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945B1 -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945B1
KR102627945B1 KR1020180108014A KR20180108014A KR102627945B1 KR 102627945 B1 KR102627945 B1 KR 102627945B1 KR 1020180108014 A KR1020180108014 A KR 1020180108014A KR 20180108014 A KR20180108014 A KR 20180108014A KR 102627945 B1 KR102627945 B1 KR 102627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ttery module
jig
protectiv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318A (ko
Inventor
송송이
백주환
박흥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45B1/ko
Priority to US16/537,440 priority patent/US10897032B2/en
Publication of KR2020002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7Printed or non-printed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제1 수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로 기판을 배터리 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이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회로 기판이 제2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셀에 대한 회로 기판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JIG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회로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셀 및 회로 기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 로봇, 위성과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화석 연료의 고갈 및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의 가장 핵심적 부품은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이다.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용량 및 출력이 증대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예를 들면, 배터리 관리 유닛(BMU, battery management unit))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예를 들면, 와이어, 금속 전극 등(이하, 연결 부재)을 통해 배터리 셀에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는, 회로 기판이 배터리 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납땜 기구(인두기)가 배터리 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재를 회로 기판에 납땜을 통해 부착한다. 이때, 납땜 기구가 회로 기판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로 기판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으로 인해, 배터리 셀에 대한 회로 기판의 자세(위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고, 회로 기판 및 배터리 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연결 부재가 회로 기판의 납땜부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회로 기판에 연결 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셀에 대한 회로 기판의 자세를 유지하여 연결 부재가 회로 기판의 납땜부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제1 수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로 기판을 배터리 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이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회로 기판이 제2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셀에 대한 회로 기판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수용부로서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제2 수용부로서 격벽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에는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 셀을 덮도록 구성되는 제1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하우징이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호 커버는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는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고, 하우징이 제1 접촉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1 보호 커버가 회동되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 셀을 덮을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와 지지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배터리 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재가 부착되는 회로 기판의 납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을 덮도록 구성되는 제2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는 회로 기판에 구비된 소자가 노출되는 소자 노출공을 포함할 수 있고, 소자 노출공은 관통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는 하우징이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보호 커버는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는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고, 하우징이 제2 접촉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2 보호 커버를 회동되어 제2 수용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을 덮을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와 지지부 사이에는 제2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에 따르면,
제1 수용부에 배터리 셀이 수용되고, 제1 수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수용부에 회로 기판이 배터리 셀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납땜부에 연결 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회로 기판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셀에 대한 회로 기판의 자세(위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배터리 셀 및 회로 기판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가 회로 기판의 납땜부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된 배터리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의 하우징 및 배터리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의 하우징 및 제1 및 제2 보호 커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의 하우징 및 제1 및 제2 보호 커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및 배터리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의 하우징과 제1 보호 커버가 작동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의 하우징과 제2 보호 커버가 작동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된 배터리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배터리 셀(11)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터리 모듈(10)이 복수의 배터리 셀(11)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배터리 셀(11)은 케이싱이나 고정 부재(11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또한 배터리 셀(11)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1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12)은 배터리 관리 유닛(BMU, battery management uni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12)은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2)에는 복수의 소자(141, 142)가 탑재될 수 있다. 복수의 소자(141, 142)는 저항,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자(141, 142)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11)로부터는 금속 전극, 와이어 등의 연결 부재(13)가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11)이 구비되는 경우, 연결 부재(13)는 복수의 배터리 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회로 기판(12)에는 연결 부재(13)가 부착되는 납땜부(127)가 구비된다. 납땜부(127)에는 연결 부재(13)와 연결되는 전극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납땜부(127)에는 연결 부재(13)가 납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회로 기판(12)이 배터리 셀(11)로부터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조립된다. 회로 기판(12)은 연결 부재(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셀(11)에 대한 회로 기판(12)의 자세(위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12)이 연결 부재(13)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의 간격(G)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회로 기판(12)이 연결 부재(13)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로 기판(12)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는 연결 부재(13)가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회로 기판(12)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 부재를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셀(11) 및 회로 기판(12)이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에 지지되므로, 배터리 셀(11)에 대한 회로 기판(12)의 자세(위치, 높이), 즉,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의 간격(G)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는 배터리 셀(11)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211) 및 제1 수용부(21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로 기판(12)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212)를 갖는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11)이 제1 수용부(211)에 수용되고 회로 기판(12)이 제2 수용부(212)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셀(11)에 대한 회로 기판(12)의 자세(위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21)은 제1 수용부(211)로서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21)은 제2 수용부(212)로서 격벽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제2 수용부(212)(개구부)는 회로 기판(12)이 안착되는 단차부(213)을 구비할 수 있다.
단차부(213)의 두께(T)는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의 간격(G)에 비하여 거의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차부(213)가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단차부(213)가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회로 기판(12) 및 배터리 셀(11) 사이의 간격(G)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12) 및/또는 연결 부재(13)가 납땜 기구(인두기)에 가압될 때와 같이 회로 기판(1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셀(11)에 대한 회로 기판(12)의 자세(위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는 제1 수용부(211)에 수용된 배터리 셀(11)을 덮도록 구성되는 제1 보호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22)는 제1 수용부(211)에 수용된 배터리 셀(1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 커버(22)는 배터리 셀(11)이 제1 수용부(211)로부터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는 제2 수용부(212)에 수용된 회로 기판(12)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2 보호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23)는 제2 수용부(212)에 수용된 회로 기판(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13)를 납땜부(127)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제2 보호 커버(23)는 제2 수용부(212)에 수용된 회로 기판(12) 상의 소자(14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23)에는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237)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37)을 통해 납땜 기구가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 부재(13)가 납땜 기구에 의해 납땜부(127)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 커버(23)는 복수의 소자(141, 142) 중 높이가 큰 소자(142)가 외부로 노출되는 소자 노출공(23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호 커버(23)가 회로 기판(12)을 덮는 상태에서 소자 노출공(231)을 통해 소자(142)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소자(142)가 제2 보호 커버(23)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소자 노출공(231)은 관통홀(237)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소자 노출공(231)을 통해 노출되는 소자(142)와 납땜 기구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13)를 납땜부(127)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소자(14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20)는 하우징(21)이 지지되는 지지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에는 하우징(21)이 탈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21)에 배터리 모듈(10)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21)이 지지부(24)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24)는 제1 지지 블럭(241) 및 제2 지지 블럭(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블럭(241) 및 제2 지지 블럭(242)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블럭(241) 및 제2 지지 블럭(242)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22)는 제1 힌지축(222)을 통해 제1 지지 블럭(2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22)가 제1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용부(211)를 덮을 수 있거나 제1 수용부(2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보호 커버(22)는 제1 수용부(211)를 덮는 폐쇄 위치 및 제1 수용부(2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1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보호 커버(22)에는 하우징(21)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촉부(223)는 하우징(21)이 지지부(24)에 탑재되어 이동될 때 하우징(21)의 일부분과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이 제1 접촉부(223)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따라, 제1 보호 커버(22)가 제1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 커버(22)가 제1 수용부(211)에 수용된 배터리 셀(11)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1)을 지지부(24)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제1 보호 커버(22)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배터리 셀(11)을 덮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이 지지부(24)로부터 분리될 때, 즉, 하우징(21)이 제1 접촉부(223)를 통해 제1 보호 커버(22)에 가하는 힘이 해제될 때, 제1 보호 커버(22)가 원래의 위치(개방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1 보호 커버(22)와 지지부(24) 사이에는 제1 스프링(2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이 지지부(24)로부터 분리될 때, 제1 보호 커버(22)가 제1 스프링(2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 커버(23)는 제2 힌지축(232)을 통해 제2 지지 블럭(2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23)가 제2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제2 수용부(212)를 덮을 수 있거나 제2 수용부(2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보호 커버(23)는 제2 수용부(212)를 덮는 폐쇄 위치 및 제2 수용부(2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2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제2 보호 커버(23)에는 하우징(21)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33)는 하우징(21)이 지지부(24)에 탑재되어 이동될 때 하우징(21)의 일부분과 접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이 제2 접촉부(233)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따라, 제2 보호 커버(23)가 제2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 커버(23)가 제2 수용부(212)에 수용된 회로 기판(12)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1)을 지지부(24)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제2 보호 커버(23)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회로 기판(12)을 덮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이 지지부(24)로부터 분리될 때, 즉, 하우징(21)이 제2 접촉부(233)를 통해 제2 보호 커버(23)에 가하는 힘이 해제될 때, 제2 보호 커버(23)가 원래의 위치(개방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2 보호 커버(23)와 지지부(24) 사이에는 제2 스프링(23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이 지지부(24)로부터 분리될 때, 제2 보호 커버(23)가 제2 스프링(2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에 따르면, 제1 수용부(211)에 배터리 셀(11)이 수용되고, 제1 수용부(21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수용부(212)에 회로 기판(12)이 배터리 셀(11)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에 연결 부재(13)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회로 기판(1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셀(11)에 대한 회로 기판(12)의 자세(위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회로 기판(12)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 및 회로 기판(12)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3)가 회로 기판(12)의 납땜부(127)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1: 배터리 셀 12: 회로 기판
21: 하우징 211: 제1 수용부
212: 제2 수용부 22: 제1 커버
23: 제2 커버 24: 지지부

Claims (13)

  1. 배터리 셀을 수용하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격벽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회로 기판을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에는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제2 수용부의 단차부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상기 회로 기판의 자세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셀을 덮도록 구성되는 제1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접촉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보호 커버가 회동되어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셀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재가 부착되는 상기 회로 기판의 납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회로 기판을 덮도록 구성되는 제2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에 구비된 소자가 노출되는 소자 노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소자 노출공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회동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회로 기판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커버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제2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12. 청구항 1, 3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된 배터리 모듈.
  13. 청구항 1, 3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108014A 2018-09-10 2018-09-10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KR102627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14A KR102627945B1 (ko) 2018-09-10 2018-09-10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US16/537,440 US10897032B2 (en) 2018-09-10 2019-08-09 Jig for assembly of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14A KR102627945B1 (ko) 2018-09-10 2018-09-10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18A KR20200029318A (ko) 2020-03-18
KR102627945B1 true KR102627945B1 (ko) 2024-01-22

Family

ID=6971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14A KR102627945B1 (ko) 2018-09-10 2018-09-10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7032B2 (ko)
KR (1) KR102627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8504B (zh) * 2020-05-09 2024-02-09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翻转治具机构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873B1 (ko) * 2008-12-23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5501066B2 (ja) 2010-03-30 2014-05-2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池組立治具
KR101198623B1 (ko) 2010-11-15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조립성을 향상한 배터리 모듈
KR101234240B1 (ko) * 2011-02-11 2013-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코어팩과 보호회로모듈 사이의 격벽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30061375A (ko) 2011-12-01 2013-06-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40140744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1758959B1 (ko) 2014-06-10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용 지그장치
KR101680423B1 (ko) 2014-06-10 2016-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용 지그장치
KR102101904B1 (ko) 2015-10-27 2020-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전기 유도 패턴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82387B1 (ko) 2015-10-27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전기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29718B1 (ko) * 2017-01-19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크기에 따라 변형되는 구조의 지그
KR102252181B1 (ko) 2017-02-10 2021-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과 회로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7032B2 (en) 2021-01-19
KR20200029318A (ko) 2020-03-18
US20200083500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067B2 (en) Battery pack for cordless devices
US7914924B2 (en) Stacked battery pack housing
US4955817A (en) Construction for removing electronic charges in connectors
EP2463938A1 (en) Battery module and assembled battery
US5096788A (en) Weldless battery pack
KR20220088396A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CN113939382A (zh) 电池包及电气机器
US1054145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circuit board having protruding surface
US5945235A (en) Battery holder
JPH07153437A (ja) 最小限の配線を持った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用電池パック
US20080143294A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with adjustable pocket
US7897278B2 (en) Battery module for power hand tool
KR102627945B1 (ko) 배터리 모듈 조립용 지그
KR102002344B1 (ko) 이차전지팩용 센서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이차전지팩
KR102283962B1 (ko) 배터리 모듈
US20020118561A1 (en) Power conversion adapter
KR20010092656A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JP2006172942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3475070B2 (ja) パック電池
CN214045085U (zh) 电源变压模块、充电器、电源组件及可移动平台组件
JPH11339741A (ja) ポータブル機器
KR20060027277A (ko) 이차전지용 팩 케이스
KR102636011B1 (ko) 배터리 모듈용 와이어 절곡 장치
JP5102545B2 (ja) 電子機器
KR102591513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