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590B1 -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90B1
KR101442590B1 KR1020140002578A KR20140002578A KR101442590B1 KR 101442590 B1 KR101442590 B1 KR 101442590B1 KR 1020140002578 A KR1020140002578 A KR 1020140002578A KR 20140002578 A KR20140002578 A KR 20140002578A KR 101442590 B1 KR101442590 B1 KR 10144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case body
hygrosta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형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이옥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형 filed Critical 이옥형
Priority to KR102014000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컨테이너; 및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된 컨테이너의 제한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항온항습기를 포함하되, 상기 항온항습기는, 내부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외기 구성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검출하기 위한 공기오염 감지센서; 상기 실/내외기 구성부의 실외기에 구성되는 배출공기 덕트 및 인입 공기 덕트를 구비하는 덕트 구성부; 및 상기 배출공기 덕트에 배치 구성되며, 항온항습기의 제어기에 의해 개폐 구동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상기 배출공기 덕트를 통해 컨테이너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따르면, 실외기와 실내기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컨테이너 내부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댐퍼를 일체형 항온항습기로 구성함으로써,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전력용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제한적인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더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일반적인 항온항습기나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비해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된 제한된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로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내부 활용도를 높이고, 관리 포인트를 줄여 관리 인력의 최소화 및 시간 절감을 통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ASSEMBLED PRECISION AIR CONDITIONER WITH POLLUTED AIR EMITTING FUNCTION}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고, 컨테이너 내부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댐퍼를 일체형 항온항습기로 구성하여 컨테이너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배출공기 덕트를 통해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컨테이너의 공간상 제약을 최소화하고, 설치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비용이 절약되며, 설치 공간이 제약되어 있는 컨테이너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화석에너지의 사용으로 인해 자원이 고갈되고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오늘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게 된다. 즉,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별도의 건물을 설치하면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를 이용한 전력용 시스템에는 한정적인 공간에 전력제품을 설치하여 운영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많이 발생하고, 대체 에너지 시스템의 발열 제품이 컨테이너 내부에 다수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의 냉각이나 습도 조절이 중요하게 된다. 이에 항온항습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된 컨테이너(10)의 외부에 실외기(21)가 설치되고, 컨테이너(10)의 제한된 내부 공간으로 항온항습기(20), 가스 및 열 감지기와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센서 제어반(23),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댐퍼(24)를 설치한다. 이는 실외기(21)를 외부에 배치하기 때문에 실외기(21)와 실내기(미도시) 간에 냉각배선(22)을 설치하기 위해 컨테이너(10)에 구멍을 뚫어 배선처리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이나 본딩 처리하여 막게 된다. 이 경우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실외기(21)가 외부적인 요소로 파손될 경우 항온항습기(10) 고유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컨테이너(10)에 설치되는 대체 에너지 시스템(11) 전체 제품에 큰 손실을 입힐 수 있게 된다. 특히, 컨테이너(10) 내부에 실외기(21)를 제외한 항온항습기(20), 가스 및 열 감지기와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센서 제어반(23), 댐퍼(24)를 설치하기 때문에 컨테이너(10)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개량된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외기 일체형 항온항습기(20)를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가스 및 열 감지기와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센서 제어반(23),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댐퍼(24)를 실외기 일체형 항온항습기(20)와 별도로 컨테이너(10) 내부에 분리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실외기 일체형 항온항습기(20)는 실외기가 외부에 설치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일부 보완할 수는 있으나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되는 제한된 설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10)에 센서 제어반(23)과 댐퍼(24)를 별도로 구성하게 되므로 도 1에 도시한 항온항습기와 비슷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인 일반적인 항온항습기나 일체형 항온항습기는, 각종 가스 및 열 감지기와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센서 제어반(23) 및 댐퍼(24)를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되는 전력용 컨테이너(10)에 설치하게 되므로 컨테이너(10)의 제한된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10)를 항온항습하고 내부 오염원을 배출하는데 각각의 해당 제품들을 사용할 경우 관리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항온항습기들은 실외기를 외부에 설치할 경우 전체적인 미관에 좋지 않고, 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제한된 설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에서 댐퍼의 설치 공간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설치 작업이 어렵고, 그에 다른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선행기술 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901호(2011.06.17. 공개)의 항온항습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외기와 실내기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컨테이너 내부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댐퍼를 일체형 항온항습기로 구성함으로써,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전력용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제한적인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더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적인 항온항습기나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비해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된 제한된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로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내부 활용도를 높이고, 관리 포인트를 줄여 관리 인력의 최소화 및 시간 절감을 통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는,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컨테이너; 및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된 컨테이너의 제한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항온항습기를 포함하되,
상기 항온항습기는,
내부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외기 구성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검출하기 위한 공기오염 감지센서;
상기 실/내외기 구성부의 실외기에 구성되는 배출공기 덕트 및 인입 공기 덕트를 구비하는 덕트 구성부; 및
상기 배출공기 덕트에 배치 구성되며, 항온항습기의 제어기에 의해 개폐 구동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상기 배출공기 덕트를 통해 컨테이너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오염 감지센서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열 감지를 위한 가스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오염 감지센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 구성부는,
상기 인입 공기 덕트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배출공기 덕트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 구성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과 후면에서 각각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인입 공기 덕트와 상기 배출공기 덕트가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는,
평상시에는 막혀 있다가 오염된 공기가 감지된 경우, 상기 항온항습기의 제어기의 제어 하에 구동하여 열려진 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연통하는 배출공기 덕트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따르면, 실외기와 실내기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컨테이너 내부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댐퍼를 일체형 항온항습기로 구성함으로써, 대체 에너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전력용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제한적인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더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일반적인 항온항습기나 일체형 항온항습기에 비해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된 제한된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로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내부 활용도를 높이고, 관리 포인트를 줄여 관리 인력의 최소화 및 시간 절감을 통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개량된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배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100)는, 케이스 본체(110), 실/내외기 구성부(120), 공기오염 감지센서(130), 덕트 구성부(140), 댐퍼(150), 및 제어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된 컨테이너(10)의 제한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100)는 발열 제품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된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냉각이나 습도 조절을 위한 구동을 기본으로 하며, 특히 제한된 설치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10)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를 설명함에 있어, 항온항습기의 통상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토대로 기술하기로 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내부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110)는 후술하게 될 실외기(121)와 실내기(122)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실/내외기 구성부(120)를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기오염 감지센서(130), 덕트 구성부(140), 댐퍼(150), 및 제어기(160)의 설치를 포함하게 된다. 즉, 케이스 본체(110)는 항온항습기(100)의 실외기(121)를 포함한 나머지 구성을 일체로 구성한다.
실/내외기 구성부(120)는, 실외기(121)와 실내기(122)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실/내외기 구성부(120)의 실외기(121)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구성하고, 실내기(122)는 에어필터, 쿨링 코일, 히팅 코일, 송풍 팬, 및 가습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외기(121)와 실내기(122)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실/내외기 구성부(120)는 일반적인 항온항습기에서 통상적으로 분리 구성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공기오염 감지센서(130)는,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기오염 감지센서(130)는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열 감지를 위한 가스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오염 감지센서(130)는 케이스 본체(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덕트 구성부(140)는, 실/내외기 구성부(120)의 실외기(121)에 구성되는 배출공기 덕트(141) 및 인입 공기 덕트(142)를 구비한다. 이러한 덕트 구성부(14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공기 덕트(142)를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배출공기 덕트(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덕트 구성부(1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과 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인입 공기 덕트(142)와 배출공기 덕트(141)를 분리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덕트 구성부(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과 후면에서 각각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인입 공기 덕트(142)와 상기 배출공기 덕트(141)가 컨테이너(10)에 설치될 때, 컨테이너(10)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댐퍼(150)는, 배출공기 덕트(141)에 배치 구성되며, 항온항습기(100)의 제어기(160)에 의해 개폐 구동하여 컨테이너(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배출공기 덕트(141)를 통해 컨테이너(10)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댐퍼(15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막혀 있다가 오염된 공기가 감지된 경우에 항온항습기(100)의 제어기(160)의 제어 하에 구동하여 열려진 후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연통하는 배출공기 덕트(141)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게 된다.
제어기(160)는, 항온항습기(100)에서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을 특정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기(160)는 항온항습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제어기(160)의 조작을 통해 항온항습기(11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160)는 공기오염 감지센서(130)에 의해 검출되는 컨테이너(10) 내부의 오염된 공기, 즉 가스 및 온도에 따라 댐퍼(150)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여 컨테이너(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배출공기 덕트(141)를 이용하여 컨테이너(10)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배면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의 설치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체형 항온항습기(100)의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배출공기 덕트(141)가 컨테이너(10)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일체형 항온항습기(100)의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인입 공기 덕트(142)가 컨테이너(10)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일체형 항온항습기(100)의 케이스 본체(110)의 정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는, 공간상으로 컨테이너에 별도의 배출 댐퍼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센서 등을 장착할 공간과 댐퍼를 열고 닫을 제어기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이 제약되어 있는 컨테이너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실외기와 실내기의 일체화, 각종 센서와 댐퍼를 항온항습기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항온항습기 자체에서 검출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일체형)
110: 케이스 본체 120: 실/내외기 구성부
121: 실외기 122: 실내기
130: 공기오염 감지센서 140: 덕트 구성부
141: 배출공기 덕트 142: 인입 공기 덕트
150: 댐퍼 160: 제어기

Claims (6)

  1.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되는 컨테이너(10); 및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이 설치된 컨테이너(10)의 제한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대체 에너지 시스템(11)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항온항습기(100)를 포함하되,
    상기 항온항습기(100)는,
    내부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110);
    실외기(121)와 실내기(122)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외기 구성부(120);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검출하기 위한 공기오염 감지센서(130);
    상기 실/내외기 구성부(120)의 실외기(121)에 구성되는 배출공기 덕트(141) 및 인입 공기 덕트(142)를 구비하는 덕트 구성부(140); 및
    상기 배출공기 덕트(141)에 배치 구성되며, 항온항습기(100)의 제어기(160)에 의해 개폐 구동하여 상기 컨테이너(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상기 배출공기 덕트(141)를 통해 컨테이너(10)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댐퍼(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 감지센서(130)는,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열 감지를 위한 가스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 감지센서(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구성부(140)는,
    상기 인입 공기 덕트(142)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배출공기 덕트(141)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구성부(14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과 후면에서 각각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인입 공기 덕트(142)와 상기 배출공기 덕트(141)가 상기 컨테이너(10)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50)는,
    평상시에는 막혀 있다가 오염된 공기가 감지된 경우, 상기 항온항습기(100)의 제어기(160)의 제어 하에 구동하여 열려진 후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연통하는 배출공기 덕트(141)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KR1020140002578A 2014-01-08 2014-01-08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KR10144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78A KR101442590B1 (ko) 2014-01-08 2014-01-08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78A KR101442590B1 (ko) 2014-01-08 2014-01-08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590B1 true KR101442590B1 (ko) 2014-09-23

Family

ID=5176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578A KR101442590B1 (ko) 2014-01-08 2014-01-08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89A (ko) 2021-04-12 2022-10-19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외부박스 프레임 조립체
KR20220141093A (ko) 2021-04-12 2022-10-19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개폐도어의 구조
KR20220153818A (ko) 2021-05-12 2022-11-21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진공단열재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14A (ko) * 1998-04-01 1999-11-05 유한익 컨테이너용 공기조화기
KR200246356Y1 (ko)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크린에어 밀폐된 공간 냉방 장치
KR200452781Y1 (ko) 2009-03-18 2011-03-21 주식회사 콘첼 항온항습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14A (ko) * 1998-04-01 1999-11-05 유한익 컨테이너용 공기조화기
KR200246356Y1 (ko)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크린에어 밀폐된 공간 냉방 장치
KR200452781Y1 (ko) 2009-03-18 2011-03-21 주식회사 콘첼 항온항습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89A (ko) 2021-04-12 2022-10-19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외부박스 프레임 조립체
KR20220141093A (ko) 2021-04-12 2022-10-19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개폐도어의 구조
KR20220153818A (ko) 2021-05-12 2022-11-21 류대희 패시브형 항온 컨테이너의 진공단열재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JP6658687B2 (ja) 冷媒検知センサを有する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1684022A4 (en) EXTERNAL UNIT OF A CLIMATISEUR
CN103582397B (zh) 一体化机柜
KR101442590B1 (ko)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KR20110102729A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7017064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006300363A (ja) 浴室換気乾燥機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WO2001007837A1 (en) A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CN108019878A (zh) 一种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KR101162973B1 (ko) 제습기능이 구비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JP2014163551A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0747801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팬제어방법
JP2017009259A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20090112230A (ko) 창틀에 설치되는 열교환식 환기장치
KR100789161B1 (ko) 저온차단기능을 갖는 전자 제습기
KR101680696B1 (ko) 산업용 크린룸 설비(ICR, industrial clean room) 내의 헤파필터 교체 알림 시스템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JP5780991B2 (ja) 換気システム
JP2014066406A (ja) 浴室暖房乾燥機
CN211903193U (zh) 多功能新风机
CN209929721U (zh) 减震散热型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