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539B1 - Shelter - Google Patents
She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6539B1 KR102626539B1 KR1020230068048A KR20230068048A KR102626539B1 KR 102626539 B1 KR102626539 B1 KR 102626539B1 KR 1020230068048 A KR1020230068048 A KR 1020230068048A KR 20230068048 A KR20230068048 A KR 20230068048A KR 102626539 B1 KR102626539 B1 KR 102626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se
- shelter
- air
- addi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터에 관한 것으로서, 햇빛, 눈, 비, 바람 등을 막아주며,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을,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 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쉘터는, 지면에 고정되는 제1 쉘터유닛; 및 상기 제1 쉘터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쉘터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ter, which blocks sunlight, snow, rain, wind, etc., can provide a place to rest or wait, and can provide a heating function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fall and winter. The purpose is to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ter unit fixed to the ground; and a pair of second shelter units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first shelter unit, respectively, and being fixed to the grou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쉘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 눈, 비, 바람 등을 막아주며,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는 쉘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elter that blocks sunlight, snow, rain, wind, etc., and provides a place to rest or wait.
근래들어 버스정류소에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한 기다림의 장소인 쉘터(shelter)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Recently, shelters, which are waiting areas for people waiting for buse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t bus stops.
특히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면서 버스정류장 쉘터의 설치 수는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In particular, with the operation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the number of bus stop shelters has increased.
버스정류장 쉘터는 사람들이 버스를 기다리면서 쉴 수 있는 쉼터이면서 버스정류장의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기업들의 광고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Bus stop shelters are a place where people can rest while waiting for a bus, and they also serve as a means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for buses stopping at the bus stop.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actively used as an advertising tool by companies.
종래의 버스정류장 쉘터는 단순히 기구적인 프레임으로 쉘터를 설치하고, 기타 광고물 또는 LCD 디스플레이어 정도의 외부 기기가 설치된다.Conventional bus stop shelters are simply installed with a mechanical frame, and other external devices such as advertisements or LCD displays are installed.
위와 같은 버스정류장 쉘터는 내부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비, 눈,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공간에는 의자를 구비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The above bus stop shelter is designed to prevent passengers waiting inside from being exposed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rain, snow, and wind, and the interior space is equipped with chairs so that passengers using the bus can wait while seated in the chairs. It is usually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done.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내측에서 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기능 버스 정류장 쉘터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as in literature (1), a multi-functional bus stop shelter installed so that people waiting for a bus can rest insid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는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내부 공간에서 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버스노선, 각종 제품의 광고안내와 같은 정보의 제공과, 편의시설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se multi-functional bus stop shelters are designed to allow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to rest in the interior space, and are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bus routes and advertising information for various product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to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내측에서 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기능 버스 정류장 쉘터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as in literature (1), a multi-functional bus stop shelter installed so that people waiting for a bus can rest insid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는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내부 공간에서 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버스노선, 각종 제품의 광고안내와 같은 정보의 제공과, 편의시설을 제공할 수 있도로 구성된다.These multi-functional bus stop shelters are designed to allow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to rest in the interior space, and are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bus routes and advertising information for various product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to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do.
또한 문헌(2)에서와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내부 공간에서 쉴 수 있으며, 승객이 쉴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고, 겨울철에는 쉘터의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쉘터가 제안된 바 있다In addition, as in literature (2), there is a bus stop shelter where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can rest in the inner space, facilitate ventilation of the inner space where passengers can rest, and supply heat to the inside of the shelter in winter. It has been sugges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햇빛, 눈, 비, 바람 등을 막아주며,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을,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 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쉘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blocks sunlight, snow, rain, wind, etc., provides a place to rest or wait, and can provide a place to rest or wait, and can provide a place to rest or wait, and can provide a place to rest or wait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fall and win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elter that can provide heating in case of low temperatu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는, 지면에 고정되는 제1 쉘터유닛; 및 상기 제1 쉘터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쉘터유닛을 포함한다.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ter unit fixed to the ground; and a pair of second shelter units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first shelter unit, respectively, and being fixed to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며, 안내, 홍보, 디자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내용이 인쇄된 안내홍보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helter unit and the second shelter unit, and further includes a information and promotion section on which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promotion, and design is printed.
또한, 상기 제1 쉘터유닛 또는 제2 쉘터유닛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을 가리는 천장유닛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eil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helter unit to cover the indoor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units.
그리고, 상기 천장유닛에 부착되며, 안내, 홍보, 디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내용이 인쇄된 부가 안내홍보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attached to the ceiling unit and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information and promotion section on which information for one or more of information, promotion, and design is printed.
또한,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 배치되는 벤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bench portion disposed in an indoor space formed by the first shelter unit and the second shelter unit.
그리고, 어느 하나의 제2 쉘터유닛에 고정되고, 일면과 타면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는 면상발열체;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 흡기작동을 통해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구와 가열공간 및 공기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흡기부; 상기 케이스를 제1 쉘터유닛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와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을 형성시키는 보온영역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시키고,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전달관;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외주연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며, 그 내부공간에 상기 전달관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전달관의 배출구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역류방지막;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외기를 살균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 측에 수용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와 마주하고, 상기 전달관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통과부 및 상기 통과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에어포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영역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에 관통설치되고, 일면 및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타면에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부가 케이스;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부가 면상발열체; 상기 부가 케이스의 부가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보온영역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를 통해 가열되도록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서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보온영역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배출부;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며,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 측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흡입작동만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제1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미 감지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다시 흡입 및 배출작동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한다.And, a case fixed to one of the second shelter units,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and an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heating space for heating the air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heating air through planar heating; an intake unit installed at the air inlet and allowing outdoor ai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air inlet, the heating space, and the air outlet through an intake operation; a lifting drive unit that elevates the cas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elter unit;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sterilizing the air taken in by the intake unit; and a thermal insulation device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perates alternately with the intake unit to collect the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case, heats it, and discharges it, thereby forming a thermal insulation area in the area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It further includes a region forming part, wherein the sterilizing part transmits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ncludes a transmission pip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asing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the outer periphery of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transmission pip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side of the delivery pip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t least one sterilizing lamp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sterilizes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ransmission pipe; And it is accommoda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asing and fac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for passing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transmission pipe are disposed in the passage portion and the passage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passage hole. It includes an airfoil part that increases the speed of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wherein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includes a partition wall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s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ase, respectively, and an additional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trance and the second entrance. Additional cases that become; An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heating the air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through planar heating; 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case is sucked in to be heated through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or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 suction/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heated air into the warming area;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ing a door disposed to open or close a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ylinder that drives the door to open or close the air outle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and capable of detecting a human body approaching the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suction/discharg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ction/discharge unit to only perform a suction operati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The cylinder is controlled so that the door opens the first entrance, and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oes not detect a human body,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controlled to perform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again, and the cylinder is controlled so that the door closes the first entrance.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쉘터는, 햇빛, 눈, 비, 바람 등을 막아주며,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을,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 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sunlight, snow, rain, wind, etc., can provide a place to rest or wait, and can provide a heating function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fall and winter.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와, 승강구동부와, 살균부 및 보온영역 형성부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 및 승강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 및 살균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에 적용된 보온영역 형성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에 적용된 제1 팬과, 제2 팬과, 실린더와, 인체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applied to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ar heating element, an intake unit, an elevator shaft unit, a sterilizing unit, and a warming area forming unit are installed indoors.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applied to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an elevator shaf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a planar heating element, an intake unit, and a sterilization unit applied to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warming area forming part applied to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fan, a second fan, a cylinder, a human body sensor,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1)는, 버스 정류장이나 기타 각종 야외에서 사람들에게 햇빛, 눈, 비 등을 피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The she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can provide a place for people to rest or wait while avoiding sunlight, snow, rain, etc. at a bus stop or other outdoor plac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1)는, 제1 쉘터유닛(2)과, 제2 쉘터유닛(3)과, 안내홍보부(4)와, 천장유닛(5)과, 부가 안내홍보부(6)와, 벤치부(7)와, 케이스(10)와, 면상발열체(20)와, 흡기부(30)와, 승강구동부(60)와, 살균부(40) 및 보온영역 형성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he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ter unit (2), a second shelter unit (3), an information and promotion unit (4), a ceiling unit (5),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motional unit (6), bench unit (7), case (10), planar heating element (20), intake unit (30), lifting unit (60), sterilizing unit (40), and warming area forming uni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50).
제1 쉘터유닛(2)은 일정한 높이와 폭 길이를 갖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쉘터유닛(2)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1 다리부(2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제1 다리부(2a)의 하단에는 지면에 앙카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1 플랜지(2b)가 형성된다.A first flange (2b)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leg portion (2a), which is coupled to the ground through an anchor bolt.
제2 쉘터유닛(3)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쉘터유닛(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second shelter unit (3) consists of a pair of two and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ter unit (2), respectively.
제2 쉘터유닛(3)은 각각 제1 쉘터유닛(2)의 일측과 타측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따라서,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을 조합한 형상을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ㄷ"자 형상이 된다.Accordingly, the combined shape of the
이때, 제2 쉘터유닛(3)은 제1 쉘터유닛(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용접결합 또는 볼팅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2 쉘터유닛(3)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2 다리부(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제2 다리부(3a)의 하단에는 지면에 앙카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2 플랜지(3b)가 형성된다.A second flange (3b)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leg portion (3a), which is coupled to the ground through an anchor bolt.
안내홍보부(4)는 이상 설명한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된다.The information and
도면에는 안내홍보부(4)가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각각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formation and publicity unit (4) is applied to the first shelter unit (2) and the second shelter unit (3), respectively.
안내홍보부(4)는 스티커 타입으로써, 그 일면에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부착되는 접착물이 도포된다.The information and
일 예로, 쉘터가 버스 정류장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경우, 안내홍보부(4)에는 홍보를 위한 광고 내용이나 디자인을 위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helter is installed at a bus stop or a park, advertising content for publicity or pictures for design may be printed on the information and
광고 내용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의 형상과 글씨로 이루어질 수 있다.Advertisement content may consist of the shape and text of the product being advertised.
한편, 쉘터가 관광지에 설치되는 경우 안내홍보부(4)에는 해당 관광지를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 및 안내 문구와 더불어 해당 관광지를 홍보하기 위한 각종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shelter is installed at a tourist site, various contents to promote the tourist site may be printed in the information and publicity department (4) along with maps and guidance text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ourist site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다른 일 예로, 안내홍보부(4)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되면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formation and
한편, 천장유닛(5)은 제1 쉘터유닛(2) 또는 제2 쉘터유닛(3)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천장유닛(5)은 수평부(5a)와, 지지프레임(5c) 및 가림패널(5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수평부(5a)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수평부(5a)의 저면에는 제1 쉘터유닛(2)의 상면에 볼팅 결합이나 용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핀(5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On the bottom of the
지지프레임(5c)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수평부(5a)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된다.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5c are applied and coupled to the
지지프레임(5c)들은 수평부(5a)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s 5c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따라서, 지지프레임(5c)들은 제1 쉘터유닛(2)의 전방 방향으로 향해 일정길이 뻗어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Accordingly, the support frames 5c have a structure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가림패널(5d)은 지지프레임(5c)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된다.The
가림패널(5d)은 접착제나 볼트를 통해 지지프레임(5c)에 결합될 수 있다.The
가림패널(5d)은 지지프레임(5c)들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5c)들의 사이 공간을 가린다.The
즉, 가림패널(5d)을 통해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의 상부를 가림에 따라,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1a)으로 빗물,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shelter unit (2) and the second shelter unit (3) are covered through the covering panel (5d), the shelter formed by the first shelter unit (2) and the second shelter unit (3) It is possible to prevent rainwater, snow, etc.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1a).
이로 인해,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1a)에 위치한 사람들을 빗물, 눈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Due to this, people located in the indoor space (1a) formed by the first shelter unit (2) and the second shelter unit (3) can be protected from rainwater and snow.
부가 안내홍보부(6)는 가림패널(5d)의 저면에 적용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부가 안내홍보부(6)는 스티커 타입으로써, 그 일면에 가림패널(5d)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물이 도포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일 예로, 쉘터가 버스 정류장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경우, 부가 안내홍보부(6)에는 홍보를 위한 광고 내용이나 디자인을 위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helter is installed at a bus stop or a park, advertising content for publicity or pictures for design may be print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광고 내용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의 형상과 글씨로 이루어질 수 있다.Advertisement content may consist of the shape and text of the product being advertised.
한편, 쉘터(1)가 관광지에 설치되는 경우 부가 안내홍보부(6)에는 해당 관광지를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 및 안내 문구와 더불어 해당 관광지를 홍보하기 위한 각종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helter (1) is installed at a tourist site, various contents to promote the tourist site may be print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publicity unit (6) along with maps and guidance text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ourist site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다른 일 예로, 부가 안내홍보부(6)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되면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부가 안내홍부에는 전술한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부착된 안내홍보부(4)에 인쇄되어 있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 또는 상이한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leaflet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content printed on the
벤치부(7)는 실내공간(1a)에 배치되어, 사람들에게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 준다.The
이러한 벤치부(7)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서포트(7a) 및 서포트(7a)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되는 착석부(7b)를 포함할 수 있다.This
착석부(7b)에는 가열선, 면상 발열체와 같이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 작동하는 발열부(미도시)가 매립될 수 있다.A heating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heat by power supply, such as a heating wire or a planar heating element, may be embedded in the
그리고, 서포트(7a) 또는 착석부(7b)에는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따라서, 가을,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는 제어패널을 통해 발열부를 작동시켜 착석부(7b)에 착석한 사람들을 따뜻하게 해주면 된다.Therefore, in low-temperature environments such as fall and winter, the heating unit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control panel to warm the people seated in the
한편, 케이스(10)와, 면상발열체(20)와, 흡기부(30)와, 승강구동부(60)와, 살균부(40) 및 보온영역 형성부(50)는 실내공간(1a)에 난방 효과 및 살균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the
케이스(10)는 제2 쉘터유닛(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는 제2 쉘터유닛(3)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케이스(10)가 제2 쉘터유닛(3)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케이스(10)는 제2 쉘터유닛(3)에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승강구동부(60)에 고정될 수 있다.The
브라켓은 벽체에 볼트로 고정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스(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fixed to the wall with bolts and a horizontal portion that extends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이때, 케이스(10)는 접착제나 볼트를 통해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케이스(10)의 후면은 수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rear of the
이로 인해, 후술되는 흡기부(30)가 케이스(10)와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ook (not shown) that is roughly ring-shap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제2 쉘터유닛(3)에 못을 박은 후 걸이구를 걸어 케이스(10)를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케이스(10)는 제2 쉘터유닛(3)이나 승강구동부(60)와 마주하는 후면에 공기유입구(10a)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기배출구(10b)가 형성된다.The
그리고, 공기유입구(10a)와 공기배출구(10b)의 사이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가열공간(10c)이 형성된다.And, a
즉, 공기유입구(10a)를 통해 외기가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되고, 가열공간(10c)에서 외기가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heating space (10c) through the air inlet (10a), and the outside air in the heating space (10c)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outlet (10b). .
면상발열체(20)는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한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s installed in the
면상발열체(20)는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며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면상발열체(20)는 내열의 강화유리판(21) 및 강화유리판(21)의 표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전발열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has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connected so that current flows and generates heat. To this e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may include a heat-resistant tempered
강화유리판(21)은 도전발열막이 고르게 분포되어 적층될 수 있게 하며, 도전발열막은 열매체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킨다.The tempered
이러한 도전발열막은 통상의 증착 또는 분사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다.This conductive heating film is formed by conventional deposition or spraying methods.
도전발열막층은 고투과성을 갖는 투명도전성 전극재료가 사용되는데, 투명도전성 재료로서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Antimony Tin Oxide; ATO)이나, 인듐을 함유하는 산화주석(Indium Tin Oxide; 이하 'ITO'라 함)등을 이용한다.The conductive heating film layer uses a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material with high transparenc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either antimony-containing tin oxide (ATO) or indium-containing tin oxide (ITO). ), etc. are used.
이 중에서도 특히 비저항의 낮음 등의 이유로 ITO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ITO is widely used for reasons such as low resistivity.
한편, 필요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높으며, 고온, 고전압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저항 및 고투과율을 갖는 불소를 함유하는 산화주석(Fluorine doped Tin Oxide; FTO)을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if necessary, fluorine-containing tin oxide (FTO), which has high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high safety against high temperature and high voltage, resistance, and high transmittance, can be used.
도전발열막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하는 층으로 상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도전발열막의 형성은 통상 종래의 알려진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heating film is a layer that generates heat using electricity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For the formation of such a conductive heating film,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제1 쉘터유닛(2) 및 제2 쉘터유닛(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1a)에는 제어패널이 설치되고, 전술한 면상발열체(20)는 제어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control panel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a) formed by the first shelter unit (2) and the second shelter unit (3), and the above-described planar heating element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따라서, 제어패널에 내장되는 온도조절기를 통해 면상발열체(20)의 작동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작동을 온/오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can be adjusted or the operation can be turned on/off through a temperature controller built into the control panel.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터(1)는 일측과 타측이 제2 쉘터유닛(3)에 각각 결합되고, 일정영역이 절개되어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가림판(미도시) 및 가림판에 힌지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he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가림판은 제2 쉘터유닛(3)들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여 실내공간(1a)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최소화 하고, 면상발열체(20)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외부 누출을 최소화 한다.The screen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shelter units (3) to minimize the amount of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1a) and minimizes external leakage of heat generated from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그리고, 가림판 및 도어는 실내공간(1a)에 위치한 사람들이 밖을 볼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creen and doo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people located in the
흡기부(30)는 가열공간(10c)에서 면상발열체(2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흡기부(30)는 공지의 흡기용 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부(30)는 공기유입구(10a)에 배치된다. 흡기부(30)를 구성하는 모터의 양측에는 고정바(31)가 각각 설치된다.The
고정바(31)는 공기유입구(10a) 상에서 케이스(1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The fixing bar 31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흡기부(30)는 흡기작동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다.The
흡기부(30)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공기유입구(10a)와 가열공간(10c)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The outdoor air sucked in by the
이때, 외기는 가열공간(10c)에서 면상발열체(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됨으로, 실내의 온도를 높이고,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온기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n the
승강구동부(60)는 제2 쉘터유닛(3)에 수직 고정된다.The lifting drive unit 60 is vertically fixed to the
승강구동부(60)는 에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60 may be formed as an air cylinder.
케이스(10)의 후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구동부(6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브라켓(B)이 설치된다.At the rear of the
따라서, 승강구동부(60)는 브라켓(B)을 매개로 케이스(10)와 연결된다.Accordingly, the lifting mechanism 60 is connected to the
승강구동부(60)는 약 5초 내지 20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케이스(10)를 벽체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킨다.The lifting unit 60 raises and lowers the
이때, 승강구동부(60)는 케이스(10)를 상승시킨 시점으로부터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케이스(10)를 하강시키고, 케이스(10)를 하강시킨 시점으로부터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케이스(10)를 상승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fting unit 60 lowers the
이러한, 승강구동부(60)를 통해 케이스(10)를 승강시킴에 따라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실내의 수직 방향을 따라 퍼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부위 전체에 온기를 고루게 공급할 수 있다.As the
살균부(40)는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설치되며, 흡기부(30)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한다.The sterilizing
따라서, 살균된 공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Therefore, the sterilized air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indoors and supplied to the user.
이러한 살균부(40)는 전달관(41)과, 케이싱(42)과, 역류방지막(43)과, 살균램프(44) 및 에어포일부(4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is sterilizing
전달관(41)은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된 공기를 면상발열체(20)로 전달시키는 구성이다.The
전달관(41)은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배치된다.The
전달관(41)은 공기유입구(10a)와 마주하는 일면 및 면상발열체(20)를 향하는 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다.The
전달관(41)의 타면 개방된 부분은 외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기능을 한다.The open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전달관(41)의 일측에는 확장관(411)이 일체로 형성된다. 확장관(411)은 후술되는 케이싱(42)의 일단 내면에 고정된다.An
확장관(411)은 전달관(4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확장관(411)은 전달관(41)과 연결되는 일측에서 공기유입구(10a)와 마주하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흡기부(30)의 작동에 의해 공기유입구(10a)로 유입된 외기는 확장관(411)과, 전달관(41)의 통로와, 정체부(45)를 순차적으로 거쳐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된다.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0a)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3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tube (411), the passage of the transmission tube (41), and the stagnation unit (45)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t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indoors.
이때, 전달관(41)은 통로를 통과하는 외기에 후술되는 살균램프(44)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케이싱(42)은 가열공간(10c)에 수용된다. 케이싱(42)은 그 외면이 케이스(10)의 내면인 천장면과, 바닥면 및 내부 양측벽에 접착제나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The
케이싱(42)은 일면과 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전달관(41)이 수용된다.The
이때, 확장관(411)은 끝부분이 케이싱(42)의 내면 끝부분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역류방지막(43)은 전달관(41)의 배출구(41a)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케이싱(42)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역류방지막(43)으로 인해 전달관(41)의 배출구(41a)를 통해 배출된 외기가 전달관(41)과 케이싱(42)의 사이 공간으로 역류하지 아니하고 면상발열체(2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e
살균램프(44)는 케이싱(42)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전달관(41)과 마주한다.At least one sterilizing
살균램프(44)는 공지의 UV램프로 형성되어, 전달관(41)의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살균램프(44)를 통해 사용자에게 살균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정체부(45)는 통과부(451) 및 에어포일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gnant part 45 may include a passing
통과부(45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451)는 케이싱(42)의 내부공간 중에서 배출구(41a) 측에 배치되어 면상발열체(20)와 마주한다.The passing
통과부(451)는 둘레면이 케이싱(4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assing
통과부(451)에는 전달관(41)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45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e
에어포일부(452)는 통과홀(451a)에 각각 배치되어, 통과홀(451a)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The
에어포일부(452)가 없는 경우 통과부(451)로 인해 외기의 정체가 심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살균된 온기의 양이 적을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그러나, 외기가 통과홀(451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어포일을 타고 넘어가면서 가속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된 온기의 배출량이 불필요하게 적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통과부(451)를 통해 케이싱(42)의 내부 일정면적을 가려 외기의 흐름을 일정수준으로 정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살균램프(44)에 의한 외기의 살균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utside air can be accelerated while passing over the airfoil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한편, 보온영역 형성부(50)는 케이스(10)의 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다시 배출함으로써, 케이스(10)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A)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insulating area forming unit 50 collects the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이를 위해, 보온영역 형성부(50)는 구획벽(51)과, 부가 케이스(52)와, 부가 면상발열체(57)와, 흡입배출부와, 개폐부(54)와 인체감지센서(55) 및 제어부(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50 includes a
구획벽(51)은 케이스(1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구획벽(51)은 실내공간(1a)의 대략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이때, 벤치부(7)는 구획벽(51)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구획벽(51)의 하측에는 바닥판(7)의 상면에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51a)가 형성된다.And, a flange 51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구획벽(51)에는 부가 케이스(52)가 관통설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관통홀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구획벽(51)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이때, 관통홀은 케이스(10)와 각각 1:1 대향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s are installed to face the
부가 케이스(52)는 구획벽(51)의 관통홀에 각각 관통설치된다.The
부가 케이스(52)는 그 일측과 타측이 구획벽(51)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된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따라서, 부가 케이스(52)의 일측은 케이스(10)와 마주하고, 다른 제1 벽부(4)와 마주한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부가 케이스(52)의 일면과 타면에 제1 출입구(52a) 및 제2 출입구(52b)가 각각 형성되고, 제1 출입구(52a) 및 제2 출입구(52b)의 사이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52c)이 형성된다.A first entrance (52a) and a second entrance (52b)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부가 면상발열체(57)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설치된다.The additional
부가 면상발열체(57)는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52c)의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전술한 면상발열체(20)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additional
흡입배출부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설치된다.The suction/discharge un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of the additional case (52).
일 예로, 흡입배출부는 모터와 프로팰러를 포함하는 공지의 제1 팬(53a)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uction/dischar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known first fan (53a)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제1 팬(53a)의 모터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of the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로팰러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된 공기나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를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흡입하게 된다.When the motor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clockwise)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0b) or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is sucked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후술되는 도어(541)가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한 상태에서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로팰러가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부가 가열공간(52c)에서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시킨다.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the door 5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s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이때, 제1 팬(53a)의 모터는 그 모터축이 약 5초 내지 20초 간격으로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of the
이로 인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보온영역(A)의 공기 흡입하여 가열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air in the warming area (A) can be sucked in and heated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then discharged back to the warming area (A).
그리고, 후술되는 도어(541)가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도 1을 기준으로 제1 출입구(52a)를 통해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5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pens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다른 일 예로, 흡입배출부는 모터와 프로팰러를 포함하는 제1 팬(53a) 및 제2 팬(53b)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ction/discharge unit may include a first fan (53a) and a second fan (53b)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이때, 제1 팬(53a)은 부가 케이스(5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팬(53b)은 부가 케이스(52)의 내부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 팬(53a)은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를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흡입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제2 팬(53b)은 부가 가열공간(52c)에 존재하는 공기를 보온영역(A)에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fan (53a) is used to suck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nd the second fan (53b) is used to suck the air existing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into the warming area. It can be used for discharge to (A).
제1 팬(53a)과 제2 팬(53b)의 모터는 약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다.The motors of the
개폐부(54)는 도어(541) 및 실린더(5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54 may include a door 541 and a cylinder 542.
도어(541)는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된다.The door 541 is arranged to open or close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실린더(542)는 공기배출구(10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킨다.The cylinder 542 drives the
실린더(542)는 후술되는 인체감지센서(55) 및 제어부(56)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작동된다.The cylinder 542 is operated by interaction with the human
인체감지센서(55)는 구획벽(51)에 설치되며,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 측 즉, 도 2를 기준으로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The human
제어부(56)는 인체감지센서(55)의 감지여부에 따라 실린더(542) 및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542 and the suction/discharg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보온영역 형성부(5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warming area form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먼저, 흡기부(30)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된 외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보온영역(A)으로 배출되어 실내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First,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30)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A), rais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room. It will be done.
그리고, 흡입배출부의 작동에 의해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된 후,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다.Then,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discharge unit flows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of the additional case (52), is then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returns to the warming area (A). It is discharged as (A).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 공기 및 보온영역(A)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는 제1 팬(53a)을 구성하는 프로팰러의 정방향 회전 작동에 의해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유입된 다음,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된 후, 프로팰러의 역방향 회전 작동에 의해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되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A) and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are introduced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by the forward rotation operation of the propeller constituting the first fan (53a), and then added 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fter being quickly heated by the
이때, 가열공간(10c)에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 공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된 상태이므로,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된 공기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10c) to the warming area (A) is in a heated state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the air flowing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is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Can be heated quickly.
따라서, 부가 면상발열체(57)의 발열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전력 사용양을 절감할 수 있고, 보온영역(A)에서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additional
한편, 실내에 추가로 다른 사용자가 들어와서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자리할 경우, 인체감지센서(55)가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Meanwhile, when another user enters the room and sits on the left side of the
인체감지센서(55)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6)에 전송한다.The human
그리고,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으로만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제1 팬(53a)을 구성하는 모터의 모터축이 정방향 즉, 프로팰러가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면서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unit is applied only to the
따라서, 제1 팬(53a)의 작동으로 인해 가열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배출된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fan (53a) is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discharged to other users located in the left area of the partition wall (51).
이로 인해,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다.Because of this, user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이때,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 및 제2 팬(53b)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제2 팬(53b)의 작동은 정지시키면서 제1 팬(53a)만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to the first fan (53a) and the second fan (53b), the control unit 56 operates only the first fan (53a) whil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an (53b),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541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cylinder 542 to open the first entrance 52a.
한편,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쉘터(1) 밖으로 나가게 되어 인체감지센서(55)가 인체를 감지하지 아니할 경우, 제어부(56)에는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아니한다.Meanwhile, when a user located in the left area of the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으로만 적용되는 경우, 제1 제어부(56)는 다시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면서 제1 팬(53a)을 구성하는 모터의 모터축이 다시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fan (53a), the first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cylinder (542) to allow the door (541) to close the first entrance (52a) while controlling the first fan (53a).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that constitutes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again at intervals of 5 to 15 seconds.
이로 인해,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 및 가열공간(10c)에서 배출된 공기는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되어,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다.As a result,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10c) flow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re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return to the warming area (A). ) is discharged.
그리고,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 및 제2 팬(53b)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면서 제1 팬(53a)과 제2 팬(53b)의 모터를 약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게 작동시키게 된다.And, 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as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쉘터 2 : 제1 쉘터유닛
2a : 제1 다리부 2b : 제1 플랜지
3 : 제2 쉘터유닛 3a : 제2 다리부
3b : 제2 플랜지 4 : 안내홍보부
5 : 천장유닛 5a : 수평부
5b : 고정핀 5c : 지지프레임
5d : 가림패널 6 : 부가 안내홍보부
7 : 벤치부 7a : 서포트
7b : 착석부 10 : 케이스
10a : 공기유입구 10b : 공기배출구
10c : 가열공간 20 : 면상발열체
21 : 강화유리판 22 : 도전발열막
30 : 흡기부 40 : 살균부
41 : 전달관 41a : 배출구
411 : 확장관 42 : 케이싱
43 : 역류방지막 44 : 살균램프
45 : 정체부 451 : 통과부
451a : 통과홀 452 : 에어포일부
50 : 보온영역 형성부 51 : 구획벽
51a : 플랜지 52 : 부가 케이스
52a : 제1 출입구 52b : 제2 출입구
52c : 부가 가열공간 53a : 제1 팬
53b : 제2 팬 54 : 개폐부
541 : 도어 542 : 실린더
55 : 인체감지센서 56 : 제어부
60 : 승강구동부1: Shelter 2: 1st shelter unit
2a:
3:
3b: 2nd flange 4: Information and promotion department
5:
5b: fixing pin 5c: support frame
5d: Covering panel 6: Additional information and promotion department
7:
7b: Seating section 10: Case
10a:
10c: heating space 20: planar heating element
21: Tempered glass plate 22: Conductive heating film
30: intake unit 40: sterilization unit
41:
411: expansion pipe 42: casing
43: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44: sterilization lamp
45: stagnation part 451: passing part
451a: Passing hole 452: Airfoil part
50: Insulating area forming part 51: Partition wall
51a: Flange 52: Additional case
52a: first entrance 52b: second entrance
52c:
53b: second fan 54: opening and closing part
541: door 542: cylinder
55: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control unit
60: Eastern part of the elevator shaft
Claims (5)
상기 제1 쉘터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쉘터유닛;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며, 안내, 홍보, 디자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내용이 인쇄된 안내홍보부;
상기 제1 쉘터유닛 또는 제2 쉘터유닛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을 가리는 천장유닛;
상기 천장유닛에 부착되며, 안내, 홍보, 디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내용이 인쇄된 부가 안내홍보부;
어느 하나의 제2 쉘터유닛에 고정되고, 일면과 타면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는 면상발열체;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흡기작동을 통해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구와 가열공간 및 공기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흡기부;
상기 케이스를 제1 쉘터유닛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와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을 형성시키는 보온영역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시키고,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전달관;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외주연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며, 그 내부공간에 상기 전달관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전달관의 배출구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역류방지막;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외기를 살균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 측에 수용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와 마주하고, 상기 전달관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통과부 및 상기 통과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에어포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영역형성부는,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에 관통설치되고, 일면 및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타면에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부가 케이스;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부가 면상발열체;
상기 부가 케이스의 부가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보온영역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를 통해 가열되도록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서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보온영역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배출부;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며,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 측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흡입작동만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제1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미 감지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다시 흡입 및 배출작동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쉘터.
A first shelter unit fixed to the ground;
a pair of second shelter units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first shelter unit, respectively, and being fixed to the ground;
An information and promotion unit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units and printed with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information, promotion, and design;
a ceil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helter unit and covering the indoor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units;
An additional information and promotion unit attached to the ceiling unit and printed with information for one or more of information, promotion, and design;
A case fixed to one of the second shelter units,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heating air through planar heating;
an intake unit installed at the air inlet and allowing outdoor ai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air inlet, heating space, and air outlet through an intake operation;
a lifting drive unit that elevates the cas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elter unit;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sterilizing the air taken in by the intake unit; and
A warming area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perates alternately with the intake unit, collects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case, heats it, and discharges it, thereby forming a warming area in the area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Contains a forming part,
The sterilization unit,
A transmission pipe that transmits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asing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the outer periphery of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transmission pip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side of the delivery pip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t least one sterilizing lamp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sterilizes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ransmission pipe; and
It is accommoda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asing and fac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for passing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transmission pipe are disposed in the passage portion and the passage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passage hole is It includes an airfoil portion that increases the speed of passing external air,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a partition wal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ase, respectively, and an additional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trance and the second entrance. Additional cases that become;
An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heating the air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through planar heating;
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case is sucked in to be heated through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or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 suction/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heated air into the warming area;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ing a door disposed to open or close a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ylinder that drives the door to open or close the air outle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and capable of detecting a human body approaching the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suction/discharg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ction/discharge unit to only perform a suction operati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while controlling the door. Controls the cylinder to open the first entrance, and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oes not detect a human body, controls the suction and discharge unit to resum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and controls the cylinder to close the first entrance with the door. A shelter.
상기 제1 쉘터유닛 및 제2 쉘터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 배치되는 벤치부를 더 포함하는 쉘터.According to paragraph 1,
A shelter further comprising a bench portion disposed in an indoor space formed by the first shelter unit and the second shelter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8048A KR102626539B1 (en) | 2023-05-26 | 2023-05-26 | She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8048A KR102626539B1 (en) | 2023-05-26 | 2023-05-26 | Shel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6539B1 true KR102626539B1 (en) | 2024-01-19 |
Family
ID=8971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8048A KR102626539B1 (en) | 2023-05-26 | 2023-05-26 | She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653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678Y1 (en) * | 1995-11-04 | 1998-11-02 | 최병술 | Built-up house building structure for platform |
KR200302262Y1 (en) * | 2002-11-01 | 2003-02-11 | 김용석 | construction part of facilties using a lexan |
KR20110034234A (en) | 2009-09-28 | 2011-04-05 | 남양주시 | Multifunctional shelter of bus stop |
KR101293326B1 (en) | 2012-02-07 | 2013-08-06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Very convenient shelter using energy from sun for bus stop |
-
2023
- 2023-05-26 KR KR1020230068048A patent/KR10262653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678Y1 (en) * | 1995-11-04 | 1998-11-02 | 최병술 | Built-up house building structure for platform |
KR200302262Y1 (en) * | 2002-11-01 | 2003-02-11 | 김용석 | construction part of facilties using a lexan |
KR20110034234A (en) | 2009-09-28 | 2011-04-05 | 남양주시 | Multifunctional shelter of bus stop |
KR101293326B1 (en) | 2012-02-07 | 2013-08-06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Very convenient shelter using energy from sun for bus sto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875316A (en) | Combined heating and ventilating unit | |
US11072939B2 (en) | Eatery | |
KR102626539B1 (en) | Shelter | |
KR102209329B1 (en) | Public smart shelter | |
JP2785488B2 (en) | Doorway device | |
KR20120000693U (en) | Shelter for bus platform establish | |
JP2007061446A (en) | Dimmer with optical element, and application | |
US20180106487A1 (en) | Managing air flow | |
JP6117535B2 (en) | Sliding door type door pocket structure with air circulation function | |
KR102577413B1 (en) | Sign board | |
ES2305632T3 (en) | WALL PLATE WITH A GLASS ELEMENT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WALL PLATE OF THIS TYPE. | |
US6623352B2 (en) | Vortex air barrier | |
JP5528499B2 (en) |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 |
KR102577411B1 (en) | Device for wall mounted heating using carbon nanomaterials | |
JP5461208B2 (en) | building | |
US2235927A (en) | Revolving canopy or roof | |
WO2015155902A1 (en) | Poultry house ventilation structure and poultry house ventilation method | |
JP2017009243A (en) | Odor adhesion inhibition system | |
KR100717202B1 (en) | Toll Booth for Road | |
KR200196036Y1 (en) | A projector to use outdoors | |
KR20200113955A (en) | Cooling and Heating Smart Waiting Station Using Geothemal Energy | |
US10231551B2 (en) | Heated sitting surface | |
JP2014031664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007271113A (en) | Floor heating system | |
JP3101816U (en) | Road surface advertis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