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10B1 -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10B1
KR102628210B1 KR1020170012777A KR20170012777A KR102628210B1 KR 102628210 B1 KR102628210 B1 KR 102628210B1 KR 1020170012777 A KR1020170012777 A KR 1020170012777A KR 20170012777 A KR20170012777 A KR 20170012777A KR 102628210 B1 KR102628210 B1 KR 102628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store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116A (ko
Inventor
최준회
노태균
이서호
하주영
이지영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10B1/ko
Priority to US15/881,464 priority patent/US10908582B2/en
Publication of KR2018008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6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solids; Preparation of sampl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426Detected with infrared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상태 정보 및 기설정된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내에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 내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 및 식품에 대한 이용 방식(섭취 기간, 섭취 방법)을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된 식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food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냉장고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식품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도록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의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온도와 기설정된 적정 온도를 비교하여 적정 온도 보다 높을 경우, 보관실의 온도가 적정 온도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최근 개발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보관실 내 전체 온도 혹은 보관실을 각 영역별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 온도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보관실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내에 전체 온도 및 습도는 적정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식품별 상태를 고려하여 온도 및 습도를 자동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보관실에 장기 보관된 식품은 사용자가 섭취하지 못할 수준으로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 내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 및 식품에 대한 이용 방식(섭취 기간, 섭취 방법)을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된 식품을 사용자가 섭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 및 기설정된 상기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고, 상기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이 장기간 보관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화면상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상기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상기 획득한 상태 변환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변환 모델은, 시간 단위로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식품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 및 기설정된 상기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고, 상기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이 장기간 보관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상기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상기 획득한 상태 변환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변환 모델은, 시간 단위로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식품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 내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 및 식품에 대한 이용 방식(섭취 기간, 섭취 방법)을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된 식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식품의 상태를 관리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세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상태 변화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식품의 상태를 관리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냉장고와 같이, 식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보관이 가능한 식품 보관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식품을 보관하는 영역별로 각각의 영역에 있는 식품들의 상태를 체크하고, 영역별 식품들의 상태에 따라 영역별 온도 및 습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냉장고인 전자 장치(100) 제1 영역(20)에는 육류 식품(30)이 냉동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육류 식품(30)이 보관된 제1 영역(20)에는 육류 식품(30)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영역(20)에 일 측에 구비된 센서부(110)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24시간 단위)로 제1 영역(20) 내에 보관된 육류 식품(30)으로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센서부(110)는 근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20) 내에 보관된 육류 식품(30)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근적외선 센서는 가시광에 가까운 영역의 적외선을 검출하는 센서로써, 약 700㎛ ~ 1600㎛의 파장대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 같은 센서부(110)를 통해 육류 식품(30)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육류 식품(30)으로 조사된 광의 일부는 육류 식품(30) 내로 흡수되고, 나머지 광은 육류 식품(30)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다. 따라서, 센서부(110)는 육류 식품(30)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 광을 직접하고, 직접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
직접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후술할 제어부(120)는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에 대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육류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0)의 일 측에 구비된 센서부(11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20)에 서로 다른 복수의 식품이 보관될 경우, 센서부(110)는 좌우로 이동하여 제1 영역(20)에 보관된 복수의 식품 각각으로부터 산란 및 반사된 광을 직접하고, 직접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같이, 복수의 식품 각각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후술할 제어부(120)는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에 대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식품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영역(20)에 동일한 복수의 식품(예를 들어, 사과)이 보관될 경우, 센서부(110)는 좌우로 이동하여 제1 영역(20)에 보관된 복수의 식품 각각으로부터 산란 및 반사된 광을 직접하고, 직접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
이 같이, 동일한 복수의 식품 각각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후술할 제어부(120)는 동일한 복수의 식품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로부터 하나의 광 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동일한 복수의 식품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 파장별 평균값에 기초하여 광 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획득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복수의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을 이용하여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30)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30)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육류 식품(3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육류 식품(30)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육류 식품(30)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한다. 이후, 외부 서버(200)는 육류 식품(30)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육류 식품(3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30)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30)이 보관된 제1 영역(20)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이와 함께, 전자 장치(100)는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10)을 통해 육류 식품(30)에 대한 상태 정보에 대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육류 식품(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30)의 신선도가 '중' 으로 판단되면, 판단된 신선도에 따라 "3일간 보간 가능"이라는 육류 식품(30)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10)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를 통해 제1 영역(20)에 육류 식품(30)이 보관되어 있음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육류 식품(30)의 신선도 상태를 파악하여 육류 식품(30)의 상태가 변질되기 전에 육류 식품(30)을 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는 근 적외선 센서(Near Infrared Sensor : NIR)가 될 수 있다. 근적외선 센서는 가시광에 가까운 영역의 적외선을 검출하는 센서로써, 약 700㎛ ~ 1600㎛의 파장대의 적외선을 감지한다.
이 같은 센서부(110)는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는 광원부(111), 렌즈부(112), 분광부(113) 및 광 측정부(114)를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근 적외선의 광을 식품으로 조사하며, 렌즈부(112)는 광을 집적(Integrate)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식품으로 조사된 광의 일부는 식품을 구성하는 유기 분자의 C-H(탄소-수소), O-H(산소-수소)의 화학적 결합 구조에 의해 식품으로 흡수되고, 나머지 일부 광은 식품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부(112)는 식품으로 조사되어 식품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 광을 직접하며, 분광부(113)는 렌즈부(112)를 통해 집적된 광을 파장대역별로 분리하여 광의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그리고, 광 측정부(114)는 파장대역별로 분리된 광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식품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
이 같은 센서부(110)를 통해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광의 파장별 광 세기에 기초하여 해당 식품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획득한 상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내에 해당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후술할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에 기초하여 광 세기가 측정된 식품(이하 제1 식품이라 함)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광 파장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측정된 광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설정된 상태 변화 모델 중 제1 식품의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에는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은 각각의 식품을 시간 단위로 광을 조사하여 산란 및 반사된 일부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된 모델이다.
이 같은 식품의 상태 변화 모델을 생성하는 동작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식품의 상태 변화 모델이 획득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신선도 혹은 숙성도 등의 보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식품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제1 특정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상태 변화 모델로부터 제1 특정 구간의 광 세기와 관련된 샘플값을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샘플값을 포함하는 구간별 설정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보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정 구간의 광 세기와 관련하여 획득한 샘플값이 포함된 구간은 신선도 상태가 우수(上)한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식품의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20)는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보관 가능 예정일을 예측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화면(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200)는 식품별 생성된 상태 변화 모델에 기초하여 식품 각각에 대한 상태 변화를 분석 및 관리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식품으로부터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로부터 광 세기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한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후술할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50)는 외부 서버(200)로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며, 외부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상태 변화 모델 중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한다.
이후, 외부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제1 식품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후, 외부 서버(200)는 판단된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며,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제1 식품의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20)는 획득한 제1 식품의 상태 정보 및 제1 식품과 관련하여 입력된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면, 제1 식품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의 제1 영역에 제1 식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2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이, 냉장실의 제1 영역의 온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장기 보관될 수 있도록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 1 ℃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전자 장치(100)의 냉기 공급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2 ℃에서 - 1 ℃로 유지되도록 제1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품은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섭취 가능한 상태로 제1 영역에 보관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이 장기간 보관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 계획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식품을 섭취하기 위한 예정일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식품을 보관일을 기준으로 1일 후에 섭취하기 위한 이용 계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등급별 보관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보관 가능일을 2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날짜에 제1 식품이 섭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식품의 상태를 고려하여 제1 식품이 장기 보관될 수 있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의 제1 영역에 제1 식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2 ℃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날짜에 제1 식품이 섭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될 수 있도록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1 ℃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1 ℃로의 온도 조절은 장기 보관에 적절하도록 설정된 온도값이 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식품을 보관일을 기준으로 5일 후에 섭취하기 위한 이용 계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등급별 보관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보관 가능일을 2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의 상태 정보 및 제1 식품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섭취 예정일이 보관 가능일보다 빠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섭취 예정일이 보관 가능일보다 늦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의 제1 영역에 제1 식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2 ℃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섭취 예정일이 보관 가능일보다 늦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사용자가 설정한 섭취 예정일이 제1 식품이 섭취될 수 있도록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0 ℃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전자 장치(100)의 냉기 공급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2 ℃에서 0 ℃로 유지되도록 제1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0 ℃로의 온도 조절은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섭취 예정일과 보관 가능일을 고려하여 설정된 온도값이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섭취 예정일과 보관 가능일 간의 차이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20)는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섭취 예정일이 보관 가능일보다 늦으면, 기설정된 임의의 온도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섭취 예정일이 보관 가능일보다 늦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현재 제1 영역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의 제1 영역에 제1 식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2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가 고등급(신선도 상(上))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1 ℃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가 중등급(신선도 중(中))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0 ℃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가 하등급(신선도 하(下))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기설정된 2 ℃에서 -1 ℃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품은 육류가 될 수 있으며,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는 상등급(신선도 상(上))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따라, 육류인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0 ℃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온도로 높아지도록 온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0 ℃)는 메뉴얼에 따라 설정된 일반적인 온도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육류인 제1 식품의 숙성 기간은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 및 제1 식품이 보관되는 제1 영역의 온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인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0 ℃로 설정되고,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가 상등급(신선도 상(上))이면, 육류인 제1 식품의 숙성 기간은 제1 영역에 보관된 날로부터 7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육류인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0 ℃로 설정되고,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가 중등급(신선도 중(中))이면, 육류인 제1 식품의 숙성 기간은 제1 영역에 보관된 날로부터 3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육류인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0 ℃로 설정되고,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가 하등급(신선도 하(下))이면, 육류인 제1 식품의 숙성 기간은 제1 영역에 보관된 날로부터 1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육류인 제1 식품이 보관되는 영역의 온도를 0 ℃ 기준으로 1 ℃ 씩 높일 경우, 숙성일은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에 따라 하루씩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은 예를 통해, 사용자가 숙성 예정일을 육류인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보관된 날로부터 5일 후로 설정하고, 0 ℃의 온도로 설정된 제1 영역에 보관된 육류인 제1 식품의 상태가 상등급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0 ℃에서 2 ℃로 온도를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전자 장치(100)의 냉기 공급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0 ℃에서 2 ℃로 높아지도록 제1 영역의 냉기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식품과 관련하여 획득한 상태 정보에 대한 가이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한다. 여기서, 가이드 UI는 제1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제1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UI는 전술한 제1 식품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식품의 상태, 제1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레시피 정보 및 제1 영역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상태 변화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태 변화 모델은 각각의 식품에 대해서 시간 단위로 적외선 센서를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인 제1 식품인 경우, 등급별로 분류된 제1 식품을 시간 단위로 적외선 센서를 통해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을 측정하고, 광의 파장별로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41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등급으로 분류된 육류의 제1 식품(411)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48번 동안 제1 식품(411)에 광을 조사하고, 제1 식품(411)의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 광의 파장을 측정하여 광의 파장별로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등급으로 분류된 육류의 제2 식품(412)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48번 동안 제2 식품(412)에 광을 조사하고, 제2 식품(412)의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된 광의 파장을 측정하여 광의 파장별로 측정된 광의 세기를 누적시킨다.
이 같은 실험을 통해 제1 및 제2 등급으로 분류된 육류의 제1 및 제2 식품(411,412)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410)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1 식품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는 육류 식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영역에 보관된 육류 식품(510)의 신선도가 상(上)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육류 식품(510)의 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육류 식품(51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10)의 신성도 상태, 육류 식품(510)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 및 육류 식품(51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510)의 숙성 예정일을 예측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10)의 숙성과 관련하여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7일 후 숙성 완료 예상'이라는 육류 식품(510)에 대한 가이드 UI(51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 보관된 육류 식품(520)의 신선도는 중(中)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육류 식품(520)의 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육류 식품(52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20)의 신성도 상태, 육류 식품(520)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 및 육류 식품(52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52)의 숙성 예정일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20)의 신선도 상태 및 육류 식품(520)이 보관된 제1 영역에 설정된 온도를 고려하여 육류 식품(520)의 보관 가능일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20)의 신선도 상태 및 육류 식품(520)이 보관되는 영역의 적정 온도를 고려하여 육류 식품(520)의 신선도 상태별 보관 가능일이 매핑된 테이블을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육류 식품(520)의 신선도 상태별 보관 가능일이 매핑된 테이블[표 1]은 아래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육류 식품 상태 온도 조건 보관 예정일
신선도 상(上) 적정 온도 7일
신선도 중(中) 적정 온도 5일
신선도 하(下) 적정 온도 2일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위와 같은 테이블[표 1]을 참조하여 육류 식품(52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육류 식품(520)에 대한 숙성 예정일 및 보관 가능일이 예측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3일 후 숙성 완료 예상' 및 '5일 보관 가능'이라는 육류 식품(520)에 대한 가이드 UI(52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 보관된 육류 식품(530)은 육류 식품(530)의 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동안 숙성이 완료될 수 있다. 이 같이, 숙성이 완료된 육류 식품(530)의 신선도는 하(下)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육류 식품(530)의 신성도 상태 및 육류 식품(53)이 보관된 제1 영역에 설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육류 식품(510)의 보관 가능일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같이, 육류 식품(530)에 대한 숙성이 완료되고 보관 가능일이 예측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숙성 완료' 및 '2일 보관 가능'이라는 육류 식품(530)에 대한 가이드 UI(53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숙성 관련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 보관된 육류 식품을 숙성할 수 있다.
숙성 관련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숙성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숙성된 육류 제품을 이용한 요리 관련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UI(610)를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식품별 레시피 정보 중 육류 식품을 이용한 요리 관련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거나, 웹 서버(미도시)를 통해 육류 식품 혹은 숙성된 육류 식품을 을 이용한 요리 관련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이, 육류 식품 관련 레시피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육류 식품과 관련하여 획득된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UI(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는 어류 식품(710)이 보관될 수 있으며, 제1 영역에 보관된 어류 식품(710)의 신선도가 상(上)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어류 식품(71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후술할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어류 식품(710)의 보관 가능일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어류 식품(710)의 신선도 상태 및 어류 식품이 보관되는 영역의 적정 온도를 고려하여 어류 식품(710)의 신선도 상태별 보관 가능일이 매핑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상(上)으로 판단된 어류 식품(71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7일 보관 가능'이라는 어류 식품(710)에 대한 가이드 UI(71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보관된 어류 식품(720)의 신선도를 중(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어류 식품(72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중(中)으로 판단된 어류 식품(72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3일 보관 가능'이라는 어류 식품(720)에 대한 가이드 UI(72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보관된 어류 식품(730)의 신선도는 하(下)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어류 식품(7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하(下)로 판단된 어류 식품(73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1일 보관 가능'이라는 어류 식품(730)에 대한 가이드 UI(73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가 하(下)인 어류 식품(7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가 하(下)인 어류 식품(730)과 관련하여 예측된 보관 가능일을 기준으로 어류 식품(7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어류 식품(7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어류 식품(7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에서 장기 보관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설정 온도(예를 들어 -2 ℃)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같이,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 상태가 하(下)인 어류 식품(7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어류 식품(730)에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보관된 어류 식품(730)은 현재의 신선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도어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1일 보관 가능'이라는 가이드 UI(731)를 확인한 후, 장기 보관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장기 보관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어류 식품(7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에서 장기 보관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설정 온도(예를 들어 -2 ℃)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보관된 어류 식품(730)에 대한 장기 보관이 설정되면, '장기 보관 설정'이라는 어류 식품(730)에 대한 가이드 UI(732)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관된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영역에는 과일 식품(810)이 보관될 수 있다. 제1 영역에 과일 식품(810)에 보관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과일 식품(810)의 광의 파장별 광 세기에 기초하여 과일 식품(8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상태 정보는 과일 식품(810)의 타입(종류), 신성도 상태 정보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에 보관된 과일 식품(810)이 수박이며, 신선도가 상(上)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과일 식품(81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후술할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과일 식품(810)의 보관 가능일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과일 식품(810)의 신선도 상태 및 과일 식품(810)이 보관되는 영역의 적정 온도를 고려하여 과일 식품(810)의 신선도 상태별 보관 가능일이 매핑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상(上)으로 판단된 과일 식품(81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기획득한 상태 정보에 포함된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과일 식품(81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같이, 과일 식품(810)에 대한 보관 가능일 및 비타민 함유량이 예측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7일 보관 가능' 및 '비타민 00mg 함유'이라는 과일 식품(810)에 대한 가이드 UI(81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과일 식품(8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에 보관된 과일 식품(820)의 신선도를 중(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과일 식품(82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중(中)으로 판단된 과일 식품(82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과일 식품(820)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과일 식품(82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선도가 중(中)인 과일 식품(82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은 신선도가 상(上)인 과일 식품(81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3일 보관 가능' 및 '비타민 00mg 함유'라는 과일 식품(820)에 대한 가이드 UI(82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보관된 과일 식품(830)의 신선도는 하(下)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과일 식품(8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는 기설정된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신선도가 하(下)로 판단된 과일 식품(830)의 보관 가능일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과일 식품(830)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과일 식품(82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선도가 하(下)인 과일 식품(83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은 신선도가 중(中)인 과일 식품(820) 내에 함유된 비타민 함유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1일 보관 가능' 및 '비타민 00mg 함유'라는 과일 식품(830)에 대한 가이드 UI(831)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가 하(下)인 과일 식품(8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가 하(下)인 과일 식품(830)과 관련하여 예측된 보관 가능일을 기준으로 과일 식품(8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일 식품(8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과일 식품(8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에서 장기 보관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설정 온도(예를 들어 -1 ℃)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같이, 전자 장치(100)는 신선도 상태가 하(下)인 과일 식품(830)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과일 식품(830)에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보관된 과일 식품(830)은 현재의 신선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도어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1일 보관 가능'이라는 가이드 UI(831)를 확인한 후, 장기 보관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장기 보관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과일 식품(830)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를 적정 온도(예를 들어 0 ℃)에서 장기 보관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설정 온도(예를 들어 -1 ℃)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보관된 과일 식품(830)에 대한 장기 보관이 설정되면, '장기 보관 설정'이라는 과일 식품(830)에 대한 가이드 UI(832)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육류, 과일, 생선 등의 다양한 식품을 보관하는 스마트 냉장고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 구성 외에 저장부(140), 통신부(150), 냉기 공급부(160), 입력부(170) 및 오디오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1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영역에 보관된 식품으로 광을 조사하고, 산란 및 반사된 광으로부터 해당 식품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센서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각 영역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을 더 포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식품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에 기초하여 획득한 해당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식품이 보관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30)는 식품의 상태 및 해당 식품과 관련된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이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으로 구현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각 식품별로 측정된 광 파장별 광 세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태 변화 모델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각 식품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보관 가능일 정보, 온도 및 습도 설정 정보,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14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200)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미도시)와, 기등록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물 인터넷 기기(Internet of Things : IOT)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 같은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랜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0)와 주변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 사물 인터넷 기기)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부(150)는 상술한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는 USB 2.0, USB 3.0, HDMI, IEEE 1394 등 다양한 소스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커넥터는 커넥터(153)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술한 외부 서버(200)로부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냉기 공급부(160)는 전자 장치(100) 내에서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에 기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냉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특히, 각 영역별로 상이한 온도가 설정된 경우, 냉기 공급부(160)는 각 영역별로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이한 세기의 냉기를 각 영역에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 같은 입력부(170)는 조작부, 터치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부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와 상호 레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부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UI 엘리먼트들에 대한 터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IR 신호 혹은 RF 신호를 입력받으며,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다.
마지막으로, 오디오 출력부(18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가청음 형태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20)는 CPU(121), GPU(122), ROM(123) 및 RAM(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121), GPU(122), ROM(123) 및 RAM(124)는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1)는 저장부(140)를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CPU(121)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GPU(122)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PU(122)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고, 연상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ROM(123)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1)는 ROM(123)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24)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1)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4)에 복사하고, RAM(124)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제어부(120)는 전술한 각 구성들과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ROM(123), RAM(124) 또는 전자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이하 제1 식품이라 함)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광 세기를 측정한다(S1010). 여기서, 적외선 센서는 가시광에 가까운 영역의 적외선을 검출하는 근적외선 센서로써, 약 700㎛ ~ 1600㎛의 파장대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같은 센서를 통해 제1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잘별 광 세기가 측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020).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제1 식품에 대한 타입(종류),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식품의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한다. 이후, 외부 서버(200)는 제1 식품에 대한 광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기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에 적용하여 제1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2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200)는 시간 단위로 적외선 센서를 통해 복수의 식품 중 제1 식품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의 일부가 제1 식품의 표면에서 산란 및 반사되는 경우, 산란 및 반사된 광을 직접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200)는 직접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제1 식품에 대한 시간별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변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제1 식품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이 보관된 영역(이하 제1 영역이라 함)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S1030).
여기서, 이용 계획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식품을 섭취하기 위한 예정일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040).
여기서, 제1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는 제1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제1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UI는 제1 식품에 대한 이용 계획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 S1030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제1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될 수 있도록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동안 제1 식품이 제1 영역에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 정도에 따라, 제1 식품이 보관된 제1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제1 식품을 장기 보관하거나 사용자가 요구한 상태로 숙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화면을 통해 제1 영역에 보관된 제1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도어 전면에 부착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를 통해 제1 식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제1 식품이 상하기 전에 다양한 형태로 조리하여 섭치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160 : 냉기 공급부 170 : 입력부
180 : 오디오 출력부 200 : 외부 서버

Claims (20)

  1.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식품이 배치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 및 기설정된 상기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보관 가능일을 확인하고,
    상기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섭취 예정일을 확인하고,
    상기 보관 가능일이 상기 섭취 예정일보다 빠르고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섭취 예정일이 경과 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화면상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상기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상기 획득한 상태 변환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환 모델은,
    시간 단위로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식품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된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식품이 배치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의 파장별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 및 기설정된 상기 식품의 이용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상기 식품이 배치된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보관 가능일을 확인하고,
    상기 이용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섭취 예정일을 확인하고,
    상기 보관 가능일이 상기 섭취 예정일보다 빠르고 상기 식품의 상태가 저등급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섭취 예정일이 경과 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장기 보관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급숙성을 위한 이용 계획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 내에 숙성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식품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UI 엘리먼트 및 상기 식품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식품별 상태 변화 모델 중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변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식품에 대한 광의 파장별 광 세기 중 특정 파장 구간의 광 세기를 상기 획득한 상태 변환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환 모델은,
    시간 단위로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식품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광 세기를 누적시켜 생성된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광 세기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광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식품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의 타입, 숙성도 및 영양 성분에 대한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KR1020170012777A 2017-01-26 2017-01-26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28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77A KR102628210B1 (ko) 2017-01-26 2017-01-26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5/881,464 US10908582B2 (en) 2017-01-26 2018-01-26 Electronic device for food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77A KR102628210B1 (ko) 2017-01-26 2017-01-26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16A KR20180088116A (ko) 2018-08-03
KR102628210B1 true KR102628210B1 (ko) 2024-01-24

Family

ID=6290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77A KR102628210B1 (ko) 2017-01-26 2017-01-26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08582B2 (ko)
KR (1) KR102628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58B1 (ko) 2018-09-21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내 객체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2452A (ko) * 2019-10-10 202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 지능 장치
KR102590616B1 (ko) 2021-10-06 2023-10-17 한국식품연구원 비파괴 분석기술 기반의 배추 연부병 진단용 다분광 영상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US20230121318A1 (en) * 2021-10-20 2023-04-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meat aging compartment
KR20230096647A (ko) * 2021-1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9092B1 (ko) * 2023-02-21 2023-06-29 (주)59컴퍼니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육류의 신선도에 따라 육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2680A (ja) 2010-12-09 2012-06-28 Sharp Corp 冷却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5042926A (ja)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3939A (ja) * 1996-05-17 1997-11-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373094B1 (ko) * 2000-10-16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06300810A (ja) 2005-04-22 2006-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鮮度識別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鮮度識別方法
KR20070032417A (ko) * 2005-09-16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보관온도 제어장치
KR100825992B1 (ko) * 2006-07-31 2008-04-28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신선도 표시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826715B1 (ko) 2007-01-0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564100B1 (ko) * 2008-12-08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식물 보관방법
JP5845009B2 (ja) 2011-07-07 2016-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測定分析装置、貯蔵庫、電磁波発生装置および光測定分析方法。
JP2014105933A (ja) 2012-11-28 2014-06-0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140139736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9212996B2 (en) * 2013-08-05 2015-12-15 Tellspec, Inc. Analyzing and correlating spectra, identifying samples and their ingredients, and displaying related personalized information
KR101745372B1 (ko) * 2015-07-08 2017-06-09 피도연 식품 상태 측정 장치, 식품 상태 측정 모듈,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2680A (ja) 2010-12-09 2012-06-28 Sharp Corp 冷却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5042926A (ja)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0418A1 (en) 2018-07-26
KR20180088116A (ko) 2018-08-03
US10908582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210B1 (ko) 식품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506395B2 (en) Tailored food preparation with an oven
CN111527348B (zh) 可配置的烹饪系统和方法
KR102653851B1 (ko) 맞춤형 화장품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806656B (zh) 食物加热控制方法和食物加热装置
CN107205583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US9778102B2 (en) Ambient light sensor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product
US10285245B2 (en) Light scene creation or modification by means of lighting device usage data
US11064570B2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24913A1 (en) Cooking system having inductive heating and wireless powering of kitchen appliances
US201801378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ly managing digital display blue light intensity
KR20190057020A (ko) 요리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200278238A1 (en) Sensing pad
CN105741211B (zh) 饮食数据处理方法、装置和设备
US20210259453A1 (en) Cooking device and system
CN103799883A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营养分析系统
KR102435186B1 (ko) 조리기기 및 조리 시스템
KR102295628B1 (ko) 식품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41520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ocessing electronic recipe, electronic device
CN112118774B (zh) 用于烹饪诸如全谷物米的全谷物的烹饪器具
US201801038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lood sugar care service
US20180144819A1 (en) User device, server, and system having function of managing body fat or glucose, and method for managing body fat or glucose using same
EP3632271A1 (en)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whole grains such as whole grain rice
KR102507783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피자 도우 숙성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71077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