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235B1 -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235B1
KR102629235B1 KR1020220179383A KR20220179383A KR102629235B1 KR 102629235 B1 KR102629235 B1 KR 102629235B1 KR 1020220179383 A KR1020220179383 A KR 1020220179383A KR 20220179383 A KR20220179383 A KR 20220179383A KR 102629235 B1 KR102629235 B1 KR 10262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module
air
outsid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원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원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원라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은,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서 반대측 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는 이온 발생 모듈; 및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욕실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온 전환부; 및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욕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BATHROOM AI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욕실 내부의 공기를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가정 내 모든 장소에서 전자기기를 운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밥솥, TV 및 에어컨 등이 개인 단말기를 통해 제어되거나 자동으로 제어되는 등, 가전제품의 이용 편의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욕실에서의 사물 인터넷 기술은 많이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욕실의 환경은 그 특성상 습도가 높아 곰팡이 및 균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욕실에는 환기 시스템 및 제습 제품이 구비되어 있으나 멸균 또는 제습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욕실 이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욕실 내부 공기를 살균하고, 욕실 내부 공기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욕실 출입문에 통공을 형성하고, 해당 통공에 이온 발생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서 욕실의 천장 또는 벽을 건드리는 번거롭고 비용이 높은 공사 과정이 필요 없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욕실 출입문 밖의 사용자가 욕실 출입문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욕실 내부 공기 및 욕실 내부의 각종 모듈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욕실 출입문 밖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욕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은,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서 반대측 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는 이온 발생 모듈; 및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욕실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온 전환부; 및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욕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욕실 내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일반 조명 파장의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 모듈; 및 살균 가능 파장의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의 이온 전환부가 턴오프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모듈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이 턴온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재실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발광 모듈이 상기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발광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환풍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이 턴온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환풍기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정보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 및 욕실 외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조명 파장의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 모듈 및 살균 가능 파장의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 모듈로 구성되는 조명 모듈; 및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환풍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및 상기 환풍기 모듈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욕실 이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욕실 내부 공기를 살균하고, 욕실 내부 공기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욕실 출입문에 통공을 형성하고, 해당 통공에 이온 발생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서 욕실의 천장 또는 벽을 건드리는 번거롭고 비용이 높은 공사 과정이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욕실 출입문 밖의 사용자가 욕실 출입문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욕실 내부 공기 및 욕실 내부의 각종 모듈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욕실 출입문 밖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욕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 모듈이 욕실 출입문에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출입문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모듈들의 욕실에서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단에서 내려다본 각 모듈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욕실 출입문 폐쇄 여부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재실 여부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및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및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및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듈' 및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은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환풍기 모듈(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내부 공기를 살균하거나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일 수 있다.
욕실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환풍기 모듈(130) 및 프로세서(140)는 서로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및 환풍기 모듈(1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및 환풍기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프로세서(140)가 어느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서버에 마련되고, 복수의 모듈들과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40)가 반드시 특정한 모듈이나 서버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모듈과 통신이 가능하다면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는 어느 특정한 기기나 장치에 마련되더라도 상관없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 모듈이 욕실 출입문에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출입문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온 발생 모듈(110)은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발생 모듈(110)은 욕실 출입문(400)의 일측 면에서 반대측 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401)에 장착될 수 있다. 통공(401)은 욕실 출입문(400)이 닫힌 상태에서 욕실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욕실 출입문(4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온 발생 모듈(110)이 욕실 출입문(400)의 통공(401)에 장착되는 방식은 이온 발생 모듈(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을 통공(401)의 가장자리에 장착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온 발생 모듈(110)을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 모듈(110)에 형성된 나사홈과 통공(401)에 형성된 나사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회전시켜서 장착하는 방식도 가능할 수 있으며,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110)이 욕실의 내부와 외부에 전부 드러날 수 있으면 어떠한 방식으로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되더라도 상관없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발생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온 발생 모듈(110)은 공기 유입부(111), 이온 전환부(112) 및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11)는 욕실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욕실 외부의 공기는 욕실 출입문(400)의 통공(401)을 통과하여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때 구체적으로, 공기 유입부(111)의 유입공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온 전환부(112)는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전환부(112)는 이온 발생 모듈(110)로 유입된 공기를 플라즈마 음이온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거나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온 전환부(112)는 이온 발생 모듈(110)로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온 전환부(112)가 유입된 공기를 살균, 유입된 공기의 냄새 및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배출부는 이온 전환부(112)를 통과한 공기가 욕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욕실 외부의 공기는 욕실 출입문(400)을 관통하도록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110)을 통과하면서 살균, 냄새 제거 또는 습기 제거가 완료된 상태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욕실 출입문(400)에 장착된 이온 발생 모듈(110)이 욕실 외부의 공기를 욕실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욕실 출입문(400)이 닫힌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모듈들의 욕실에서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상단에서 내려다본 각 모듈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욕실 출입문(400)의 개폐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모듈들 간의 관계 및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온 발생 모듈(110)은 움직임 감지 센서(113), 디스플레이 모듈(114) 및 통신 모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13)는 욕실 출입문(4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감지 센서(113)는 욕실 출입문(4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움직임 감지 센서(113)에 포함된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욕실 출입문(4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움직임 감지 센서(113)가 욕실 출입문(400)의 개폐를 감지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움직임 감지 센서(113)의 출력 신호는 프로세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신호가 전달되는 것은, 통신 모듈(115)을 통해 이온 발생 모듈(110)과 별도로 마련된 외부의 프로세서(140)에 전달되는 방식일 수 있으나, 프로세서(140)가 이온 발생 모듈(110)에 마련된 경우 이온 발생 모듈(110)의 내부에서 곧바로 프로세서(140)로 전달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5)은 재실 감지 센서(200) 및 공기 정보 감지 센서(3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실 감지 센서(200)는 욕실에 마련되어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실 감지 센서(200)가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욕실 내부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실 감지 센서(200)는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115)로 송신할 수 있다. 재실 감지 센서(200)는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재실 중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재실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115)로 송신할 수 있다.
공기 정보 감지 센서(300)는 욕실에 마련되어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욕실 내부 공기 정보는 욕실 내부 공기의 살균 상태 정보, 습도 정보, 냄새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15)이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 모듈(120)은 욕실 내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모듈(120)은 욕실 내부 천장이나 일측 벽 상단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은 한 개의 조명 모듈(120)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복수개의 조명 모듈(120)이 포함되더라도 상관없다. 즉, 조명 모듈(120)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조명 모듈(120)은 제1 발광 모듈(121) 및 제2 발광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모듈(121)은 일반 조명 파장의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장 영역 빛은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에서 쓰이는 파장 영역의 빛일 수 있다. 즉, 제1 발광 모듈(121)은 일반적인 욕실에서 이용되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발광기기일 수 있다.
제2 발광 모듈(122)은 살균 가능 파장의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파장 영역 빛은 빛의 에너지를 통해 살균이 가능한 파장 영역의 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장 영역 빛의 파장은 405nm일 수 있으나, 빛을 통한 살균이 가능하다면 제2 파장 영역 빛의 파장이 어떠한 길이라 해도 상관없다.
제2 발광 모듈(122)이 동작하여 공기의 살균을 수행하는 것은 이온 발생 모듈(110)의 살균 수행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온 발생 모듈(110)의 이온 전환부(112)가 턴오프되면, 조명 모듈(120)이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제1 발광 모듈(121)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온 발생 모듈(110)이 턴온되어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조명 모듈(120)이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제2 발광 모듈(122)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조명 모듈(120)이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제2 발광 모듈(122)을 제어할 수 있다.
이온 발생 모듈(110)의 구동 및 제2 발광 모듈(122)의 구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문의 폐쇄를 통해 구동될 수도 있으나, 욕실 출입문(400)이 닫히더라도 욕실 내부에 사용자가 재실 중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경우에는 이온 발생 모듈(110) 및 제2 발광 모듈(122)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15)이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재실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모듈(120)의 제1 발광 모듈(121)이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모듈(120)의 제2 발광 모듈(122)이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환풍기 모듈(130)은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풍기 모듈(130)은 욕실 내부 천장이나 일측 벽 상단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은 한 개의 환풍기 모듈(130)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복수개의 환풍기 모듈(130)이 포함되더라도 상관없다. 즉, 환풍기 모듈(130)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욕실 내부에 노출되는 환풍기 모듈(130)의 겉면에는 조명 모듈(12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조명 모듈(120)과 환풍기 모듈(13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일체가 된 기기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하지만 조명 모듈(120) 및 환풍기 모듈(130)이 반드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분리된 상태의 별개 기기일 수도 있고, 일부 조명 모듈(120)은 별도로 마련되고 나머지 중 어느 한 조명 모듈(120)과 어느 한 환풍기 모듈(130)만 서로 결합된 상태로 일체가 된 기기의 일부 구성일 수도 있다.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기키는 것은 이온 발생 모듈(110)의 구동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이온 발생 모듈(110)이 구동되면서 욕실 출입문(400) 밖의 공기를 욕실 내부로 살균하면서 유입시키고, 환풍기 모듈(130)은 기존에 욕실에 잔류하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공기가 순환되면서 살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온 발생 모듈(110)이 턴온되어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프로세서(140)는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환풍기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환풍기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5)이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환풍기 모듈(130)은, 프로세서(140)가 재실 감지 센서(200)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욕실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방식과 같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욕실 제어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고자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온 발생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욕실 외부측 방향을 향하는 욕실 출입문(400)의 일측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15)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기초로,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현재 욕실 내부 공기의 멸균 상태, 습도 상태 및 냄새 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제1 발광 모듈(121), 제2 발광 모듈(122) 및 환풍기 각각의 구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제1 발광 모듈(121), 제2 발광 모듈(122) 및 환풍기 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온 발생 모듈(110), 조명 모듈(120), 환풍기 모듈(130)은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로세서(140)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앞으로 설명할 실시예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부호 수정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욕실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와 메모리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 및 메모리는 서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욕실 출입문(400)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제1 발광 모듈(121)은 제1 파장 영역의 빛을 욕실 내부로 발광할 수 있다(1001).
움직임 감지 센서(113)는 욕실 출입문(4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1002).
욕실 출입문(400)이 열려 있는 경우(1003의 '아니오'), 제1 발광 모듈(121)은 계속해서 제1 파장 영역의 빛을 욕실 내부로 발광할 수 있다.
욕실 출입문(400)이 닫힌 경우(1003의 '예'), 이온 발생 모듈(110)이 구동되어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온 발생 모듈(110)은 욕실 외부의 공기를 이온 전환하여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1004). 즉,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프로세서(140)는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프로세서(140)는 조명 모듈(120)이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제2 발광 모듈(122)을 제어할 수 있다(1005).
또한, 욕실 출입문(400)이 닫혀서 욕실 외부와 욕실 내부가 욕실 출입문(400)에 의해 분리되면,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환풍기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1006).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15)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 및 각 모듈들의 구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 및 각 모듈들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1007).
도 8은 사용자 재실 여부에 따른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욕실에 재실 중인 경우 제1 발광 모듈(121)은 제1 파장 영역의 빛을 욕실 내부로 발광할 수 있다(2001).
재실 감지 센서(200)는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재실 중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2002).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재실 중인 경우(2003의 '예'), 제1 발광 모듈(121)은 계속해서 제1 파장 영역의 빛을 욕실 내부로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부재중인 경우(2003의 '아니오'), 이온 발생 모듈(110)이 구동되어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온 발생 모듈(110)은 욕실 외부의 공기를 이온 전환하여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2004). 즉, 사용자가 욕실의 사용을 마치고 욕실에서 퇴실하면, 프로세서(140)는 이온 전환부(112)를 통해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온 발생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욕실에서 퇴실하면, 프로세서(140)는 조명 모듈(120)이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제2 발광 모듈(122)을 제어할 수 있다(2005).
또한, 사용자가 욕실에서 퇴실하면, 환풍기 모듈(130)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환풍기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2006).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15)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 및 각 모듈들의 구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 및 각 모듈들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2007).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10: 이온 발생 모듈
111: 공기 유입부
112: 이온 전환부
113: 움직임 감지 센서
114: 디스플레이 모듈
115: 통신 모듈
120: 조명 모듈
121: 제1 발광 모듈
122: 제2 발광 모듈
130: 환풍기 모듈
140: 프로세서
200: 재실 감지 센서
300: 공기 정보 감지 센서
400: 욕실 출입문
401: 통공

Claims (15)

  1.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서 반대측 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는 이온 발생 모듈; 및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욕실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온 전환부; 및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욕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공기 배출부; 및
    욕실 내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일반 조명 파장의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 모듈; 및
    살균 가능 파장의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의 이온 전환부가 턴오프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모듈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이 턴온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재실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발광 모듈이 상기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발광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환풍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이 턴온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환풍기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정보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 및
    욕실 외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일반 조명 파장의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 모듈 및 살균 가능 파장의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 모듈로 구성되는 조명 모듈; 및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환풍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및 상기 환풍기 모듈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욕실 내부의 공기를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환풍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은,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실 감지 센서 및 상기 욕실에 마련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정보 감지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 및
    욕실 외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욕실 출입문의 일측 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조명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이 턴온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이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한 살균, 냄새 제거 및 습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욕실 출입문이 닫혀서 상기 욕실 외부와 상기 욕실 내부가 상기 욕실 출입문에 의해 분리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환풍기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수신한 욕실의 내부 공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이온 전환부를 통해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가 이온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 발생 모듈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및 상기 환풍기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재실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발광 모듈이 상기 제1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발광 모듈이 상기 제2 파장 영역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풍기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실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 부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환풍기 모듈이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욕실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KR1020220179383A 2022-09-16 2022-12-20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KR102629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13 2022-09-16
KR20220116813 2022-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235B1 true KR102629235B1 (ko) 2024-01-25

Family

ID=8972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383A KR102629235B1 (ko) 2022-09-16 2022-12-20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2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66A (ja) * 2005-12-09 2007-06-28 Sharp Corp 浴室用リモコン装置
JP2008304118A (ja) * 2007-06-07 2008-12-18 Panasonic Corp 浴室乾燥システム
KR20180047380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및 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90031005A (ko) * 2017-09-15 2019-03-25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20210132516A (ko) * 2020-04-27 2021-11-04 (주)아이엘커누스 Iot 살균 스마트 화장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66A (ja) * 2005-12-09 2007-06-28 Sharp Corp 浴室用リモコン装置
JP2008304118A (ja) * 2007-06-07 2008-12-18 Panasonic Corp 浴室乾燥システム
KR20180047380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및 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90031005A (ko) * 2017-09-15 2019-03-25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20210132516A (ko) * 2020-04-27 2021-11-04 (주)아이엘커누스 Iot 살균 스마트 화장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61147A1 (ja) 換気システム
JP6552381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81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ace vacancy sensing using gas monitoring
US20130281004A1 (en) Safety System For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Toxic Gases
KR101304421B1 (ko)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3162A (ko) 빌딩관리시스템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CN113639419B (zh) 信息提供系统
KR102629235B1 (ko) 욕실 공기 제어 시스템
KR20110102729A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41264A1 (zh) 空气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42590B1 (ko)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JP2005201580A (ja) 換気システム
JP2001355885A (ja) 換気システム
JP2020051647A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JP2019203659A (ja) 換気システム
KR20130077120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주거공간용 환기 장치의 제어 방법
CN208421551U (zh) 基于Wifi的家居联动系统
KR102619476B1 (ko) 현관용 오존 살균 시스템
KR200291380Y1 (ko) 살균기능 부가용 공기조화기
JP2002039579A (ja) 24時間換気システム
JP2017058072A (ja) 空気調和機
KR20200056730A (ko) 공기정화시스템
JP7292240B2 (ja) 換気送風機および換気送風機システム
KR20070067409A (ko) 식물들이 생성하는 공기를 이용하는 환기 제어 시스템을구비하는 주택 및 상기 환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