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487B1 -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 Google Patents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487B1
KR102626487B1 KR1020160073719A KR20160073719A KR102626487B1 KR 102626487 B1 KR102626487 B1 KR 102626487B1 KR 1020160073719 A KR1020160073719 A KR 1020160073719A KR 20160073719 A KR20160073719 A KR 20160073719A KR 102626487 B1 KR102626487 B1 KR 10262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wood pulp
glass
group
t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940A (ko
Inventor
야스히코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073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4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9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청정도 및 흠집 품위가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기판 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에 적합하며, 당해 유리의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합지 및 당해 합지용 목재 펄프를 제공한다.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0개/100㎡ 이하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유리판용 합지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3개/100㎡ 이하인 유리판용 합지.

Description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WOOD PULP FOR GLASS PLATE-INTERLEAVING PAPER AND GLASS PLATE-INTERLEAVING PAPER}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을 복수장 적층하여 보관, 운반하는 과정에 있어서, 유리판을 포장하는 종이 및 유리판 사이에 끼워 넣는 종이 및 이들 종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을 복수장 적층하여 보관하는 과정, 트럭 등으로 운반하는 유통 과정 등에 있어서, 유리판끼리 충격을 받아 접촉하여 마찰 흠집이 발생하고, 또한, 유리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유리판 사이에 합지로 칭해지는 종이를 끼워 넣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은 일반 건축용 창유리판, 차량용 창유리판 등에 비해, 고정밀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유리 표면은 종이 표면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거의 없는 깨끗한 표면을 유지하고 있는 것, 또한, 고속 응답성이나 시야각 확대를 위해 평탄도가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합지로는 유리판의 균열이나 표면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합지, 또한, 유리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는 합지로서 이미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합지의 표면에 불소 코팅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제 발포 시트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제 필름이 첩합된 합지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3에는 표백 케미컬 펄프 50질량% 이상을 함유하는 펄프로 이루어지는 종이로서, 특정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나 수가용성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유리용 합지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특허문헌 4에는 종이 중의 수지 성분의 양을 규정하고, 유리 표면의 오염을 고려한 원료를 사용한 유리판 합지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유리 합지의 원료로서 특정의 물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합지에 의해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원인에 의한 유리판 표면의 오염 때문에, 유리판의 결함률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실상이다.
특히 최근에는 채산성의 관점에서, 플랫 패널·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높은 수율이 요구되고,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얼마나 방지하는지가 중요하다.
이에, 특허문헌 6에는 유리판용 합지 중에 포함되는 실리콘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887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20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4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446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1965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4/104187호
그러나, 유리판용 합지 중에 포함되는 실리콘의 전체량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실리콘에서 유래하는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청정도 및 흠집 품위가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기판 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에 적합하며, 당해 유리의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합지 및 당해 합지용 목재 펄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예를 들면, TFT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인 어레이 공정의 컬러 필터 기판 제작시에 유리판 표면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 단선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컬러 필터 기판은 유리판에 반도체막, ITO막(투명 도전막), 절연막, 알루미늄 금속막 등의 박막을 스퍼터링이나 진공 증착법 등으로 형성하여 제작되지만, 유리판 표면에 오염 물질이 존재하면 박막으로 형성된 회로 패턴에 단선이 생기거나 절연막의 결함에 의한 단락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컬러 필터 기판의 제작에 있어서, 유리판에 포토 리소그래피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지만, 이 공정에서 레지스트 도포시의 유리판면에 오염 물질이 존재하면, 노광이나 현상 후의 레지스트막에 핀홀이 생기고, 그 결과 단선이나 단락이 생긴다. 동일한 문제가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유리 기판에 ITO 양극, 유기 발광층, 음극 등의 박막이 스퍼터링이나 증착이나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 표면에 박막을 저해하는 이물질이 존재하면 비발광이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유리판의 오염 원인은 특정이 곤란했지만, 그 원인이 유리판용 합지에 포함되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인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증에 의해 판명되었다.
따라서, 유리판용 합지(이하, 「유리판 합지」라고도 한다)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 중의 소수성 물질의 전체량을 일정 이하로 하는 것, 그리고, 유리판용 합지 중의 소수성 물질의 전체량을 일정 이하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소수성 물질의 전체량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소수성 물질에서 유래하는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에, 추가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나타나거나, 또는 유리판용 합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에 포함되는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수성 물질이 탤크와 복합화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알아내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나타나거나, 또는 유리판용 합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에 포함되는 탤크의 양을 저감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나타나는,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수성 물질을 저감시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원래, 탤크는 목재 펄프의 제조시에 목재 중에 포함되는 피치 등의 점착성 물질을 비점착화하여 제지 공정에 있어서의 당해 점착성 물질 유래의 트러블을 억제하기 위해 범용되고 있다. 또한, 종이의 원료로서 파지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도 당해 파지 중의 수지 등의 점착성 물질을 비점착화하기 위해 범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높은 청정도 및 흠집 품위가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기판 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에 적합한 합지에는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착성 물질의 비점착화를 위해, 탤크를 적극적으로 배합해야 한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5(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1965호)([0009],[0017],[0032]등 참조)에는 유리판용 합지에 포함되는 점착성 물질을 탤크에 의해 비점착화해야 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오히려 탤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높은 청정도 및 흠집 품위가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기판 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용에 적합하며, 당해 유리의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놀랄 만한 지견으로서, 당해 지견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 현저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탤크의 존재 비율을 제한함으로써,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수성 물질의 존재 비율을 저감시켜, 당해 소수성 물질에서 유래하는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로서, 당해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0개/100㎡ 이하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탤크의 평균 입자 직경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탤크는 소수성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탤크와 소수성 물질이 복합화된 형태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실리콘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스플레이가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유리판용 합지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3개/100㎡ 이하인 유리판용 합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탤크의 평균 입자 직경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탤크는 소수성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탤크와 소수성 물질이 복합화된 형태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실리콘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스플레이가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상기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및/또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상기 유리판용 합지 및 유리판과의 적층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유리판 합지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상기 목재 펄프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이 복합화할 수 있는 탤크의 존재량을 저감시킴으로써, 당해 소수성 물질이 탤크와 복합화되어, 문제가 될 수 있는 정도까지 성장하여, 높은 청정도 및 흠집 품위가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기판 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회피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및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유리판에 대한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전사를 억제 내지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판에 대한 소수성 물질의 전사를 억제 내지 회피함으로써, TFT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컬러 필름 등의 회로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용 합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 중의 소수성 물질의 전체량, 또는 유리판용 합지 중의 소수성 물질의 전체량을 일정 이하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목재 펄프 중 또는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국소적으로 존재하는,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수성 물질을 구성할 수 있는 탤크의 수를 일정 이하로 하므로, 유리판에 전사될 가능성이 있는 소수성 물질의 얼룩을 개개의 레벨로 제어할 수 있어, 소수성 물질에서 유래하는 유리판 표면의 오염을 실제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까지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판에 합지가 사용될 때, 합지 중의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이 유리판에 전사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수가 10개/100㎡를 초과하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는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합지, 혹은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수가 3개/100㎡를 초과하는 합지를 유리판에 사용하면, 유리판에 전사되는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수성 물질이 증가하여, 그 결과, 패널 형성시의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는 당해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존재 비율이 10개/10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용 합지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존재 비율이 3개/100㎡ 이하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또는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실질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영역의 수를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초지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탤크의 개수는 8개/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개/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5개/1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탤크의 개수는 2개/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개/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6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0.4개/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2개/1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런데, 펄프로부터 유기 용제로 추출할 수 있는 유기물을 「피치」라고 칭한다. 피치는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및 아비에트산, 피마르산 등의 수지산이 주체가 되고 있고, 그 밖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도 포함된다. 또한, 파지 펄프의 경우는 사이즈제, 핫멜트 수지, 잉크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도 있다. 이들 피치가 종이에 포함되면, 단지 등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피치 컨트롤제는 피치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고, 예를 들면, 피치의 점착성을 감소시켜, 그 응집이나 성장을 막아, 무해한 형태로 피치를 종이 중에 보류하도록 한다.
즉, 피치 컨트롤제란, 제지 공정에 있어서, 피치 등의 점착성 물질을 비점착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피치 컨트롤제는 예를 들면, 종이의 원료인 목재 또는 파지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피치)에 의해 생기는 제지 공정 중의 피치 부착 트러블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펄프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피치 컨트롤제는 미표백 세정 공정, 표백 공정, 정선 공정, 탈묵 공정 등에서 사용된다.
탤크는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피치 컨트롤제로서 범용되고 있다. 또한, 탤크는 피치 컨트롤제로서만이 아니라, 충전료, 종이 도공용 안료로서도 사용되고 있어, 종이의 백색도 향상, 인쇄 특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탤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탤크는 「함수 규산마그네슘」이라고 불리고, 화학식은 4SiO2·3MgO·H2O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 조성은 산지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이론값은 SiO2 64.4%, MgO 31.8%, 강열 감량(수분) 4.7%의 중량비로 되어 있다. 탤크는 활석이라고도 칭해진다.
탤크는 표면이 비교적 친유성으로서, 예를 들면, 펄프 슬러리 중의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소수성 물질과 복합화 가능하다. 따라서, 탤크는 수중이어도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을 흡착하여 그 점착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탤크와 소수성 물질, 특히 실리콘과의 복합화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탤크의 적어도 일부가 소수성 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탤크의 적어도 일부에 소수성 물질이 침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탤크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가 바람직하고, 1∼8㎛가 보다 바람직하고, 1∼6㎛가 더욱 바람직하며, 1∼4㎛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탤크의 표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1㎡/g 이상이 바람직하고, 10㎡/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탤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5101에 기초하는 겉보기 밀도는 1g/㎖ 이하가 바람직하고, 0.8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6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4g/㎖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2g/㎖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존재 비율을 10개/100㎡ 이하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존재 비율을 3개/100㎡ 이하로 하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지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피치 컨트롤제로서 탤크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탤크계의 피치 컨트롤제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황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및 비이온성의 각종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디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1):
로 나타내는 단위를 포함하는 디알릴 제4급 암모늄 폴리머, 하기 화학식(2):
로 나타내는 단위를 포함하는 키토산, 하기 화학식(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4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는 단위 또는 그 제4급염(염산염, 황산염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디알킬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하기 화학식(4):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4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단위를 포함하는 에피클로르히드린알킬아민 부가형 폴리머, 하기 화학식(5):
로 나타내는 단위를 포함하는 비닐이미다졸린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영역의 형태는 임의로서,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각형 등의 여러 형상일 수 있지만,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는 당해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최소 직경 30㎛ 이상의 소수성 물질 영역이 50개/1000㎡ 이하가 되는 품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용 합지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최소 직경 30㎛ 이상의 소수성 물질 영역이 15개/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초지의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개수는 30개/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개/1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1개/1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개수는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의 중량당으로는 10개/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개/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2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1개/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중량이란, 풍건 펄프의 중량을 가리킨다.
상기 유리판용 합지의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개수는 12개/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개/1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개/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1개/1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개수는 유리판용 합지의 중량당으로는 4개/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0.5개/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1개/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량이란, 수분을 10중량% 포함한 상태의 합지의 중량을 가리킨다.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최소 직경은 2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이 타원형인 경우는 장경이 2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이 비원형 또는 비타원인 경우는 면적원 상당 직경이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55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의 최대 직경은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이 타원형인 경우는 장경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 영역이 비원형 또는 비타원인 경우는 면적원상당 직경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는 최대 직경이 10㎜를 초과하는 소수성 물질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소수성 물질은 불휘발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족 탄화수소, 식물유, 동물유, 합성 글리세리드,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지방족 알코올 및/또는 지방산에스테르, 수지(실리콘을 제외한다)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실리콘을 포함하는 또는 실리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또는 분기상 탄화수소, 특히, 광유(유동 파라핀 등), 파라핀, 바셀린, 즉 페트롤라텀, 나프탈렌 등; 수첨 폴리이소부텐, 이소에이코산, 폴리데센, 팔레암 등의 수첨 폴리이소부텐 및 데센/부텐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다른 지방족 탄화수소의 예로서 직쇄상 혹은 분기상, 또는 경우에 따라 고리형의 C6∼C16 저급 알칸을 들 수도 있다. 들 수 있는 예로는 헥산,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및 이소파라핀, 예를 들면, 이소헥사데칸 및 이소데칸이 포함된다.
식물유의 예로서 예를 들면, 아마씨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해바라기씨유, 살구씨유, 대두유, 아라라(arara)유, 헤이즐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홍화씨유, 호호바유, 해바라기씨유, 아몬드유, 포도 종자유, 참기름, 대두유, 땅콩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동물유의 예로서 예를 들면, 스쿠알렌, 퍼히드로스쿠알렌 및 스쿠알렌을 들 수 있다.
합성 글리세리드의 예로서 예를 들면, 카프르산/카프르산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지방산은 산성 형태(즉, 비누가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염의 형태가 아니다)로 해야 하는 것으로, 포화여도 되고 불포화여도 되며, 6∼30개의 탄소 원자, 특히 9∼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임의 선택으로, 특히 1개 또는 복수개의 히드록실기(특히 1∼4개)로 치환되어 있다. 지방산이 불포화인 경우, 이 화합물은 1∼3개의 공액 또는 비공액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산은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 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에서 선택된다.
「지방족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포화로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C8∼C30 알코올을 의미하고, 임의 선택으로, 특히 1개 또는 복수개의 히드록실기(특히 1∼4개)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다.
지방족 알코올 중, C12∼C22 지방족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C16∼C18 포화 지방족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운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지방산 및/또는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예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로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C1∼C26 지방족의 일산 또는 다산의 에스테르 및 포화 또는 불포화로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C1∼C26 지방족의 1가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특별히 들 수 있고, 에스테르의 총 탄소수는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수지(실리콘을 제외한다)는 소수성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우레탄,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으로는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소수성이고, 그 분자 구조는 고리형, 직쇄상, 분기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실리콘 오일의 25℃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통상, 0.65∼100,000㎟/s의 범위이지만, 0.65∼10,000㎟/s의 범위여도 된다.
실리콘 오일로는 예를 들면, 직쇄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분기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직쇄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분기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식(1), (2) 및 (3):
Figure 112016056919427-pat00006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혹은 치환 혹은 비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 알콕시기로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a는 0∼1000의 정수이고,
b는 3∼100의 정수이며,
c는 1∼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이다)
으로 나타내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치환 혹은 비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는 전형적으로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1∼3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2∼3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6의 1가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수 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6∼12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탄소 원자수 1∼3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및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 2∼30의 1가의 불포화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면, 비닐기, 1-프로페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상의 알케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시클로펜테닐에틸기, 시클로헥세닐에틸기, 시클로헥세닐프로필기 등의 시클로알케닐알킬기; 및 에티닐기, 프로파르길기 등의 알키닐기를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 6∼3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메시틸기 등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족 탄화수소기란, 방향족 탄화수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기 이외에, 방향족 탄화수소와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가 복합된 기도 포함한다. 방향족 탄화수소와 포화 탄화수소가 복합된 기의 예로는 예를 들면,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르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1가 탄화수소기상의 수소 원자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치환기는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 수산기, 카르비놀기,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아실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메르캅토기, 아미드기, 옥시알킬렌기 등을 포함하는 유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3,3,3-트리클로로프로필기, 3―클로로프로필기, 3-히드록시프로필기, 3-(2-히드록시에톡시)프로필기, 3-카르복시프로필기, 10-카르복시데실기,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바람직하고, 메톡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쇄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폴리실록산(2mPa·s나 6mPa·s 등의 저점도∼100만mPa·s 등 고점도의 디메틸실리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페닐 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페닐(트리메틸실록시)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알킬폴리실록산,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폴리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 α,ω-디에톡시폴리디메틸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옥틸트리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도데실트리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헥사데실트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알킬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테트라메틸-1,3-디히드록시디실록산, 옥타메틸-1,7-디히드록시테트라실록산, 헥사메틸-1,5-디에톡시트리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디메치콘올 등이 예시된다.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D3),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D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5),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D6), 1,1-디에틸헥사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페닐헵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1-디페닐헥사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시클로헥실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3-메타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아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카르복시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비닐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p-비닐페닐)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3-(p-비닐페닐)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N-아크릴로일-N-메틸-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테트라(N,N-비스(라우로일)-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이 예시된다.
분기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메틸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에틸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프로필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페닐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리콘 오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메틸페닐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폴리디페닐실록산 코폴리머, 폴리메틸-3,3,3-트리 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리콘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전형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리콘 오일은 변성 실리콘 오일이어도 된다. 변성 실리콘 오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은 분자 중에 규소-탄소 결합을 개재하여 폴리옥시알킬렌기가 결합하고 있는 실리콘 오일이고, 바람직하게는 상온, 구체적으로는 25℃에 있어서 수용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계의 것이다.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오일과 폴리옥시알킬렌과의 공중합체이고,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특히 하기 식(4)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하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R1 또는 A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R3G로 나타내는 기이며, R3은 치환 혹은 비치환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G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탄소수 2∼5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적어도 1종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d는 1∼500의 정수를 나타내며,
e는 1∼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치환 혹은 비치환의 2가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30의 직쇄상 혹은 분기상의 2가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디메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1∼30의 직쇄상 혹은 분기쇄상의 알킬렌기; 비닐렌기, 알릴렌기, 부테닐렌기, 헥세닐렌기, 옥테닐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2∼30의 알케닐렌기; 페닐렌기, 디페닐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렌기; 디메틸렌페닐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7∼30의 알킬렌아릴렌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소 등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카르비놀기,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아실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메르캅토기, 아미드기, 옥시알킬렌기 등을 포함하는 유기기로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2가 탄화수소기는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의 구체예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식 중,
x는 20∼160, y는 1∼25이고, x/y의 값은 50∼2이고,
A는 예를 들면, -(CH2)3O-(CH2CH2O)m-(CH2CH2CH2O)n-R4이고, m은 7∼40, n은 0∼40, m+n의 값은 적어도 1이고, 그래프트 중합된 것이어도 되고, 랜덤 중합된 것 이어도 되며, R4는 수소 원자 또는 상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m은 7∼30, n은 0∼30이다)
또한, 변성 실리콘 오일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아미노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은 분자 중에 규소-탄소 결합을 개재하여 아미노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실리콘 오일이며, 바람직하게는 상온, 구체적으로는 25℃에 있어서 10∼100000cs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아미노알킬실리콘 오일로는 상기 식(4)에 있어서, G를 식: -(NR4CH2CH2)zNR4 2(식 중,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고, z는 0≤z≤4의 수이다)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목재 펄프, 나아가서는 당해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에 포함되는 실리콘의 양이 목재 펄프 또는 합지의 절건 질량에 대해 0.5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ppm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며, 0.1pp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5ppm를 초과하는 양의 실리콘이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 등 상당히 고정밀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장면에 있어서, 유리에 전이된 미량의 실리콘이 요인으로 발생하는 컬러 필름의 단선 지점의 색채가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눈에 띄어, 품질 불량으로 판단될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절건」이란, 건조에 의해 피건조 대상물 중에 수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고, 예를 들면, 「절건」상태의 물체의 실온(25℃)에서의 1시간당 중량 변화는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펄프 중에는 실리콘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목재 펄프의 제조 과정, 특히 세정 공정에 있어서 거품의 발생에 의한 세정 능력의 저하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소포제로서 실리콘계 소포제가 다용되기 때문이고, 이 실리콘계 소포제 유래의 실리콘이 펄프에 잔존한다. 실리콘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및 소수성 실리카의 혼합물에 변성 실리콘,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최소 직경 30㎛ 이상의 소수성 물질 영역을 15개/100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특히 합지의 원료가 되는 목재 펄프가 실리콘을 많이 포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합지의 원료가 되는 목재 펄프 중의 실리콘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목재 펄프 제조시에 사용하는 소포제로서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실리콘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광물유계 소포제, 고급 알코올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지방산에스테르계 소포제, 아미드계 소포제, 아민계 소포제, 인산에스테르계 소포제, 금속 비누계 소포제, 술폰산에스테르계 소포제, 폴리에테르계 소포제 및 식물유계 소포제를 들 수 있다.
광물유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유 등의 광물유, 광물 왁스 등을 포함한다.
고급 알코올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옥틸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등을 포함한다.
지방산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팔미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한다.
지방산에스테르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이소아밀, 글리세린모노리시놀리에이트, 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톨트리올리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아미드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폴리아민 등을 포함한다.
아민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디알릴아민 등을 포함한다.
인산에스테르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인산트리부틸, 옥틸인산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금속 비누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올레산칼륨 등을 포함한다.
술폰산에스테르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라우릴술폰산나트륨, 도데실술폰산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류; 디에틸렌글리콜헵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2-에틸헥실에테르, 탄소 원자수 8 이상의 고급 알코올이나 탄소수 12∼14의 2급 알코올에 대한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류;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2,5-디메틸-3-헥신-2,5-디올, 3-메틸-1-부틴-3-올 등의 아세틸렌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시킨 아세틸렌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올레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라우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르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류; 폴리옥시알킬렌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식물유계 소포제는 예를 들면, 대두유, 옥수수유, 야자유, 아마씨유, 유채씨유, 면실유, 참기름,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를 포함한다.
또한, 비실리콘계 소포제는 소수성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실리카로는 친수성 실리카의 실라놀기를 메틸기 등의 알킬기로 치환함으로써 소수화 처리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실리콘계 소포제는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실리콘계 소포제는 에멀션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는 당해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0개/100㎡ 이하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이다. 이로써,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최소 직경 30㎛ 이상의 영역수를, 예를 들면, 15개/100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목재 펄프는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술파이트 펄프(NBSP), 활엽수 표백 술파이트 펄프(LBSP), 서모메커니컬 펄프(TMP) 등의 목재 펄프를 단독 혹은 혼합한 것이다. 이 목재 펄프를 주체로 하여, 필요에 따라 이것에 마, 대나무, 짚, 케나프, 닥나무, 삼지닥 나무나 목면 등의 비목재 펄프, 양이온화 펄프, 마셀화 펄프 등의 변성 펄프, 레이온, 비닐론,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나 화학 섬유, 또는 마이크로피브릴화 펄프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병용할 수 있다. 단, 펄프 중에 수지 성분이 많이 포함되면, 당해 수지 성분이 유리판 표면을 더럽히는 등의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수지 성분이 적은 화학 펄프, 예를 들면,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쇄목 펄프와 같은 고수율 펄프는 수지 성분이 많이 포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합성 섬유나 화학 섬유를 혼합시키면 삭도성이 향상되어, 합지를 평판으로 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지만, 폐기물 처리의 면에 있어서 리사이클성이 나빠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목재 펄프를 주체로 한 제지용 섬유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접착제, 방미제, 각종 제지용 충전료, 습윤지력 증강제, 건조 지력 증강제, 사이즈제, 착색제, 정착제, 수율 향상제, 슬라임 컨트롤제 등을 첨가하고, 이어서 공지·기존의 장망 초지기, 원망 초지기, 단망 초지기, 장망과 원망의 콤비네이션 초지기 등으로 초조(抄造)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약품 첨가시에는 벌레나 먼지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재 펄프를 제조할 때, 목재 펄프의 고해(叩解)를 진행시키면 지층간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해를 진행시킴으로써 목재 펄프 중의 미세 섬유가 증가되면, 합지로서 사용 중에 종이 분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고해도를 진행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고해도는 300∼650mlc.s.f.이다.
상기 수초지의 두께는 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초지의 평량은 20∼80g/㎡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6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유리판 합지의 초조의 도중 및/또는 제조 후에 캘린더 처리, 슈퍼 캘린더 처리, 소프트 닙 캘린더 처리, 엠보스 등의 가공을 행해도 된다. 가공 처리에 의해, 표면성이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합지의 두께는 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의 평량은 20∼80g/㎡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6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3개/100㎡ 이하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는 그 표면에 존재하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최소 직경 30㎛ 이상의 영역수를 예를 들면, 15개/100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부터 얻어진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는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판 합지는 복수의 유리판 사이에, 전형적으로는 1장씩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적층체가 되어, 당해 적층체가 보관, 운반의 대상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를 사용하여 유리판 단독 또는 상기 적층체를 포장해도 된다.
유리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특히 TFT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등의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의 표면에는 미세한 전극, 격벽 등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판에 대한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전사가 억제 내지 회피되므로, 유리판의 표면에 미세한 전극, 격벽 등이 형성되어도 실리콘에 의한 문제를 억제 내지 회피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결함을 억제 내지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의 사이즈 및 중량은 증대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는 이러한 대형 내지 대중량의 유리판의 표면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는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의 점재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대중량의 유리판에 의해 가압되어도 실리콘 등의 소수성 물질이 유리판에 전사되는 것이 억제 내지 회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특히 본 발명의 유리판 합지는 표면의 청정성이 특히 요구되는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판에 대한 전사 시험 방법(수송 테스트)]
알루미늄제로 75도의 각도가 형성된 L자 가대 위의 유리 재치면에 발포 우레탄을 깔고, 유리판을 수직 방향으로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과, 재치면의 후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등받이면을 향해, 사이즈 680㎜×880mm×0.7㎜의 유리판 120장과, 각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 합지를 삽입하여, 등받이면에 평행이 되도록 기대어 세워 놓고, 가대에 고정된 띠형상의 벨트를 후단부로부터 등받이면에 사방에 걸쳐서 걸어 유리판을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세트된 가대는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티끌 등의 혼입을 막기 위해 포장 자재로 전체면을 피복하였다. 그 후, 트럭에서의 수송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수송 테스트 조건은 수송 거리 1000㎞(수송 도중에 40℃×95%RH의 환경하에 5일간 보관)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목재 펄프의 제조)
증해 공정과, 세정 공정과, 산소 탈리그닌 반응 공정과, 이산화염소 및 과산화수소에 의한 다단 표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세정 공정 중에 사용되는 피치 컨트롤제로서 계면활성제 「미라클피치콘 500」(카타야마 날코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펄프 제조 공정 중에서 비탤크계 피치 컨트롤제를 사용한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A를 얻었다. 이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A를 원료로서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수초지를 제작하였다. 이 수초지에 대해 현미경 분석으로 응집물을 관찰하고, 그 응집물을 잘라내 형광 X선 분석에 제공하여 탤크를 분석한 결과,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2개/100㎡였다.
[비교예 1](목재 펄프의 제조)
또한, 피치 컨트롤제로서 탤크계 소포제 「MISTRON VAPOR」(니혼 미스트론사 제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B를 얻었다. 이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B를 원료로서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수초지를 제작하였다. 이 수초지에 대해 현미경 분석으로 응집물을 관찰하고, 그 응집물을 잘라내 형광 X선 분석에 제공하여 탤크를 분석한 결과,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2개/100㎡였다.
[실시예 2](유리 합지의 제조)
목재 펄프로서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A를 100 질량부 준비하고, 이것을 연화하여 고해도를 520mlc.s.f.로 제조한 슬러리에 지력 증강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상품명: 폴리스트론 1250,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를 전체 펄프 질량에 대해 0.4질량부 첨가하여, 0.4% 농도의 펄프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을 장망 초지기를 사용하여, 평량 50g/㎡의 유리판용 합지를 얻었다. 이 유리판 합지에 대해 현미경 분석으로 응집물을 관찰하고, 그 응집물을 잘라내 형광 X선 분석에 제공하여 탤크를 분석한 결과,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개/100㎡였다.
[비교예 2](유리 합지의 제조)
목재 펄프로서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평량 50g/㎡의 유리판용 합지를 얻었다. 이 유리판 합지에 대해 현미경 분석으로 응집물을 관찰하고, 그 응집물을 잘라내 형광 X선 분석에 제공하여 탤크를 분석한 결과, 유리판용 합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4개/100㎡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얻은 유리판 합지의 유리판에 대한 전사를 수송 테스트로 확인한 결과, 실시예 2의 합지를 사용한 유리판을 사용한 액정 패널의 어레이 형성시에는 컬러 필름의 단선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2의 합지를 사용한 유리판을 사용한 액정 패널의 어레이 형성시에는 컬러 필름의 단선이 관찰되었다.

Claims (21)

  1.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로서,
    상기 목재 펄프를 사용하여 JIS P 8222에 준거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초지의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10개/100㎡ 이하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의 평균 입자 직경이 1∼10㎛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가 소수성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는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와 소수성 물질의 복합화된 형태의 평균 입자 직경이 30㎛ 이상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이 실리콘 오일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디스플레이용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합지.
  11. 유리판 합지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목재 펄프의 사용 방법.
  12.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유리판용 합지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탤크의 비율이 3개/100㎡ 이하인 유리판용 합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의 평균 입자 직경이 1∼10㎛인 유리판용 합지.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가 소수성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는 유리판용 합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탤크와 소수성 물질의 복합화된 형태의 평균 입자 직경이 30㎛ 이상인 유리판용 합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유리판용 합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이 실리콘 오일인 유리판용 합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인 유리판용 합지.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디스플레이용인 유리판용 합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유리판용 합지.
  21.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의 유리판용 합지 및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KR1020160073719A 2016-06-14 2016-06-14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KR10262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19A KR102626487B1 (ko) 2016-06-14 2016-06-14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19A KR102626487B1 (ko) 2016-06-14 2016-06-14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40A KR20170140940A (ko) 2017-12-22
KR102626487B1 true KR102626487B1 (ko) 2024-01-17

Family

ID=6093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719A KR102626487B1 (ko) 2016-06-14 2016-06-14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4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9658A (ja) 2014-03-31 2015-11-12 日本製紙株式会社 炭酸カルシウム微粒子と繊維との複合体を含む製品
WO2016084547A1 (ja) * 2014-11-25 2016-06-02 特種東海製紙株式会社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ガラス板用合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9690B2 (ja) 2004-07-30 2011-02-23 王子製紙株式会社 ガラス合紙
US20090120596A1 (en) * 2005-04-20 2009-05-14 Francis John G Removal of organic deposits from recycled fibers used for producing paper
JP2007131965A (ja) 2005-11-09 2007-05-31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JP2008208478A (ja) 2007-02-26 2008-09-11 Nicca Chemical Co Ltd ディスプレイ・ガラス用合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6905B2 (ja) 2009-03-19 2014-09-1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系樹脂製無架橋押出発泡シート
JP5764791B2 (ja) 2011-03-11 2015-08-19 長良製紙株式会社 ガラス用合紙とガラス板に付着した汚れの除去方法
KR101538437B1 (ko) 2012-12-27 2015-07-22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GB201418288D0 (en) * 2014-10-15 2014-11-26 Nopco Paper Technology Gmbh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position of stickies in pulping and papermaking proces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9658A (ja) 2014-03-31 2015-11-12 日本製紙株式会社 炭酸カルシウム微粒子と繊維との複合体を含む製品
WO2016084547A1 (ja) * 2014-11-25 2016-06-02 特種東海製紙株式会社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ガラス板用合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40A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9225C (en) Wood pulp for glass plate-interleaving paper and glass plate-interleaving paper
KR102372961B1 (ko)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CN110446813B (zh) 玻璃板用衬垫纸及其制造方法
JP2016125146A (ja)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ガラス板用合紙
JP6884009B2 (ja)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その使用、ガラス板用合紙、並びに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又はガラス板用合紙の検査方法
JP2016191182A (ja) ガラス板用合紙及びその検査方法
KR102626487B1 (ko) 유리판 합지용 목재 펄프 및 유리판용 합지
TWI791503B (zh) 玻璃板用間隔紙及其製造方法、積層體、以及玻璃板之保護方法
JP2020059966A (ja)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ガラス板用合紙
JP6867207B2 (ja)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その使用、ガラス板用合紙、並びに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又はガラス板用合紙の検査方法
JP2016190667A (ja) ガラス板用合紙及びその製造方法
TWI763813B (zh) 玻璃板用間隔紙及其製造方法、積層體、以及玻璃板之保護方法
JP2019119527A (ja) 表面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6369A (ja) 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及びその使用、ガラス板用合紙、それを用いた積層体、ガラス板の保護方法、並びにガラス板合紙用木材パルプ又はガラス板用合紙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