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413B1 - Sign board - Google Patents

Sign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413B1
KR102577413B1 KR1020230063649A KR20230063649A KR102577413B1 KR 102577413 B1 KR102577413 B1 KR 102577413B1 KR 1020230063649 A KR1020230063649 A KR 1020230063649A KR 20230063649 A KR20230063649 A KR 20230063649A KR 102577413 B1 KR102577413 B1 KR 10257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additional
entr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인선
Original Assignee
넥스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4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들에게 지역의 관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도를 제공하면서 해당 지역의 각종 특산물 등을 홍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간판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고정되며 안내 또는 홍보를 위한 내용이 인쇄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안내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board,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people with a map to guide local tourism while promoting various specialties of the area.
The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arrang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 sign that is fixed between the holding parts and on which information or promotional information is printed or displayed.

Description

안내간판{SIGN BOARD}Information signboard {SIGN BOARD}

본 발명은 안내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들에게 지역의 관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도를 제공하면서 해당 지역의 각종 특산물 등을 홍보할 수 있는 안내간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boar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ignboard that can promote various special products of the region while providing a guide map to guide people to tour the region.

일반적으로 관광지에는 관광객들에게 관광할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지도가 인쇄된 간판이 설치된다.Typically, signboards with maps printed on them are installed at tourist destinations to inform tourists of where to visit.

그리고, 건물에도 상가나 영업장소 등을 안내하기 위한 간판이 설치된다.In addition, signs are installed on buildings to guide people to shopping malls and business locations.

즉, 간판은 지역명소, 해당 지역의 특산물 또는, 상점, 회사, 영업소, 각종기관 등에서 그 상호나 기관명 또는, 판매상품, 영업종목 등을 표현하여 사람의 눈에 잘 띄도록 광고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산업과 문명이 발달하면서 간판의 종류와 형태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In other words, signboards are used by local attractions, local specialties, stores, companies, sales offices, various organizations, etc. to express the business name, name of the organization, products sold, business items, etc. to make them visible to people. As industry and civilization develop, the types and forms of signs are becoming more diverse.

간판의 종류는 다양하며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signs, and they are usually equipped with lighting means to enable identification even at night.

종래에는 속이 비어있는 커다란 단일 케이스 내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케이스 상면에 문자를 포함하는 문양을 접착 또는 인쇄의 방법으로 형성한 평면형 간판이 주를 이루었다.Conventionally, flat signs were mainly made by installing lighting fixtures inside a single large hollow case and forming patterns including letters on the top of the case by gluing or printing.

조명 기구로 형광등 또는 네온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색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LED의 사용이 늘고 있다.Fluorescent lights or neon lights were mainly used as lighting fixtures, but in recent years, the use of LEDs, which are cost-effective and can provide diversity of colors, has been increasing.

한편, 글자 또는 로고 자체를 알루미늄 채널로 다양하게 절곡하여 케이싱의 측벽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명기 구를 설치한 형태의 입체 간판이 제안되었다.Meanwhile, a three-dimensional sign was proposed in which the letters or logos themselves were bent in various ways into aluminum channels to form the side walls of the casing, and lighting fixtures were installed inside them.

이런 형태의 간판을 통상 채널간판이라 하며,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및 로고만을 밝게 하면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This type of sign is usually called a channel sign, and has the advantage of low power consumption because only the letters and logos to be expressed need to be brightened.

또한, 입체적이므로 미관이 뛰어나고 글자를 더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it is three-dimensional,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aesthetics and the ability to identify letters more clearly.

등록특허공보 제10-1934232호(2018.12.2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34232 (2018.12.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람들에게 지역의 관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도를 제공하면서 해당 지역의 각종 특산물 등을 홍보할 수 있는 안내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ignboard that can promote various special products of the region while providing a guide map to guide people to tourism in the reg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고정되며 안내 또는 홍보를 위한 내용이 인쇄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안내판을 포함한다.A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arrang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 sign that is fixed between the holding parts and on which information or promotional information is printed or displayed.

그리고, 상기 지주부의 전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벽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갖는 제2 벽부를 더 포함한다.And, a pair of first wall parts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lding part; and a second wall portion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irst wall portions and having an entrance and exit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또한, 상기 지주부와,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상면에 공동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천장부; 어느 하나의 제1 벽부에 고정되고, 일면과 타면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는 면상발열체;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 흡기작동을 통해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구와 가열공간 및 공기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흡기부; 상기 케이스를 벽체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와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을 형성시키는 보온영역 형성부를 더 포함한다.Additionally, a ceiling portion joint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A case fixed to one of the first walls,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heating air through planar heating; an intake unit installed at the air inlet and allowing outdoor ai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air inlet, the heating space, and the air outlet through an intake operation; a lifting unit that lifts the cas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l;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sterilizing the air taken in by the intake unit; A warming area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perates alternately with the intake unit, collects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case, heats it, and discharges it, thereby forming a warming area in the area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It further includes a forming part.

그리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시키고,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전달관;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외주연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며, 내부공간에 상기 전달관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전달관의 배출구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역류방지막;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외기를 살균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 측에 수용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와 마주하고, 상기 전달관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통과부 및 상기 통과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에어포일부를 포함하는 정체부를 포함한다.And, the sterilization unit transmits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ncludes a transmission pip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asing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the outer periphery of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transmission pip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side of the delivery pip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t least one sterilizing lamp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sterilizes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ransmission pipe; And it is accommoda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asing and fac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for passing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transmission pipe are disposed in the passage portion and the passage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passage hole. It includes a stagnation portion including an airfoil portion that increases the speed of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또한, 상기 보온영역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에 관통설치되고, 일면 및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타면에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부가 케이스;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부가 면상발열체; 상기 부가 케이스의 부가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보온영역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를 통해 가열되도록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서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보온영역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배출부;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며,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 측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흡입작동만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제1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미 감지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다시 흡입 및 배출작동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warming area forming portion includes a partition wall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s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ase, respectively, and an additional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trance and the second entrance. Additional cases that become; An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heating the air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through planar heating; 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case is sucked in to be heated through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or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 suction/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heated air into the warming area;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ing a door disposed to open or close a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ylinder that drives the door to open or close the air outle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and capable of detecting a human body approaching the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suction/discharg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ction/discharge unit to only perform a suction operati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The cylinder is controlled so that the door opens the first entrance, and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oes not detect a human body,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controlled to perform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again, and the cylinder is controlled so that the door closes the first entrance.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안내간판은, 사람들에게 지역의 관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도를 제공하면서 해당 지역의 각종 특산물 등을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formation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oting various special products of the region while providing a guide map to guide people to tourism in the reg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와, 승강구동부와, 살균부 및 보온영역 형성부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 및 승강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 및 살균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보온영역 형성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제1 팬과, 제2 팬과, 실린더와, 인체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guide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applied to the information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take unit, the hoisting section,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warming area forming unit are installed indoors.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applied to a guide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an elevator shaf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applied to a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ar heating element, an intake unit, and a sterilizing unit.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warming area forming part applied to a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fan, a second fan, a cylinder,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와, 승강구동부와, 살균부 및 보온영역 형성부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 및 승강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케이스와, 면상발열체와, 흡기부 및 살균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보온영역 형성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에 적용된 제1 팬과, 제2 팬과, 실린더와, 인체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guidance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guidance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guidance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se applied to the signboard,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take part, the hoistway east part, the sterilizing part, and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installed indoors, and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applied to the signboard,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take part, the hoistway east part, the sterilizing part, and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are installed indoors,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ase applied to the signboard,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take part, the hoistway east part, the sterilizing part, and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are installed indoors.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se,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the eastern part of the hoisting shaft,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se,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take part, and the sterilizing part applied to the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hermal insulation area forming part applied to the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first fan, a second fan, a cylinder, and a human body detection applied to the information 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nsor and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1)은, 사람들에게 지역의 관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도를 제공하면서 해당 지역의 각종 특산물 등을 홍보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information signboar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can promote various special products of the region while providing a guide map to guide people to tour the reg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1)은, 지주부(2)와, 안내판(3)과, 제1 벽부(4)와, 제2 벽부(5)와, 천장부(6)와, 케이스(10)와, 면상발열체(20)와, 흡기부(30)와, 승강구동부(60)와, 살균부(40) 및 보온영역 형성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information signboar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2), a guide plate (3), a first wall portion (4), a second wall portion (5), and a ceiling portion (6).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se 10, a planar heating element 20, an intake unit 30, a lifting unit 60, a sterilizing unit 40, and a warming area forming unit 50. You can.

지주부(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 배치된다.The support portions 2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are vertically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지주부(2)의 하단에는 지면에 앙카볼트를 통해 고정되며, 일정간 두께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판(7)의 상면에 볼트결합되는 플랜지(2c)가 각각 마련된다.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2, a flange 2c is provided,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n anchor bolt and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which is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area.

지주부(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a)이 형성된다.Fixing grooves 2a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supporting portions 2 facing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which is approximately “ㄷ” shaped when viewed from a plane.

고정홈(2a)에는 안내판(3)의 양측 가장자리가 수용 및 고정된다.Both edges of the guide plate 3 are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2a.

고정홈(2a)의 하단에는 안내판(3)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2b)이 형성된다.A support piece (2b)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2a)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3).

즉, 지지편(2b)으로 인해 고정홈(2a)의 하단은 막혀 있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2a is blocked by the support piece 2b.

안내판(3)은 지주부(2)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양측이 고정홈(2a)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된다.The guide plate 3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2, and both sides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 2a through bolts and nuts.

이때, 너트는 지주부(2)의 내부에 매립되고, 볼트는 안내판(3)을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t is embedded inside the holding portion (2), and the bolt can penetrate the guide plate (3) and be fastened to the nut.

일 예로, 안내판(3)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 안내 또는 홍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formation board 3 may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r promotion may be printed on the fro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간판(1)이 관광지에 설치되는 경우 안내판(3)의 전면에는 해당 관광지를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 및 안내 문구와 더불어 해당 관광지를 홍보하기 위한 각종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sig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tourist site, the front of the information sign (3) contains a map and guidance text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ourist site can be identified at a glance, as well as various contents to promote the tourist site. This can be printed.

다른 일 예로, 안내판(3)은 유리 도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은 필름지에 인쇄되고, 필름지가 안내판(3)의 전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guide board 3 may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and maps, guidance text, and promotional content may be printed on film paper, and the film paper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guide board 3.

또 다른 일 예로, 안내판(3)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되면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안내판(3)에는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formation board 3 may be made of glass, and when power is applied, a map, guidance text, and promotional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person located in front may be installed on the information board 3.

인체감지센서는 전방에 사람이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안내판(3)에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person in front, it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be programmed to display a map, guidance text, and promotional content on the information board (3)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이때, 지도, 안내 문구 및 홍보 내용은 다수개의 LED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maps, guidance text, and promotional content may be displayed by combining multiple LEDs.

그리고,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가 사람을 감지하지 아니할 경우, LED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can be programmed to turn off the power to the LED when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detect a person.

한편, 제1 벽부(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주부(2)의 전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Meanwhile, the first wall portion 4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2.

이를 위해, 제1 벽부(4)의 후측에는 지주부(2)의 전면에 피스나, 볼트로 결합되는 플랜지(4a)가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flange 4a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wall 4,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2 with a piece or bolt.

한편, 제2 벽부(5)는 제1 벽부(4)의 전측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Meanwhile, the second wall portion 5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wall portion 4.

이를 위해, 제2 벽부(5)의 양측에는 제1 벽부(4)에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5c)가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flanges 5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all portion 5 and are bolted to the first wall portion 4.

제2 벽부(5)의 일정영역에는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5a)가 형성된다.An entrance 5a through which people enter and exit is formed in a certain area of the second wall 5.

그리고, 출입구(5a)에는 손잡이(51b)가 형성된 도어(5b)가 힌지 결합된다. 도어(5b)의 손잡이(51b)를 당기거나 밀어서 출입구(5a)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And, a door 5b with a handle 51b is hinged to the entrance 5a. The entrance (5a) can be opened or closed by pulling or pushing the handle (51b) of the door (5b).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5b)를 개방하여 지주부(2)와, 제1 벽부(4) 및 제2 벽부(5)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이하, "실내"라 함.)으로 들어가서 안내판(3)에 인쇄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확인하면 된다.Accordingly, the user opens the door 5b and enters the interior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ior”) formed by the support portion 2, the first wall portion 4, and the second wall portion 5, and enters the information board ( Just check the contents printed or displayed in 3).

이상 설명한 지주부(2)와, 안내판(3)과, 제1 벽부(4) 및 제2 벽부(5)의 조합된 형상은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bined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2, the guide plate 3, the first wall portion 4, and the second wall portion 5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to a square cylinder shape wit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pen.

한편, 천장부(6)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ceiling portion 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천장부(6)는 일정영역이 지주부(2)의 상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정영역은 제1 벽부(4)의 상면에 안착되며, 또 다른 일정영역은 제2 벽부(5)의 상면에 안착된다.A certain area of the ceiling part 6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 another certain area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4, and another certain area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l part 5. do.

천장부(6)의 안착된 부분은 지주부(2)와, 제1 벽부(4) 및 제2 벽부(5)에 볼트를 통해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seated portion of the ceiling portion 6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2, the first wall portion 4, and the second wall portion 5 through bolts.

천장부(6)로 인해 지주부(2)와, 실내에 비나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비나 눈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ceiling portion 6 can prevent rain or snow from entering the support portion 2 and the interior. Therefore, users located indoors can be protected from rain or snow.

한편, 케이스(10)와, 면상발열체(20)와, 흡기부(30)와, 승강구동부(60)와, 살균부(40) 및 보온영역 형성부(50)는 제1 벽부(4)와, 제2 벽부(5) 및 천장부(6)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에 난방 효과 및 살균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10,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the intake part 30, the lifting drive part 60, the sterilizing part 40, and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wall part 4 and , It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provide a heating effect and a sterilizing effect to the indoor space formed by the second wall portion (5) and the ceiling portion (6).

케이스(10)는 제1 벽부(4)와 제2 벽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는 제1 벽부(4) 또는 제2 벽부(5)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Case 1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wall 4 and the second wall 5. In addition, at least one case 10 is installed on the first wall 4 or the second wall 5.

도면에는 케이스(10)가 제1 벽부(4)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se 10 is installed on the first wall 4.

케이스(10)는 제1 벽부(4)에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승강구동부(6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ase 10 may be fixed to the first wall 4 through a bracket (not shown) or to the lifting drive uni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브라켓은 벽체에 볼트로 고정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스(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fixed to the wall with bolts and a horizontal portion that extends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case 10.

이때, 케이스(10)는 접착제나 볼트를 통해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se 1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rough adhesive or bolts.

케이스(10)의 후면은 수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rear of the case 1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portion.

이로 인해, 후술되는 흡기부(30)가 케이스(10)와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intak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suck in external ai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se 10 and the vertical part.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ook (not shown) that is roughly ring-shap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따라서, 제1 벽체에 못을 박은 후 걸이구를 걸어 케이스(10)를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case 10 can be fixed by driving a nail into the first wall and then hanging a hanger.

케이스(10)는 제1 벽부(4)나 승강구동부(60)와 마주하는 후면에 공기유입구(10a)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기배출구(10b)가 형성된다.The case 10 has an air inlet 10a formed at the rear facing the first wall 4 or the lifting drive unit 60, and an air outlet 10b formed at the front.

그리고, 공기유입구(10a)와 공기배출구(10b)의 사이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가열공간(10c)이 형성된다.And, a heating space 10c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between the air inlet 10a and the air outlet 10b.

즉, 공기유입구(10a)를 통해 외기가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되고, 가열공간(10c)에서 외기가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heating space (10c) through the air inlet (10a), and the outside air in the heating space (10c)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outlet (10b). .

면상발열체(20)는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한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s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and heats the air through planar heating.

면상발열체(20)는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며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면상발열체(20)는 내열의 강화유리판(21) 및 강화유리판(21)의 표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전발열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has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connected so that current flows and generates heat. To this e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may include a heat-resistant tempered glass plate 21 and a conductive heating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21 to allow current to flow.

강화유리판(21)은 도전발열막이 고르게 분포되어 적층될 수 있게 하며, 도전발열막은 열매체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킨다.The tempered glass plate 21 allows the conductive heating film to be evenly distributed and laminated, and the conductive heating film generates heat sufficient to heat the heat medium.

이러한 도전발열막은 통상의 증착 또는 분사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다.This conductive heating film is formed by conventional deposition or spraying methods.

도전발열막층은 고투과성을 갖는 투명도전성 전극재료가 사용되는데, 투명도전성 재료로서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Antimony Tin Oxide; ATO)이나, 인듐을 함유하는 산화주석(Indium Tin Oxide; 이하 'ITO'라 함)등을 이용한다.The conductive heating film layer uses a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material with high transparenc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either antimony-containing tin oxide (ATO) or indium-containing tin oxide (ITO). ), etc. are used.

이 중에서도 특히 비저항의 낮음 등의 이유로 ITO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ITO is widely used for reasons such as low resistivity.

한편, 필요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높으며, 고온, 고전압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저항 및 고투과율을 갖는 불소를 함유하는 산화주석(Fluorine doped Tin Oxide; FTO)을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if necessary, fluorine-containing tin oxide (FTO), which has high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high safety against high temperature and high voltage, resistance, and high transmittance, can be used.

도전발열막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하는 층으로 상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도전발열막의 형성은 통상 종래의 알려진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heating film is a layer that generates heat using electricity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For the formation of such a conductive heating film,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실내에는 제어패널이 설치되고, 전술한 면상발열체(20)는 제어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control panel is installed indoors,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described abo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따라서, 제어패널에 내장되는 온도조절기를 통해 면상발열체(20)의 작동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작동을 온/오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can be adjusted or the operation can be turned on/off through a temperature controller built into the control panel.

흡기부(30)는 가열공간(10c)에서 면상발열체(2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intake unit 30 is configured to allow air heated through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n the heating space 10c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0b.

흡기부(30)는 공지의 흡기용 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부(30)는 공기유입구(10a)에 배치된다. 흡기부(30)를 구성하는 모터의 양측에는 고정바(3)가 각각 설치된다.The intake unit 30 may be formed of a known intake fan. The intake unit 30 is disposed at the air inlet 10a. Fixing bars 3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intake unit 30, respectively.

고정바(3)는 공기유입구(10a) 상에서 케이스(1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The fixing bar 3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10 on the air inlet 10a.

흡기부(30)는 흡기작동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다.The intake unit 30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an intake operation.

흡기부(30)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공기유입구(10a)와 가열공간(10c)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The outdoor air sucked in by the intake unit 3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air inlet 10a and the heating space 10c and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outlet 10b.

이때, 외기는 가열공간(10c)에서 면상발열체(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됨으로, 실내의 온도를 높이고,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온기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n the heating space 10c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providing warmth to users located inside the room.

승강구동부(60)는 제1 벽부(4)에 수직 고정된다.The lifting drive unit 60 is vertically fixed to the first wall unit 4.

승강구동부(60)는 에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60 may be formed as an air cylinder.

케이스(10)의 후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구동부(6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브라켓(B)이 설치된다.At the rear of the case 10, a bracket B is installed, which has a roughly 'L'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piston of the lifting drive unit 60.

따라서, 승강구동부(60)는 브라켓(B)을 매개로 케이스(10)와 연결된다.Accordingly, the lifting mechanism 60 is connected to the case 10 via the bracket B.

승강구동부(60)는 약 5초 내지 20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케이스(10)를 벽체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킨다.The lifting unit 60 raises and lowers the case 10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l at preset time intervals of about 5 to 20 seconds.

이때, 승강구동부(60)는 케이스(10)를 상승시킨 시점으로부터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케이스(10)를 하강시키고, 케이스(10)를 하강시킨 시점으로부터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케이스(10)를 상승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fting unit 60 lowers the case 10 about 5 to 10 seconds after the case 10 is raised, and about 5 to 10 seconds after the case 10 is lowered. It can be programmed to raise case 10.

이러한, 승강구동부(60)를 통해 케이스(10)를 승강시킴에 따라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실내의 수직 방향을 따라 퍼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부위 전체에 온기를 고루게 공급할 수 있다.As the case 10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lifting mechanism 60, the air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can be sprea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om, thereby providing warmth to all parts of the user's body. can be supplied evenly.

살균부(40)는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설치되며, 흡기부(30)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한다.The sterilizing unit 40 is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and sterilizes the air sucked in by the intake unit 30.

따라서, 살균된 공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Therefore, the sterilized air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indoors and supplied to the user.

이러한 살균부(40)는 전달관(41)과, 케이싱(42)과, 역류방지막(43)과, 살균램프(44) 및 에어포일부(4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is sterilizing unit 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livery tube 41, a casing 42, a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43, a sterilizing lamp 44, and an airfoil unit 452.

전달관(41)은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된 공기를 면상발열체(20)로 전달시키는 구성이다.The transmission pipe 41 is configured to transmit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전달관(41)은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에 배치된다.The transmission pipe 41 is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전달관(41)은 공기유입구(10a)와 마주하는 일면 및 면상발열체(20)를 향하는 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다.The transmission pipe 41 has one side facing the air inlet 10a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open,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is formed inside.

전달관(41)의 타면 개방된 부분은 외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기능을 한다.The open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ssion pipe 41 functions as an outlet for discharging outside air.

전달관(41)의 일측에는 확장관(411)이 일체로 형성된다. 확장관(411)은 후술되는 케이싱(42)의 일단 내면에 고정된다.An expansion tube 411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tube 41. The expansion tube 411 is fix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확장관(411)은 전달관(4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확장관(411)은 전달관(41)과 연결되는 일측에서 공기유입구(10a)와 마주하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tube 411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transmission tube 41. At this time, the expansion pipe 411 may be formed in a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widens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ipe 41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air inlet 10a.

흡기부(30)의 작동에 의해 공기유입구(10a)로 유입된 외기는 확장관(411)과, 전달관(41)의 통로와, 정체부(45)를 순차적으로 거쳐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된다.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0a)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3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tube (411), the passage of the transmission tube (41), and the stagnation unit (45)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It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indoors.

이때, 전달관(41)은 통로를 통과하는 외기에 후술되는 살균램프(44)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livery pipe 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lamp 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ts o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케이싱(42)은 가열공간(10c)에 수용된다. 케이싱(42)은 그 외면이 케이스(10)의 내면인 천장면과, 바닥면 및 내부 양측벽에 접착제나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The casing 42 is accommodated in the heating space 10c.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42 may be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which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floor surface, and both internal walls using adhesive or bolts.

케이싱(42)은 일면과 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전달관(41)이 수용된다.The casing 42 may be made of a tubular structur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and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and the transmission pipe 41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이때, 확장관(411)은 끝부분이 케이싱(42)의 내면 끝부분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expansion tube 411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casing 42.

역류방지막(43)은 전달관(41)의 배출구(41a)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케이싱(42)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43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41a side of the delivery pipe 41, and its circumferential surface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42.

역류방지막(43)으로 인해 전달관(41)의 배출구(41a)를 통해 배출된 외기가 전달관(41)과 케이싱(42)의 사이 공간으로 역류하지 아니하고 면상발열체(2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e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43, the out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1a of the transmission pipe 41 can be moved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without flowing back into the space between the transmission pipe 41 and the casing 42. there is.

살균램프(44)는 케이싱(42)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전달관(41)과 마주한다.At least one sterilizing lamp 44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42 and faces the delivery pipe 41.

살균램프(44)는 공지의 UV램프로 형성되어, 전달관(41)의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살균램프(44)를 통해 사용자에게 살균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lamp 44 is formed of a known UV lamp and steriliz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delivery pipe 41. Sterilized warmth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terilizing lamp 44.

정체부(45)는 통과부(451) 및 에어포일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gnant part 45 may include a passing part 451 and an airfoil part 452.

통과부(45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451)는 케이싱(42)의 내부공간 중에서 배출구(41a) 측에 배치되어 면상발열체(20)와 마주한다.The passing portion 451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The passing portion 451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41a) sid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ing 42 and fac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통과부(451)는 둘레면이 케이싱(4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assing portion 451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42.

통과부(451)에는 전달관(41)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45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e passage portion 451,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451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passing the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transmission pipe 41.

에어포일부(452)는 통과홀(451a)에 각각 배치되어, 통과홀(451a)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The airfoil portions 452 are disposed in each passage hole 451a to increase the speed of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hole 451a.

에어포일부(452)가 없는 경우 통과부(451)로 인해 외기의 정체가 심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살균된 온기의 양이 적을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irfoil portion 452 is not present, the amount of sterilized warmth supplied to the user may be small due to severe stagnation of outside air due to the passage portion 451.

그러나, 외기가 통과홀(451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어포일을 타고 넘어가면서 가속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된 온기의 배출량이 불필요하게 적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통과부(451)를 통해 케이싱(42)의 내부 일정면적을 가려 외기의 흐름을 일정수준으로 정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살균램프(44)에 의한 외기의 살균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utside air can be accelerated while passing over the airfoil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assage hole 451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amount of sterilized warm air from being unnecessarily reduced, and through the passage portion 451 Since the flow of outside air can be stagnant at a certain level by covering a certain area inside the casing 42, the sterilization rate of outside air by the sterilization lamp 44 can also be improved.

한편, 보온영역 형성부(50)는 케이스(10)의 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다시 배출함으로써, 케이스(10)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A)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insulating area forming unit 50 collects the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b of the case 10, heats it, and discharges it again, thereby forming a insulating area A in the area between the case 10 and the case 10. It is a composition.

이를 위해, 보온영역 형성부(50)는 구획벽(51)과, 부가 케이스(52)와, 부가 면상발열체(57)와, 흡입배출부와, 개폐부(54)와 인체감지센서(55) 및 제어부(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warming area forming part 50 includes a partition wall 51, an additional case 52, an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 intake/discharge part, an opening/closing part 54,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s 56.

구획벽(51)은 케이스(1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partition wall 51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구획벽(51)은 실내의 대략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51 may be placed approximately in the central area of the room.

그리고, 구획벽(51)의 하측에는 바닥판(7)의 상면에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51a)가 형성된다.And, a flange 51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51 and is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또한, 구획벽(51)에는 부가 케이스(52)가 관통설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dditional case 52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51.

관통홀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구획벽(51)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5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이때, 관통홀은 케이스(10)와 각각 1:1 대향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s are installed to face the case 10 1:1.

부가 케이스(52)는 구획벽(51)의 관통홀에 각각 관통설치된다.The additional cases 52 are installed through each through hole of the partition wall 51.

부가 케이스(52)는 그 일측과 타측이 구획벽(51)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된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dditional case 52 protrud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51, respectively.

따라서, 부가 케이스(52)의 일측은 케이스(10)와 마주하고, 다른 제1 벽부(4)와 마주한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additional case 52 faces the case 10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first wall portion 4.

부가 케이스(52)의 일면과 타면에 제1 출입구(52a) 및 제2 출입구(52b)가 각각 형성되고, 제1 출입구(52a) 및 제2 출입구(52b)의 사이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52c)이 형성된다.A first entrance (52a) and a second entrance (52b)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dditional case 52, respectively,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entrance (52a) and the second entrance (52b) is used to heat air. An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is formed.

부가 면상발열체(57)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설치된다.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of the additional case (52).

부가 면상발열체(57)는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52c)의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전술한 면상발열체(20)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heats the air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through planar heating, and is the same as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described above, so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흡입배출부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설치된다.The suction/discharge un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of the additional case (52).

일 예로, 흡입배출부는 모터와 프로팰러를 포함하는 공지의 제1 팬(53a)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uction/dischar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known first fan (53a)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제1 팬(53a)의 모터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of the first fan 53a may be an AC motor or a DC motor whose motor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로팰러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기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된 공기나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를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흡입하게 된다.When the motor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clockwise)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0b) or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is sucked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후술되는 도어(541)가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한 상태에서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로팰러가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부가 가열공간(52c)에서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시킨다.When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the door 5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s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additional case 52, the propell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counterclockwise) and is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The air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is discharged back to the warming area (A).

이때, 제1 팬(53a)의 모터는 그 모터축이 약 5초 내지 20초 간격으로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of the first fan 53a may be programmed so that its motor shaft repeat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5 to 20 seconds.

이로 인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보온영역(A)의 공기 흡입하여 가열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air in the warming area (A) can be sucked in and heated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then discharged back to the warming area (A).

그리고, 후술되는 도어(541)가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도 1을 기준으로 제1 출입구(52a)를 통해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5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pens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additional case 52, the air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flows through the first entrance (52a) with reference to FIG. 1. It is discharged to the left area of the partition wall 51.

다른 일 예로, 흡입배출부는 모터와 프로팰러를 포함하는 제1 팬(53a) 및 제2 팬(53b)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ction/discharge unit may include a first fan (53a) and a second fan (53b)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이때, 제1 팬(53a)은 부가 케이스(5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팬(53b)은 부가 케이스(52)의 내부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n 53a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dditional case 52, and the second fan 53b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surface of the additional case 52.

제1 팬(53a)은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를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흡입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제2 팬(53b)은 부가 가열공간(52c)에 존재하는 공기를 보온영역(A)에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fan (53a) is used to suck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nd the second fan (53b) is used to suck the air existing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into the warming area. It can be used for discharge to (A).

제1 팬(53a)과 제2 팬(53b)의 모터는 약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다.The motors of the first fan 53a and the second fan 53b may be operated alternately at intervals of about 5 to 15 seconds.

개폐부(54)는 도어(541) 및 실린더(5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54 may include a door 541 and a cylinder 542.

도어(541)는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된다.The door 541 is arranged to open or close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additional case 52.

실린더(542)는 공기배출구(10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킨다.The cylinder 542 drives the air outlet 10b to open or close.

실린더(542)는 후술되는 인체감지센서(55) 및 제어부(56)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작동된다.The cylinder 542 is operated by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and the control unit 5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인체감지센서(55)는 구획벽(51)에 설치되며, 부가 케이스(52)의 제1 출입구(52a) 측 즉, 도 3을 기준으로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51 and detects a user located at the first entrance 52a of the additional case 52, that is, in the left area of the partition wall 51 with respect to FIG. 3. .

제어부(56)는 인체감지센서(55)의 감지여부에 따라 실린더(542) 및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542 and the suction/discharge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is detected.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보온영역 형성부(5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warming area form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먼저, 흡기부(30)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10)의 가열공간(10c)으로 유입된 외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후 보온영역(A)으로 배출되어 실내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First,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0c) of the case (10)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30) is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and then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A), rais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room. It will be done.

그리고, 흡입배출부의 작동에 의해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는 부가 케이스(52)의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된 후,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다.Then,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discharge unit flows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of the additional case (52), is then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returns to the warming area (A). It is discharged as (A).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 공기 및 보온영역(A)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는 제1 팬(53a)을 구성하는 프로팰러의 정방향 회전 작동에 의해 부가 가열공간(52c)으로 유입된 다음,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된 후, 프로팰러의 역방향 회전 작동에 의해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되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A) and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are introduced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by the forward rotation operation of the propeller constituting the first fan (53a), and then added 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fter being quickly he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57, it is discharged back to the warming area (A)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이때, 가열공간(10c)에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 공기는 면상발열체(20)에 의해 가열된 된 상태이므로,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된 공기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10c) to the warming area (A) is in a heated state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 the air flowing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is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Can be heated quickly.

따라서, 부가 면상발열체(57)의 발열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전력 사용양을 절감할 수 있고, 보온영역(A)에서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can be lowered, the amount of power used can be reduced, and the time for heating the air taken in from the warming area (A) can be shortened.

한편, 실내에 추가로 다른 사용자가 들어와서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자리할 경우, 인체감지센서(55)가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Meanwhile, when another user enters the room and sits on the left side of the partition wall 51,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detects the other user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rtition wall 51.

인체감지센서(55)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6)에 전송한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6.

그리고,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으로만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제1 팬(53a)을 구성하는 모터의 모터축이 정방향 즉, 프로팰러가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면서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unit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fan 53a, the control unit 56 rotates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first fan 53a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peller intakes air. The cylinder 542 is controlled so that the door 541 opens the first entrance 52a.

따라서, 제1 팬(53a)의 작동으로 인해 가열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배출된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fan (53a) is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discharged to other users located in the left area of the partition wall (51).

이로 인해,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다.Because of this, user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rtition wall 51 can also be warmed.

이때,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 및 제2 팬(53b)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제2 팬(53b)의 작동은 정지시키면서 제1 팬(53a)만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개방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to the first fan (53a) and the second fan (53b), the control unit 56 operates only the first fan (53a) whil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an (53b),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541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cylinder 542 to open the first entrance 52a.

한편, 구획벽(51)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실외로 나가게 되어 인체감지센서(55)가 인체를 감지하지 아니할 경우, 제어부(56)에는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아니한다.Meanwhile, when a user located in the left area of the partition wall 51 goes outdoors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5 does not detect the human body, a detec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6.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으로만 적용되는 경우, 제1 제어부(56)는 다시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면서 제1 팬(53a)을 구성하는 모터의 모터축이 다시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fan (53a), the first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cylinder (542) to allow the door (541) to close the first entrance (52a) while controlling the first fan (53a).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that constitutes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again at intervals of 5 to 15 seconds.

이로 인해, 보온영역(A)에 존재하는 공기 및 가열공간(10c)에서 배출된 공기는 부가 가열공간(52c)에 유입되어, 부가 면상발열체(57)에 의해 가열된 다음, 다시 보온영역(A)으로 배출된다.As a result, the air existing in the warming area (A)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10c) flow into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52c), are heated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57), and then return to the warming area (A). ) is discharged.

그리고, 흡입배출부가 제1 팬(53a) 및 제2 팬(53b)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56)는 도어(541)가 제1 출입구(52a)를 폐쇄하도록 실린더(542)를 제어하면서 제1 팬(53a)과 제2 팬(53b)의 모터를 약 5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서로 교번되게 작동시키게 된다.And, when the suction/discharge unit is applied as the first fan 53a and the second fan 53b, the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cylinder 542 so that the door 541 closes the first entrance 52a. The motors of the first fan (53a) and the second fan (53b) are operated alternately at intervals of about 5 to 15 second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안내간판 2 : 지주부
2a : 고정홈 2b : 지지편
3 : 안내판 4 : 제1 벽부
5 : 제2 벽부 5a : 출입구
5b : 도어 51b : 손잡이
10 : 케이스 10a : 공기유입구
10b : 공기배출구 10c : 가열공간
20 : 면상발열체 21 : 강화유리판
22 : 도전발열막 30 : 흡기부
40 : 살균부 41 : 전달관
41a : 배출구 411 : 확장관
42 : 케이싱 43 : 역류방지막
44 : 살균램프 45 : 정체부
451 : 통과부 451a : 통과홀
452 : 에어포일부 50 : 보온영역 형성부
51 : 구획벽 4a, 5c, 51a : 플랜지
52 : 부가 케이스 52a : 제1 출입구
52b : 제2 출입구 52c : 부가 가열공간
53a : 제1 팬 53b : 제2 팬
54 : 개폐부 541 : 도어
542 : 실린더 55 : 인체감지센서
56 : 제어부 60 : 승강구동부
1: Information sign 2: Support part
2a: Fixing groove 2b: Support piece
3: Information board 4: First wall part
5: second wall 5a: entrance
5b: Door 51b: Handle
10: Case 10a: Air inlet
10b: air outlet 10c: heating space
20: planar heating element 21: tempered glass plate
22: conductive heating film 30: intake unit
40: Sterilization unit 41: Delivery pipe
41a: outlet 411: expansion pipe
42: Casing 43: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44: Sterilization lamp 45: Stagnation part
451: Passing portion 451a: Passing hole
452: Airfoil part 50: Insulating area forming part
51: partition wall 4a, 5c, 51a: flange
52: Additional case 52a: First entrance
52b: second entrance 52c: additional heating space
53a: first fan 53b: second fan
54: opening/closing part 541: door
542: Cylinder 55: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Control unit 60: Elevating port eastern part

Claims (3)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고정되며 안내 또는 홍보를 위한 내용이 인쇄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안내판;
상기 지주부의 전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갖는 제2 벽부;,
상기 지주부와,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상면에 공동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천장부;
어느 하나의 제1 벽부에 고정되고, 일면과 타면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는 면상발열체;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 흡기작동을 통해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구와 가열공간 및 공기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흡기부;
상기 케이스를 벽체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와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기를 수집한 후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 영역에 보온영역을 형성시키는 보온영역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열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면상발열체로 전달시키고,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전달관;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고, 외주연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며, 내부공간에 상기 전달관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전달관의 배출구 측 외주연에 장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역류방지막;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외기를 살균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 측에 수용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와 마주하고, 상기 전달관에서 배출된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통과부 및 상기 통과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에어포일부를 포함하는 정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온영역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에 관통설치되고, 일면 및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타면에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의 사이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부가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부가 케이스;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면상발열을 통해 부가 가열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부가 면상발열체;
상기 부가 케이스의 부가 가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보온영역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를 통해 가열되도록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 케이스의 가열공간에서 상기 부가 면상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보온영역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배출부;
상기 부가케이스의 제1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며, 상기 부가 케이스의 제1 출입구 측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흡입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흡입작동만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가 제1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미 감지시 상기 흡입배출부가 다시 흡입 및 배출작동을 하도록 제어하면 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안내간판.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arrang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 sign is fixed between the holding parts and prints or displays information for guidance or promotion;
a pair of first wall portions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irst wall portions and having an entrance and exit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 ceiling portion joint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A case fixed to one of the first walls,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heating air through planar heating;
an intake unit installed at the air inlet and allowing outdoor ai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air inlet, the heating space, and the air outlet through an intake operation;
a lifting unit that lifts the cas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l;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and sterilizing the air taken in by the intake unit;
A warming area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perates alternately with the intake unit, collects warmt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case, heats it, and discharges it, thereby forming a warming area in the area between the case and the case. Contains a forming part,
The sterilizing unit transmits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case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ncludes a transmission pip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asing disposed in the heating space, the outer periphery of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transmission pip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side of the delivery pip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t least one sterilizing lamp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sterilizes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transmission pipe; and
It is accommoda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asing and fac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for passing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transmission pipe are disposed in the passage portion and the passage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passage hole is It includes a stagnation portion including an airfoil portion that increases the speed of passing external air,
The warming area forming portion includes a partition wall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s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ase, respectively, and an additional heating space for heating ai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trance and the second entrance. Additional cases that become;
An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heating the air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through planar heating;
It is installed in the additional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warming area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case is sucked in to be heated through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or by the additional planar heating element in the heating space of the additional case. a suction/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heated air into the warming area;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ing a door disposed to open or close a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and a cylinder that drives the door to open or close the air outle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and capable of detecting a human body approaching the first entrance of the additional case;
The cylinder depending on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or not;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ylinder so that the door opens the first entrance while controlling the suction/discharge unit to only perform a suction operati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human body, and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oes not detect a human body, the suction A guide sign that controls the cylinder so that the door closes the first entrance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unit to resum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63649A 2023-05-17 2023-05-17 Sign board KR102577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649A KR102577413B1 (en) 2023-05-17 2023-05-17 Sign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649A KR102577413B1 (en) 2023-05-17 2023-05-17 Sign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413B1 true KR102577413B1 (en) 2023-09-13

Family

ID=8802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649A KR102577413B1 (en) 2023-05-17 2023-05-17 Sign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41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701A (en) * 2008-04-16 2009-10-21 주식회사 엠쏘 Billboard that hav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00077606A (en) * 2008-12-29 2010-07-08 양창열 Picture frame which includes plane heater
KR101035282B1 (en) * 2008-12-15 2011-05-18 지엘시스텍주식회사 Standing signboard for flat display
KR20160137831A (en) * 2015-05-22 2016-12-01 김인태 Signboard and Ceiling panel assembling structure
KR101934232B1 (en) 2018-04-20 2019-04-05 안의선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701A (en) * 2008-04-16 2009-10-21 주식회사 엠쏘 Billboard that hav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035282B1 (en) * 2008-12-15 2011-05-18 지엘시스텍주식회사 Standing signboard for flat display
KR20100077606A (en) * 2008-12-29 2010-07-08 양창열 Picture frame which includes plane heater
KR20160137831A (en) * 2015-05-22 2016-12-01 김인태 Signboard and Ceiling panel assembling structure
KR101934232B1 (en) 2018-04-20 2019-04-05 안의선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010B2 (en) Emergency lighting
ES2679285T3 (en) Light glazing
KR101650718B1 (en) Lighting arrangement comprising a carpet with back lighting for providing dynamic light effects with the carpet
KR100782417B1 (en) A guiding lamp using led
US20180074251A1 (en) Luminous glazing unit for architectural use or use in furnishings or a means of public transport
CN103209619A (en) Illuminating mirror panel comprising light emitting diodes
ES2623886T3 (en) Laminated glazing comprising luminophores
KR101706504B1 (en) Tunnel type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JP2005534612A (en) Laminated and structural glass with integrated lighting, sensors, and electronics
KR101992578B1 (en) Bus stop
KR102577413B1 (en) Sign board
CN102667553A (en) Transparent emissive window element
US6176027B1 (en) Water display device
JP2002510002A (en) Solar energy utilization / interrupted bus / shelter
JP6117535B2 (en) Sliding door type door pocket structure with air circulation function
JP2004527676A (en) Public buildings with illuminated glass plates
KR102626539B1 (en) Shelter
KR100991536B1 (en) Sola hybrid windows
JP4809124B2 (en) Lighting fixtures and building components
CN207228683U (en) Tollbooth
KR102577411B1 (en) Device for wall mounted heating using carbon nanomaterials
US11318220B1 (en) Sanitizing light fixture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213480188U (en) Intelligence thing networking lamp house
JP2016132553A (en) Advertisement managing system for elevator
CN212135828U (en) Intelligent floor index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