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08B1 -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8208B1 KR102628208B1 KR1020200169327A KR20200169327A KR102628208B1 KR 102628208 B1 KR102628208 B1 KR 102628208B1 KR 1020200169327 A KR1020200169327 A KR 1020200169327A KR 20200169327 A KR20200169327 A KR 20200169327A KR 102628208 B1 KR102628208 B1 KR 102628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cereal
- valve
- weight
- drying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5000011868 grain produ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organic acid cobalt salt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UBMGJOQLXMSNT-UHFFFAOYSA-N N-isopropyl-N'-phenyl-p-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C1NC1=CC=CC=C1 OUBMGJOQLXMSN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GRSMWKLPSNHDHA-UHFFFAOYSA-N Naphthal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C1=CC(C(=O)OC2=O)=C3C2=CC=CC3=C1 GRSMWKLPSNHDH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BJZVLUMGGDVMO-UHFFFAOYSA-N hafnium atom Chemical compound [Hf] VBJZVLUMGGDVM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WFKAJVHLWXSISD-UHFFFAOYSA-N isobutyramide Chemical compound CC(C)C(N)=O WFKAJVHLWXSIS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QLNJFJADRCOGBJ-UHFFFAOYSA-N propionamide Chemical compound CCC(N)=O QLNJFJADRCOGB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80818 propionam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46354 Saturej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WQXQMHSOZUFJS-UHFFFAOYSA-N molybdenum disulfide Chemical compound S=[Mo]=S CWQXQMHSOZUF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색도, 식감 및 풍미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고소한 식감 및 풍미를 개선시킬 수 있고, 갈변 현상을 통해 시리얼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여 시리얼의 시각적인 고소함 및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곡물 시리얼의 로스팅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고소한 식감 및 풍미를 개선시킬 수 있고, 갈변 현상을 통해 시리얼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여 시리얼의 시각적인 고소함 및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곡물 시리얼의 로스팅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색도, 식감 및 풍미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우리나라 가구의 가공식품 지출구조를 보면 총식료품 지출액 중 외식비가 감소하면서 가공식품 지출액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고령가구의 증가 및 1인 가구의 계속적인로 인한 트렌드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가공식품 분류별 지출 비중은 곡물가공품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식습관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쌀을 포함한 여러 곡물가공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하고 개선된 품질의 곡물가공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간편 대용식인 곡물 시리얼에 있다.
최근 국내 시리얼 제품 중 외국계 기업 및 대기업 등에서 출시하는 제품으로서, 기존 옥수수, 밀을 이용한 전통적 시리얼에서 탈피하여, 쌀, 통곡물, 슈퍼푸드 등을 이용한 시리얼 제품이 글루텐프리(Gluten-free) 및 웰빙 등의 영향으로 출시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건강식 및 다이어트식, 글루텐 프리 제품 등으로 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쌀을 이용한 시리얼의 시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기 쌀을 포함한 곡물류를 시리얼 제품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색도, 식감 및 풍미를 결정하는 건조 공정에 있다 할 것이다.
종래기술의 일례로서, 쌀을 포함한 곡물류를 시리얼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단순히 열풍에 노출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dry) 공법으로 적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얼의 조직을 구성하는 건조 전의 셀(수분을 머금은 상태)이 건조 후에는 수분 증발로 인하여 크게 줄어들게 되고, 외부 색상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렇게 건조 전의 셀이 수분 증발로 인하여 그 크기가 크게 줄어들면, 시리얼의 식감을 딱딱하게 만들고, 곡물 본연의 고소한 풍미가 드러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쌀을 포함한 곡물류를 시리얼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로스팅(roasting) 공법으로 적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얼의 조직을 구성하는 건조 전의 셀(수분을 머금은 상태) 내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동시에 셀 크기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시리얼 특유의 바삭한 식감을 살릴 수 있고, 곡물 특유의 고소한 맛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스팅 공법에 의하여 건조 후의 시리얼 제품 표면 색상이 갈변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시리얼의 고소함 및 풍미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로스팅 공법은 대부분 뱃지식(batch, 통돌이 방식)의 열풍로스팅 방식으로서, 시리얼 입자에 대한 고른 열전달이 어려워 입자간 로스팅 정도가 불균일하고, 수율과 열효율성이 떨어지며, 그에 따라 곡물 시리얼의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고소한 식감 및 풍미를 개선시킬 수 있고, 갈변 현상을 통해 시리얼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여 시리얼의 시각적인 고소함 및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곡물 시리얼의 로스팅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부에는 건조 대상품인 곡물 시리얼을 투입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건조를 마친 시리얼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건조용 케이스; 상기 건조용 케이스 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며 건조용 케이스의 타측부에 장착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건조용 케이스의 정면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투입부로부터 배출부까지 등간격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1열풍 연결관, 제2열풍 연결관 및 제3열풍 연결관; 상기 제1,2,3열풍 연결관의 각 후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열풍 공급관; 상기 열풍 공급관에 연결되는 열풍기; 상기 제1열풍 연결관에 장착되어 제1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 상기 제2열풍 연결관에 장착되어 제2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3열풍 연결관에 장착되어 제3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의 개도를 제2밸브의 개도에 비하여 작게 조절하고, 제3밸브의 개도를 제2밸브에 비하여 크게 조절하여, 상기 제1열풍 연결관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2열풍 연결관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고, 상기 제2열풍 연결관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3열풍 연결관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건조용 케이스의 타측부를 통해 노출된 스크류의 회전축에 형성된 체인기어; 건조용 케이스를 받쳐주는 지지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모터; 모터의 출력축과 체인기어 간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용 체인; 및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상기 열풍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열풍기에서 생성되는 열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풍온도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유동열풍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곡물 시리얼을 로스팅하되, 스크류에 의한 이송과 함께 점차 증가되는 열풍 온도에 의하여 단계별로 로스팅함으로써, 시리얼의 고소한 식감 및 풍미를 개선시킬 수 있고, 갈변 현상을 통해 시리얼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여 시리얼의 시각적인 고소함 및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곡물 시리얼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로스팅시킴으로써, 곡물 시리얼의 로스팅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례로서, 열풍을 이용한 곡물 시리얼의 건조 과정을 도식화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로스팅 공법을 이용한 곡물 시리얼의 건조 과정을 도식화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열풍 건조 방식의 곡물 시리얼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시리얼 건조 시스템의 스크류 회전시 곡물이 건조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로스팅 공법을 이용한 곡물 시리얼의 건조 과정을 도식화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열풍 건조 방식의 곡물 시리얼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시리얼 건조 시스템의 스크류 회전시 곡물이 건조되는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열풍 건조 방식의 곡물 시리얼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건조용 케이스를 지시한다.
상기 건조용 케이스(10)는 그 일측부에 건조 대상품인 곡물 시리얼을 투입하는 투입부(12)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건조를 마친 시리얼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14)가 형성된 직사각형 케이스 구조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건조용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은 길이방향을 따라 3구간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3구간의 공간마다 서로 다른 온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3개 이상의 열풍 연결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건조용 케이스(10) 내에는 건조대상인 시리얼을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동시에 유동시키면서 로스팅하기 위한 스크류(20)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건조용 케이스(10)의 타측부에는 스크류(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3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장치(30)는, 건조용 케이스(10)의 타측부를 통해 노출된 스크류(20)의 회전축에 형성된 체인기어와, 건조용 케이스(10)를 받쳐주는 지지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과 체인기어 간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용 체인과,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기(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이 체인을 통해 체인기어로 전달되는 동시에 체인기어로부터 스크류(20)로 전달됨으로써, 스크류(20)가 제자리 회전하면서 건조대상인 시리얼을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동시에 유동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건조용 케이스(10)의 정면부에는 3개 이상의 열풍 연결관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용 케이스(10)의 정면부에는 제1열풍 연결관(41), 제2열풍 연결관(42) 및 제3열풍 연결관(43)이 연결되되, 상기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까지 등간격을 이루며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2,3열풍 연결관(41,42,43)의 각 후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열풍 공급관(40)이 연결되고, 이 열풍 공급관(40)에는 열풍기(50)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기(50)에는 열풍온도 컨트롤러(54)가 연결되며, 이 열풍온도 컨트롤러(5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열풍기(50)에서 생성되는 열풍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열풍기(50)가 구동되면,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이 열풍 공급관(40)을 통하여 흐른 후, 상기 제1,2,3열풍 연결관(41,42,43)으로 각각 분기되어 건조용 케이스(1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3열풍 연결관(41,42,43)으로 각각 분기되어 건조용 케이스(10) 내로 공급되는 열풍량 및 건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열풍 연결관(41)에는 제1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51)가 장착되고,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에는 제2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52)가 장착되며, 상기 제3열풍 연결관(43)에는 제3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53)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3밸브(51,52,53)는 작업자가 직접 조작 가능한 구동레버에 의하여 그 개도가 조절되는 타입으로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리얼 제조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이 체인을 통해 체인기어로 전달되는 동시에 체인기어로부터 스크류(20)로 전달됨으로써, 스크류(20)가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열풍기(50)를 구동시켜서,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이 열풍 공급관(40)을 통하여 흐른 후, 제1,2,3열풍 연결관(41,42,43)으로 각각 분기되어 건조용 케이스(1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연이어, 건조대상인 시리얼을 상기 투입부(12)를 통하여 건조용 케이스(10) 내에 투입한다.
이에, 상기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시리얼이 스크류(20)의 제자리 회전에 의하여 배출부(14)를 향하여 이송되면서 열풍 온도에 의하여 로스팅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20)의 제자리 회전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의 피치 사이 공간으로 시리얼이 부상되는 유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열풍의 대류 현상으로 인하여 시리얼의 전체 표면에 대하여 고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시리얼에 대한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얻어낼 수 있다.
참고로, 마이야르 반응은 대부분의 식재료가 조리과정을 통해 '갈색'으로 변화하는 현상(예, 오븐에서 빵을 구울 때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 마이야르 반응으로 인하여 시리얼이 갈변되는 동시에 고소하고 바삭한 맛이 증대되는 풍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시리얼이 단시간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건조되면 시리얼 표면에 수축현상이 일어나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여 내부 조직감이 강화됨으로써, 시리얼의 식감이 딱딱해질 수 있다.
즉, 건조 전의 시리얼 셀이 수분 증발로 인하여 그 크기가 크게 줄어들면, 시리얼의 식감을 딱딱하게 만들고, 곡물 본연의 고소한 풍미가 드러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리얼을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열풍 온도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밸브(51)의 개도를 제2밸브(52)의 개도에 비하여 작게 조절하고, 제3밸브(53)의 개도를 제2밸브(52)에 비하여 크게 조절하여, 건조용 케이스(10)내의 열풍 건조온도를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까지 점자 증대되는 온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밸브(51)의 개도를 제2밸브(52)의 개도에 비하여 작게 조절하고, 제3밸브(53)의 개도를 제2밸브(52)에 비하여 크게 조절하여, 상기 제1열풍 연결관(41)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고,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3열풍 연결관(43)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게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밸브(51)의 개도를 20%로 조절하고, 상기 제2밸브(52)의 개도를 50%로 조절하며, 상기 제3밸브(53)를 90%로 조절하여, 건조용 케이스(10)내의 열풍 건조온도를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까지 점자 증대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풍 연결관(41)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의 제1구간(예, 투입부에서 중간 부분 사이 구간)으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가장 낮게 조절되고,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의 제2구간(예, 중간 부분)으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조절되며, 상기 제3열풍 연결관(43)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가장 높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부(12)를 통해 건조용 케이스(10)로 투입된 시리얼이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하여 배출부(14)를 향하여 이송 및 유동되면서 로스팅되며 건조되고, 이와 동시에 점진적을 증가하는 열풍 온도에 의하여 건조 전의 시리얼 셀(수분을 머금은 상태) 내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동시에 수축 현상없이 시리얼 크기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갈변 현상을 통해 시리얼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여 시리얼의 시각적인 고소함 및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곡물 시리얼을 스크류(20)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로스팅 및 건조시킴으로써, 곡물 시리얼의 로스팅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밸브(51)의 개도를 20%로 조절하고, 제2밸브(52)의 개도를 50%로 조절하며, 제3밸브(53)를 90%로 조절하는 등 제1밸브(51)와 제2밸브(52)와 제3밸브(53)의 개도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밸브(51)와 제2밸브(52)와 제3밸브(53)의 개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제1밸브(51)와 제2밸브(52)와 제3밸브(53)를 통과하는 열풍량 및 그 온도를 각각 강, 중, 약, 또는 강, 약, 강, 또는 약, 중, 강 등으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다양한 제품을 건조 생산할 수 있다.
한편, 건조용 케이스(10) 및 구동장치(3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아이소부틸아미드 10중량%, 인디아졸 20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20중량%, 프로피온아미드 2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10㎛로 형성할 수 있다.
아이소부틸아미드, 인디아졸, 프로피온아미드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스크류(20), 제1밸브(51), 제2밸브(52), 제3밸브(53)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스크류(20), 제1밸브(51), 제2밸브(52), 제3밸브(53)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스크류(20), 제1밸브(51), 제2밸브(52), 제3밸브(53)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스크류(20), 제1밸브(51), 제2밸브(52), 제3밸브(53)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20), 제1밸브(51), 제2밸브(52), 제3밸브(53)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폴리쿼터늄-7 0.1 몰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용 케이스(10)의 하단에는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가 더 설치 될 수 있다.)
이 진동흡수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흡수부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5중량%, 유기산 코발트염 6중량%,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8중량%, 머캅토지르코네이트 20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6중량%, 유황 5중량%를 혼합한다.
머캅토지르코네이트는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유기산 코발트염과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는 접착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유항은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동흡수부의 수명이 증대된다.
고무재질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0 : 건조용 케이스
12 : 투입부
14 : 배출부
20 : 스크류
30 : 구동장치
34 : 속도제어기
40 : 열풍 공급관
41 : 제1열풍 연결관
42 : 제2열풍 연결관
43 : 제3열풍 연결관
50 : 열풍기
51 : 제1밸브
52 : 제2밸브
53 : 제3밸브
54 : 열풍온도 컨트롤러
12 : 투입부
14 : 배출부
20 : 스크류
30 : 구동장치
34 : 속도제어기
40 : 열풍 공급관
41 : 제1열풍 연결관
42 : 제2열풍 연결관
43 : 제3열풍 연결관
50 : 열풍기
51 : 제1밸브
52 : 제2밸브
53 : 제3밸브
54 : 열풍온도 컨트롤러
Claims (3)
- 일측부에는 건조 대상품인 곡물 시리얼을 투입하는 투입부(12)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건조를 마친 시리얼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14)가 형성된 건조용 케이스(10);
상기 건조용 케이스(10) 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20);
상기 스크류(20)와 연결되며 건조용 케이스(10)의 타측부에 장착되어, 스크류(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30);
상기 건조용 케이스(10)의 정면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투입부(12)로부터 배출부(14)까지 등간격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1열풍 연결관(41), 제2열풍 연결관(42) 및 제3열풍 연결관(43);
상기 제1,2,3열풍 연결관(41,42,43)의 각 후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열풍 공급관(40);
상기 열풍 공급관(40)에 연결되는 열풍기(50);
상기 제1열풍 연결관(41)에 장착되어 제1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51);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에 장착되어 제2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52); 및
상기 제3열풍 연결관(43)에 장착되어 제3열풍 연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3밸브(53);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51)의 개도를 제2밸브(52)의 개도에 비하여 작게 조절하고, 제3밸브(53)의 개도를 제2밸브(52)에 비하여 크게 조절하여, 상기 제1열풍 연결관(41)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고, 상기 제2열풍 연결관(42)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3열풍 연결관(43)으로부터 건조용 케이스(10)로 공급되어 시리얼을 건조시키는 열풍 온도가 더 높게 되도록 하며;
건조용 케이스(10) 및 구동장치(30)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아이소부틸아미드 10중량%, 인디아졸 20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20중량%, 프로피온아미드 20중량%로 구성되고;
건조용 케이스(10)의 하단에는 진동흡수부가 설치되되, 상기 진동흡수부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5중량%, 유기산 코발트염 6중량%,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8중량%, 머캅토지르코네이트 20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6중량%, 유황 5중량%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30)는:
건조용 케이스(10)의 타측부를 통해 노출된 스크류(20)의 회전축에 형성된 체인기어;
건조용 케이스(10)를 받쳐주는 지지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모터;
모터의 출력축과 체인기어 간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용 체인; 및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기(3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50)의 구동을 제어하여 건조 대상인 시리얼 종류에 따라 열풍기(50)에서 생성되는 열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풍온도 컨트롤러(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327A KR102628208B1 (ko) | 2020-12-07 | 2020-12-07 |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327A KR102628208B1 (ko) | 2020-12-07 | 2020-12-07 |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0332A KR20220080332A (ko) | 2022-06-14 |
KR102628208B1 true KR102628208B1 (ko) | 2024-01-23 |
Family
ID=8198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9327A KR102628208B1 (ko) | 2020-12-07 | 2020-12-07 |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820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0795A (ja) | 2008-12-05 | 2012-05-17 | ブルー リボン ロースティング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 食品のための改善された製造方法 |
JP2012251740A (ja) | 2011-06-03 | 2012-12-20 | Aco Co Ltd | 粉体乾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2874B2 (ja) * | 1988-12-29 | 1998-03-30 | 株式会社大川原製作所 | 流動乾燥方法および装置 |
KR100532033B1 (ko) | 2004-03-10 | 2005-11-30 | 조두연 | 쌀 씨리얼, 쌀 강정 및 그 제조 방법 |
US8071034B2 (en) * | 2004-12-15 | 2011-12-06 | De Broqueville Axel | Rotary fluidized bed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id device |
-
2020
- 2020-12-07 KR KR1020200169327A patent/KR1026282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0795A (ja) | 2008-12-05 | 2012-05-17 | ブルー リボン ロースティング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 食品のための改善された製造方法 |
JP2012251740A (ja) | 2011-06-03 | 2012-12-20 | Aco Co Ltd | 粉体乾燥装置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고성능 유동층 건조기술, p126-134, 에너지 관리공단, 2012년, 인터넷(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99124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0332A (ko) | 2022-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ishnan et al. |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scuits prepared from finger millet seed coat based composite flour | |
US8206765B2 (en) | Preparation of individually coated edible core products | |
ES2206530T3 (es) |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almidon granular resistente de amilasa. | |
Fredlund et al. | Phytate reduction in whole grains of wheat, rye, barley and oats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 |
JP5480282B2 (ja) | 熱処理フラワー | |
CA2289498C (en) | Milled cereal by-product which is an additive for increasing total dietary fiber | |
PL124968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ur based dry mixture for coating meat and the like before frying and complete set of equipment therefor | |
MX2007014759A (es) | Harina en grano entera estabilizadora. | |
CA2674782A1 (en) | Food particle for promoting wellness | |
Khan et al. |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phytic acid content of maize products | |
MXPA04002857A (es) | Germen de cereal con sabor a masa nixtamalizada y proceso para hacerlo. | |
US4734294A (en) | Process for making shredded cereals | |
US6054149A (en) | Use of rice bran extract as a processing aid | |
KR102628208B1 (ko) | 유동열풍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시리얼 제조 장치 | |
EP0916268B1 (en) | Clear coat composition comprising an acetylated dusu2 or aedu starch, dextrin and rice flour for coating potato products | |
AU2007333462A1 (en) | Snack chip containing buckwheat hulls | |
Kate et al. | Processing technology for value addition in millets | |
Njapndounke et al. | Optimization of production conditions of biscuit from Musa sapientum flour (‘banane cocho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glycaemic index of the optimized biscuit | |
Mahadevamma et al. | Processed rice starch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 |
CA2115410C (en) | Improved pasta products | |
Deshpande et al. | Effect of grinding techniques and supplementation of quinoa on the carbohydrate profile of tortillas | |
Bello-Perez et al. | Functional and beneficial properties of corn tortilla | |
WO2022230838A1 (ja) | α化穀粉の製造方法 | |
Nasser et al. | Effect of natural phytase, fermentation, and baking processes on phytate degradation in wheat bread manufactured from local mills flour | |
KR20180018057A (ko) | 통곡 및 발아곡류를 포함하는 체중조절용 스낵 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체중조절용 스낵 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