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122B1 - 셀프 검체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검체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122B1
KR102629122B1 KR1020210159598A KR20210159598A KR102629122B1 KR 102629122 B1 KR102629122 B1 KR 102629122B1 KR 1020210159598 A KR1020210159598 A KR 1020210159598A KR 20210159598 A KR20210159598 A KR 20210159598A KR 102629122 B1 KR102629122 B1 KR 10262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st
sample collection
unit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907A (ko
Inventor
송자송
Original Assignee
송자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자송 filed Critical 송자송
Priority to KR102021015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1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8Cab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61B2010/0093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slide r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rs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셀프 검체 채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동시에 다수의 의료진이 검사실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검사소를 24시간 운영할 수 있고, 검사 대상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검체 채취 장치{SELF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고, 검사 대상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체 또는 가축 등을 통해 전염되는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등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크게는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조류 독감, 또는 구제역 등의 전염성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메르스, 사스 또는 신종 플루 등의 전염성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전염성 바이러스 중 신종 병원성 바이러스인 코로나 19가 출현하였다.
병원성 바이러스란 감염체가 전염을 통해 숙주 개체로 전파된 후, 감염을 통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를 뜻하는 것으로서, 인구의 밀집화 및 집단 사육의 증가로 단시간 내에 다수의 개체에 전파되어 많은 피해를 입히므로, 병원성 바이러스의 출현 시 가능한 신속한 대응을 통해 더 이상의 확산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 국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 출현 시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확산방지와 치료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출현한 경우 방역에 대해 적극적이고 선제적 대응책을 강구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감염자 발생시 해당 감염자에 대한 격리치료 조치와 더불어 이동동선 내 소독처리 및 접촉인에 대한 감염 여부에 대한 신속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고병원성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 검사자가 방호복을 착용하고, 검사대상자가 있는 특정 채취실에 입실한 후 검체를 채취하게 되는데, 검체 채취 후 검사자가 착용한 방호복과 더불어 채취실 전체를 소독 및 청소해야하므로 다음 검사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검체 채취 작업이 지체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사자 또는 검사대상자가 채취실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채취실 내에 잔존하는 병원성 바이러스가 외부로 확산될 위험성이 있어서, 2차 감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2차 감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사대상자를 차량으로 이동시키고, 차량 이동 중 특정 위치에서 차량을 정차시킨 다음 검체를 채취하는 드라이브 스루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경우 외부에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취실에서 진행되는 검체 채취 방식에 비해 채취실을 소독, 청소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라이브 스루 방식 또한 검사자가 여전히 방호복을 착용해야 하므로 방호복 착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고, 차량의 탑승자 중 운전자만 검채 채취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음압 분위기의 채취실 내부에 검사대상자가 입실하고, 채취실 일측에 구비된 글러브를 통해 채취실 외부에 위치한 검사자가 검사대상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워킹 스루 방식이 있다.
그러나, 워킹 스루 방식 또한 검사자가 채취실에서 검체를 채취함으로써, 다수의 검사를 위해서는 많은 검사자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선제적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상설화된 검사소가 필요하지만, 검사소의 운영을 위해 많은 의료진의 배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검사를 위해 배치되는 의료진으로 인해 의료진의 부족과 함께 검사 과정에서 의료진의 감염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80927호(발명의 명칭: 검체 채취 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되, 의료진이 검사 대상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로서, 일측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내부에 사용자가 머무르는 작업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검사 종류, 사용자 인적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검사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검사 정보와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한 검사 진행을 안내하는 검사 관리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검체 채취 과정을 모니터링 하되,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검체의 채취 완료 또는 추가 채취 여부를 결정하는 검체 채취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은 사용자가 검체의 채취시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의자 및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사용자로부터 검사 종류, 사용자 인적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검사 관리부는 검체의 채취를 위한 검사 순서 안내, 채취된 검체의 수납 안내, 추가 채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관리부는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하여 검사 키트를 제공하는 검사 키트 관리부; 사용자 검사 정보와 상기 검사 키트의 정보를 매칭시켜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매칭부; 상기 검사 진행에 따른 시각화 정보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검사 키트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촬영부; 상기 검체 채취 이미지에서 검사 키트와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검체 채취 과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검체의 채취가 완료된 검사 키트를 수납하는 수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검사 키트 몸체부;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코안(nasal cavity) 점막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부는 이미지상에서 측정된 마커의 개수를 기반으로 접촉부가 사용자의 코안에 삽입된 깊이를 분석하여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는 점막과 접촉하면 임의의 색상으로 변색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는 접촉부의 색상 변화를 감지하여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자의 검체 채취 후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하는 환경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경 관리부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제어하는 공조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부; 및 자외선을 출력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경 관리부는 자외선 모듈부가 상/하/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모듈부는 UV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동시에 다수의 의료진이 검사실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검사소를 24시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후 유지 및 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함으로써, 검사과정에서 의료진의 감염 발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관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 관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6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검체 채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살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관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 관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6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7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검체 채취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8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의 살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검체 채취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하고, 사용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와, 검사 관리부(130)와, 검체 채취 관리부(140)와, 환경 관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사각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사용자(200)에 의한 셀프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될 수 있도록 작업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사용자(20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11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사용자(200)의 검사 진행 과정에 따라 격벽(미도시)을 이용하여 복수의 작업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검사 정보를 관리하는 작업 공간과, 검사의 진행을 안내하고, 검체의 채취가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사용자(200)가 검체의 채취시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의자(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사용자(200)가 검체의 채취시 머리를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와 같은 지지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3)는 의자(112)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의 내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검사 종류, 사용자 인적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검사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200)의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해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200)로부터 사용자가 검사할 검사 종류, 사용자 이름, 연락처 등과 같은 사용자 인적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QR 코드, 바코드와 같은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 인적 정보를 추출하는 스캐너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검사 관리부(13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검사 정보와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에서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한 검사 진행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200)에게 검체의 채취를 위한 검사 순서 안내, 검사 키트의 사용방법, 검사 키트의 파지 위치, 채취된 검체의 수납 안내, 추가 채취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취 관리부(14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검체 채취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 채취 관리부(140)는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검체의 채취 완료 또는 추가 채취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검사 키트 관리부(141)와, 사용자 정보 매칭부(142)와, 디스플레이부(143)와, 촬영부(144, 144a)와, 영상 분석부(145)와, 수납 관리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 키트 관리부(141)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에서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검사 키트(160)와 검체가 채취된 검사 키트를 수납하기 위한 용기(미도시)와 함께 사용자(200)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매칭부(142)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에서 입력된 사용자 검사 정보와, 제공되는 검사 키트(160)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되도록 관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3)는 검사의 시작, 진행 및 완료에 따른 진행 과정을 시각화 정보와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LCD, LED 등의 표시수단과,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44, 144a)는 사용자(200)가 제공된 검사 키트(160)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 또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변환 센서로 이루어진 카메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44, 144a)는 검체를 채취하는 사용자(200)의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200)의 검체 채취 과정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촬영부(144, 144a)에서 출력되는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된 검체 채취 이미지를 검사 키트(160)와, 사용자(200)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검사 키트(160)와 사용자(200)의 위치에 기반하여 정상적인 검체의 채취가 이루어졌는지 또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추가 채취 과정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 키트(160)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검사 키트 몸체부(161)와,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161)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 사용자(200)의 코안(nasal cavity) 점막과 접촉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접촉부(162)와,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161)를 따라 일정 간격(예를 들어, 5㎝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마커(1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163)는 삽입되는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검사 키트 몸체부(161)를 따라 기준점으로부터 5㎝, 10㎝, 15㎝, 20㎝, 25㎝의 길이를 나타내는 마커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길이가 표시된 마커마다 서로 다른 구분되는 마커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62)는 코안의 점막과 접촉하면 반응하여 임의의 색상으로 변색되도록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인식된 이미지상에서 접촉부(162)가 코안으로 삽입된 후 측정되는 나머지 마커(163)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마커(163)의 개수를 기반으로 사용자(200)가 검사 키트(160)를 사용자(200)의 코안에 적정한 깊이로 삽입하였는지 분석한다.
즉,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사용자(200)가 검사 키트(160)를 미리 설정된 검사 키트의 파지 위치에서 파지하고, 상기 검사 키트(160)를 코안으로 삽입한 후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인식되는 마커(163) 개수, 예를 들어 사용자(200)의 손과 코 사이에서 감지된 마커(163)의 개수를 산출함으로써, 검사 키트(160)가 삽입된 깊이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마커가 5㎝, 10㎝, 15㎝, 20㎝, 25㎝의 길이를 표시하는 경우, 접촉부(162)가 코안으로 삽입된 후 측정되는 길이 표시를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의 길이 표시를 기반으로 사용자(200)가 검사 키트(160)를 사용자(200)의 코안에 적정한 깊이로 삽입하였는지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사용자(200)의 코안 점막 채취가 완료되면 접촉부(162)의 색상 변화(예를 들어, 백색 -> 청색)를 감지하여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채취 완료 또는 추가 채취 여부의 결과에 따른 안내 정보가 시각화 정보 및 음향 신호로 출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관리부(146)는 검체의 채취가 완료되면, 검사에 사용된 검사 키트(160)를 수용한 용기(미도시)가 수납되도록 제어하고, 수납 결과를 저장한다.
상기 환경 관리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내부가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200)의 검체 채취 후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공조부(151)와, 여과부(152)와, 자외선 모듈부(153)와, 액추에이터(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조부(151)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가 일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여과부(152)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오염물질,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정화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필터, 집진 장치 및 살균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모듈(153)은 사용자(200)의 검체 채취가 완료되어 하우징(110)에서 퇴실하면, 자외선을 출력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살균하는 구성으로서, 자외선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 칩이 임의의 방향으로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모듈(153)은 에너지가 큰 자외선으로서, 200㎚ ~ 280㎚ 파장 범위의 UVC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모듈(153)은 하우징(110) 내부의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의 제거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일정 시간동안 최대 출력 세기로 UVC가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54)는 하우징(110)에 설치된 자외선 모듈부(153)가 상방향, 하방향,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54)는 자외선 모듈부(153)가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이동하며 주변에 설치된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 검사 관리부(130), 검체 채취 관리부(140) 등과의 거리를 감소시켜 살균 및 소독 효과가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54)는 자외선 모듈부(153)의 위치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살균 대상 장치와의 거리가 더욱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검사 대상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동시에 다수의 의료진이 검사실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검사소를 24시간 운영할 수 있고, 검사 대상자에 의한 검체 채취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검체의 채취와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검체 채취 장치 110 : 하우징
111 : 출입구 112 : 의자
113 : 지지부 120 : 사용자 정보 관리부
130 : 검사 관리부 140 : 검체 채취 관리부
141 : 검사키트 관리부 142 : 사용자 정보 매칭부
143 : 디스플레이부 144, 144a : 촬영부
145 : 영상 분석부 146 : 수납 관리부
150 : 환경 관리부 151 : 공조부
152 : 여과부 153 : 자외선 모듈부
154 : 액추에이터 160 : 검사 키트
161 : 검사 키트 몸체부 162 : 접촉부
163 : 마커 200 : 사용자

Claims (11)

  1. 일측에 출입구(111)가 설치되고, 내부에 사용자(200)가 머무르는 작업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검사 종류, 사용자 인적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검사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검사 정보와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한 검사 진행을 안내하는 검사 관리부(130); 및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검체 채취 과정을 모니터링 하되, 선택된 검사 종류에 기반하여 검사 키트(160)를 제공하는 검사 키트 관리부(141)와, 사용자 검사 정보와 상기 검사 키트(160)의 정보를 매칭시켜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매칭부(142)와, 상기 검사 진행에 따른 시각화 정보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3)와, 상기 검사 키트(160)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촬영부(144, 144a)와, 상기 검체 채취 이미지에서 검사 키트(160)와 사용자(200)의 위치에 기반한 검체 채취 과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145)와, 상기 검체의 채취가 완료된 검사 키트(160)를 수납하는 수납 관리부(146)로 이루어진 검체 채취 관리부(140);를 포함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사용자(200)가 검체의 채취시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의자(112) 및 지지부(113)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200)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사용자(200)로부터 검사 종류, 사용자 인적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관리부(130)는 검체의 채취를 위한 검사 순서 안내, 채취된 검체의 수납 안내, 추가 채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키트(16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검사 키트 몸체부(161);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161)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 사용자(200)의 코안(nasal cavity) 점막과 접촉하는 접촉부(162); 및
    상기 검사 키트 몸체부(16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마커(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이미지상에서 측정된 마커(163)의 개수를 기반으로 접촉부(162)가사용자(200)의 코안에 삽입된 깊이를 분석하여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62)는 점막과 접촉하면 임의의 색상으로 변색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145)는 접촉부(162)의 색상 변화를 감지하여 채취 완료 및 추가 채취 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체 채취 장치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자(200)의 검체 채취 후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하는 환경 관리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관리부(150)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제어하는 공조부(151);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부(152); 및
    자외선을 출력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모듈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관리부(150)는 자외선 모듈부(153)가 상/하/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5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모듈부(153)는 U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검체 채취 장치.
KR1020210159598A 2021-11-18 2021-11-18 셀프 검체 채취 장치 KR10262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98A KR102629122B1 (ko) 2021-11-18 2021-11-18 셀프 검체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98A KR102629122B1 (ko) 2021-11-18 2021-11-18 셀프 검체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07A KR20230072907A (ko) 2023-05-25
KR102629122B1 true KR102629122B1 (ko) 2024-01-24

Family

ID=8654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598A KR102629122B1 (ko) 2021-11-18 2021-11-18 셀프 검체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1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101B1 (ko)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KR102202140B1 (ko) * 2020-04-20 2021-01-14 주식회사 날다 인공지능 전염병 무인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02222B1 (ko) * 2020-10-16 2021-09-13 은진경 검사자와 피검사자를 분리하는 워크스루 진료용 부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27B1 (ko) 2020-03-23 2020-11-19 특허법인(유한)해담 검체 채취 장치
KR102394884B1 (ko) * 2020-05-07 2022-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체 채취 방법, 로봇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40B1 (ko) * 2020-04-20 2021-01-14 주식회사 날다 인공지능 전염병 무인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78101B1 (ko)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KR102302222B1 (ko) * 2020-10-16 2021-09-13 은진경 검사자와 피검사자를 분리하는 워크스루 진료용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07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41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WO2016003052A1 (ko) 내시경 스코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5026B1 (ko) 고열감지용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180927B1 (ko) 검체 채취 장치
EP2361546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disease including oral scopes and ambient light management systems (ALMS)
JP2010514508A (ja) 歯の脱灰を検出するハンドピース
JP2016165249A (ja) クリーンエア装置
WO2021235710A1 (ko) 감염 안전 이동식 진료 차량
WO2005093681A1 (en) Cleanliness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2337250B1 (ko) 출입자 검사 및 소독시스템
KR102629122B1 (ko) 셀프 검체 채취 장치
CN212247982U (zh) 一种自动化防疫设备
ES2358435T3 (es) Procedimiento de observación de tejido biológico, en particular piel humana.
JP2021184803A5 (ko)
JP3209337U (ja) 手消毒の質を評価する装置
US20220095948A1 (en) Instantaneous olfactory diseas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of detection
KR102364192B1 (ko) 이동형 검체 채취 및 분석장치
US20160089214A1 (en)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monitoring cleaning and sanitization efforts of care givers using stethoscopes
KR102283278B1 (ko) 검체 채취 장치
KR102405266B1 (ko) 광플라즈마 방역소독 및 출입관리 시스템
KR102171543B1 (ko) 인공 지능 치료 부스
JP2013225258A (ja) 作業者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者管理方法
CN213607734U (zh) 一种医疗舱
KR20230061757A (ko) 접촉식 설유두 및 설태 측정 장치
KR102378473B1 (ko) 스캔형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물질 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