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17B1 -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17B1
KR102546117B1 KR1020210045230A KR20210045230A KR102546117B1 KR 102546117 B1 KR102546117 B1 KR 102546117B1 KR 1020210045230 A KR1020210045230 A KR 1020210045230A KR 20210045230 A KR20210045230 A KR 20210045230A KR 102546117 B1 KR102546117 B1 KR 10254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ji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073A (ko
Inventor
박지훈
황대균
Original Assignee
(주)경신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신전선 filed Critical (주)경신전선
Priority to KR102021004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Manufacture or processing of a substrat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ed by a temporary or sacrificial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는: 캐리어지그,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의 설정 위치에 배열되고 배터리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터미널이 노출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열된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에 포개짐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펴진 상태로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WIRING JIG FOR BATTERY PACK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경질의 캐리어지그에 배치한 후, 캐리어지그에 박판 타입의 커버를 포개어,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커버에 홀을 통공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터미널을 노출시키며, 캐리어지그에 놓이는 터미널의 궤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터미널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캐리어지그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배선 궤적 상에 홀을 통공하여 커버에 의해 캐리어지그 측으로 가압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상 변형을 수용하면서 공랭 처리하고자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팩모듈로 구성된다. 배터리팩모듈은 다수개의 배터리셀들로 구성되는데,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팩모듈은 이처럼 용량 및 출력 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배터리팩모듈은 이차 전지인 배터리셀들이 각각 수용된 복수의 카트리지들이 다단으로 적층된 카트리지 적층체와, 이들 카트리지 적층체의 연결을 위한 직렬연결장치로 구성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배터리팩모듈이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직렬연결장치도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그런데 직렬연결장치의 하우징 안에 인쇄회로기판, 버스바 및 커넥터 등이 모두 설치되기 때문에 직렬연결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면 절연거리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좁은 공간 안에서 조립과 분해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조립성이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직렬연결장치의 커버를 하우징에 힌지조립하고, 커버 쪽의 인쇄회로기판과 하우징의 버스바 사이를 연성기판으로 연결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직렬연결장치로써 연성기판이 적용되지만, 연성기판이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을 커버에 테이핑 처리하여 고정함에 따라, 조립성이 저하되고, 테이핑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연성기판의 양측이 커버에 테이핑 처리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연성기판이 발열 여부에 따라 미세하나마 수축 및 이완됨에 따라, 연성기판에 구비되는 터미널의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509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510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경질의 캐리어지그에 배치한 후, 캐리어지그에 박판 타입의 커버를 포개어, 기존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테이핑 처리하여 고정하는 방식 대비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버의 설정 위치에 홀을 통공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터미널과 배터리 셀의 전기적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지그에 놓이는 터미널의 궤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터미널 각각의 가장자리를 지지함에 따라 터미널을 지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고자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지그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배선 궤적 상에 홀을 통공하여 커버에 의해 캐리어지그 측으로 가압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상 변형을 수용하고, 외기에 의해 캐리어지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공랭 처리하고자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는: 캐리어지그;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의 설정 위치에 배열되고, 배터리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터미널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열된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펴진 상태로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커버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안착하도록 안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일측면에 밀착된 상기 커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기 터미널을 노출하기 위해 노출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터미널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커버에 가압되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배치 궤적에 개방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터미널에 방수코팅액을 도포시, 상기 방수코팅액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경질의 캐리어지그에 배치한 후, 캐리어지그에 박판 타입의 커버를 포개어, 기존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테이핑 처리하여 고정하는 방식 대비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의 설정 위치에 홀을 통공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터미널과 배터리 셀의 전기적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지그에 놓이는 터미널의 궤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터미널 각각의 가장자리를 지지함에 따라 터미널을 지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지그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배선 궤적 상에 홀을 통공하여 커버에 의해 캐리어지그 측으로 가압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상 변형을 수용하고, 외기에 의해 캐리어지그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공랭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조립 순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조립 순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조립 순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10)용 배선장치(100)는 캐리어지그(110), 연성인쇄회로기판(120)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선장치(100)는 배터리팩모듈(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배터리 셀(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캐리어지그(1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을 지지하고,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지그(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한데, 연성인쇄회로기판(12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적용한다.
물론, 캐리어지그(110)는 배터리팩모듈(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전류의 송수신을 위해 패터닝 처리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선장치(100)는 경질의 회로보드로 적용될 수 있으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임에 따라, 경량 및 연질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20)이 적용된다.
특히,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의 설정 위치에 하나 이상 배열되고, 배터리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22)을 구비한다.
이때, 캐리어지그(1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을 설정 위치에 안착하도록 일측면에 안착홈부(142)를 형성한다. 안착홈부(142)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의 두께만큼 깊게 형성된다.
한편, 커버(1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배열된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 포개진다. 그래서, 커버(130)는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과 연성인쇄회로기판(120)에 면접촉된다.
아울러, 커버(130)가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커버(130)는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과 마찰에 의해 밀착된다. 이로써, 커버(1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을 펴진 상태로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커버(13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예로서, 커버(13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버(130)가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을 덮은 상태에서, 마그넷(magnet)이 캐리어지그(110)의 타측면에서 커버(130)에 인력(引力)을 작용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130)는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캐리어지그(110)는, 커버(13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112)을 형성한다. 이때, 캐리어지그(110)는 배터리팩모듈(10)의 크기에 따라 축 방향 길이가 설정되고, 커버(13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서 단턱(112) 내측을 대부분 덮는다.
물론, 단턱(1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 대부분을 덮는 커버(13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캐리어지그(110)는 일측면에 밀착된 커버(13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커버(130)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홀(144)을 통공한다.
이때, 핑거홀(144)은 단턱(112)과 커버(130)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캐리어지그(110)에 형성된다. 그래서, 작업자가 손가락을 핑거홀(144)에 삽입 후 해당 커버(130)를 들어 올림으로써, 커버(130)는 캐리어지그(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물론, 핑거홀(14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커버(130)가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배치된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 대부분을 덮기 때문에,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커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커버(1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에 연결되는 터미널(122)을 노출하기 위해 설정된 위치에 노출홀(152)을 통공한다. 그래서, 노출홀(15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122)이 배터리셀과 접속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지그(110)는 터미널(122)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설정된 위치에서 터미널(122)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플랜지(146)를 형성한다. 예로서, 플랜지(146)는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122)은 대응되는 플랜지(146)에 테두리가 접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물론, 플랜지(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대응되는 터미널(122)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캐리어지그(110)는 커버(130)에 가압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의 각각의 배치 궤적에 개방홀(148)을 통공한다. 이때, 개방홀(148)은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캐리어지그(110)의 타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개방홀(148)은 연성인쇄회로기판(120) 각각의 배선 궤적을 따라 캐리어지그(110)에 하나 이상 통공 형성된다.
특히, 캐리어지그(110)와 커버(130)에 의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열기의 발생 여부에 따라 평면상 이완 및 수축 현상이 발생되는 바, 개방홀(148)은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의 소정 변형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캐리어지그(110)와 커버(130) 사이에 위치하지만,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개방홀(148)을 통해 캐리어지그(110)의 타측면 방향으로 노출됨에 따라, 외기와 접촉됨으로써 공랭 처리된다.
결과적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 설정 위치에 배치된 후, 커버(130)에 의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열기 발생 여부에 따라 이완 및 수축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플랜지(146)에 의해 정위치 고정되고, 개방홀(148)에 의해 소정 변형이 허용됨과 아울러 공랭 처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의 조립 순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모듈(10)용 배선장치(100)는 캐리어지그(110), 연성인쇄회로기판(120)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122)을 가장자리에 실장한다.
그리고, 커버(1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연성인쇄회로기판(120)과 터미널(122)의 접속이나 납땜 부위가 방수를 위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동성의 방수코팅액(20)이 캐리어지그(110)의 일측면에 퍼짐으로써, 커버(130)와 캐리어지그(110)가 부착됨에 따라, 커버(130)가 캐리어지그(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지그(110)는, 터미널(122) 측에 방수코팅액(20)을 도포시, 유동성의 방수코팅액(20)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홀(149)을 통공한다.
이때, 배출홀(149)은 터미널(122) 측의 방수코팅액(20)을 도포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캐리어지그(110)에 통공 형성된다. 아울러, 배출홀(149)의 크기와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122)을 고정하기 위해 수용하는 홈 형상의 고정홈(147)이 캐리어지그(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팩모듈 100: 배선장치
110: 캐리어지그 112: 단턱
120: 연성인쇄회로기판 122: 터미널
130: 커버 142: 안착홈부
144: 핑거홀 146: 플랜지
148: 개방홀 149: 배출홀
152: 노출홀

Claims (8)

  1. 캐리어지그;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의 설정 위치에 배열되고, 배터리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터미널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열된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펴진 상태로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안착하도록 안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에 가압되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배치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의 개방홀을 통공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기 터미널을 노출하기 위해 노출홀을 통공하며,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터미널에 방수코팅액을 도포시, 상기 방수코팅액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배출홀을 통공하고,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해 홈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박판 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펴진 상태로 상기 캐리어지그의 일측면에 고정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발열에 의한 이완 및 수축 현상을 상기 개방홀에 의해 변형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커버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지그는 일측면에 밀착된 상기 커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지그는 상기 터미널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045230A 2021-04-07 2021-04-07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KR10254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30A KR102546117B1 (ko) 2021-04-07 2021-04-07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30A KR102546117B1 (ko) 2021-04-07 2021-04-07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73A KR20220139073A (ko) 2022-10-14
KR102546117B1 true KR102546117B1 (ko) 2023-06-22

Family

ID=8359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230A KR102546117B1 (ko) 2021-04-07 2021-04-07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1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01B1 (ko) 2019-11-25 2020-06-01 주식회사 경신전선 친환경자동차의 배터리팩용 센싱회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037B1 (ko) * 2014-08-08 2017-04-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KR102087699B1 (ko) * 2017-11-27 2020-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팩
KR102032999B1 (ko) * 2017-02-28 2019-10-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412941B1 (ko) * 2018-01-19 2022-06-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터미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01B1 (ko) 2019-11-25 2020-06-01 주식회사 경신전선 친환경자동차의 배터리팩용 센싱회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73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039B2 (en) Battery pack
CA2592475C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CN102044693B (zh) 汇流条保持器和包括这种汇流条保持器的电池组
EP2747189A1 (en) Battery pack
US9017836B2 (en) Battery pack
US20120141861A1 (en) Battery module and assembled battery
US20060178051A1 (en) Protective cover for a battery assembly
EP2385568A2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397029B1 (ko) 배터리 셀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배터리 셀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배터리 셀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지그 조립체
EP2905824B1 (en) Battery pack
EP3279972A1 (en) Battery module
US11469472B2 (en) Battery pack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00058100A (ko) 이차 전지용 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160123788A (ko) 전지 팩
KR20200104334A (ko) 버스 바와 일체화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9844990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以及包括电池组的车辆
KR2020011384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55545A1 (en) Battery pack
KR102005489B1 (ko) 배터리 팩
KR102546117B1 (ko) 배터리팩모듈용 배선장치
US10170736B2 (en) Battery case
US9590227B2 (en) Protection apparatus of battery pac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tec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protection apparatus
KR102484339B1 (ko) 배선용 열변형 보상형 지그장치
US8895183B2 (en) External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holder coupled to a protection circuit substrat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5178583A1 (ko) 홀더에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는 홀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