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883A - Foldable evacuation passage - Google Patents

Foldable evacuation pa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883A
KR20210022883A KR1020190102212A KR20190102212A KR20210022883A KR 20210022883 A KR20210022883 A KR 20210022883A KR 1020190102212 A KR1020190102212 A KR 1020190102212A KR 20190102212 A KR20190102212 A KR 20190102212A KR 20210022883 A KR20210022883 A KR 2021002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evacuation passage
vertical screen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9390B1 (en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권태순
임휘영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0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90B1/en
Publication of KR2021002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Abstract

Provided is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with a pleated screen, which comprises a fixed frame, an upper screen, a vertical screen, a holder frame, a folding frame and a box part. The fixed frame extends along the wall surface and forms an air supply passage therein. The upper screen is unfolded in case of emergency to form an upper part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 vertical screen is lowered in case of emergency to form a side part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 holder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so that an end of the upper screen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are fixed. The folding frame moves the holder frame outwardly from the wall surface in case of emergency. The box part normally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xed frame, the upper screen, the vertical screen, the holder frame, and the folding frame, and extends along the wall surface.

Description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FOLDABLE EVACUATION PASSAGE}Foldable evacuation passage with wrinkled screen {FOLDABLE EVACUATION PASSAGE}

본 발명은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이나 지하 공간 등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에 긴급하게 펼쳐져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and more particularly, a foldable evacuation with a foldable screen that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r an underground space and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passage that can be urgently deploy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the user can safely evacuate. It's about the passage.

실내 공간이나 지하 공간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피난자들의 대피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563호에서는, 접혀있던 상태에서 펼쳐지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공간에서 피난자들이 구출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피난자들은 해당 공간에서 머물러 있어야 하는 것으로, 비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난자들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Regarding the technology that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r an underground space to secure an evacuation space for evacuees in an emergenc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7563, it is unfolded in a folded stat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 technology that allows them to wait for them to be rescued is being disclosed, but evacuees must stay in the space,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evacuees can be exposed to danger as it is depending on the type of emergency.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에서는, 측면에서 롤스크린이 하강하여 피난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개시하며, 이를 통해, 피난자들이 외부로 피난 통로를 따라 피난할 수 있으며, 롤 스크린을 통해 형성되는 피난 통로의 내부에 화재 등으로 인한 연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양압 형성 기술도 개시하고 있다. According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294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roll screen descends from the side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through which evacuees can evacuate along the evacuation passage to the outside, and formed through a roll screen. A positive pressure forming technology is also being disclosed to block smoke from a fire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나아가,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24232호에서도, 롤 스크린이 하강하여 피난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개시하며, 내측에 물을 분사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Furthermor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24232 also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roll screen descends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and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prayed inside.

이상과 같이, 다수의 비상 대피통로와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설치 구조나 설치 비용 등의 문제와, 설치 공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현장 설치의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As described above, technologies related to a number of emergency evacuation passages have been developed,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structure, installation cost, and an increase in installation space to be applied to the actual site. It's a situ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56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756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2942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24232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2423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의 설치 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며, 비상시에 작동이 용이하며, 계단과 같은 경사구간에 적용될 수 있어, 사용성,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occupies a minimum of usual installation space, is easy to operate in an emergency, and can be applied to an inclined section such as a staircase, so that the usability, convenience and It relates to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to which a wrinkle screen with improved safety is appli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피통로는 고정 프레임, 상부 스크린, 수직 스크린, 홀더 프레임, 접이 프레임 및 상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벽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스크린은 비상시에 펼쳐져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하강하여 대피통로의 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홀더 프레임은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크린의 끝단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접이 프레임은 비상시에 상기 홀더 프레임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자부는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상기 홀더 프레임 및 상기 접이 프레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연장된다.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an upper screen, a vertical screen, a holder frame, a folding frame, and a box part. The fixed frame extends along the wall and forms an air supply passage therein. The upper screen is unfolded in an emergency to form the upper part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 vertical screen descends in an emergency to form the 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 holder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and an end of the upper screen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are fixed. The folding frame moves the holder frame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in an emergency. The box portion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xed frame, the upper screen, the vertical screen, the holder frame, and the folding frame, and extends along the wall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외면에 복수의 배기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부들로 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ed frame may have a plurality of exhaust port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discharge air supplied to the supply passage to the exhaust port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and a rotating frame fix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fixed fram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frame for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부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may be changed by a switching unit located inside the holder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는 고정(locking)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회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frame includes a rotation bar that rotates to unwind or wind the wire, and in an emergency, the rotation bar may be released from a locked state to rot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스크린이 펼쳐지고, 상기 수직 스크린이 하강하는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frame may include a speed adjusting unit that controls a speed at which the rotation bar rotates, and a speed at which the upper screen is unfolded and the vertical screen descends may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side of the fixing frame, fixing the folding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경사각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사이의 고정각을 변경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n inclination angle fixing pin for fixing the folding frame, and the inclination angle fixing pin is moved in a moving space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and is fixed between the folding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You can change the ang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주름지며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may be unfolded from a wrinkled and folded state in an emergenc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자중으로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screen includes a load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at a lower end, and the vertical screen may descen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weight of the load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하면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중부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ski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 unit, and sealing a space between the load unit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vertical screen is unfol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olding frame includes a first join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a first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par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join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portion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일 실시예에서, 평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접혀져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normal time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folded to overlap each other, and in an emergenc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spread to each other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evacuation passage. I can.

일 실시예에서, 평상시에 상기 벽면에 고정되며, 비상시에 상기 벽면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 상에 상기 대피통로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간문, 및 상기 수직 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대피통로의 내부로 피난자가 진입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intermediate door that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at normal times and is unfolded from the wall surface in an emergency and is positioned on the evacuation pass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vacuation passage, and a cutoff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screen. It is connected, it may further include an entrance door to the evacuee enters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연장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screen may be un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일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보다 길게 연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cree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ded screen extending longer than the vertical screen in a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및 상기 확장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확장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and an extension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the vertical screen, and the expansion screen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확장 와이어가 고정되는 확장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fix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fixing fram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frame to unwind or wind the wire, the rotating frame, the pulley to which the wire is fixed, and the extension wire to be fixed It may include a pulley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pulle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상시에 접이식 대피통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비상시에 피난자가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은 물론,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사용성이나 편의성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n normal times, it is possible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with sufficient space for evacu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secure spa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ability, convenience, and user safety.

특히, 비상시 대피통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 이러한 공기 주입 구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접이식 대피통로의 필수 구조물인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통로로 이용하고, 고정 프레임에 배기부들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공기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ject fresh air into the evacuation passag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by solving the problem of having to separately install such an air injection structure in the past,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which is an essential structure of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s used as the supply passage. , By forming the exhaust parts in the fixed fra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ir injection while improving space usability.

또한, 접이 프레임이 접혔다 펼쳐지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상시에 상부 스크린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대피 통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스크린은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비스듬하게 하강하되 상기 접이 프레임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olding frame is folded and unfolded, the upper screen is naturally unfolded in an emergency and can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In this case, the upper screen is lowered obliquely by its own weight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riving force. However,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folding frame.

또한, 수직 스크린의 경우도,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하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를 생략할 수 있어 대피통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rtical screen, it is possible to descend in a vertical direction by its own weight without providing a driving force of a separate driving unit.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evacuation passage.

이 경우, 상부 스크린 및 수직 스크린은 고정된 와이어가 고정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함께 하강하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인 하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속도 조절부를 통해 회전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하강함으로써, 피난자가 부상당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wire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descends with the wire, and an effective lowering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bar through the speed control unit By descending at an excessively high speed, problems such as injuries of a refuge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의 연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대피 공간의 상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대피 공간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부 스크린의 하강 속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Further, by adjusting the extension angle of the folding fra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space can be adjusted, the size of the evacuation space can be changed, and the lowering speed of the upper screen can be changed.

또한, 수직 스크린의 하부에는 하중부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수직 스크린의 하부와 바닥 사이의 공간의 밀폐를 위해 스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load portion under the vertical screen, it is possible to naturally induce a descent due to its own w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kir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creen and the floor.

또한, 수직 스크린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 외에,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상단 및 하단의 시작 위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접이식 대피통로는 바닥이 평행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 외에, 바닥이 경사진 경사 공간, 특히 계단이 설치된 경사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varying the starting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the vertical screen is unfol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un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is installed in a space where the floor is parallel, and the floor is inclined. It can also be installed in a space, especially an inclined space where stairs are installed.

특히, 수직 스크린의 하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확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수직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계단이 설치되거나, 별도의 함입 공간 등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forming an expansion screen that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of the vertical screen in a partial area of the vertical screen, when a staircase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a separate recessed space is formed, the corresponding space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크린을 제외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대피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ing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fixed to a wall surfac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excluding a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vacuation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7 is a side view of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outside.
8 is a conceptual diagram observing from the outside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9 is a conceptual diagram observing from the outside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s unfol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sinc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obtain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ing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1)는 실내 공간이나 지하 공간 등의 벽면(5)에 설치되는 통로유닛(10) 및 상기 통로유닛(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문(2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under the passage unit 10 and the passage unit 10 installed on a wall surface 5 such as an indoor space or an underground space. It includes an intermediate door (20).

상기 통로유닛(10)은 소정의 길이만큼의 단위로 설치되어, 복수개가 상기 벽면(5) 상에 연장되며 연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문(20)은 서로 인접하는 통로유닛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assage units 10 are install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the passage units may extend on the wall surface 5 and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nd the intermediate doors 20 may be provided between passag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located.

이 경우, 상기 통로유닛(10)의 길이나 상기 중간문(20)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passage unit 10 or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door 20 may be variously designed.

상기 통로유닛(10)은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가 평상시에 벽면(5)에 설치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passage unit 10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is normall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5, and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크린을 제외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대피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측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fixed to a wall surfac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excluding a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vacuation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of FIG. 1 is unfolded. 7 is a side view of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outside.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는 상자부(100), 고정 프레임(200), 연결 프레임(300), 접이 프레임(400), 홀더 프레임(500), 회전 프레임(600), 상부 스크린(700), 수직 스크린(800) 및 와이어(900)를 포함한다. 2 to 7,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1 is a box part 100, a fixed frame 200, a connection frame 300, a folding frame 400, a holder frame 500, a rotating frame ( 600), an upper screen 700, a vertical screen 800 and a wire 900.

상기 상자부(100)는 내부에 수납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1)에는, 평상시에, 상기 중간문(20)을 제외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위치한다. The box part 100 forms a storage space 101 therein, and in the storage space 101, all components of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except for the intermediate door 20 are normally Located.

이 경우, 상기 상자부(100)는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일 면이 상기 벽면(5)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x portion 100 may have, for example, a quadrangular cross-section, and may have one side fixed to the wall surface 5, and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또한, 상기 상자부(10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통로유닛(10)의 외면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box portion 100 correspo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ssage unit 10 shown in FIG. 1.

한편, 비상시에, 상기 상자부(100)는 외부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상자부(100)의 제거를 위한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an emergency, the box part 100 may be removed to the outside, and a structure for removing the box part 100 is not limited.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벽면(5)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 통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내부에 상기 급기 통로(201)가 형성되는 구조이면,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The fixed frame 200 extends along the wall surface 5, and an air supply passage is formed therein. In this case, if the fixed frame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supply passage 201 is formed there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may be variously formed,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이 경우, 상기 급기 통로(20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공기 급기부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air supply passage 201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air supply unit to receive air therein.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이 일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는 복수의 배기부들(20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xhaust portions 20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그리하여, 비상시에, 상기 급기 통로(2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선한 공기는 상기 배기부들(202)을 통해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가 형성하는 대피통로(7)로 공급되며, 이에 상기 대피통로(7)의 내부에는 양압이 형성되어, 상기 대피통로(7)의 외부로부터 화재로 인한 연기 등의 위험물질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in an emergency, fresh air provid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201 is supplied to the evacuation passage 7 formed by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through the exhaust portions 202, and thus the evacuation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passage 7 to prevent entry of dangerous substances such as smoke from fire from the out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의 급기를 위해 별도의 공기 급기관을 생략하면서도, 구성요소들의 고정을 위한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관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을 생략하여 설치비용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by omitting a separate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air, and using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for fixing the components as a supply pipe,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space by omitting a separate structure Can be reduced.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일 면, 예를 들어, 상기 벽면(5)과 마주하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접이 프레임(400)을 고정한다. The connection frame 300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00, for example, a surface facing the wall surface 5, and fixes the folding frame 400.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경사각 고정핀(310)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을 통해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일 끝단을 고정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300 may include an inclined angle fixing pin 310, and one end of the folding frame 400 may be fixed through the inclined angle fixing pin 310.

한편,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는 이동 공간(32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공간(32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은 상기 이동 공간(32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Meanwhile, a moving space 32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300, and the moving space 3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us, the inclined angle fixing pin 310 may be guided and moved along the movement space 320.

즉, 상기 접이 프레임(400)을 고정하는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은, 상기 이동 공간(320)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연장 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the inclined angle fixing pin 310 for fixing the folding frame 400 may be positioned and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moving space 320, and through this, a pre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frame 300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extension angle of the folding frame 400 extending while forming an angle of.

이와 같이,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경사각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피통로(7)의 너비가 가변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changing the angle formed by the folding frame 40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frame 30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changes, an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evacuation passage 7 It can be variable.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연장되는 방향, 즉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정도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하강 속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연장 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lowering speed of the upper screen 7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ding frame 400 extends, that is, the degree of oblique extension, the extension of the folding frame 400 in consideration of this You can also change the angle in various ways.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팔이 굽혀졌다 펴지는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평상시에 도 2의 접힌 상태로부터, 비상시에 도 4와 같이 펼쳐진다. The folding frame 40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4 in an emergency from the folded state of FIG. 2 in a normal manner with a mechanism similar to that of bending and unfolding the arm.

이 경우,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복수개가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상기 연결 프레임(300)을 통해 고정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접이 프레임들(400)은 비상시에 동시에 펼쳐진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folding frames 400 are fixed to the fixing frame 200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300,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olding frames 400 are simultaneously unfolded in an emergency.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제1 관절부(410), 제1 연장부(420), 제2 관절부(430) 및 제2 연장부(440)를 포함한다. The folding frame 400 includes a first joint part 410, a first extension part 420, a second joint part 43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440.

상기 제1 관절부(410)는 상기 연결 프레임(300)의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장부(420)는 상기 제1 관절부(41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00)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위치하였다가(평상시),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수직인 방향으로 펼쳐진다(비상시). The first joint part 410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angle fixing pin 310 of the connection frame 300,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420 is directed toward the fixing frame 200 by the first joint part 410. It is located so as to be close to (usually), and then unfol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ed frame 200 (in an emergency).

이 경우, 상기 제1 연장부(420)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 연장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extension part 420 has a bar shape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2 관절부(430)는, 상기 제1 연장부(420) 및 상기 제2 연장부(440)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420, 440)이 상대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도록 한다. The second joint part 43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4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40,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420 and 440 are relatively folded. Let it unfold.

이 경우, 상기 제2 연장부(440)도 바(bar)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 여장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extension part 440 also has a bar shape and is elonga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연장부(420)와 상기 제2 연장부(440)는 서로 중첩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인접하도록 접혀 위치하지만, 비상시에는, 상기 제1 연장부(420)와 상기 제2 연장부(440)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수직인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Thus, in normal times, the first extension part 4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40 are folded to be adjacent to the fixed frame 200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but in an emergency, the first extension part ( 4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40 are sprea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ed frame 200 to form a fra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상기 제2 연장부(440)의 끝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홀더 공간(501)을 형성한다. The holder frame 500 is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440 of the folding frame 400 and forms a holder space 501 therein.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비상시에 펼쳐짐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근접한 위치에서부터,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끝단을 형성하게 된다. As the folding frame 400 is unfolded in an emergency, the holder frame 500 is moved away from the fixed frame 200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fixed frame 200 in a normal time as shown in FIG. 2. Accordingly,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is formed.

또한,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일 측, 즉 상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끝단(701)이 고정되며,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하면에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상단(801)이 고정된다. In addition, an end 701 of the upper screen 7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older frame 500, that is,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800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frame 500. 801 is fixed.

그리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50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상부 스크린(700)도 상기 끝단(701)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져,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펼쳐지게 된다. Thus, as the holder frame 500 moves away from the fixed frame 200, the upper screen 700 also has the end 701 away from the fixed frame 200, and naturally, the upper screen 700 Will unfold.

이 경우, 상기 상부 스크린(700)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상기 와이어(9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하강 방향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강 방향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In this case, the upper screen 700 and the vertical screen 8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 900, an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upper screen 700 an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screen 800 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wire 900.

이에,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홀딩 공간(501)에 전환부(510)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holder frame 500 includes a switching unit 510 in the holding space 501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900 is switched.

즉, 상기 전환부(510)는 장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외주면의 일부에 와이어가 접촉하며 연장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관통하며 연장된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전환부(510)에 접촉하며 하부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되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을 관통하며 연장되게 된다. That is, the conversion part 510 has a cylindrical bar shape that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re contacts and extends to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2, the upper screen 700 is in a diagonal direction. ), the wire 900 extends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switching unit 510 and is chang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extends through the vertical screen 800.

상기 회전 프레임(600)은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일 면, 예를 들어, 상면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 회전바(630) 및 풀리부(640)를 포함한다. The rotation frame 600 is fixed to one surface,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00, and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610 and 620, a rotation bar 630 and a pulley part 640 ).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은 각각 상기 회전 프레임(600)의 양 끝단에 해당되며, 상기 회전바(630)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에 고정된다.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610 and 620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frame 600,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rotation bar 630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 610, 620).

상기 회전바(630)는 별도의 구동력이 제공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고정장치에 고정(locking)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는다. The rotating bar 630 is natur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610 and 620 even if a separate driving force is not provided, and is normally locked to a separate fixing device, although not shown. ) Is not rotated.

그러나, 비상시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바(630)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회전하게 된다. However, in an emergency, the fixing device is released,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bar 630 rotat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풀리부(640)는 복수개가 상기 회전바(63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바(6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A plurality of the pulley parts 640 are fixed to the rotation bar 630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630.

이 경우, 상기 풀리부(640)에는 상기 와이어(900)가 감기게 되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회전바(6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풀리부(640)에 감긴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wire 900 is wound around the pulley part 640, and the wire 900 is positioned in a state wound around the pulley part 640 because the rotating bar 630 does not rotate in normal times. It is done.

그러나,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630)에 대한 고정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와이어(900)에 작용하는 자중에 의해 상기 풀리부(640)는 상기 회전바(630)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900)는 자중이 작용하는 만큼 지속해서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게 된다. However, in an emergency, when the fixing device for the rotation bar 630 is released, the pulley part 64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bar 630 by its own weight acting on the wire 900, and thus Accordingly, the wire 900 is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pulley portion 640 as long as its own weight acts.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끝단(701)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에 고정되며, 일 단(702)은 상기 회전 프레임(600)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600)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보호 또는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710)가 개재될 수 있다. The upper screen 700, as described above, the end 701 is fixed to the holder frame 500, one end 70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frame 600, the rotating frame 600 An upper cover part 710 for protecting or covering the upper screen 7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nd.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형상으로 평상시에는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되나, 비상시에는 접혀있던 주름이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As shown, the upper screen 700 has a wrinkle shape and is located in a folded state in normal times, but in an emergency, the folds that were folded are unfolded and the length is extended.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스크린(700)이 확장되면,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upper screen 700 is expanded,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is formed.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관통하며, 상기 풀리부(640)에 감긴 상태이며, 비상시에 상기 와이어(900)가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면서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In this case, the wire 900 penetrates the upper screen 700 in a normal state a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part 640, and the wire 900 starts to be unwound from the pulley part 640 in an emergency. While the upper screen 700 is uniformly sprea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900, the length is extended.

한편,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주름 형상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롤 스크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스크린(700)이 롤 스크린이라면,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상기 회전바(610)의 외주면에 직접 롤링되어 감긴 상태로부터 풀리며 펼쳐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creen 700 has been described by illustrating that it has a corrugated shape, but may be in the form of a roll screen, and if the upper screen 700 is a roll screen, the upper screen 700 is the rotating bar 610 ) Can be rolled direct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unfolded from the wound state.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801)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하면에 고정되며, 하단(802)에는 하중부(810)가 고정된다. As for the vertical screen 80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80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frame 500, and the load unit 810 is fixed to the lower end 802.

상기 수직 스크린(800)도 상기 상부 스크린(700)과 같은 주름 형상으로 평상시에는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되나, 비상시에는 접혀있던 주름이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The vertical screen 800 also has the same wrinkle shape as the upper screen 700 and is located in a folded state in normal times, but in an emergency, the folded wrinkle is spread and its length is extended.

이와 같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확장하게 되면, 상기 대피통로(7)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vertical screen 800 is expanded, a side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is form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screen 8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s shown in FIG. 7 when all of the vertical screens 800 are unfolded.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수직 스크린(800)을 관통하며, 비상시에 상기 와이어(900)가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면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도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In this case, the wire 900 penetrates the vertical screen 800 in normal times, and in an emergency, the wire 900 starts to be unwound from the pulley part 640, and the vertical screen 800 also passes through the wire ( 900) is spread uniformly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length is extended.

이 때,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전환부(510)를 통해 사선으로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9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wire 900 extends diagonally through the switching unit 510 and then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screen 800 is connected by a wire 90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screen 800 is unfolded in a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회전바(630)의 회전을 고정하던 고정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회전바(630)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에는 소정의 하중이 작용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 900 is released from the pulley part 640 while the rotation bar 630 starts to rotate as the fixing device that fixe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630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wire A predetermined load is to be applied to (900).

따라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기 하중부(810)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 및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물론, 이들을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900)에 소정의 하중을 인가하므로, 상기 회전바(630)의 고정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풀리부(640)부터 풀리게 된다. Accordingly, the load unit 81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creen 800 applies a predetermined load to the vertical screen 800 and the upper screen 700, as well as the wire 900 connecting them. Therefore, as the fixing device of the rotating bar 630 is released, the wire 900 is released from the pulley part 640.

한편,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 및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풀리부(640)도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more stably fix and connect the vertical screen 800 and the upper screen 700, a plurality of the wires 90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the pulley part ( A plurality of 640 may also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기 중간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벽면(5)에 고정되며, 상기 벽면(5)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도어(door)가 배치되도록 위치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상기 벽면(5)으로부터 회전되어 위치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벽면(5)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intermediate door 2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5 in normal times,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doo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5. As shown in FIG. 6, in an emergency, it is rotated from the wall surface 5 and the door is positioned to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5.

그리하여, 상기 중간문(2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대피 통로(7)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피난자는 상기 대피 통로(7)를 통과하며, 상기 중간문(20)을 개폐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Thus, the intermediate door 2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vacuation passage 7, as in FIG. 6, and the evacuee passes through the evacuation passage 7 and passes the intermediate door 20 It moves while opening and closing.

이와 같이, 상기 중간문(20)이 상기 대피 통로(7)의 중간 중간에 위치함에 따라, 일정 구역에서 상기 대피 통로(7)의 내부로 연기나 화재가 유입되더라도 인접 구역의 대피 통로로의 확장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intermediate door 2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even if smoke or fire flows into the evacuation passage 7 in a certain area, it is extended to the evacuation passage in the adjacent area. Can be blocked.

한편, 상기 하중부(810)의 하단에는, 스커트(82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skirt 820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 part 810.

상기 스커트(820)는 상기 하중부(8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하중부(81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추가로 연장된다. The skirt 820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ad part 810, and further extend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ad part 810 by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하여, 상기 하중부(810)가 바닥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하중부(810)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스커트(820)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Thus, even if the load part 810 is located on the floor surface, a space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load part 810 and the floor surface may be more effectively sealed through the skirt 820.

이 경우, 상기 스커트(820)는 상기 바닥면과의 효과적인 밀폐를 위해, 유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kirt 82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or effective sealing with the bottom surface.

한편, 비상시에,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하강하여 상기 대피 통로(7)의 측면을 밀폐하는 경우에도, 서로 인접한 통로유닛들(10) 사이의 수직 스크린들 사이에는 단절부(850)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ergency, even when the vertical screen 800 descends to seal the 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7, a cut-off portion 850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creens between the passage units 10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그리하여, 상기 단절부(850)는, 소위, 출입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난자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상기 대피 통로(7)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Thus, the disconnection part 850 may be used as a so-called entrance door, and a refugee may enter the evacuation passage 7 through the entrance door.

나아가, 상기 단절부(85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시 수직 스크린(800)의 외면에는 소정의 표시부(21)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난자에게 피난 방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21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creen 800 at all times so that the disconnection unit 850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through this, an evacuation direction can be easily provided to the evacuee. can do.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observing from the outside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다만,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홀더 프레임(500) 및 수직 스크린(800) 만을 도시하였다. However, in FIG. 8, only the holder frame 500 and the vertical screen 800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2)는 수직 스크린의 펼쳐지는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2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except for the unfolding shape of the vertical screen, so the same for the same components Reference numbers are used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바닥면이 평평한 지면인 경우, 앞서 설명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으나,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 또는, 계단이 형성된 바닥과 같은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로는 상기 하중부 또는 스커트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없다. When the floor surface is a flat surface, an evacuation passage 7 may be formed wit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described above, but if the floor surface is inclined, or if it is the same as a floor on which stairs are formed, the previously described foldable The evacuation passage 1 cannot effectively seal the space between the load part or the skirt and the floor surface.

이에,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접이식 대피통로(2)를 이용하여, 바닥면이 평면의 연장방향(X)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 만큼 기울어진 방향(A)으로 연장되는 경우라도,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면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다. Thus, as shown in FIG. 8, using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2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extends in a direction (A)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X) of the plane. Even if it 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evacuation passage 7 while effectively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loor surfaces.

즉,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 아니라, 평행 사변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펼쳐지게 되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은 경사면의 경사진 방향(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rtical screen 800 is unfolded, as a whole, it is unfolded to have a parallelogram shape, not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lower end 802 of the vertical screen 800 is an inclined direction (A) of the inclined surface. It can be extended along.

이 경우,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경사진 방향(A)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벽면(5)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의 연장방향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lder frame 500 may be fixed on the wall surface 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lined direction A,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wer end 802 of the vertical screen 800 is It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lder frame 500.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결국, 상기 고정 프레임(200) 및 상기 통로유닛(1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의 연장방향은 상기 통로유닛(1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Meanwhile, since the holder frame 500 eventually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200 and the passage unit 10,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wer end 802 of the vertical screen 800 is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age unit 10 extends.

이를 위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상단(801)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시작부(501)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지만, 하단(802)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시작부(501)로부터 소정 거리(B)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vertical screen 800 is positioned so that the start of the upper end 801 coincides with the start 501 of the holder frame 500, but the start of the lower 802 is It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start part 5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

그리하여,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상단(801)의 끝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끝부(502)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지만, 하단(802)의 끝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끝부(502)로부터 소정 거리(B)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Thus, the end of the upper end 801 of the vertical screen 800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end 502 of the holder frame 500, but the end of the lower end 802 is the end 502 of the holder frame 500 )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

이와 같은 형상 및 배열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연장됨으로써, 바닥면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경우라도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Since the vertical screen 800 is extended in such a shape and arrangemen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800 can effectively seal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even when the bottom surfac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나아가, 상기와 같은 형상 및 배열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일 끝단이 중력에 의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되는 부분은 인접한 수직 스크린(800)과 중첩되는 등, 수직 스크린들의 사이가 중첩되거나 불균일하게 연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urther, as the vertical screen 800 extends in the shape and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rtical screen 800 is disposed along an inclined surface, one end extends obliquely by gravity, and the extended portion is adjac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or non-uniform connection between vertical screens, such as overlapping with the vertical screen 800.

즉,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상측의 수직 스크린의 일 끝단이 하측의 수직 스크린 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더라도 서로 중첩되거나 불균일하게 연결되지 않으며,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vertical screen 800 is disposed along an inclined surface, even if one end of the vertical screen on the upper side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vertical screen on the lower side, they are not overlapped or uneven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pace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do.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9 is a conceptual diagram observing from the outside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s unfol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전 프레임(600)의 일부, 상부 스크린(700), 홀더 프레임(500) 및 수직 스크린(800) 만을 도시하였다. However, in FIG. 9,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a part of the rotating frame 600, the upper screen 700, the holder frame 500, and the vertical screen 800 are illustrated.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는 수직 스크린의 펼쳐지는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3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except for the unfolding shape of the vertical screen, so for the same components Reference numbers are used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바닥면이 평평한 지면 또는 경사진 지면인 경우, 앞서 설명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 2)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으나, 평평한 바닥면 또는 경사진 바닥면에 소정의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 2)로는 상기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없다. If the floor surface is a flat or inclined surface, an evacuation passage 7 may be formed wit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s 1 and 2 described above, but a predetermined depression or height on the flat or inclined floor surface If there are other sections, the space cannot be effectively sealed with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s (1, 2) described above.

이에,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가 확장 스크린(860) 및 관련 구성요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에 대한 밀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3 in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9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screen 860 and related components, thereby effectively sealing the depressions or sec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as described above. You will be able to do it.

즉,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에서는, 풀리부(650)가, 풀리(651) 외에 확장 풀리(652)를 더 포함하며, 와이어(900) 외에 확장 와이어(90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장 스크린(860), 확장 하중부(811) 및 확장 스커트(821)를 더 포함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9, in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3 in this embodiment, the pulley portion 650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pulley 652 in addition to the pulley 651, and expands in addition to the wire 900 It further includes a wire 901, and further includes the expansion screen 860, the expansion load unit 811, and the expansion skirt 821.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의 수직 스크린(800)의 일정 영역(즉, 일정 구간)에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3, the expansion screen 86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ertain area (ie, a certain section) of the vertical screen 800 of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이 경우,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구비되는 영역이나 구간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의 길이나 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9에서는 하나의 확장 스크린(860)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확장 스크린은 복수개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rea or section in which the expansion screen 860 is provide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r area of a sect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or a depres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only one extended screen 860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extended screens may have different lengths.

상기 확장 스크린(860)은 상기 수직 스크린(800)과 동일하게 주름 형태의 스크린이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에는 상기 확장 하중부(81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 스크린(860) 역시 자중에 의해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The expansion screen 86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rrugated screen is unfol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ertical screen 800, and the expansion load part 8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expansion screen 860 is also The descen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확장 하중부(811)의 하면에는 상기 확장 스커트(82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 하중부(811)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pansion skirt 82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pansion load part 811,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expansion load part 811 and the floor surface may be more effectively sealed.

이 경우, 상기 확장 스커트(821)가 유연성 소재일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skirt 821 may be a flexible material.

한편, 상기 확장 스크린(860) 및 상기 확장 스크린(8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스크린(800) 및 상부 스크린(700)은, 도 1에서 설명한 와이어들(900)과는 다른 확장 와이어(90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Meanwhile, the extended screen 860 and the vertical screen 800 and the upper screen 700 positioned above the extended screen 860 are extended wires 901 different from the wires 900 described in FIG.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즉, 상기 확장 스크린(860)에 의해,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확장 와이어(901)는 여타의 와이어들(900)보다 긴 와이어가 적용되어야 한다. That is, since the length extended as a whole is increased by the expansion screen 860, a wire longer than the other wires 900 should be applied to the expansion wire 901.

나아가, 상기 확장 스크린(860)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모두 펼쳐진 이후에도, 추가로 펼쳐져야 하므로, 상기 확장 스크린(860)을 연결하는 확장 와이어(901)가 감긴 확장 풀리(652)는, 다른 풀리(651)보다 추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Furthermore, since the expansion screen 860 must be additionally expanded even after all the vertical screens 800 in adjacent positions are expanded, the expansion pulley 652 wound around the expansion wire 901 connecting the expansion screen 860 is wound. ), should be capable of additional rotation than other pulleys 651.

그리하여,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상기 함몰부나 높이가 다른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확장됨으로써,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밀폐를 수행할 수 있어, 화재나 연기 등이 상기 대피통로(7)로 인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us, the expansion screen 860 is additionally expanded in the recessed portion or in a sect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sealing while minimizing the space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fire or smoke, the evacuation passage (7) It can minimize the inflow in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상시에 접이식 대피통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비상시에 피난자가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은 물론,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사용성이나 편의성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n normal times, it is possible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with sufficient space for evacu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secure spa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ability, convenience, and user safety.

특히, 비상시 대피통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 이러한 공기 주입 구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접이식 대피통로의 필수 구조물인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통로로 이용하고, 고정 프레임에 배기부들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공기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ject fresh air into the evacuation passag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by solving the problem of having to separately install such an air injection structure in the past,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which is an essential structure of the folding evacuation passage, is used as the supply passage. , By forming the exhaust parts in the fixed fra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ir injection while improving space usability.

또한, 접이 프레임이 접혔다 펼쳐지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상시에 상부 스크린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대피 통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스크린은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비스듬하게 하강하되 상기 접이 프레임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olding frame is folded and unfolded, the upper screen is naturally unfolded in an emergency and can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In this case, the upper screen is lowered obliquely by its own weight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riving force. However,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folding frame.

또한, 수직 스크린의 경우도,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하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를 생략할 수 있어 대피통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rtical screen, it is possible to descend in a vertical direction by its own weight without providing a driving force of a separate driving unit.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evacuation passage.

이 경우, 상부 스크린 및 수직 스크린은 고정된 와이어가 고정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함께 하강하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인 하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속도 조절부를 통해 회전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하강함으로써, 피난자가 부상당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wire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descends with the wire, and an effective lowering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bar through the speed control unit By descending at an excessively high speed, problems such as injuries of a refuge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의 연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대피 공간의 상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대피 공간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부 스크린의 하강 속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Further, by adjusting the extension angle of the folding fra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vacuation space can be adjusted, the size of the evacuation space can be changed, and the lowering speed of the upper screen can be changed.

또한, 수직 스크린의 하부에는 하중부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수직 스크린의 하부와 바닥 사이의 공간의 밀폐를 위해 스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load portion under the vertical screen, it is possible to naturally induce a descent due to its own w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kir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creen and the floor.

또한, 수직 스크린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 외에,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상단 및 하단의 시작 위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접이식 대피통로는 바닥이 평행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 외에, 바닥이 경사진 경사 공간, 특히 계단이 설치된 경사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varying the starting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the vertical screen is unfol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un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is installed in a space where the floor is parallel, and the floor is inclined. It can also be installed in a space, especially an inclined space where stairs are installed.

특히, 수직 스크린의 하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확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수직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계단이 설치되거나, 별도의 함입 공간 등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forming an expansion screen that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of the vertical screen in a partial area of the vertical screen, when a staircase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a separate recessed space is formed, the corresponding space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h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 2, 3 : 접이식 대피통로
10 : 통로유닛 20 : 중간문
100 : 상자부 200 : 고정 프레임
201 : 급기통로 202 : 배기부
300 : 연결 프레임 400 : 접이 프레임
500 : 홀더 프레임 510 : 전환부
600 : 회전 프레임 630 : 회전바
640 : 폴더부 700 : 상부 스크린
710 : 상부 커버부 800 : 수직 스크린
810 : 하중부 820 : 스커트
821 : 확장 스커트 850 : 단절부
860 : 확장 스크린 900 : 와이어
901 : 확장 와이어
1, 2, 3: foldable evacuation passage
10: passage unit 20: middle door
100: box portion 200: fixed frame
201: supply passage 202: exhaust
300: connection frame 400: folding frame
500: holder frame 510: switching unit
600: rotating frame 630: rotating bar
640: folder part 700: upper screen
710: upper cover part 800: vertical screen
810: load part 820: skirt
821: extended skirt 850: cut
860: extended screen 900: wire
901: extension wire

Claims (18)

벽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통로를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
비상시에 펼쳐져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스크린;
비상시에 하강하여 대피통로의 측부를 형성하는 수직 스크린;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크린의 끝단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는 홀더 프레임;
비상시에 상기 홀더 프레임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이 프레임; 및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상기 홀더 프레임 및 상기 접이 프레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자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A fixed frame extending along the wall and forming an air supply passage therein;
An upper screen that is unfolded in an emergency and forms an upper part of the evacuation passage;
A vertical screen descending in an emergency to form a side of an evacuation passage;
A holder fram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to fix an end of the upper screen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A folding frame for moving the holder frame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in an emergency; And
A folding evacuation passage including a box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all surface,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xed frame, the upper screen, the vertical screen, the holder frame, and the folding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외면에 복수의 배기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부들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frame,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xhaust portion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o discharge air supplied to the supply passage to the exhaust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And
Foldable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frame fix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fixed frame and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부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r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is switched by a switching unit located inside the holder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는 고정(locking)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frame includes a rotating bar that rotates to unwind or wind the wire,
In an emergency, the rotating bar is released from a locked state and rotat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스크린이 펼쳐지고, 상기 수직 스크린이 하강하는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on frame,
Including a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eed at which the rotation bar rotates,
The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creen is unfolded and the speed at which the vertical screen descends is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side of the fixed frame and fixing the foldabl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경사각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사이의 고정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n inclined angle fixing pin for fixing the folding frame,
The inclination angle fixing pin is moved in a moving space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and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angle between the folding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주름지며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In an emergency,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unfolds from a wrinkled and 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자중으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screen,
It includes a load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at the lower end,
The vertical screen is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load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하면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중부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vertical screen,
A folding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ski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 unit, and sealing a space between the load unit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vertical screen is unfol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lding frame,
A first join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A first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par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econd join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omprising a second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part and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part.
제12항에 있어서,
평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접혀져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2,
In normal time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positioned so as to be fold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case of an emergency,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are folded to each other to form an upper part of the evacuation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평상시에 상기 벽면에 고정되며, 비상시에 상기 벽면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 상에 상기 대피통로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간문; 및
상기 수직 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대피통로의 내부로 피난자가 진입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An intermediate door that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in normal times and unfolds from the wall surface in an emergency and is positioned on the evacuation pass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vacuation passage; And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door connected to a disconnection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screen, and through which a refugee enters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연장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vertical screen is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unfolded in a parallelogram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일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보다 길게 연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
A foldable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screen extending longer than the vertical screen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cree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및 상기 확장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확장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6,
A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 vertical screen; And
Foldable evacuation passage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wire extending while fixing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screen, the vertical screen, and the extension scree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확장 와이어가 고정되는 확장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The method of claim 17,
It is fixed between the upper screen and the fixed frame,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frame for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The rotating frame, a folding evacuation passage comprising a pulley to which the wire is fixed, and an expansion pulley to which the expansion wire is fixed.
KR1020190102212A 2019-08-21 2019-08-21 Foldable evacuation passage KR102289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en) 2019-08-21 2019-08-21 Foldable evacuation pa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en) 2019-08-21 2019-08-21 Foldable evacuation pa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3A true KR20210022883A (en) 2021-03-04
KR102289390B1 KR102289390B1 (en) 2021-08-17

Family

ID=7517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en) 2019-08-21 2019-08-21 Foldable evacuation pa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379B1 (en)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Fire door structure for buildings
WO2022035007A1 (en)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Mask comprising side fixing part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67B2 (en) * 1997-12-11 2000-07-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Fireproof screen equipment
JP2002224232A (en) 2001-01-30 2002-08-13 Bunka Shutter Co Ltd Fire preventing section forming system
KR100967563B1 (en)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20110096308A (en) * 2010-02-22 2011-08-30 임동현 Fireproof shutter
KR20110135243A (en) * 2010-06-10 2011-12-16 임연정 Internal awning
KR101402942B1 (en)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scaping apparatus for corridor
KR101480956B1 (en) * 2013-11-14 2015-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oldable evacuating pathway
KR20160110851A (en) * 2015-03-13 2016-09-22 김상근 Fireproof screen shutter
KR20190096195A (en) * 2018-02-08 2019-08-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67B2 (en) * 1997-12-11 2000-07-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Fireproof screen equipment
JP2002224232A (en) 2001-01-30 2002-08-13 Bunka Shutter Co Ltd Fire preventing section forming system
KR100967563B1 (en)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20110096308A (en) * 2010-02-22 2011-08-30 임동현 Fireproof shutter
KR20110135243A (en) * 2010-06-10 2011-12-16 임연정 Internal awning
KR101402942B1 (en)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scaping apparatus for corridor
KR101480956B1 (en) * 2013-11-14 2015-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oldable evacuating pathway
KR20160110851A (en) * 2015-03-13 2016-09-22 김상근 Fireproof screen shutter
KR20190096195A (en) * 2018-02-08 2019-08-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07A1 (en)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Mask comprising side fixing parts
KR102349379B1 (en)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Fire door structure for build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390B1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390B1 (en) Foldable evacuation passage
KR100845297B1 (en)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1099760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JP2012082590A (en) Flooding prevention device
KR101480956B1 (en) Foldable evacuating pathway
JP2023155341A (e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for tunnel
KR102084984B1 (en) Emergency exit for buildings
JP4789763B2 (en) Walk-through fireproof screen
US3307301A (en) Inflatable building
JP2001193370A (en) Screen device for fire partition
KR200318037Y1 (en) A horizontal folding type-damper
KR102329685B1 (en) Multiple access fire protection
JP2003321979A (en) Waterproof door device
KR102338446B1 (en) A Top-down evacuation ladder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folding ladder
JP2003155882A (en) Blind device
JP4725424B2 (en) Fireproof sliding door
US5025891A (en) Escape for a building
KR102334716B1 (en) Fire shutter enhancing thermal insulation
KR20180026115A (en) fixing apparatus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JP3939447B2 (en) Closure device
CN220167624U (en) Garage with separated space and building
JP3102376B2 (en) Fire protection screen device
KR20220074540A (en) Looped surface type fireproof screen shutter
KR20110062251A (en) Device for sheltering from fire in a building
JP3658492B2 (en) Fire scree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