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150B1 -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150B1
KR102626150B1 KR1020230087327A KR20230087327A KR102626150B1 KR 102626150 B1 KR102626150 B1 KR 102626150B1 KR 1020230087327 A KR1020230087327 A KR 1020230087327A KR 20230087327 A KR20230087327 A KR 20230087327A KR 102626150 B1 KR102626150 B1 KR 10262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rotrusion
clamp
pres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겸
Original Assignee
대광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공영(주) filed Critical 대광공영(주)
Priority to KR102023008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32Fastening on steel sleepers with clamp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부식 발생을 최소화하고, 레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가압부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면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체결되는 하부클램프에 배수홀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체결볼트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장기간 사용과 노화에 의해 탄성이 저하된 탄성가압부만을 상부클램프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이 낭비가 없고,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상부클램부의 일부분에 내측으로 인입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부클램프의 전체적인 중량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레일체결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crane rail}
본 발명은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부식 발생을 최소화하고, 레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가압부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면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제철소, 항만 등에서는 아주 큰 중량물을 취급하므로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크레인을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레일체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의 양측에 하부클램프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하부클램프에 체결볼트를 삽입하며, 하부클램프 상에 상부클램프를 장착한 후 상부클램프에 설치한 탄성가압부를 레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부클램프 상부로 노출된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너트를 결합시켜 레일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레일체결장치는 하부클램프에 구속되게 체결된 체결볼트의 머리부에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고여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부를 장기간 사용시 탄성력이 저하됨에 따라 교체해야하는데 이 탄성가압부가 레일체결장치의 상부클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탄성가압부만 교체하기 어렵고, 탄성가압부와 함께 상부클램프를 교체해야하므로 자원의 낭비와 비용이 증기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704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940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2313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노출된 환경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체결볼트의 부식 발생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으로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과 노화에 의해 탄성이 저하된 탄성가압부만 상부클램프로부터 간편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이 낭비가 없고,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체결홀이 마련된 하부클램프와; 상기 하부클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체결홀이 마련된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하부클램프 측으로 상기 상부클램프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가압부가 상기 레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과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체결홀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하부클램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에서 상기 하부클램프의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된 배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의 상기 상부클램프에는 상기 탄성가압부가 설치되는 가압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돌기부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여 상기 가압돌기부에 결합 가능하게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상기 레일을 향하는 상기 하부클램프의 일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과 대향되는 타 측을 향해 인입된 유동방지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부에는 일 측이 상기 레일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유동방지홈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부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유동방지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유동방지돌기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하부클램프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볼트 머리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의 하측 일부를 주변으로 확장하여 형성한 회전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체결되는 하부클램프에 배수홀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체결볼트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장기간 사용과 노화에 의해 탄성이 저하된 탄성가압부만을 상부클램프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이 낭비가 없고,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는 상부클램부의 일부분에 내측으로 인입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부클램프의 전체적인 중량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의 상부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의 하부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체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하부클램프(200)와, 상부클램프(100)와, 탄성가압부(300)와, 체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클램프(200)는 레일(R)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에 하부가 용접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클램프(2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체결홀(201)이 마련된다. 하부체결홀(20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하부체결홀(201) 각각에는 후술하는 체결볼트(410)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하부클램프(200)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는 크레인용 레일(R)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레일설치홈(3)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레일설치홈(3)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일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평판 구조를 가진다. 레일설치홈(3)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레일(R)이 안착되는 레일패드(20)가 설치된다.
레일(R)을 향하는 하부클램프(200)의 일 측 가장자리에는 레일(R)의 길이방향 또는 연장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상부클램프(1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210)이 레일(R)과 대향되는 타 측 가장자리를 향해 인입 형성된다. 유동방지홈(210)은 레일(R)과 대향되는 타 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클램프(100)는 하부클램프(200)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클램프(200) 상에 하부 일부가 접촉되게 설치되는 판 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 측으로부터 레일(R)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된 가압돌기부(120)와, 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두께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한 쌍의 상부체결홀(101)이 형성된다. 상부체결홀(101)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상부체결홀(101)에는 하부체결홀(201)을 관통한 체결볼트(4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체결홀(201)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압돌기부(120)는 레일(R)을 향하는 본체(110)의 일 측 가장자리로부터 본체(110)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레일(R)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된다. 가압돌기부(120)는 레일(R)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레일(R)을 향하는 가압돌기부(12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탄성가압부(30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거나 인출하여 분리시킬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121)이 마련된다. 결합홈(121)은 레일(R)의 길이방향 또는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압돌기부(12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다.
유동방지돌기(130)는 체결부(400)를 이용하여 상부클램프(100)를 하부클램프(200)에 결합시 일 측이 레일(R)에 접촉되고 타 측은 유동방지홈(210)으로 진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유동방지돌기(130)는 상부클램프(100)의 하부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두께 돌출 형성된다. 유동방지돌기(130)는 하부클램프(200)의 일 측에 형성된 유동방지홈(210)에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홈(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동방지돌기(130)는 가압돌기부(120)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동방지돌기(130)는 상부클램프(10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기 위해 그 내부에 인입홈이 형성된다. 인입홈은 유동방지돌기(1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 형성된다.
탄성가압부(300)는 레일(R) 측을 향하는 상부클램프(100)의 일 측에 마련된 가압돌기부(120)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레일(R)에 접촉된다. 탄성가압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가압부(300)는 후술하는 체결부(400)를 통해 상부클램프(100)를 하부클램프(200) 측으로 가압할 때 가압돌기부(120)와 함께 레일(R)을 향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레일(R)을 베이스플레이트(10) 측으로 가압하여 레일(R)을 고정시킨다.
탄성가압부(300)는 가압몸체(310)와, 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압몸체(310)는 가압돌기부(120)와 레일(R) 사이에서 가압돌기부(120)에 의해 레일(R)을 측으로 가압되며서 레일(R)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결합돌기(320)는 가압돌기부(120)의 저면에 마련된 결합홈(121)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가압몸체(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결합돌기(320)는 결합홈(121)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압몸체(310)와 결합돌기(3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몸체(310)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결합돌기(320)는 가압돌기부(120)에 결합시 변형 없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금속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돌기(320)는 가압몸체(310)에 일부가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300)를 가압돌기부(12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후화된 탄성가압부(300)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클램프(10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탄성가압부(300)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체결부(400)는 하부클램프(200) 측으로 상부클램프(100)를 가압 및 이동시켜 탄성가압부(300)가 레일(R)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부클램프(200)의 하부체결홀(201)과 상부클램프(100)의 상부체결홀(101)을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체결부(400)는 체결볼트(410)와 체결너트 및 와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체결볼트(410)는 머리부(411)가 하부클램프(200) 측을 향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412)가 상부클램프(100)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체결볼트(410)가 하부클램프(200)의 하부체결홀(20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볼트(410)의 머리부(411)를 하부클램프(200)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홈(202)이 형성된다.
회전홈(202)은 베이스플레이트(10)를 향하는 하부클램프(200)의 저면에 하부체결홀(201)의 하측 일부를 주변으로 확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회전홈(202)은 하부클램프(200) 저면과 하부체결홀(201) 사이에 턱을 형성하여 체결볼트(410)의 머리부(411)가 걸릴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클램프(200)에는 하부체결홀(201) 및 회전홈(202)으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하부클램프(2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홈(203)이 더 형성된다.
배출홈(203)은 양측 회전홈(202)으로부터 하부클램프(200)의 일 측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되며, 하부클램프(2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면적 인입 형성된다. 배출홈(203)은 양측의 회전홈(202)으로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을 한 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양측의 회전홈(202)과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부클램프
200 : 하부클램프
300 : 탄성가압부
400 : 체결부

Claims (4)

  1. 레일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체결홀이 마련된 하부클램프와;
    상기 하부클램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체결홀이 마련된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하부클램프 측으로 상기 상부클램프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가압부가 상기 레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과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체결홀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하부클램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에서 상기 하부클램프의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된 배출홈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기 하부클램프 상에 하부 일부가 접촉되게 설치되는 판 상의 본체와, 본체의 일 측으로부터 레일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탄성가압부가 설치되는 가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부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또는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가압돌기부와 상기 레일 사이에서 상기 가압돌기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레일을 고정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돌기부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몸체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압돌기부에 결합시 변형 없도록 금속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압몸체에 일부가 몰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향하는 상기 하부클램프의 일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과 대향되는 타 측을 향해 인입된 유동방지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부에는 일 측이 상기 레일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유동방지홈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부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유동방지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유동방지돌기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하부클램프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볼트 머리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결홀의 하측 일부를 주변으로 확장하여 형성한 회전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KR1020230087327A 2023-07-05 2023-07-05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KR10262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327A KR102626150B1 (ko) 2023-07-05 2023-07-05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327A KR102626150B1 (ko) 2023-07-05 2023-07-05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150B1 true KR102626150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327A KR102626150B1 (ko) 2023-07-05 2023-07-05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1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101A (ja) * 2000-05-29 2001-12-07 Taisei Corp レール締結装置
KR200359400Y1 (ko)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KR20090123133A (ko) 2008-05-27 2009-12-02 (주)동아 에이치아이 크레인 레일의 일체형 클램프
KR20100032300A (ko) * 2009-08-14 2010-03-25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KR20150064411A (ko) * 2013-12-03 2015-06-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101A (ja) * 2000-05-29 2001-12-07 Taisei Corp レール締結装置
KR200359400Y1 (ko)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KR20090123133A (ko) 2008-05-27 2009-12-02 (주)동아 에이치아이 크레인 레일의 일체형 클램프
KR20100032300A (ko) * 2009-08-14 2010-03-25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KR20150064411A (ko) * 2013-12-03 2015-06-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KR101577049B1 (ko) 2013-12-03 2015-12-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307A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rails to sleepers
KR101139357B1 (ko) 교량 빔의 내하력 보강을 위한 보강장치
KR102626150B1 (ko) 크레인 레일체결장치
CN102359063A (zh) 一种波纹钢板拱式桥涵固定支座
KR102179116B1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탄성받침 및 교체방법
JP6181960B2 (ja) 縦目地伸縮装置
KR100835188B1 (ko) 크레인용 레일 고정장치
KR101891099B1 (ko)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100846234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장치
CN211872608U (zh) 一种耐久性伸缩装置
CN212184726U (zh) 海上养殖浮架缓冲装置
JP6595835B2 (ja) 雪止め構造及び建物
CN203559404U (zh) 一种突体及安装该突体的泄槽
CN214328497U (zh) 一种正弦式桥梁伸缩缝
WO2016072881A1 (ru) Элемент водоотводного канала
KR101236738B1 (ko) 선박용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KR101118703B1 (ko) 레일 고정장치
KR20210033652A (ko)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CN220435187U (zh) 转接组件及光伏安装结构
KR100914717B1 (ko) 강화 노치플레이트
KR101874417B1 (ko) 그레이팅용 고정장치
KR102627524B1 (ko) 그레이팅 연결 기구
CN220867973U (zh) 一种免维护无缝伸缩装置
JP2019127703A (ja) 固定金具及び床版の固定構造
CN214505881U (zh) 一种自适应弧容限位紧固电气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