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909B1 -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909B1
KR102626909B1 KR1020220070891A KR20220070891A KR102626909B1 KR 102626909 B1 KR102626909 B1 KR 102626909B1 KR 1020220070891 A KR1020220070891 A KR 1020220070891A KR 20220070891 A KR20220070891 A KR 20220070891A KR 102626909 B1 KR102626909 B1 KR 10262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training
layer
user
image data
therap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255A (ko
Inventor
김향중
박형준
김진영
노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760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273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ublication of KR2022008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Abstract

치료사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은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REMOTE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은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 기술의 발달로 치료사와 환자가 멀리 떨어져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재활 훈련을 수행 및 지도하는 원격 재활 훈련이 다수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재활 훈련에 의하면, 환자가 치료사와 비디오콜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아닌 별도의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시청하며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치료사는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환자의 모습만 볼 수 있을 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훈련 화면을 볼 수 없어 정확한 지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4197호, 2014.05.08
본 발명은 환자의 재활 훈련 수행 모습과, 환자에게 제공되는 훈련 화면을 치료사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훈련 화면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반으로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원격 훈련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사가 환자의 상태 또는 재활 훈련에 대해 메모를 기록하거나, 관련 서류를 실시간으로 작성할 수 있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사가 환자의 상태 또는 재활 훈련을 평가하여 훈련 커리큘럼, 일상생활 미션 등의 훈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원격 훈련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사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은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를 화면의 표시 영역에 크기 또는 비율이 변경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아이콘 영역에 표시된 화면 분할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2레이어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는 일부분이 서로 겹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 데이터,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치료사 단말 간 송수신된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치료사 단말 간 송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3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치료사 단말 간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대화방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레이어를 화면의 표시 영역의 일측에 표시하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3레이어를 상기 표시 영역의 타측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제2레이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사의 모습에 대한 제3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4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을 위한 치료사 단말은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레이어에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상기 치료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가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지도, 코칭해주는 치료사의 치료사 단말의 제1레이어에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는 가공되어 상기 치료사 단말의 제2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원격 재활 훈련에 있어, 치료사가 재활 훈련 중인 환자의 모습뿐만 아니라, 환자가 훈련을 수행함에 있어 시청하는 훈련 화면도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정밀한 원격 재활 훈련이 가능하다.
둘째, 원격 훈련 제공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환자의 계정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훈련 화면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편하게 탐색하여 치료사 단말에 훈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치료사가 환자의 재활 훈련을 모니터링하며 실시간으로 메모 등을 기록하거나, 관련 서류를 작성 또는 제출할 수 있다.
넷째, 치료사가 환자의 계정정보에 저장된 훈련 커리큘럼, 일상생활 미션 등의 훈련 정보를 설정하거나 변경함으로써, 환자의 재활 훈련에 대한 지도 및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재활 훈련 수행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1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2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정보 수신 단계 및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정보에 매칭되는 식별값으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가 제공되는 치료사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치료사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1영상데이터 및 제3영상데이터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사의 사용자 훈련 설정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100)'는 재활 훈련 장치를 사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 즉 환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사(15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지도, 코칭해주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500)' 및 '치료사 단말(400)'은 사용자 및 치료사가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셀룰러폰, 피씨에스폰,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스마트폰, 왑폰, 모바일 게임기, 테블릿 PC, 스마트워치,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스마트카메라, 스마트TV 등의 다양한 통신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기본적으로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통신기능을 보유한 메모리 칩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활 훈련 장치(700)'는 사용자가 재활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하며, 특정 재활 훈련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용자가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영상데이터(8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영상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2영상데이터(820)'는 상기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와 연동되도록 게임화된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게임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3영상데이터(830)'는 치료사 단말로부터 획득한 치료사의 모습에 대한 영상데이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에 이용하는 재활 훈련 장치(700),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 및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500)과 치료사(150)의 사용자와의 원격 재활 훈련을 위해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치료사 단말(4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영상데이터를,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치료사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300)로 구성된다.
사용자(100)는 재활 훈련을 보조하는 재활 훈련 장치(700) 및 훈련 화면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고, 원격 재활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500)이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 수행 모습을 획득하여 서버(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100)가 손가락 재활 글러브(700)를 이용하여 게임화된 손가락 움직임 재활 훈련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태블릿 PC(600)는 상기 게임화된 손가락 움직임 재활 훈련의 게임 화면인 제2영상데이터(820)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이 경우 사용자(100)는 태블릿 PC(600)의 게임 화면(820)을 보며 이에 맞춰 재활 글러브를 이용하여 게임화된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재활 훈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스마트폰(500)이 상기 사용자의 훈련 모습인 제1영상데이터(810)를 촬영하여 서버(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치료사(150)는 사용자와의 원격 재활 훈련을 위하여 치료사 단말(400)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치료사는 PC(400)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프로그램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제1영상데이터(810)를,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제2영상데이터(820)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치료사 단말(4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및 치료사 간의 원격 재활 훈련 수행에 앞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환자)의 상태 확인 문진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환자와 치료사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상태 확인 문진을 제공하기에 앞서,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장애 발생 시점 등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 확인 문진을 제공하는 단계는 환자에게 장애 상태를 여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문진을 하나 이상 제공하는 것이다.
서버는 하나 이상의 문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진에 대하여 YES 또는 NO를 선택함에 따라, 서버는 해당 환자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환자에게 치료사를 매칭하여 훈련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치료사 단말(400)은 해당 환자가 속하는 그룹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해당 환자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되고 나면, 서버는 환자에게 해당 환자가 어떤 상태이고, 어떠한 훈련을 했을 때 효과적인지 등 환자가 해당하는 그룹에 맞게 미리 정해져 있는 환자 상태의 메시지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환자의 상태, 즉, 각 그룹에 따라 적합한 하나 이상의 미션을 제안하고, 서버는 하나 이상의 미션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미션 내용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적합한 미션이란, 하나 이상의 미션의 종류 중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미션으로서, 각 그룹에 대하여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고, 데이터 수집에 따라 환자에게 적합한 훈련을 추천해 주는 알고리즘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환자에게 적합한 훈련을 추천해 주는 알고리즘에 의해 적합한 미션이 제안되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누적될수록 제안되는 미션이 변동될 수 있다. 즉, 데이터가 누적될수록 각 환자에게 더 적합한 미션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합한 미션이란, 본 발명을 제공하는 서버와 치료사 단말이 연결되어, 치료사가 직접 치료사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에 대하여 적합한 미션을 판단하여 서버에 전달하면, 서버는 해당 미션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미션의 종류는 크게, 일상생활 미션, 연동 훈련 게임 미션, 정보 리딩 미션이 있다.
일상생활 미션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행동들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상에서 본인의 일상을 공유해라', '물을 한잔 따라 마셔라', '티비를 켜라' 등의 일상생활에서 하는 행동들은 모두 포함된다. 일상생활 미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의 확인은 미션 수행 후, 미션수행이 완료되었다는 입력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연동 훈련 게임 미션은, 특정 재활 훈련 제공 서비스 단위가 연동되어, 해당 연동 서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훈련 게임 미션이다. 여기에서, 서비스 단위는 어플리케이션, 웹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정보 리딩 미션은, 해당 환자의 상태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환자가 리딩하도록 제공하는 미션이다. 여기에서 환자가 리딩하도록 제공되는 정보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환경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서비스가 아닌, 외부의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로서, 환자가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 또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상태 확인 문진을 제공하기 전에 미션을 제공하는 별도의 서비스와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이하, 연동 서비스)와 연동하기 위하여,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연동 서비스의 ID, e-mail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연동 서비스와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미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미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것은 환자의 미션 수행 상태를 확인하거나, 환자의 훈련 계획 관리를 위함이거나, 데이터 수집의 목적으로 수신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의 목적으로 미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서버는 데이터 수집에 따라 분류 가능한 기준의 정보와 수행 훈련 종류, 훈련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나 학습을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훈련을 추천해 주는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다.
설계된 알고리즘은 분류된 환자의 그룹에 따라 더욱 더 정확한 훈련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및 치료사 간의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 및 치료사 단말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0);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S400); 서버가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중인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S500); 및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상기 치료사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한다.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500) 및 치료사 단말(400)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연결요청은 사용자(100) 및 치료사(150) 간의 원격 재활 훈련에 대한 연결요청을 의미하며, 그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치료사가 대면하지 않고 비디오콜(video call)을 통해 재활 훈련을 수행 및 코칭하려는 경우, 상기 연결요청은 비디오콜 연결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요청은 사용자 또는 치료사 중 일방이 원격 재활 훈련 연결요청을 전송하고, 상대방이 이에 대한 승인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요청은 연결된 사용자 및 치료사 간 미리 설정된 날짜 및 시간에 맞춰, 상기 사용자 및 치료사가 각각의 단말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에 접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요청 수신 단계(S300);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 및 치료사 단말에 입력된 치료사 계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0); 및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원격 재활 훈련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 또는 치료사 계정정보는, 사용자 단말 또는 치료사 단말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에 로그인된 사용자 또는 치료사의 계정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40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재활 훈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재활 훈련 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재활 훈련 장치(700)뿐만 아니라, 상기 재활 훈련에 대한 훈련 화면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더 이용하여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영상데이터(810)는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700)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영상데이터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상데이터(810)는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700)만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상데이터(810)는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700) 및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영상데이터(810)에는 도 2와 같이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포함되거나, 도 4와 같이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상데이터(8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700)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을 치료사(150)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100) 및 사용자가 이용 중인 재활 훈련 장치(700)가 핵심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1영상데이터(810)는 손가락 재활 글러브(700)를 이용한 사용자(100)의 손가락 움직임 재활 훈련 수행 모습을 사용자 스마트폰(500)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의미한다.
서버가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중인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500).
일 실시예에서, 재활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 장치(7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연결은 Wi-Fi, Li-Fi, Bluetooth, UWB(Ultra Wide Band), Zigbee 및 Z-wave 방식의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제2영상데이터(820)는 상기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해 사용자(100)에게 제공되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이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100)가 손가락 재활 글러브(700)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을 통해 오렌지즙을 짜는 게임화된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인 태블릿 PC(6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출력되는 손 모양의 그래픽 오브젝트가 오렌지즙을 짜는 게임 화면인 제2영상데이터(820)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태블릿 PC 화면을 보며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영상데이터(820)는 재활 훈련의 게임 화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100)에게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화면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영상데이터 수신 단계(S500)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S510); 및 서버가 상기 탐색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S520);를 포함한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한다(S510).
즉,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특정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재활 훈련에 대한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이용 중인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탐색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와 동일한 계정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격 재활 훈련 제공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500)인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인 태블릿 PC에도 설치 및 로그인되어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을 수행중인 경우, 서버는 S310을 통해 수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정보와 동일한 계정정보가 로그인된 태블릿 PC를 탐색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두지 않은 다양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버가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로그인된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중인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탐색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에 매칭되는 식별값의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하는 것이다(S512).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값은 특정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마다 서로 다르게 부여된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부여된 제품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식별값을 기초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S512)하기에 앞서, 서버가 특정한 사용자 계정정보에 하나 이상의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값을 매칭시키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특정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미리 등록(사용자 계정정보에 식별값 매칭)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특정 재활 훈련을 수행할 때 상기 계정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계정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예를 들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미리 등록해둔 식별값을 매칭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가 상기 탐색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520). 즉, 서버(300)가 전술한 방법에 의해 탐색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사용자(100)에게 제공되고 있는 화면에 관한 제2영상데이터(820)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상기 치료사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600). 즉,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특정 사용자(환자)에 대하여 매칭된 특정 치료사(예를 들어, 특정 환자의 전담 치료사)의 단말에, 상기 사용자가 재활 훈련을 수행중인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인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치료사가 환자의 재활 훈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치료사 단말에 전송한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는,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치료사 단말 화면 내의 제1레이어에 상기 제1영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제2레이어에 상기 제2영상데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치료사 단말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410) 및 상기 제2레이어(420)의 제공 여부, 즉 제1영상데이터(810) 또는 제2영상데이터(820)의 제공 여부는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가 제공되는 치료사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8과 같이 치료사 단말(예를 들어, PC) 화면에는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제1영상데이터(810)가 제공되는 제1레이어(410)만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와 같이 치료사 PC 화면은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게임 화면인 제2영상데이터(820)가 제공되는 제2레이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사는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모습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게임 화면을 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원격 재활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서 도 9로의 전환과 같은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의 제공 여부는,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사의 화면 분할 아이콘(450) 선택에 따라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의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410) 및 상기 제2레이어(420)의 크기 또는 비율은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레이어에 제공되는 제1영상데이터 또는 제2영상데이터는 이에 대응하여 가공되어 치료사 단말 화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1영상데이터(810)는, 넓은 제1레이어(410)의 크기 및 비율에 따라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700) 및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전체적인 모습을 포함한다.
반면에, 도 9의 제1레이어(410)는 제2레이어(420)와의 화면 분할로 가로 비율이 좁아졌고, 이에 따라 제1레이어에 제공되는 제1영상데이터(810)는 핵심 요소인 '사용자(100)가 재활 훈련 장치(600)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 중심으로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는 일부분이 겹쳐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치료사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료사 단말 화면은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제3레이어(43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레이어는 치료사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치료사 및 사용자 간 송수신된 텍스트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과 같이 제3레이어는 치료사(150)가 사용자(100)의 재활 훈련에 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보며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모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3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치료사가 환자의 재활 훈련 수행에 대해 작성하는 서류(예를 들면, 병원 또는 보험사에 제출하는 보고서)의 양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사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에 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 및 저장하고, 서버에 작성한 보고서 및 보험사에 대한 보고서의 제출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재활 훈련 서류를 작성 또는 제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레이어는 치료사와 사용자 간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대화방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예서, 도 10과 같이 치료사 단말 화면은 치료사(150)의 모습에 대한 제3영상데이터(830)를 제공하는 제4레이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비디오콜과 같이 상대방(사용자) 측의 화면뿐만 아니라, 치료사 단말로부터 촬영한 본인(치료자) 측의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치료사 단말 화면의 제1레이어 내지 제4레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공 여부, 크기 또는 비율이 제한되지 않고,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치료사 단말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1영상데이터 및 제3영상데이터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스마트폰(500)은 치료사 PC(400)로부터 수신한 치료사(150)에 대한 제3영상데이터(830) 또는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촬영 중인 제1영상데이터(8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사용자 훈련 변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훈련 변경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재활 훈련에 대한 훈련유형, 훈련강도, 훈련비율 또는 훈련주기를 포함하는 훈련 설정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은 재활 훈련 장치(700)를 이용한 재활 훈련(예를 들어, 연동 훈련 게임 미션)뿐만 아니라, 전술한 일상생활 미션, 정보 리딩 미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치료사는 전술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환자)의 재활 훈련 결과 및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향후 재활 훈련 유형, 강도, 주기 등의 재활 훈련 커리큘럼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미션의 설정 또는 변경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훈련 변경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한다.
즉,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치료사 단말로부터 훈련 변경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커리큘럼 또는 일상생활 미션의 설정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상생활 미션으로 '1단계 task'가 지정되어 있었으나, 치료사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 시청 및 분석 결과,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다고 판단하여 '2단계 task'로 변경하려는 경우, 서버가 상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저장된 훈련 설정을 '2단계 task'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는 훈련 설정 변경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변경된 '2단계 task'가 일상생활 미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장치는, 사용자 단말 및 치료사 단말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훈련을 수행중인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상기 치료사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부(320);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재활 훈련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는 재활 훈련에 관한 화면인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치료사 단말에 전송한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는, 치료사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치료사 단말 화면 내의 제1레이어에 상기 제1영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제2레이어에 상기 제2영상데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장치는, 사용자 계정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 확인 결과, 계정정보에 매칭된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값 정보 또는 특정 사용자의 훈련 설정 정보 등 원격 재활 훈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탐색하는 탐색부(340);를 더 포함한다. 자세한 탐색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사용자
150 : 치료사
300 : 서버
400 : 치료사 단말
410 : 제1레이어
420 : 제2레이어
430 : 제3레이어
440 : 제4레이어
500 : 치료사 단말
600 : 재활 훈련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재활 훈련 장치
810 : 제1영상데이터
820 : 제2영상데이터
830 : 제3영상데이터

Claims (15)

  1. 치료사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에 있어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가공되고,
    재활 훈련 수행과 관련된 작성 양식을 상기 제2레이어의 아래에 위치한 제3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작성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성된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 보고서로 기관 서버에 제출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를 화면의 표시 영역에 크기 또는 비율이 변경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아이콘 영역에 표시된 화면 분할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2레이어를 표시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는 일부분이 서로 겹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 데이터, 상기 치료사 단말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치료사 단말 간 송수신된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치료사 단말 간 송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3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치료사 단말 간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대화방인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레이어를 화면의 표시 영역의 일측에 표시하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3레이어를 상기 표시 영역의 타측에 표시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사의 모습에 대한 제3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4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상에 위치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13.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원격 훈련 재활 프로그램.
  14. 원격 재활 훈련을 위한 치료사 단말에 있어서,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레이어에 표시하는 화면
    을 포함하는고,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가공되고,
    상기 화면은 재활 훈련 수행과 관련된 작성 양식을 상기 제2레이어 아래에 위치한 제3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3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작성받고,
    상기 작성된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 보고서로 기관 서버에 제출되는 것인, 치료사 단말.
  15. 원격 재활 훈련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모습에 대한 제1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훈련 화면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치료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가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지도, 코칭해주는 치료사의 치료사 단말의 제1레이어에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는 가공되어 상기 치료사 단말의 제2레이어에 표시되고,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제1영상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가공되고,
    재활 훈련 수행과 관련된 작성 양식이 상기 제2레이어의 아래에 위치한 제3레이어에 표시되고,
    상기 제3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작성받고,
    상기 작성된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 보고서로 기관 서버에 제출되는 것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KR1020220070891A 2019-07-29 2022-06-10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26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39 2019-07-29
KR20190092039 2019-07-29
KR1020190176085A KR102412739B1 (ko) 2019-07-29 2019-12-27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085A Division KR102412739B1 (ko) 2019-07-29 2019-12-27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255A KR20220084255A (ko) 2022-06-21
KR102626909B1 true KR102626909B1 (ko) 2024-01-19

Family

ID=7422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891A KR102626909B1 (ko) 2019-07-29 2022-06-10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24210B2 (ko)
KR (1) KR102626909B1 (ko)
WO (1) WO2021020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433276B2 (en) 2019-05-10 2022-09-0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071597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069436B2 (en) 2019-10-03 2021-07-2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101028B2 (en) 2019-10-03 2021-08-24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075000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CN114225337B (zh) * 2021-09-18 2022-09-27 上海卓道医疗科技有限公司 康复训练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45B1 (ko) * 2014-03-21 2014-10-06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JP2019109612A (ja) * 2017-12-15 2019-07-04 株式会社卯野薬房 遠隔運動指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146B1 (en) * 2008-03-28 2013-12-31 Theresa Coleman Picture-in-picture video system for virtual exercise, instruction and entertainment
JP2011078728A (ja) * 2009-03-10 2011-04-21 Shinsedai Kk 身体状態評価装置、状態推測装置、歩幅推測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10017258A (ko) * 2009-08-13 2011-02-2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형 피트니스 강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트니스 훈련방법
US9522316B2 (en) * 2010-02-12 2016-12-20 Bright Cloud International Corp. Instrumented therapy table and system
US9283429B2 (en) * 2010-11-05 2016-03-15 Nike,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US9977874B2 (en) * 2011-11-07 2018-05-22 Nike, Inc. User interface for remote joint workout session
US20120154510A1 (en) * 2010-12-17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Camera for Virtual Conferences
US9141759B2 (en) * 2011-03-31 2015-09-22 Adidas Ag Group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U2012259507B2 (en) * 2011-05-20 2016-08-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ystems, apparatuses, devices, and processes for synergistic neuro-physiological rehabilitation and/or functional development
US11133096B2 (en) * 2011-08-08 2021-09-28 Smith & Nephew, Inc. Method for non-invasive motion tracking to augment patient administered physical rehabilitation
WO2013059227A1 (en) * 2011-10-17 2013-04-25 Interactive Physical Therapy, Llc Interactive physical therapy
US20140214443A1 (en) * 2011-11-03 2014-07-31 Sean Patrick Duffy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trics Associated With a Health Improvement Program
WO2013067367A1 (en) * 2011-11-04 2013-05-10 Ohmera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treatments of various conditions of a female person
US9811639B2 (en) * 2011-11-07 2017-11-07 Nike, Inc. User interface and fitness meters for remote joint workout session
US9350951B1 (en) * 2011-11-22 2016-05-24 Scott Dallas Rowe Method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analysis
US9154739B1 (en) * 2011-11-30 2015-10-06 Google Inc. Physical training assistant system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US20140172460A1 (en) * 2012-12-19 2014-06-19 Navjot Kohli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gitally Recorded Musculoskeletal Diagnosis and Treatment
JP5811360B2 (ja) * 2012-12-27 2015-1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運動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運動情報表示方法、運動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9472119B2 (en) * 2013-08-26 2016-10-18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operator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US20150072327A1 (en) * 2013-09-12 2015-03-12 STRETCHING CHARTS, INC. dba VHI Web site for use by physicians for treating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US10765901B2 (en) * 2014-06-04 2020-09-08 T-Rex Investment, Inc. Programmable range of motion system
US9588586B2 (en) * 2014-06-09 2017-03-07 Immersion Corporation Programmable haptic devices and methods for modifying haptic strength based on perspective and/or proximity
KR20160106420A (ko) * 2015-03-02 2016-09-12 김태희 퍼스널 트레이닝을 위한 온라인 휘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A2979844C (en) * 2015-03-18 2024-01-23 Mirrored Motion Works, Inc. Bimanual arm trainer
US20160331304A1 (en) * 2015-05-13 2016-11-17 University Of Washingto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of physical therapy exercises
KR20170012979A (ko) * 2015-07-27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55688B1 (en) * 2015-08-22 2020-02-11 Bertec Corporation Measurement system that includes at least one measurement assembly, a head-mounted visual display device,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US20170069218A1 (en) * 2015-09-07 2017-03-0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L-v-c operating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raining/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030918B2 (en) * 2015-09-10 2021-06-08 Kinetic Telemetry, LLC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ovement using sensor devices
CN108025437B (zh) * 2015-09-23 2021-08-13 卢万天主教大学 康复系统及方法
US20180261120A1 (en) * 2015-12-01 2018-09-13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generat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video generating device, display system, video generation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383507A2 (en) * 2015-12-02 2018-10-10 Disruptive Force LLC Data-collecting exercise device
US10642955B2 (en) * 2015-12-04 2020-05-05 Saudi Arabian Oil Company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medium to provide real time 3D visualization bio-feedback
US9782678B2 (en) * 2015-12-06 2017-10-10 Sliver VR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er video game streaming, highlight, and replay
EP3535645B1 (en) * 2016-11-03 2023-07-26 Zimmer US, Inc. Augmented reality therapeutic movement display and gesture analyzer
KR101864987B1 (ko) * 2017-03-17 2018-06-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0286254B2 (en) * 2017-04-25 2019-05-14 Barry James French Assessment and enhancement of reaction based joint stabilization capabilities
JPWO2018220948A1 (ja) * 2017-06-02 2020-05-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088152A1 (en) * 2017-09-20 2019-03-21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WO2019084412A1 (en) * 2017-10-26 2019-05-02 Hugh Seaton PLATFORM OF MICRO SIMULATION OF VIRTUAL REALITY
US10922997B2 (en) * 2018-03-21 2021-02-16 Physera, Inc. Customizing content for musculoskeletal exercise feedback
US10902741B2 (en) * 2018-03-21 2021-01-26 Physera, Inc. Exercise feedback system for musculoskeletal exerci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45B1 (ko) * 2014-03-21 2014-10-06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JP2019109612A (ja) * 2017-12-15 2019-07-04 株式会社卯野薬房 遠隔運動指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4210B2 (en) 2022-12-13
US20210031074A1 (en) 2021-02-04
KR20220084255A (ko) 2022-06-21
US20230069965A1 (en) 2023-03-09
WO2021020667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6909B1 (ko)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Wong et al. Patient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e of virtual care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Viswanath et al. Occupational practices and the making of health news: A national survey of US health and medical science journalists
US10395328B2 (en) Virtual professionals community for conducting virtual consultations with suggested professionals
Dahmen et al. Creating engagement with solutions visuals: Testing the effects of problem-oriented versus solution-oriented photojournalism
US20140180715A1 (en) Virtual professionals community for conducting virtual consultations with suggested professionals
Liao Mobile versus headworn augmented reality: How visions of the future shape, contest, and stabilize an emerging technology
KR102200815B1 (ko) 정신건강 자가관리 제공 방법 및 정신건강 자가관리 제공 시스템
US9990608B2 (en) Virtual professionals community for conducting virtual consultations with suggested professionals
Williams et al. The use of telemedicine to enhance secondary care: some lessons from the front line
Mohandes Class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NFC mobile devices
Favela et al. Ecological validity and pervasiveness in the evalu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for health care
KR20170056249A (ko) 심리 치료 제공을 위한 컴퓨터 장치 및 프로그램
Newman et al. Translating a spinal cord injury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online and telehealth delivery: a community-engaged research approach
KR102412739B1 (ko)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US119004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consciousness affects
US2023036744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consciousness affects using one or more non-biological inputs
CN114766017A (zh) 一种将屏幕放大显示并进行实时转播的设备及其操作方法
McGraw et al. Mental health care for service members and their families across the globe
Kajan et al. PeepList: Adapting ex-post interaction with pervasive display content using eye tracking
Best et al. Recovery and public policy: Driving the strategy by raising political awareness
Nguyen Convenient efficiency: A media genealogy of QR codes
KR20140028292A (ko) 위치 기반 강의 출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elson et al. Tele-leprology: A literature review of applications of telemedicine and tele-education to lepro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