300)의 응축수 센서(250)는, 응축수 회수라인(40)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150) 및 열교환기(30)의 작동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된 상태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온도 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수 센서(50)는 압력 센서(150)와 온도 센서(50)를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응축수 회수 라인(40)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미만이고,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응축수 발생을 확인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응축수 펌프(70)를 적절하게 구동 제어하는 바, 응축수의 효과적인 펌핑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보일러 본체 11...물
20...증기 공급 라인 30...열교환기
40...응축수 회수 라인 50, 150, 250...응축수 센서
60...제어부 70...응축수 펌프
80...응축수 저장부

Claims (5)

  1. 물을 가열하여 고압의 증기를 발생하는 보일러 본체에 연결되어 증기가 이동 공급되는 증기 공급 라인;
    상기 증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열교환 작용후 발생된 응축수가 회수되는 응축수 회수라인;
    상기 응축수 회수라인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회수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 펌프;
    상기 응축수 회수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의 발생 상태를 센싱하는 응축수 센서; 및
    상기 응축수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응축수의 발생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응축수 펌프를 구동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센서는 상기 열교환기와 응축수 펌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 회수라인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센싱된 응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교환기의 작동을 통해 응축수가 충분하게 생성된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응축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응축수 센서는 상기 응축수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수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응축수 펌프를 구동 제어하는 응축수 회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9469A 2023-03-27 2023-03-27 응축수 회수 장치 KR10263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469A KR102630878B1 (ko) 2023-03-27 2023-03-27 응축수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469A KR102630878B1 (ko) 2023-03-27 2023-03-27 응축수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78B1 true KR102630878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469A KR102630878B1 (ko) 2023-03-27 2023-03-27 응축수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8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19Y1 (ko) * 2005-03-31 2005-06-17 한솔자동화 주식회사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KR102076696B1 (ko) 2018-03-16 2020-02-13 이지성 폐쇄회로 순환식 증기보일러의 압력이 다른 응축수 회수장치
JP2020118305A (ja) * 2019-01-18 2020-08-06 東京瓦斯株式会社 蒸気熱交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19Y1 (ko) * 2005-03-31 2005-06-17 한솔자동화 주식회사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KR102076696B1 (ko) 2018-03-16 2020-02-13 이지성 폐쇄회로 순환식 증기보일러의 압력이 다른 응축수 회수장치
JP2020118305A (ja) * 2019-01-18 2020-08-06 東京瓦斯株式会社 蒸気熱交換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757B2 (ja) パワープラントで燃料を予熱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06205B1 (ko) 스팀 발생장치
US7360328B2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iron us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KR102076696B1 (ko) 폐쇄회로 순환식 증기보일러의 압력이 다른 응축수 회수장치
JP5008134B2 (ja) 給水予熱ボイラ
KR100613397B1 (ko)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의 급수장치
KR102630878B1 (ko) 응축수 회수 장치
US20090283057A1 (en) Hot-Water Supplying System of Boiler Equipped With Dual Pipe Heat Exchanger
JP6359321B2 (ja) 真空式温水機
JP2016038176A (ja) ドレン回収装置
JP6277683B2 (ja) ボイラシステム
KR200367359Y1 (ko) 스팀보일러의 급수장치
JP2014043963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18109474A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ES2184325T3 (es) Procedimiento para reestablecer el nivel de agua en la caldera de maquinas generadoras de vapor.
JP2021063619A (ja) ボイラの制御装置
KR101458324B1 (ko) 증기보일러용 증기재생기
KR100685447B1 (ko) 스팀 난방장치의 워터해머에 의한 스팀코일의 파손방지장치
JP2017058033A (ja) フラッシュ蒸気回収装置
JP2009079845A (ja) 給水加熱器及び発電プラント
KR20190046535A (ko) 진공증류식 폐액재생장치
KR100424899B1 (ko) 폐쇄회로 온수보일러시스템의 스팀발생장치
JP6003601B2 (ja) 高温水生成装置
KR101458325B1 (ko) 증기보일러용 증기재생기
JP4870471B2 (ja) 遠隔操作を行う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