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19Y1 -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19Y1
KR200387119Y1 KR20-2005-0008865U KR20050008865U KR200387119Y1 KR 200387119 Y1 KR200387119 Y1 KR 200387119Y1 KR 20050008865 U KR20050008865 U KR 20050008865U KR 200387119 Y1 KR200387119 Y1 KR 200387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pressure
steam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구
Original Assignee
한솔자동화 주식회사
이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자동화 주식회사, 이인구 filed Critical 한솔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의 효율적인 사용방안에 대한 것으로 증기의 절약요소를 세가지 측면으로 고려하여 고안한 것이다.
첫째, 폐열열교환기 없이 현열회수의 증대를 목표로 한 것으로 증기의 열량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존의 열교환기로 종래보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즉, 잠열은 물론 보다 많은 현열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열교환기의 전열면적은 20% ~ 30%의 여유가 전제조건이지만 대부분의 기존열교환기가 이를 충족시키고 있다.
둘째, 응축수회수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인 "고온/저압"을 그 역인 "저온/고압"회수로 바꾸어서 열방산손실(Radiation loss)을 줄이고 제반 물리적 악조건을 차단한다.
셋째, 응축수 이송을 가압장치(펌프)없이 원거리에 있는 보일러실까지 증기의 자체운동력(Self-dynamic)을 이용해서 무동력으로 응축수를 이송하는 증기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기술이다.
상기한 세 가지 요소의 실현은 기존의 중력식인 "고온/저압"회수의 모든 불리한 요소를 완전히 제거한 사실상 증기/응축수 회수 사이클(Cycle)과정의 획기적 진보라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와, 이 증기가 열교환 할 때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전열면적이 소정의 증기와 응축수 비율로 분리 자동제어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피가열체 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열교환기 하부의 응축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응축수 제어밸브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기설정된 목적온도를 비교하고, 비교값에 따라 응축수 제어밸브에 개폐량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된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에 의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고, 수용된 응축수에서 재증발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된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응축수 탱크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를 기준으로 응축수 탱크 측 배관압력이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 보다 비교적 낮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의 차압수단을 포함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Condensation-water recovery system}
본 고안은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으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기 내에서 현열회수를 증대시키고 증기트랩을 통한 생증기유출, 공동현상에 의한 물리마모와 그로 인한 증기유출의 가속화와 개방식 응축수 탱크에서의 재증발 원인 등을 차단하고, 응축수 제어밸브를 통과한 응축수가 고압임으로 중간 가압장치없이 보일러에 근접해 있는 응축수 집수탱크 등 까지 장거리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식 보일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에서 발생된 증기는 감압밸브에서 감압된 증기가 열교환기(2)내에서 응축이 일어나면서 비교적 높은 온도와 낮은 압력의 응축수 형태로 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2)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열교환기(2) 하단에 설치된 ON/OFF 형식의 트랩(3)이라고 하는 일종의 기수분리기를 거쳐 대기압상태로 회수하게 되는데, 이때, 트랩(3)이 대부분 ON/OFF식이기 때문에 생증기(Fresh steam)유출과 심한 압력강하로 인한 후래싱(Flashing) 내지 공동현상(Cavitation)과 재증발이 응축수 배관내에서도 발생하여 응축수와 증기가 혼합된 상태로 응축수 탱크(4)로 흘러 들어가는 형식이 되며, 이것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는 응축수 가압장치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 증기를 응축수에서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에너지 손실이 뒤따르게 된다.
즉, 증기와 응축수가 혼합된 상태로 배관을 통과하게 되어 라인상에도 방열손실이 발생하고 개방된 응축수 탱크(4)로 유입되며 그것이 고온일 경우에는 100℃로 되면서 재증발증기가 배출관(5)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이것을 회수한다 해도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중력식에서 사용되는 트랩은 전량 수입품이고 소모성 제품으로 교체, 보수유지비 등을 감안할 때 비경제적이며, 중력식에서는 공기의 침입이 있는 경우가 많아 열교환기나 응축수 라인상에 이 공기를 중심으로 한 포켓이 이루어지고 이곳을 중심으로 응축과 팽창이 반복될 때 초기에는 노킹(knocking)으로 시작되나 이것이 점점 확대되면서 수격현상(hammering)으로 발전하게 되어 열장비와 배관에 심각한 충격을 주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중력식에서는 열장비 내에서의 응축가열은 피가열물에 증기의 잠열만 전달되고, 현열은 응축수상태로 회수하게 되므로, 포화상태 또는 고온/고압상태에 있는 응축수가 고온/저압으로 급격하게 압력이 강하된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기포의 발생과 붕괴현상이 발생하며, 이때, 충격파를 수반하면서 진동과 물리적인 마모가 발생하는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고온/고압의 응축수가 트랩(3)을 통과하면서 포화압력 이하로 떨어질 때 증기가 액체상태로 환원되지 않고 기체상태를 유지하는 플래싱(Flashing)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기체를 제거해야 이송펌프가 가압이 가능하므로 증기배출에 따른 에너지 손실과 플래싱 현상부분에서의 심한 물리마모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어 에너지 손실과 설비손실에 비경제적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응축수 탱크를 압력식 내지 차압식으로 증기공급 측과 응축수 탱크측이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게 하여 응축수회수를 "고온/저압"회수에서 그 역인 "저온/고압"회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보일러(101)와; 상기 보일러(101)에서 발생된 증기와, 이 증기가 열교환 할 때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전열면적이 소정의 증기와 응축수 비율로 분리 자동제어되는 열교환기(104)와; 상기 열교환기(104)의 피가열체 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04)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5)와; 상기 열교환기(104) 하부의 응축수 배출관(108)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응축수 제어밸브(109)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05)에서 감지된 온도와 기설정된 목적온도를 비교하고, 비교값에 따라 응축수 제어밸브(109)에 개폐량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된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109)에 의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고, 수용된 응축수에서 재증발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된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응축수 탱크(110)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기준으로 응축수 탱크(110) 측 배관 압력이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 보다 비교적 낮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의 차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의 차압수단은, 상기 보일러(101)와 열교환기(104)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공급하는 인입관(111)의 소정 위치와 응축수 탱크(1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가압조절관(112)에 결합되어 보일러(101) 측 배관의 압력을 응축수 탱크(110)로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가압밸브(113)와; 상기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응축수 탱크(110)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차압조절관(114)에 결합되어 압력을 배기 또는 차단하는 차압밸브(115)와; 상기 가압조절관(112)의 가압밸브(113) 양측에 차압측정관(116)을 각각 연결하여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기준으로 응축수 탱크(110) 측 배관압력과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의 차를 측정하도록 된 차압센서(117)와; 상기 차압센서(117)로부터 측정된 가압밸브(113) 양측의 압력차의 값을 수신하여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수위가 조절되도록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차압밸브 콘트롤러(1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1)와 열교환기(104)를 연결하는 인입관(111)과, 열교환기(104)의 응축수 배출관(108)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104)가 병렬로 연결되어, 열교환기(104)의 응축수가 출구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104)의 총전열면적은 부하가 100%의 전열을 요구할 경우 130%의 전열면적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이 버너에 의해 가열되면 증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보일러(101)와 이 보일러(101)와 각종 열장비(열풍기, 온수열교환기, 각종 반응기 등)로 활용되는 통상의 열교환기(104) 사이에는 보일러(101)의 증기가 열교환기(104)로 공급되게 하는 인입관(111)이 배관되고, 이 인입관(111)에는 헤더(102)(Header)와 감압밸브(103)가 설치되어 보일러(101)에서 공급되는 포화증기 및 가열증기가 헤더(102)(Header)와 감압밸브(103)를 경유하여 열교환기(104)로 공급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104)의 하부에는 열교환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응축수 배출관(108)이 결합되며, 열교환기(104)의 피가열체 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105)가 설치되어 열교환시에 피가열물에 전달된 온도를 감지하게 되어 있으며, 이 온도감지센서(105)는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온도가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기설정된 목적온도와 감지된 온도가 비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는 열교환기(104)에서 발생하는 열이 목적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105)에서 감지한 온도에 따라 응축수 배출관(108)에 결합된 응축수 제어밸브(109)의 개폐 및 개폐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응축수 제어밸브(109)로 전송하여 열교환기(104)에 수용된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관(108) 및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열교환기(104)의 내부온도 및 피가열체 측으로 발산되는 열(외부온도)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온도감지센서(105)에서 감지한 온도가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기설정된 목적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되어 열교환기(104)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도록 개방 제어신호를 응축수 제어밸브(109)로 전송하고, 온도감지센서(105)에서 감지한 온도가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기설정된 목적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는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감소되도록 개방 제어신호를 응축수 제어밸브(109)로 전송하여 열교환기(104)의 내부온도가 강하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108)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거리의 응축수 배출관(108)을 지나 보일러실에 설치된 밀폐식 응축수 탱크(110)로 유입되는 바, 그 과정에서 후래싱(Flashing), 공동현상(Cavitation), 재증발(Evaporation)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응축수 탱크(110) 측의 압력이 공급증기 측의 압력보다 적당히 낮게 설정되어야 하며, 또한, 공급증기 압력의 변동에 대응하여 압력변화가 되도록 차압조절 루프(Loop)를 구성하여 증기압 변동에 대한 온도외란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경계로 열교환기(104)와 인입관(111)의 감압밸브(103)까지의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보다 응축수 제어밸브(109) 하단의 응축수 배출관(108)과 응축수 탱크(110)까지의 응축수 탱크(110) 측 배관압력이 비교적 낮게 하는 배관의 차압수단을 제공하여 응축수의 압력은 높고 온도는 낮게 응축수가 회수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배관의 차답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4)와 감압밸브(103) 사이에 설치되는 인입관(111)의 소정위치와 밀폐형으로 이루어진 응축수 탱크(110) 상부 소정위치를 가압조절관(112)으로 연결하여 인입관(111)의 압력이 응축수 탱크(110)로 유입되도록 하되, 가압조절관(112)에는 가압밸브(113)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개폐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 탱크(110) 상부 소정위치에는 차압조절관(114)을 결합시켜 응축수 탱크(1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되, 필요시에만 개폐되어 대기와 유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조절관(112)에 설치된 가압밸브(113)의 상단(인입관(111)의 압력이 유지되고 있는 배관의 소정위치)과 응축수 탱크(110) 또는, 가압밸브(113)의 하단(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이 유지되고 있는 배관의 소정위치)에 차압측정관(116)을 도 2와 같이 설치하고, 이 차압측정관(116)에는 차압센서(117)를 설치하여 인입관(111)의 압력과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차를 검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압센서(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압센서(117)에 의해 검출된 인입관(111)의 압력과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차(이하, 배관의 압력차라 함)를 수신하여 설정된 압력차와 비교하고, 인입관(111)과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압밸브 콘트롤러(118)가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증기공급 측 배관과 응축수 배출관(10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열교환기(104) 및 온도감지센서(105), 응축수 제어밸브(109),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가 병렬로 결합되도록 하여, 각각의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기준으로 인입관(111)과 응축수 탱크(110) 측 배관압력차가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의 개폐동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을 도 2를 참조하되, 본 고안을 시뮬레이션한 레포트를 참조하고 그 값을 실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보일에서 7㎏/㎠, 170℃의 포화증기를 발생시켜 헤더(102)(Header)를 거쳐 인입관(111)에 설치된 감압밸브(103)에서 6㎏/㎠로 감압된 증기가 수동차단밸브를 거쳐 열교환기(104)로 공급됨으로써 열교환기(104)에서 열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 열교환기(104)에서 발생하는 열은 부하와 교환됨으로써 냉각되며, 이때, 냉각되는 증기는 응축수의 형태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04)는 부하가 100%의 열을 요구할 경우 100%의 전열면적은 증기가 점유하고 30%의 전열면적은 현열상태의 응축수가 점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응축수 제어밸브(109)가 제어된다.
이때, 열량은 적지만 고온상태에 있는 응축수는 피 가열물인 부하와 열교환을 하게 되어 응축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한편, 부하가 50%의 열(공정온도)만을 요구하게 되면 응축수 제어밸브(109)는 공정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응축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바, 이에 따라 열교환기(104) 내의 응축수량은 80%의 전열면적을 점유하고, 증기는 50%의 전열면적을 점유하게 한다.
즉, 부하가 요구하는 열 요구량(공정온도 요구량)이 10% 증가하면 응축수 배출량을 10% 증가시키고, 부하가 요구하는 열 요구량이 20% 감소하면 응축수 배출량을 20% 감소시켜 열교환기(104) 내에 잔류하는 응축수의 양에 따라 부하가 요구하는 공정온도(열 요구량)을 충족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부하가 요구하는 응축수량(증기량과 동일)은 그 결과가 온도이므로 그 온도와 제어 파라메타에 관한 데이타가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온도감지센서(105)에 의한 실질적으로 공급되는 공정온도 감지 ->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107)에 의한 응축수 배출량 제어신호 발생 -> 응축수 배출량 제어신호에 따른 응축수 제어밸브(109)의 밸브개폐동작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부하의 요구에 응하여 열교환기(104)내에서 증기와 응축수의 전열면적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부하의 요구량(열 요구량)이 100%일 경우 약 166℃로 열교환기(104)로 공급된 증기는 부하와 열교환되어 약 85℃의 응축수로 배출될 수 있으며, 50%의 열 요구량일 경우에는 약 75℃ 이하의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의 응축수 온도는 피가열물의 인입온도와 열교환기(104)의 전열면적 여유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04) 하단에서 6㎏/㎠의 압력으로 공급되던 응축수는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통과하면서 2㎏/㎠가 감압되므로 응축수 탱크(110) 측의 배관 압력이 4㎏/㎠가 되어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기준으로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차압제어되어 저온/고압의 형태로 응축수가 응축수 탱크(110)에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압력의 급격한 강하가 없기 때문에 공동현상이나 플래싱현상, 재증발현상이 없어 응축수를 회수하는 배관상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증기나 가스가 존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기준으로 응축수가 회수되는 배관상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게 하기 위한 배관의 차압수단의 작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압력차는 2㎏/㎠로 설정하였을 경우, 가압조절관(112)은 인입관(111)과 응축수 탱크(11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가압조절관(112)에는 가압밸브(113)를 기준으로 상부는 6㎏/㎠의 인입관(111) 측 압력과 하부는 4㎏/㎠의 응축수 탱크(110) 측의 압력이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조절관(112)과 응축수 탱크(110)에 연결된 차압측정관(116)의 차압센서(117)에 의해 인입관(111) 측의 압력과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압력차가 2㎏/㎠이면, 차압밸브 콘트롤러(118)는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를 모두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며, 압력차가 2㎏/㎠ 이상이면, 가압밸브(113)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였다가 폐쇄함으로써, 응축수 탱크(110)로 인입관(111) 측의 압력이 일부 유입되게 함으로써, 응축수 탱크(110) 내의 얍력을 상승시켜 압력차가 2㎏/㎠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반면, 압력차가 2㎏/㎠ 미만이면, 차압밸브(115)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였다가 폐쇄함으로써, 응축수 탱크(110) 내의 압력이 대기와 유통되게 함으로써 응축수 탱크(110) 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하여 2㎏/㎠의 압력차가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입관(111) 측 압력(증기압력) 변동에 대한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을 연동시켜 응축수 제어밸브(109)를 통과하는 응축수가 증기압력변동에 의하여 변하지 않도록 압력 균형제어가 되므로 압력변동에 대한 외란이 보완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 탱크(110)는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부의 증기 볼륨(Volume)은 항상 일정하게 되어 가압밸브(113)와 차압밸브(115)를 통한 증기 출입은 상기한 경우를 제외하면 없는 것과 동일하며, 상부의 증기와 응축수의 경계면에서의 열교환은 미미하여 응축수의 온도상승 요인이 될 수 없어 배출 당시의 온도로 보일러 펌프(122)와 수위조절밸브(121)를 통하여 보일러(101)에 급수하게 되며, 이때, 응축수 탱크(110)의 압력이 기존에 비해 상당히 높기 때문에 펌프의 흡입수두가 높아져 선정, 보수유지 및 동력비 절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교환기 전단의 증기조절밸브 없이 후단 응축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응축수 압력은 높고 온도는 열교환기 하단을 점유하는 응축수가 피가열물과 열교환하여 낮게 회수할 수 있는 "저온/고압"회수를 실현할 수 있고, 증기압력과 응축수 압력의 차압제어로 "온도제어 외란"을 막고 공정온도제어를 정밀 제어할 수 있으며, 생증기 및 재증발증기의 발생원인을 차단하게 되고, 증기의 압력을 이용한 압력식 응축수회수로 중간이송장치의 설비가 없게 되므로 설비비용을 절감하고,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중력식 보일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보일러 102 : 헤더(Header)
103 : 감압밸브 104 : 열교환기
105 : 온도감지센서
107 :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
108 : 응축수 배출관 109 : 응축수 제어밸브
110 : 응축수 탱크 111 : 인입관
112 : 가압조절관 113 : 가압밸브
114 : 차압조절관 115 : 차압밸브
116 : 차압측정관 117 : 차압센서
118 : 차압밸브 콘트롤러

Claims (4)

  1.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와, 이 증기가 열교환 할 때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전열면적이 소정의 증기와 응축수 비율로 분리 자동제어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피가열체 측에 설치되어 열교환시에 피가열물에 전달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열교환기 하부의 응축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응축수 제어밸브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기설정된 목적온도를 비교하고, 비교값에 따라 응축수 제어밸브에 개폐량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된 응축수 배출 콘트롤러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에 의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고, 수용된 응축수에서 재증발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된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응축수 탱크와;
    상기 응축수 제어밸브를 기준으로 응축수 탱크 측 배관압력이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 보다 비교적 낮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의 차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차압수단은,
    상기 보일러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공급하는 인입관의 소정 위치와 응축수 탱크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가압조절관에 결합되어 보일러 측 배관의 압력을 응축수 탱크로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가압밸브와;
    상기 응축수 탱크의 압력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응축수 탱크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차압조절관에 결합되어 압력을 배기 또는 차단하는 차압밸브와;
    상기 가압조절관의 가압밸브 양측에 차압측정관을 각각 연결하여 응축수 제어밸브를 기준으로 응축수 탱크 측 배관압력과 공급증기 측 배관압력의 차를 측정하도록 된 차압센서와;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압밸브 양측의 압력차의 값을 수신하여 응축수 탱크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가압밸브와 차압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차압밸브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인입관과,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열교환기의 응축수가 출구제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총전열면적은 부하가 100%의 전열을 요구할 경우 130%의 전열면적이 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KR20-2005-0008865U 2005-03-31 2005-03-31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KR200387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65U KR200387119Y1 (ko) 2005-03-31 2005-03-31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65U KR200387119Y1 (ko) 2005-03-31 2005-03-31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85A Division KR100627790B1 (ko) 2005-03-31 2005-03-31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19Y1 true KR200387119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65U KR200387119Y1 (ko) 2005-03-31 2005-03-31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1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5431A (zh) * 2011-09-29 2012-01-04 总装备部工程设计研究总院 综合热交换机组
CN108716862A (zh) * 2018-07-10 2018-10-30 广州元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式蒸汽热力循环系统
CN109798536A (zh) * 2019-03-15 2019-05-24 广州特种承压设备检测研究院 蒸汽空气预热装置和系统
CN109875388A (zh) * 2019-04-04 2019-06-14 佛山市新汇力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蒸汽加热方法及实现该方法的设备
CN112506158A (zh) * 2020-12-14 2021-03-16 云南煜锜环保科技有限公司 泥磷蒸馏温度自动化控制系统
KR102630878B1 (ko) * 2023-03-27 2024-01-30 김정민 응축수 회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5431A (zh) * 2011-09-29 2012-01-04 总装备部工程设计研究总院 综合热交换机组
CN108716862A (zh) * 2018-07-10 2018-10-30 广州元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式蒸汽热力循环系统
CN108716862B (zh) * 2018-07-10 2024-02-09 广州元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式蒸汽热力循环系统
CN109798536A (zh) * 2019-03-15 2019-05-24 广州特种承压设备检测研究院 蒸汽空气预热装置和系统
CN109875388A (zh) * 2019-04-04 2019-06-14 佛山市新汇力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蒸汽加热方法及实现该方法的设备
CN112506158A (zh) * 2020-12-14 2021-03-16 云南煜锜环保科技有限公司 泥磷蒸馏温度自动化控制系统
KR102630878B1 (ko) * 2023-03-27 2024-01-30 김정민 응축수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119Y1 (ko)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장치
KR100627790B1 (ko) 압력식 폐회로 응축수 출구제어 회수 시스템
WO2010056000A2 (ko) 재증발 증기 및 응축수 회수 장치
CN104048284B (zh) 高温固体热量回收余热锅炉及回收余热的方法
CN202051511U (zh) 一种蒸作设备
CN202927865U (zh) 一种余热回收装置
KR101215410B1 (ko) 재증발 증기 및 응축수 회수장치
JP2006105442A (ja) 有圧ドレン回収システム
CN102230753B (zh) 一种高效分控相变换热系统及换热方法
KR100613397B1 (ko)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의 급수장치
CN102200403B (zh) 一种基于两级汽液换热器的分控相变换热系统及换热方法
CN110486706B (zh) 一种火力发电机组烟气余热利用智能控制系统
CN102252543A (zh) 一种基于汽液换热器的分控相变换热系统及换热方法
KR100621575B1 (ko) 밀폐형 증기보일러의 제어시스템
CN202166034U (zh) 热管蒸汽发生器
CN102297505A (zh) 热水供给器及热水供给系统
KR101092688B1 (ko) 소각열을 이용한 지역난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0477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3421061U (zh) 干熄焦锅炉设备及其排污系统
KR100472623B1 (ko) 흡수식 냉동기의 급탕용 온수 가열장치
JP2008070089A (ja) 空気加熱装置
KR101053109B1 (ko) 수충격 방지부재가 구비된 급수 예열기
CN207980447U (zh) 采用制盐冷凝水作为介质加热空气干燥湿盐的热能梯级利用装置
CN101701748B (zh) 过流即热液体加热装置及采用该装置的暖热两用机
CN101191664A (zh) 供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