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478B1 -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478B1
KR102626478B1 KR1020230119460A KR20230119460A KR102626478B1 KR 102626478 B1 KR102626478 B1 KR 102626478B1 KR 1020230119460 A KR1020230119460 A KR 1020230119460A KR 20230119460 A KR20230119460 A KR 20230119460A KR 102626478 B1 KR102626478 B1 KR 10262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cutting
cut
individua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교석
Original Assignee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26D5/2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including a meter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김을 원하는 폭의 절단김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발전장김을 정렬하는 투입수단과, 다발전장김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과정에서 다발전장김을 원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을 회수하는 집진수단과, 절단된 다발절단김을 단독 운반하는 개별이송수단과, 개별배출과정에서 다발절단김의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에어토출수단과, 부스러기가 제거된 다발절단김을 동시에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투입되는 다발전장김에 대한 정렬 및 절단과 배출이 모두 자동으로 순차 진행되는 것은 물론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에 대한 청결하고 위생적인 회수 및 수거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절단된 김다발에 잔류하는 부스러기 등을 에어 토출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매우 청결한 상태로 자동 배출되므로 포장과정에서 수작업에 의존하던 소제공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포장재 내,외부가 부스러기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절단 잔여물 혹은 부스러기 등의 청소 또는 소제 작업을 위한 장치의 정지 혹은 가동의 일시 중단 등이 불필요하므로 생산성 향상 등 경제적 이득 효과가 매우 큰 것이며, 전체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어 있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므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Full-length seaweed automatic cutting device equipped with cyclone dust collection means and air discharge means}
본 발명은 전장김을 원하는 폭의 절단김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컷터가 구비된 절단수단 상에 싸이클론 집진장치와 연결된 흡입구를 형성하여 절단 잔여물에 대한 자동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절단김의 배출부 양측에 에어블로어와 연결된 토출구를 형성하여 개별 절단김의 부스러기가 탈락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잔여물 및 부스러기 제거 작업이 절단공정 및 배출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김은 김과 김속, 또는 돌김속에 속하는 해조류를 종이 형태로 얇게 넓게 펴서 말린 음식으로써 맛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비타민 등이 대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김은 건조김, 구이김 혹은 조미김의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소비자가 사용 목적이나 취향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김은 전장 크기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보관과 휴대 및 취식 등의 편의 혹은 요리의 종류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트레이에 담아 제공되기도 하는데, 절단김의 경우 근자에 들어서는 자동으로 전장김을 절단하고 트레이에 담아 포장하는 김 절단 및 포장용 자동화장치에 의해 편리하게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이김 혹은 조미김에 대한 자동 절단장치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7797호와 같이, 순환궤도방식의 이송장치에 각각의 파레트가 장착되어 절단기 하부로 이송되고, 절단기가 하강하여 파레트에 놓인 김을 절단하는 김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8절용 홈과 9절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단기는 프레임에 장착된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 8절용 칼날부재와 9절용 칼날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만들어진 김절단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148180호와 같이 전장김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전장공급부; 상기 전장공급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상기 전장김을 이송방향을 따라 이절하도록 되어 있는 이절단부; 상기 이절단부에서 이절된 한 쪽 반장김이 이송을 개시하여 그 후단이 다른 한 쪽 반장김의 선단을 추월하고 나서 상기 다른 한 쪽 반장김이 이송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장김이 이송방향 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교대이송부; 상기 교대이송부에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상기 반장김을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정렬되어 나오는 상기 반장김을 그대로 열을 유지하면서 포장기까지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장김을 종방향으로 이절한 뒤 일렬로 포장기까지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이절된 김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 등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전장김을 이절하거나 또는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이송, 포장할 수 있으므로 포장 형태에 대한 소비자 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한 김 이절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2028883호와 같이 팔레트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적치된 김을 가압판에 의해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도입부; 및 상기 도입부에 의해서 밀착된 김을 팔레트부재의 종단부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는 이송판을 구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김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 상기 이송되는 김의 상부에 배치되어 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며 김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팔레트부재는 그 선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팔레트홀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판은 팔레트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송판의 상측 선단부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팔레트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김을 밀어 이동하며 자동으로 김을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자동 김 절단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509810호와 같이 김의 투입과 이송, 커팅 및 배출 등 일련의 가공 과정이 자동화 시스템에 기초하여 실시될 뿐 아니라 김의 좌우를 균일하게 정렬한 상태에서 상부를 적절하게 가압하여 커팅 시 김이 흐트러지는 것을 적극 방지함에 따라 가공의 정밀성이 극대화 유도되며, 나아가 전장의 크기에 따라 투입 구조와 커팅 구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김을 공급받아 정렬 및 일방향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공급된 김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으로부터 횡단 설치되어 이송 중인 김을 기설정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유닛과, 이송유닛 상단에 밀접 설치되며, 이송 중인 김을 가압하여 정렬 상태 유지되게 하면서 이송유닛과 동반하여 김의 일방향 이송을 도모하는 가압유닛으로 구성된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김 절단장치 등은 투입된 전장김을 원하는 폭과 길이로 자동 절단하여 배출하는 편리함을 갖고 있는 반면, 전장김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등의 잔여물이 지속적으로 장치의 내부 하측에 쌓이면서 작업자가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절단장치의 가동을 중단시켜 상기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은 물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고, 생산성을 높이고자 장치를 중단하지 않고 이를 소제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컷터에 의해 절단된 김은 절단과정에서 많은 부스러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스러기는 절단된 김의 표면 및 절단면에 그대로 남아 있어 포장지로부터 김을 꺼내 사용 혹은 취식하는 과정에서 부스러기가 날리거나 떨어져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등 불편함이 매우 커 대부분의 절단 작업장에서는 절단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절단김의 표면을 에어 혹은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부스러기를 수작업으로 제거한 후 이를 포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해당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충분하게 부스러기가 제거되지 못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는 등 청결하고 우수한 품질의 절단김을 대량으로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07797 (2003.03.0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48180 (2012.05.1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28883 (2019.09.2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509810 (2023.03.09.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발전장김을 정렬하는 투입수단과, 다발전장김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과정에서 다발전장김을 원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을 회수하는 집진수단과, 절단된 다발절단김을 단독 운반하는 개별이송수단과, 개별배출과정에서 다발절단김의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에어토출수단과, 부스러기가 제거된 다발절단김을 동시에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발의 전장김에 대하여 2절 혹은 3절의 형태로 자동 절단 및 배출하는 동시에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의 효과적인 회수 및 수거와 함께 부스러기의 제거가 함께 이루어지므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청소 및 소제작업 없이도 전장김의 절단 및 배출과 소제 작업의 전체 공정이 효율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치본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정렬투입수단과; 정렬투입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는 절단수단과; 절단수단 내 다발전장김의 절단 잔여물을 흡입 회수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과; 절단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하 승강 및 횡방향 왕복의 개별이송수단과; 정렬투입수단 및 절단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이송수단과; 개별이송수단 내 다발절단김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토출수단과; 개별이송수단의 하부 및 메인이송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되고, 장치본체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압대와 거치안내대가 상,하로 이격 구성됨으로써,
정렬투입수단에 의해 승강가압대와 거치안내대의 사이로 투입된 다발전장김이 메인이송수단에 의해 절단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폭을 갖는 복수 개의 다발절단김으로 절단되고, 절단수단에 의한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은 싸이클론 집진수단에 의해 흡입 수거되는 것이며, 다발절단김이 개별이송수단에 이르러서는 절단된 각각의 다발절단김이 개별 순차적으로 배출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다발절단김의 개별 이송 과정에서 에어토출수단에 의해 다발절단김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스러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개별이송수단에 의해 순차 이송된 다발절단김은 배출수단에 의해 장치본체의 일측 끝단으로 동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다발전장김에 대한 정렬 및 절단과 배출이 모두 자동으로 순차 진행되는 것은 물론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에 대한 청결하고 위생적인 회수 및 수거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절단된 김다발에 잔류하는 부스러기 등을 에어 토출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매우 청결한 상태로 자동 배출되므로 포장과정에서 수작업에 의존하던 소제공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포장재 내,외부가 부스러기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절단 잔여물 혹은 부스러기 등의 청소 또는 소제 작업을 위한 장치의 정지 혹은 가동의 일시 중단 등이 불필요하므로 생산성 향상 등 경제적 이득 효과가 매우 큰 것이며, 전체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어 있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므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정면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평면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투입수단의 정면 및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투입수단의 정면 및 평면 작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이송수단의 작용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절단수단 및 집진수단의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이송과정을 보인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하강작용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개별이송 및 에어토출수단의 작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하강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개별 순차이송과정에서, 3절 다발절단김 중 제1의 다발절단김에 대한 이송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개별 순차이송과정에서, 3절 다발절단김 중 제3의 다발절단김에 대한 이송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개별 순차이송과정에서, 3절 다발절단김 중 제2의 다발절단김에 대한 이송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상승작용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개별이송수단의 상승 작용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배출수단의 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배출수단의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정면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평면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장김 절단장치는 많은 수의 전장김을 일시에 다양한 폭을 갖는 분할의 절단김 형태로 절단하여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배치된 절단 회전칼날의 개체수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2절 혹은 3절이나 4절의 형태로 절단되는 것은 물론 자동이송수단을 통해 투입측으로부터 배출측까지 자동으로 순차 이송되는 것이며, 이송 과정 중에 절단 및 절단 잔여물에 대한 흡입 회수와 절단된 개별의 절단김에 대한 부스러기의 제거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매우 청결하고 정돈된 형태의 절단김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장치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다발전장김을 정렬 및 공급하기 위한 정렬투입수단(200)과; 정렬투입수단(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투입된 다발전장김을 원하는 폭으로 절단시키는 절단수단(300)과; 절단수단(300) 내 다발전장김(10)의 절단 잔여물을 고압의 공기에 의해 흡입 회수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400)과; 절단수단(3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절단된 다발의 절단김을 개별 이송시키는 상,하 승강 및 횡방향 왕복의 개별이송수단(500)과; 정렬투입수단(200) 및 절단수단(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투입된 다발전장김을 각 공정을 따라 순차 이동시키는 메인이송수단(600)과; 개별이송수단(500) 내 다발절단김(20)(20')(20")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700)과; 개별이송수단(500)의 하부 및 메인이송수단(600)의 일측에 위치하여 부스러기가 제거된 다발절단김을 일시에 장치의 배출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80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장치본체(1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가 상,하로 이격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승강가압대(110)는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환봉이 일정 간격을 갖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환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나사축을 장치본체(100) 상에 브라켓 등에 의해 장착되는 회전너트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회전너트의 회전 방향을 통해 나사축의 승강 및 승강가압대(11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투입되는 다발전장김(10)의 개체수에 따른 높이차에 알맞게 상기의 승강가압대(1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의 거치안내대(120)는 투입되는 다발전장김(10) 및 절단수단(300)에 의해 2절 내지 3절 형태로 절단된 다발전장김(20)(20')(20")이 투입측으로부터 배출측까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베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단면의 각봉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는 전기한 정렬투입수단(200)에 의해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로 투입된 다발전장김(10)이 메인이송수단(600)의 작동에 의해 절단수단(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폭을 갖는 복수 개의 다발절단김(20)(20')(20")으로 절단 이송되고, 절단수단(300)에 의한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은 싸이클론 집진수단(400)에 의해 흡입 수거되는 것이며,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이송수단(500)에 이르러서는 절단된 각각의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 순차적으로 배출측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다발절단김(20)(20')(20")의 개별 이송 과정에서 에어토출수단(700)에 의해 다발절단김(20)(20')(20")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스러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개별이송수단(500)에 의해 순차 이송된 다발절단김(20)(20')(20")은 배출수단(800)에 의해 장치본체(100)의 일측 끝단으로 동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에 대한 각각의 과정별 공정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건데 전기한 정렬투입수단(200)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거치안내대(12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안내판(210)과, 상부 타측에 위치하여 제1에어실린더(221)에 의해 횡방향 유동하는 가동안내판(220)과, 이들 고정안내판(210) 및 가동안내판(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의 상면가압판(23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2에어실린더(231)와, 상기 고정안내판(210)과 가동안내판(22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고 하측의 셔터패널(24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3에어실린더(2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많은 수의 전장김이 상,하로 적층된 형태로 된 다발전장김(10)을 정렬투입수단(200) 내부로 노출된 거치안내대(120) 상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의 다발전장김(10)은 고정안내판(210)과 가동안내판(220)의 사이 공간에 놓여진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절단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게 하면 상기 제1에어실린더(221)가 작동하며 가동안내판(220)이 전진하여 다발전장김(10)의 일측을 가압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의 다발전장김(10)은 고정안내판(210) 및 가동안내판(220)에 의해 양측단이 정렬된 상태를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에어실린더(221)의 작동을 통해 다발전장김(10)에 대한 측부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에어실린더(231)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2에어실린더(231)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는 상면가압판(230)은 다발전장김(10)의 상부를 눌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이들을 압축시킨 상태를 지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압축된 상태의 다발전장김(10)은 메인이송수단(600)을 통해 절단수단(30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의 정렬투입수단(200)의 전방측에 구비된 제3에어실린더(241)가 작동하면서 다발전장김(10)의 전면 정렬을 위해 하강되어 있던 셔터패널(240)이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승하여 다발전장김(10)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의 메인이송수단(60)의 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다발전장김(10)은 상면가압판(230)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는 동시에 그 압축량은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상,하 이격 높이보다 낮은 형태로 압축되어 있어 소정의 압축 상태로 이동하는 다발전장김(10)은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로 자연스럽게 삽입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기한 상면가압판(230)을 벗어나는 순간 다발전장김(10)을 압축하고 있던 하향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본래의 두께 혹은 높이로 복귀되려 할 것이므로 이러한 다발전장김(10)의 탄력 복원력은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에서 다소 빡빡한 저항력을 갖고 삽입될 수 있는 반력으로 작용하면서 다발전장김(10)이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 사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메인이송수단(600) 및 개별이송수단(500)과 배출수단(800)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다소 빡빡한 삽입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다수의 적층 형태를 갖는 다발전장김(10) 또는 다발전장김(20)(20')(20")은 이들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메인이송수단(600)의 작동에 의해 상기의 정렬투입수단(200)을 지나 절단수단(300)에 도달한 다발전장김(10)은 절단수단(300) 내 회전칼날의 개체수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고 절단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절단수단(300)은 거치안내대(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복수 개의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발전장김(10)이 메인이송수단(600)에 의해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를 따라 절단수단(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별도 구비의 구동모터와 연결된 회전축(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회전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하는 톱니형 회전칼날(310)(310')과 다발전장김(10)이 서로 간섭되면서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의 개체 수에 따라 수 개의 다발절단김(20)(20')(20")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다발절단김(20)(20')(20")은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을 지나쳐 개별이송수단(500)의 하측까지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전기한 절단수단(300)의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은 다발전장김을 3절의 형태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총 4개의 회전칼날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내측 두 개의 회전칼날은 전장김을 3분할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외측 두 개의 회전칼날은 불규칙한 단면을 갖는 전장김의 양측 끝단을 균일한 직선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수단(300)을 통과한 다발전장김(10)은 양측단이 직선 형태로 절단된 균일 폭의 다발절단김(20)(20')(20")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발전장김(10)의 절단 잔여물의 경우 별도의 싸이클론 집진수단(400)을 통해 빠르게 흡입 회수되어 작업장 및 장치 내부와 주변을 청결하게 하는 것은 물론 회수된 절단 잔여물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의 싸이클론 집진수단(400)은 절단수단(300) 내 거치안내대(12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흡기구(410)(410')와, 절단수단(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커버(420)와, 상기 흡기구(410)(410') 및 포집커버(420)에 흡입관체(430)(430')로 연결되는 싸이클론 집진장치(440)로 구성되어, 절단수단(300)에 의한 다발전장김(10)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이 상기 흡기구(410)(410') 및 포집커버(420)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장치(440)로 수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에 의해 잘려진 다발전장김(10)의 양측단부 및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 및 분진 등은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흡기구(410)(410')를 통해 빠르게 흡입 제거되는 것은 물론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 등의 비산물은 절단수단(300)의 상부에 마련된 포집커너(420) 내 흡입관체(430)(430')로 빠르게 흡입되면서 별도 구비의 싸이클론 집진장치(440)로 수거될 것이므로, 고속의 절단 작업에도 전장김의 절단 잔여물이나 부스러기 등에 의한 분진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인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메인이송수단(600)에 의해 절단수단(300)을 통과하여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이송수단(500)의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메인이송수단(60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다발절단김(20)(20')(20")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개별이송수단(500)이 작동하여 상기의 다발절단김(20)(20')(20")을 개별적으로 순차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별이송수단(500)에 의한 다발절단김(20)(20')(20")의 개별적인 순차 배출 작업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에어토출수단(700)과 연계 작동하여 각각의 다발절단김(20)(20')(20")에 잔류하는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바와 같은 메인이송수단(600)은 장치본체(100) 내부의 거치안내대(120) 하부에 위치하고, 전기한 정렬투입수단(200) 및 절단수단(300)과 개별이송수단(500)의 구간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서로 이격된 회전풀리(611)(611')에 장착된 타이밍벨트(610)와, 상기 타이밍벨트(610)에 고정되고 전기한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를 통해 승강가압대(110)의 사이로 위치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메인이송대(620)와, 정렬투입수단(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축부(611')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장치본체(100)에 힌지 결합된 승강엑츄에이터(6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회전풀리(611)(611') 중 개별이송수단(500)의 하측에 위치한 회전풀리(611)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작동시키면 회전풀리(611)가 구동하면서 타이밍벨트(61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타이밍벨트(6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의 메인이송대(620)는 장치본체(100)의 내부에서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후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승강가압대(110)의 사이를 통해 상향 돌출된 형태의 메인이송대(620)는 타이밍벨트(610)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메인이송대(620)는 다발전장김(10)의 후측 끝단에 밀착되면서 상기의 다발전장김(10)이 정렬투입수단(200)으로부터 절단수단(300) 및 개별이송수단(500)으로 운반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다발전장김(10)이 메인이송대(620)에 의해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에서 투입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정렬투입수단(200)에 의한 양측 정렬과 상부 가압 및 절단수단(300)에 의한 다분할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다분할 절단의 다발절단김(20)(20')(20")은 개별이송수단(500)의 하부까지 운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다발절단김(20)(20')(20")을 개별이송수단(500)의 하부까지 운반한 상태에서의 메인이송대(620)는 타이밍벨트(6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다발절단김(20)(20')(20")으로부터 후퇴 분리되는 것이고, 이러한 역방향 회전과 동시에 정렬투입수단(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풀리(611')에 연결된 승강엑츄에어터(630)가 축소 작동되면서 수평 상태였던 타이밍벨트(610)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지도록 작동하면서 상기의 메인이송대(620)는 거치안내대(120)의 하측까지 하강과 동시에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새로운 다발전장김(10)이 정렬투입수단(200)으로 공급되면 상기의 승강엑츄에이터(630)가 인출 작동되면서 회전풀리(611')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고, 회전풀리(611')의 상승에 따라 하향 경사진 상태인 타이밍벨트(610)가 수평 상태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거치안내대(120)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있던 메인이송대(620)는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를 통해 상승하면서 새로 투입된 다발전장김(10)의 후측단에 위치하면서 새로운 다발전장김(10)을 전진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메인이송수단(600)은 승강엑츄에이터(630)에 의해 타이밍벨트(610)의 일측이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수평 상태로 전환되면서 메인이송대(620)가 타이밍벨트(6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투입되는 다발전장김(10)을 연속적으로 투입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메인이송수단(600)에 의해 개별이송수단(500)의 하측으로 운반된 다발절단김(20)(20')(20")은 상기의 개별이송수단(500)에 의해 절단된 개별의 다발 형태로 순차 배출 이동되는 것으로 개별이송수단(500)의 작동과 함께 에어토출수단(700)이 연계 작동하면서 개별의 다발절단김(20)(20')(20")에 잔류하는 절단 부스러기 등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개별이송수단(500)은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승강가압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장치본체(100)에 고정된 제3에어실린더(510)의 작동을 통해 상,하로 승강되는 메인프레임(520)과, 상기 메인프레임(520)의 저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와, 상기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 장착되어 거치안내대(1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되는 개별배출대(531)(531')(531")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개별배출대(531)(531')(531")는 메인프레임(520)의 하강시에는 승강가압대(110)의 사이를 통해 거치안내대(120) 상에 위치되게 하고, 메인프레임(520)의 상승시에는 승강가압대(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는 메인프레임(5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의 작동에 의해 거치안내대(1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되는 감지판재(532)(532')(532")를 더 형성하고, 상기 감지판재(532)(532')(532")의 왕복 구간 내 메인프레임(52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된 리미트센서(521)(521')(521")를 장착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어, 전기한 에어토출수단(700)은; 장치본체(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어(710)와, 상기 에어블로어(710)와 송풍관체(711)로 연결되고 전기한 개별이송수단(500) 내 거치안내대(12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에어토출구(720)(7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이송수단(600)에 의해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이송수단(500)의 하측으로 운반되면, 장치본체(100)에 고정 설치된 제3에어실린더(510)가 작동하여 메인프레임(520)을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고, 메인프레임(520)의 하강에 따라 메인프레임(520) 하부에 장착된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 및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 장착된 개별이송대(531)(531')(531")가 함께 하강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다발절단김(20)(20')(2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때, 다발전장김(10)을 절단하되 절단된 김이 3분할 형태의 다발절단김(20)(20')(20")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메인프레임(520) 저면에는 3개의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가 장착되는 것이고, 각각의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는 역시 각각의 개별이송대(531)(531')(531")가 하향으로 결합되어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진된 다발절단김(20)(20')(20")의 후측에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의 개별이송대(531)(531')(531")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3의 도시와 같이 제1의 개별배출실린더(530)가 작동하여 제1의 개별이송대(531)가 전진함에 따라 3분할의 다발절단김(20)(20')(20") 중 제1의 다발절단김(20)이 배출측으로 전진하게 될 것이고, 이와 동시에 에어토출수단(700)의 에어블로어(710)가 작동하여 송풍관체(711)를 따라 개별이송수단(500)의 양측에 위치한 에어토출구(720)(720')로 고압의 에어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며, 토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제1의 다발절단김(20)의 표면에 잔류하던 부스러기 등은 전진 이동 과정 중에 비산되며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의 개별배출실린더(530)는 제1의 감지판재(532)가 메인프레임(520)의 상부에 이격 장착되어 있는 리미트센서(521)(521')(521")에 검지되면서 제1의 개별배출실린더(530)에 대한 전,후 왕복구간에 대한 제한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므로 상기 제1의 다발절단김(20)은 배출측으로 소정의 구간에 대한 전진과 동시에 부스러기의 탈락 작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제1의 다발절단김(20)에 대한 전진 작업이 종료되면 도 14의 도시와 같이 제3의 개별배출실린더(530")가 작동하여 제3의 개별이송대(531")를 통해 제3의 다발절단김(20")을 전진시키는 동시에 에어토출수단(700)에 의한 에어토출구(720(720')에 의해 제3의 다발절단김(20")에 대한 부스러기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3의 다발절단김(20")에 대한 전진 배출이 종료되면, 도 15의 도시와 같이 제2의 다발절단김(20')에 대한 전진 배출 및 부스러기의 제거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다발절단김(20)(20')(20")에 대한 전진은 제1다발절단김(20)과 제3다발절단김(20")과 제2다발절단김(20')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다발절단김(20)이 전진함에 따라 제1다발절단김(20)의 양측 절단면 및 표면에 대한 부스러기의 제거 및 노출되는 제2다발절단김(20')의 일측 절단면에 대한 부스러기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어 제3다발절단김(20")을 전진 배출시킴으로써 제3다발절단김(20")의 양측 절단면에 대한 부스러기의 제거와 동시에 제2다발절단김(20')의 나머지 절단면에 대한 부스러기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분할의 다발절단김(20)(20')(20")에 대한 배출 순서를 순차적이 아니라 1,3,2의 순서로 배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다발절단김(20)(20')(20") 전체면에 대한 부스러기의 효과적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개별이송수단(500)에 의해 다발절단김(20)(20')(20")이 순차적으로 전진 배출되는 동시에 표면의 부스러기가 충분히 제거되면 상기와 같은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은 전진된 개별이송대(531)(531')(531")를 일시에 후퇴시키는 것이고, 개별이송대(531)(531')(531")의 후퇴 작용과 동시에 도 16 및 도 17의 도시와 같이 제3에어실린더(510)의 작동을 통해 메인프레임(520)을 상승시킴으로써, 개별이송대(531)(531')(531")는 다발절단김(20)(20')(20")의 이송 구간으로부터 완전히 상승하여 이탈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반면, 상기의 메인프레임(520)이 상승함과 동시에 배출수단(800)은 상승하여 배출수단(800)의 메인배출대(820)는 전진한 다발절단김(20)(20')(2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연출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배출수단(800)은 전기한 메인프레임(520)의 하측으로부터 별도 구비의 체결포스트(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를 통해 거치안내대(120)의 하부에 매달린 형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메인프레임(520)이 제3에어실린더(510)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배출수단(800) 역시 상,하로 승강되는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발절단김(20)(20')(20")의 전진 및 부스러기의 제거가 종료된 상태에서의 개별이송수단(500)은 메인프레임(520)의 상승을 통해 다발절단김(20)(20')(2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배출수단(800)은 상승하여 다발절단김(20)(20')(20")을 장치본체(100)의 배출측으로 일시에 전진시킬 수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도 18 및 도 19의 도시와 같이 상승된 배출수단(800)의 제4에어실린더(810)가 작동하여 메인배출대(820)를 전진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다발절단김(20)(20')(20")의 후측으로 상승되에 있던 메인배출대(820)가 배출측으로 전진하면 상기의 다발절단김(20)(20')(20")을 일시에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장치본체(100)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다발절단김(20)(20')(20")을 작업자는 개별적으로 혹은 다발 전체를 필요에 따라 포장단계로 이동 혹은 바로 포장재에 담아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전장김 절단장치는 많은 수의 전장김을 편리하게 투입시켜 투입된 전장김에 대한 정렬 투입과 절단 및 절단된 분할 형태의 김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며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 절단물에 대한 흡입 회수 및 부스러기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므로, 기존과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청소 및 소제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의 개선 및 인건비의 감소가 가능한 것이고, 절단 잔여물 혹은 부스러기 등에 의해 작업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연속적인 고속 운전이 이루어지면서 대량의 전장김을 매우 청결하면서도 일정하게 절단 및 배출시키므로 품질 안정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다발전장김
20',20',20" : 다발절단김
100 : 장치본체 110 : 승강가압대
120 : 거치안내대
200 : 정렬투입수단 210 : 고정안내판
220 : 가동안내판 230 : 상면가압판
240 : 셔터패널
300 : 절단수단 310,310' : 톱니형 회전칼날
400 : 싸이클론 집진수단 410,410' : 흡기구
420 : 포집커버 430,430' : 흡기관체
440 : 싸이클론 집진장치
500 : 개별이송수단 510 : 제3에어실린더
520 : 메인프레임 530,530',530" : 개별배출실린더
600 : 메인이송수단 610 : 타이밍벨트
620 : 메인이송대 630 : 승강엑츄에이터
700 : 에어토출수단 710 : 에어블로어
720,720' : 에어토출구
800 : 배출수단 810 : 제4에어실린더
820 : 메인배출대

Claims (8)

  1. 장치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정렬투입수단(200)과; 정렬투입수단(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절단수단(300)과; 절단수단(300) 내 다발전장김(10)의 절단 잔여물을 흡입 회수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400)과; 절단수단(3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하 승강 및 횡방향 왕복의 개별이송수단(500)과; 정렬투입수단(200) 및 절단수단(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이송수단(600)과; 개별이송수단(500) 내 다발절단김(20)(20')(20")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토출수단(700)과; 개별이송수단(500)의 하부 및 메인이송수단(600)의 일측에 위치하는 배출수단(800);으로 구성되고, 장치본체(1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가 상,하로 이격 구성됨으로써,
    정렬투입수단(200)에 의해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로 투입된 다발전장김(10)이 메인이송수단(600)에 의해 절단수단(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폭을 갖는 복수 개의 다발절단김(20)(20')(20")으로 절단되고, 절단수단(300)에 의한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은 싸이클론 집진수단(400)에 의해 흡입 수거되는 것이며,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이송수단(500)에 이르러서는 절단된 각각의 다발절단김(20)(20')(20")이 개별 순차적으로 배출측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다발절단김(20)(20')(20")의 개별 이송 과정에서 에어토출수단(700)에 의해 다발절단김(20)(20')(20")의 표면에 잔류하는 부스러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개별이송수단(500)에 의해 순차 이송된 다발절단김(20)(20')(20")은 배출수단(800)에 의해 장치본체(100)의 일측 끝단으로 동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렬투입수단(200)은; 거치안내대(12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안내판(210)과, 상부 타측에 위치하여 제1에어실린더(221)에 의해 횡방향 유동하는 가동안내판(220)과, 이들 고정안내판(210) 및 가동안내판(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의 상면가압판(23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2에어실린더(231)와, 상기 고정안내판(210)과 가동안내판(22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고 하측의 셔터패널(24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3에어실린더(241)로 구성되고,
    절단수단(300)은; 거치안내대(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복수 개의 톱니형 회전칼날(310)(310')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싸이클론 집진수단(400)은; 절단수단(300) 내 거치안내대(12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흡기구(410)(410')와, 절단수단(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커버(420)와, 상기 흡기구(410)(410') 및 포집커버(420)에 흡입관체(430)(430')로 연결되는 싸이클론 집진장치(440)로 구성되어, 절단수단(300)에 의한 다발전장김(10)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 잔여물이 상기 흡기구(410)(410') 및 포집커버(420)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장치(440)로 수거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개별이송수단(500)은; 승강가압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장치본체(100)에 고정된 제3에어실린더(510)의 작동을 통해 상,하로 승강되는 메인프레임(520)과, 상기 메인프레임(520)의 저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와, 상기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 장착되어 거치안내대(1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되는 개별배출대(531)(531')(531")로 구성되되,
    상기의 개별배출대(531)(531')(531")는 메인프레임(520)의 하강시에는 승강가압대(110)의 사이를 통해 거치안내대(120) 상에 위치되게 하고, 메인프레임(520)의 상승시에는 승강가압대(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에는 메인프레임(5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개별배출실린더(530)(530')(530")의 작동에 의해 거치안내대(1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되는 감지판재(532)(532')(532")를 더 형성하고, 상기 감지판재(532)(532')(532")의 왕복 구간 내 메인프레임(52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된 리미트센서(521)(521')(521")를 장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메인이송수단(600)은; 장치본체(100) 내부의 거치안내대(120) 하부에 위치하고, 전기한 정렬투입수단(200) 및 절단수단(300)과 개별이송수단(500)의 구간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서로 이격된 회전풀리(611)(611')에 장착된 타이밍벨트(610)와, 상기 타이밍벨트(610)에 고정되고 전기한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를 통해 승강가압대(110)의 사이로 위치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메인이송대(620)와, 정렬투입수단(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축부(611')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장치본체(100)에 힌지 결합된 승강엑츄에이터(6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에어토출수단(700)은; 장치본체(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어(710)와, 상기 에어블로어(710)와 송풍관체(711)로 연결되고 전기한 개별이송수단(500) 내 거치안내대(12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에어토출구(720)(7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배출수단(800)은; 개별이송수단(500) 내 거치안내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개별이송수단(500)과 함께 승강되게 한 제4에어실린더(810)와, 상기 제4에어실린더(810)에 장착되어 제4에어실린더(810)의 작동을 통해 횡방향으로 왕복되는 메인배출대(820)로 구성되되,
    상기의 메인배출대(820)는 개별이송수단(500)의 하강시 거치안내대(120)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개별이송수단(500)의 상승시 승강가압대(110)와 거치안내대(120)의 사이로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KR1020230119460A 2023-09-08 2023-09-08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KR10262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9460A KR102626478B1 (ko) 2023-09-08 2023-09-08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9460A KR102626478B1 (ko) 2023-09-08 2023-09-08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478B1 true KR102626478B1 (ko) 2024-01-18

Family

ID=8971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460A KR102626478B1 (ko) 2023-09-08 2023-09-08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4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97Y1 (ko) 2002-12-24 2003-03-17 김병복 김절단장치
KR20110005925A (ko) * 2009-07-13 2011-01-20 강신탁 김절단 포장장치
KR101148180B1 (ko) 2010-06-09 2012-05-24 두상수 김 이절장치
KR20150022344A (ko) * 2013-08-23 2015-03-04 김병재 김스낵 제조장치
KR20150129495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사옹원 김말이 접착제 자동분사 구조를 갖는 김말이 성형장치
KR102028883B1 (ko) 2019-07-26 2019-10-04 강신탁 자동 김 절단 장치
KR102509810B1 (ko) 2022-05-09 2023-03-14 김병철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97Y1 (ko) 2002-12-24 2003-03-17 김병복 김절단장치
KR20110005925A (ko) * 2009-07-13 2011-01-20 강신탁 김절단 포장장치
KR101148180B1 (ko) 2010-06-09 2012-05-24 두상수 김 이절장치
KR20150022344A (ko) * 2013-08-23 2015-03-04 김병재 김스낵 제조장치
KR20150129495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사옹원 김말이 접착제 자동분사 구조를 갖는 김말이 성형장치
KR102028883B1 (ko) 2019-07-26 2019-10-04 강신탁 자동 김 절단 장치
KR102509810B1 (ko) 2022-05-09 2023-03-14 김병철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8651B2 (en) System for cutting and unloading portions
CN205166110U (zh) 一种钢板切割机
CN208375356U (zh) 一种药材切片机
KR200472759Y1 (ko)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2542589B1 (ko)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KR102626478B1 (ko) 싸이클론 집진수단 및 에어 토출수단이 구비된 전장김 자동 절단장치
CN114684607A (zh) 用于传送式洗碗机的餐盘回收装置及餐盘回收方法
CN116160487B (zh) 一种中药切片机
CN211185522U (zh) 一种桑蚕养殖系统
CN210551632U (zh) 一种保温板切割装置
CN205969390U (zh) 切片机及其喂料装置和切片生产线
CN205166984U (zh) 具有自动进排料功能的豆干竖向分切机
CN214021822U (zh) 一种筛选和切割一体化槟榔加工设备
CN213003026U (zh) 一种高质量带锯床
CN210048090U (zh) 一种新型槟榔上料机
CN220922498U (zh) 一种清洗去泥装置
CN105196334A (zh) 具有自动进排料功能的豆干综合分切机
KR20120022301A (ko) 가공테이블의 칩 제거장치
CN217225917U (zh) 一种木材加工用木屑收集装置
CN213471402U (zh) 一种自动清废设备
CN213891914U (zh) 一种便于废料回收的骑马装订联动机
CN215589261U (zh) 一种直线往复式切药机
CN213946572U (zh) 一种钢琴托木毡裁切设备
CN218558090U (zh) 一种纸箱模切机
CN210453096U (zh) 一种通草快速取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