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089B1 -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 Google Patents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089B1
KR102626089B1 KR1020230080859A KR20230080859A KR102626089B1 KR 102626089 B1 KR102626089 B1 KR 102626089B1 KR 1020230080859 A KR1020230080859 A KR 1020230080859A KR 20230080859 A KR20230080859 A KR 20230080859A KR 102626089 B1 KR102626089 B1 KR 10262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frame
deployment
frames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종환
송지은
송원석
Original Assignee
(주)킴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킴블스 filed Critical (주)킴블스
Priority to KR102023008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0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상터널장치는,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하여 터널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비상터널장치로서, 유연성과 내열성이 있는 패브릭커버; 패브릭커버가 외피로서 터널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내측에서 받쳐 지지하는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및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 및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쉘터프레임과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전개가이드; 를 포함하므로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한 터널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emergency tunn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tunnel device that can configure the shape of a tunnel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cene, and includes a flexible and heat-resistant fabric cover; The fabric cov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supported on the inside so that the fabric cover can have a tunnel shape as the outer shell, and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A deployment guide that guides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shelter frames; Since it includes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form a tunnel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ite is disclosed.

Description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s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본 발명은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해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상터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tunnel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cene.

화재현장에서 소화활동이나 인명구조활동을 하기 위해서 소방관 등 구조대가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고 화재현장 안으로 진입해야 하므로 진입이 가능한 화재 현장에서만 인명구조활동이 가능하다.In order to carry out firefighting or lifesaving activities at a fire scene, rescue teams such as firefighters must wear oxygen masks and enter the fire scene, so lifesaving activities are only possible at fire sites where entry is possible.

실제 화재가 발생된 경우 건물 안쪽에서 고립된 인명은 구조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인 경우가 많으며, 고온의 화염과 유독성 연기로 인하여 질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n actual fire, it is often very difficult to rescue people stranded inside the building, and suffocation may occur due to high-temperature flames and toxic smoke.

따라서 화재현장에서 인명구조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건물의 벽면을 따라 수직방향 즉, 승하강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난자를 탑승시키거나 이동시켜주기 위한 화재피난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었다.Therefore,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for life-saving activities at fire scenes are being proposed, and many fire evacuation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board or move evacuees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along the wall of the building.

하지만,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에 구조대가 수평적으로 집입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을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구조대가 직접 불길속으로 진입하고 피난자를 구조하여 외부로 대피시키는 과정에서 화염 및 낙하물로부터 피난자를 보호해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applying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in order for the rescue team to horizontally enter the building where the fire broke out, and the rescue team entered the fire directly, rescued the evacuees, and escaped the flames and falling objects in the process of evacuating them to the outside. There was a need to protect refugees.

따라서 고온의 화염과 낙하물로부터 피난자와 구조대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technology is required that can help evacuees and rescue teams move safely from high-temperature flames and falling objec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78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5378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난자와 구조대가 고온의 화염과 낙하물로부터 보호되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that helps evacuees and rescuers move safely while being protected from high-temperature flames and falling obj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는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하여 터널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비상터널장치로서, 유연성과 내열성이 있는 패브릭커버(fabric cover); 상기 패브릭커버가 외피로서 외형상 상측과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는 터널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상기 패브릭커버를 내측에서 받쳐 지지하는 다수개의 쉘터프레임(shelter frame); 및 상기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 및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쉘터프레임과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전개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n emergency tunnel device that can configure the shape of a tunnel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cene, and has a flexible and heat-resistant fabric cover (fabric cover);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supporting the fabric cover from the inside so that the fabric cover has a tunnel shape covering the top, left, and right sides in appearance as an outer shell; and a deployment gui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guiding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Including may be considered as a feature.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쉘터프레임은 'ㄷ' 자 형태 또는 ∩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바퀴가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의 하측단 각각에 장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have a 'ㄷ' shape or ∩ shape, and a moving wheel that assists movement of expand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it is mounted on each lower end of the second shelter frame.

여기서, 상기 제1 쉘터프레임 및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주거나 축소시켜주는 전개액츄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 deployment actu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and expanding or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it further includes .

여기서, 상기 전개가이드는 다수개이고, 다수개의 상기 전개가이드 각각은, 소정의 길이를 갖춘 바 형태의 제1 전개프레임 및 제2 전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프레임 및 상기 제2 전개프레임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각기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제1 쉘터프레임과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includes a first deployment frame and a second deployment frame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ach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one side end and the other side end are respectively hing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there is.

나아가, 상기 전개가이드의 상기 제1 전개프레임 및 상기 제2 전개프레임은, 상호간에 소정의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X 자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first deployment frame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of the deployment guide are hinged to form an X shape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중 전측단에 배치되는 쉘터프레임에는 핸들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handle is provided on the shelter frame disposed at the front end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so that the user can expand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본 발명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는 소방관이나 구조대 등의 사용자가 화재현장에서 간이하게 터널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 진입시 낙하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비상터널장치에 의해 구조퇴로가 확보되므로 안전하게 피난자를 대피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such as firefighters or rescue teams to easily form a tunnel at the fire scene, so they can be protected from falling objects when entering the fire scene, and the rescue route is secured by the emergency tunnel device, so it is safe. It has the effect of evacuating refuge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에서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전개된 상태일 때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가 접혀진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전개된 상태일 때 전개액츄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전개액츄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elter frame and deployment guide i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rm of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deployment guides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lded form of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deployment guides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olded state.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form of a deployment actuator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Figure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form of the deployment actuator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olded stat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an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can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one component by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에서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전개된 상태일 때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및 전개가이드가 접혀진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elter frame and deployment guide i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deployment guides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and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a deploymen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lded form of multiple shelter frames and deployment guides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is in a folded stat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10)는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하여 터널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비상터널장치(10)로서, 패브릭커버(fabric cover)(100), 다수개의 쉘터프레임(shelter frame)(200) 및 전개가이드(300)를 포함하며, 여기에 전개액츄에이터(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emergency tunnel device 10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tunnel device 10 that can configure the shape of a tunnel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cene, and includes a fabric cover. It includes a fabric cover (100),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and a deployment guide (300), and may further include a deployment actuator (400).

패브릭커버(fabric cover)(100)는 유연성과 내열성, 내화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브릭커버(100)는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10)(이하 간단히 '터널장치'로 약칭함.)의 외피로서 외형상 터널장치(10)의 상측과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한다. The fabric cover 10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flexible, heat resistant, and fire resistant. This fabric cover 100 is the outer shell of the emergency tunnel device 10 for fire scenes (hereinafter simply abbreviated as 'tunnel device') and covers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unnel device 10 in appearance.

이러한 패브릭커버(100)는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 그리고 내열성, 내화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화재현장에서 화염에 의해 타지 않으며, 열에 강한 내구성이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사용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Since this fabric cover 10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Also, since it is made of heat-resistant and fire-resistant material, it does not burn by flame at a fire scene, and it is highly durable against heat, so it can be said to be suitable for use at a fire scene.

패브릭커버(100)에 의해 외부의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터널장치 내측을 통과하는 피난자와 구조자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피해입는 것을 억제해줄 수 있다.Since the transfer of external heat to the inside is suppressed by the fabric cov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refugees and rescuers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unnel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heat.

한 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패브릭커버(100)의 외측에는 화재열기로부터 패브릭커버를 냉각시켜주기 위한 냉각수를 배출시켜주는 냉각호스가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즉 패브릭커버(100)의 외측에 배치된 냉각호스에 노즐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노즐들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패브릭커버(100)의 외피표면상에 공급되면 화재열기로부터 패브릭커버(100)를 냉각시켜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a cooling hose on the outside of the fabric cover 100 that discharges coolant to cool the fabric cover from fire heat. That is,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on the cooling hos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abric cover 100, and when water dr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is suppl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bric cover 100, the fabric cover 100 is protected from the heat of the fire. It is desirable because it can cool the.

다수개의 쉘터프레임(shelter frame)(200)은 패브릭커버(100)가 외피로서 외형상 상측과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는 터널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패브릭커버(100)를 내측에서 받쳐 지지한다. 즉, 쉘터프레임(200)은 터널장치(10)가 터널형태를 갖추고 유지할 수 있는 뼈대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support the fabric cover 100 from the inside so that the fabric cover 100 has a tunnel shape covering the top, left, and right sides as an outer shell.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helter frame 200 functions as a framework for the tunnel device 10 to establish and maintain the tunnel shape.

따라서 이러한 쉘터프레임(200)은 경도와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helter frame 20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hard and durable.

아울러 이러한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은 패브릭커버(100)가 터널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ㄷ' 자 형태 또는 ∩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have a 'ㄷ' shape or ∩ shape as referenced in the drawings so that the fabric cover 100 can have a tunnel shape.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은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반대로 서로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터널장치(10)가 접혀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may be deploy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m widens, or conversely, the tunnel device 10 may be folded as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후술할 전개가이드(300)가 쉘터프레임(200)에 결합된다.In order to guide the widening or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a deployment guid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helter frame 200.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쉘터프레임(200)에는 레일홈(20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일홈(205)에 전개가이드(300)가 결합되어 쉘터프레임(200)간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레일홈(205)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쉘터프레임(200)의 좌측, 우측 및 상측에 각기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referenced in the drawing, each shelter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205. And the deployment guide 300 is coupled to this rail groove 205,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or support the gap between the shelter frames 200. As referenced in the drawings, these rail grooves 205 are preferably provided on the left, right, and upper sides of the shelter frame 200, respectively.

그리고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210) 및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바퀴(250)가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의 하측단 각각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a moving wheel 250 that assists in expanding or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is installed on the first shelter frame (200). 210) and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respectively.

이동바퀴(250)가 쉘터프레임(200)을 받쳐주므로 사용자가 쉘터프레임(200)을 밀거나 이끄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이 전개되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접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moving wheel 250 supports the shelter frame 200, the user can easily push or lead the shelter frame 200. In addition, a folding ope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are deployed or the gap between them is narrowed can be performed smoothly.

그리고, 소방관 등 본 터널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중 전측단에 배치되는 쉘터프레임(200)에는 핸들(230)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helter frame 20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can be expanded by users who use the tunnel device 10, such as firefighters. )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230.

사용자가 핸들(230)을 잡고 쉘터프레임(200)을 밀거나 이끄는 동작을 통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반대로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접힘 또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can be expand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le 230 and pushing or leading the shelter frame 200. Of course, on the contrary, folding may also be perform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사용자가 핸들(230)을 잡고 쉘터프레임(200)을 밀거나 이끄는 동작을 통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전개가 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장치(10)가 터널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핸들(230)을 잡고 쉘터프레임(200)을 잡아당김으로써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접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the user holds the handle 230 and pushes or leads the shelter frame 200,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expands, and as shown in FIG. 1, the tunnel device 10 forms a tunnel. forms a shape. Conversely,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30 and pulls the shelter frame 200, folding may be achiev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전개가이드(300)는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210) 및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한다.The deployment guid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and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 220) guides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them.

이러한 전개가이드(300)는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 사이 사이에 전개가이드(300)가 배치되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의 전개를 가이드하여 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uch deployment guides 300 are provi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loyment guid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to guide the deployment of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쉘터프레임(200) 사이에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전개가이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쉘터프레임(200)의 좌측과 상측 그리고 우측 각각에 전개가이드(300)가 배치됨으로써 다수개의 전개가이드(300)가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And, as referred to in FIG. 2, a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300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shelter frames 200. That is, the deployment guides 300 are disposed on the left, upper, and right sides of each neighboring shelter frame 200, thereby form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300 are arranged.

이처럼 다수개의 전개가이드(300)가 서로 이웃하는 쉘터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면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접힘동작이나 멀어지는 전개동작이 안정적으로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300 are arranged between neighboring shelter frames 200, a folding opera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 shelter frames 200 or a deployment operation that moves away can be performed stably and easily.

그리고, 좀 더 구체적인 전개가이드(300)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수개의 전개가이드(300) 각각은, 소정의 길이를 갖춘 바 형태의 제1 전개프레임(310) 및 제2 전개프레임(320)을 포함하며, 제1 전개프레임(310) 및 제2 전개프레임(320)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각기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에 힌지결합되어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o describe the form of the deployment guide 300 in more detail, each of the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300 includes a first deployment frame 310 and a second deployment frame 320 in the form of a ba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e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are hing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respectively, to form the first shelter frame. It is desirable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이러한 전개가이드(3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개가이드(300)의 제1 전개프레임(310) 및 제2 전개프레임(320)은 상호간에 소정의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X 자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referenced in the drawings of the deployment guide 300,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of the deployment guide 300 are hinged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desirable to form an X.

그리고, 제1 전개프레임(310) 및 제2 전개프레임(320)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기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에 힌지결합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쉘터프레임(200)의 레일홈(205)을 따라 제1 전개프레임(310)이나 제2 전개프레임(320)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are hing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respectively, in the shelter frame described above. This means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or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are hinged so that they can move along the rail groove 205 of (200).

이와 같이 제1 전개프레임(310)과 제2 전개프레임(320)의 양 끝단이 쉘터프레임(200)에 마련된 레일홈(205)을 따라 이동되면서 X 자 형태의 전개가이드(300)가 도 3에서와 같이 전개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접혀지는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개가이드(300)가 전개되거나 접혀짐에 따라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이 멀리 이격되거나 좁혀지는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줄 수 있다.In this way, as both ends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move along the rail groove 205 provided in the shelter frame 200, the X-shaped deployment guide 300 is shown in FIG. 3. It can be deployed or folded as shown in Figure 4, and as the deployment guide 300 is deployed or folded, it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200 to be spaced apart or narrowed. there is.

그리고 다수개의 전개가이드(300)는 서로 움직임이 연동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전개가이드(300)의 제1 전개프레임(310) 끝단이 이웃하는 전개가이드(300)의 제2 전개프레임(320) 끝단과 힌지결합되면 서로 이웃하는 전개가이드(300)의 움직임이 연동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쉘터프레임(200)이 이격되는 전개나 좁혀지는 접힘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And the movements of the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30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end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310 of one deployment guide 300 is hing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deployment frame 320 of the neighboring deployment guide 300, the movement of the neighboring deployment guides 300 occurs. Since these can be interlocked, the unfolding or narrowing folding operation in which the multiple shelter frames 200 are spaced apart can be easily performed.

전개액츄에이터(400)는 제1 쉘터프레임(210) 및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주거나 축소시켜준다. The deployment actuator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and expands or reduces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give.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230)을 잡고 쉘터프레임(200)을 끌거나 당기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도 쉘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움직임도 가능하지만 전개액츄에이터(400)의 힘에 의해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개액츄에이터(400)의 바람직한 예로서 유압실린더(400)를 들을 수 있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between the shelter frames 200 can be expanded or reduced by the force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230 and dragging or pulling the shelter frame 200, but the force of the deployment actuator 400 is also possible. It is also possible by A hydraulic cylinder 400 can be cited as a preferred example of such an expansion actuator 400.

즉, 실린더(410)의 일측단이 제1 쉘터프레임(210)에 결합되고 피스톤로드(420)의 타측단이 제2 쉘터프레임(220)에 결합됨으로써 전개액츄에이터(400)가 제1 쉘터프레임(210) 및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one end of the cylinder 410 is coupl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rod 420 is coupled to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so that the deployment actuator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도 3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410)의 일측단이 제1 쉘터프레임(210)에 고정결합되고, 제2 쉘터프레임(220)에 피스톤로드(420)의 타측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전개액츄에이터(400)에서 피스톤로드(420)가 실린더(410)로부터 밀려나오는 동작이나 실린더(4100) 내로 당겨들어가는 동작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one end of the cylinder 41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rod 4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 In the deployment actuator 400 combined in this way, the piston rod 420 is pushed out from the cylinder 410 or pulled into the cylinder 4100, so that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are adjacent to each other. (220) The spacing between them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전개액츄에이터(400)에 의해 제1 쉘터프레임(210)과 제2 쉘터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개액츄에이터(400)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조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230)에 전개액츄에이터(400)의 동작을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전개액츄에이터(400)의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210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220 can be narrowed or moved apart by the deployment actuator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deployment actuator 400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You can. For example, it is desirable if the handle 230 is equipped with a switch (not shown) that can switch the operation of the deployment actuator 400 becaus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ployment actuator 400.

참고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form shown in Figures 5 and 6 is also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전개된 상태일 때 전개액츄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전개액츄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form of the deployment actuator when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and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a fire scene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different forms of the deployment actuator when in the state.

도 5 및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개액츄이어터(400)의 양측단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210) 및 제2 쉘터프레임(220)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동작매커니즘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대동소이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 it is also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deployment actuator 400 are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210 and 220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operating mechanism is largely the same as the ca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는 소방관이나 구조대 등의 사용자가 화재현장에서 간이하게 터널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 진입시 낙하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비상터널장치에 의해 안전한 구조퇴로가 확보되므로 안전하게 피난자를 대피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such as firefighters or rescue teams to easily form a tunnel at the fire scene, so they can be protected from falling objects when entering the fire scene, and a safe rescue route is secured by the emergency tunnel device. Therefore, it is effective in safely evacuating refugees.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by referr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later.

10 :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
100 : 패브릭커버
200 : 쉘터프레임
210 : 제1 쉘터프레임 220 : 제2 쉘터프레임
230 : 핸들 250 : 이동바퀴
300 : 전개가이드
310 : 제1 전개프레임 320 : 제2 전개프레임
400 : 전개액츄에이터
10: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
100: Fabric cover
200: Shelter frame
210: 1st shelter frame 220: 2nd shelter frame
230: handle 250: moving wheel
300: Deployment guide
310: first deployment frame 320: second deployment frame
400: Deployment actuator

Claims (6)

화재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위하여 터널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비상터널장치로서,
유연성과 내열성이 있는 패브릭커버(fabric cover);
상기 패브릭커버가 외피로서 외형상 상측과 좌측 및 우측을 커버하는 터널형태를 갖출 수 있도록 상기 패브릭커버를 내측에서 받쳐 지지하는 다수개의 쉘터프레임(shelter frame); 및
상기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쉘터프레임 및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쉘터프레임과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전개가이드; 및
상기 제1 쉘터프레임 및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주거나 축소시켜주는 전개액츄에이터;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쉘터프레임에는 레일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전개가이드가 결합되어 상기 쉘터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개가이드는 다수개이고,
다수개의 상기 전개가이드 각각은,
소정의 길이를 갖춘 바 형태의 제1 전개프레임 및 제2 전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프레임 및 상기 제2 전개프레임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각기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제1 전개프레임 및 상기 제2 전개프레임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며,
상기 전개가이드의 상기 제1 전개프레임 및 상기 제2 전개프레임은,
상호간에 소정의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X자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전개액츄에이터의 양측단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쉘터프레임 및 상기 제2 쉘터프레임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
It is an emergency tunnel device that can configure the shape of a tunnel for relief activities at a fire scene,
Flexible and heat-resistant fabric cover;
A plurality of shelter frames supporting the fabric cover from the inside so that the fabric cover has a tunnel shape covering the top, left, and right sides in appearance as an outer shell; and
A deployment guid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and guiding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and
a deployment actu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and expanding or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Including,
Each of the shelter frames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and the deployment guide is coupled to the rail groove to adjust or support the gap between the shelter frames,
There are multiple deployment guides,
Each of the plurality of deployment guides is,
It includes a first deployment frame and a second deployment frame in the form of a ba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deployment frame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are hinged to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respectively, and the first deployment frame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are connected along the rail groov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frame are hinged so that they can move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The first deployment frame and the second deployment frame of the deployment guide are,
They are hinged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ming an X shap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deployment actuator are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elter fram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쉘터프레임은 'ㄷ' 자 형태 또는 ∩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바퀴가 상기 제1 쉘터프레임과 상기 제2 쉘터프레임의 하측단 각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plurality of the above shelter frames have a 'ㄷ' shape or ∩ shape,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wheels that assist movement in expand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are mounted on each lower end of the first shelter frame and the second shelter frame,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쉘터프레임 중 전측단에 배치되는 쉘터프레임에는 핸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shelter fram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is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is provid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ter frames can be expanded by the user.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cenes.

KR1020230080859A 2023-06-23 2023-06-23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KR102626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859A KR102626089B1 (en) 2023-06-23 2023-06-23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859A KR102626089B1 (en) 2023-06-23 2023-06-23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089B1 true KR102626089B1 (en) 2024-01-17

Family

ID=8971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859A KR102626089B1 (en) 2023-06-23 2023-06-23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0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153788B1 (en) 2012-02-23 2012-06-13 류순모 An apparatus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20190096195A (en) * 2018-02-08 2019-08-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153788B1 (en) 2012-02-23 2012-06-13 류순모 An apparatus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20190096195A (en) * 2018-02-08 2019-08-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495B1 (en)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KR102076672B1 (en) Strong fire fighting and Disaster escaper devices
KR102626089B1 (en)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CN103635232A (en)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WO2006043889A1 (en) A tunnel cover for a tunnel for controlled ventilation of gas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933376B1 (en) Life-saving ladder using boarding chute and chute
KR20100092175A (en) Fire escape apparatus
JP5897424B2 (en) Aerial work basket
KR20150102832A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KR101480956B1 (en) Foldable evacuating pathway
KR101663028B1 (en) A safety banister for evacuaton a fire
KR20210022883A (en) Foldable evacuation passage
KR102027807B1 (en)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JP3102376B2 (en) Fire protection screen device
JP4725424B2 (en) Fireproof sliding door
KR102109587B1 (en) Pull-out shelter device
KR101297429B1 (en)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JP6452045B2 (en) Fire protection zone formation auxiliary device
CN112516475A (en) Combined fireproof passage
JP2007307248A (en) Fire extinguisher
KR20060108090A (en) Basket for fire truck
JP3215058U (en) Rucksack for fire extinguisher transportation
KR20100138588A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2365512B1 (en) Firefighting Elevated Ladd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