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95A -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 Google Patents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95A
KR20190096195A KR1020180015827A KR20180015827A KR20190096195A KR 20190096195 A KR20190096195 A KR 20190096195A KR 1020180015827 A KR1020180015827 A KR 1020180015827A KR 20180015827 A KR20180015827 A KR 20180015827A KR 20190096195 A KR20190096195 A KR 2019009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x block
towing
evacuation passage
pass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7807B1 (en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신경호
임휘영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1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07B1/en
Publication of KR2019009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Abstract

An evacuating passage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comprises a box block, a towing unit, and an expansion unit. The box block has at least one door. The towing unit forms a front portion of the box block and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in case of emergency to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and positioned inside the box block, and expands as the towing unit moves in case of emergency to form an evacuating passage between the box block and the towing unit. The moved towing unit is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box block in an adjacent position.

Description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본 발명은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 등의 지하공간이나 건물 등의 내부공간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피장소나 대피통로를 형성하여 피난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탈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n underground space such as a history or a building, an evacuation site or evacuation passage is formed to safely escape and escape. A folding tunnel evacuation pathway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route is provided.

역사 등의 지하공간이나 건물 등의 내부공간과 같은 복합 공간에 다수의 사람들이 모임에 따라, 복합 공간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다수의 사람들에 대한 효과적인 대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ffective means of evacuation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complex space as a large number of people meet in a complex space such as an underground space such as a history or an internal space such as a building. .

과거에는, 단순히 피난자가 구조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소정의 밀폐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구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피난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대피하기 위해, 최근에는 피난자가 외부로 효과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In the past, it was common to simply provide some confined spaces that could wait until the evacuator was rescued.However, in order to evacuate the evacuator more stably, the evacuator has recently Techniques are also being developed that provide a means to escape effectively.

이러한 피난자의 외부 탈출을 가이드하는 피난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에서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롤스크린이 하부로 내려와 피난 통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피난 통로를 통해 피난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As a technology regarding an evacuation system for guiding the evacuation of the evacuator,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02942,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e roll screen descends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and through the evacuation passage, Disclosed is a technique to escape.

그러나, 롤스크린을 이용한 피난 통로의 형성시, 피난 경로로 형성되는 천정 모두에 롤스크린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실제 비상 상황에서 롤스크린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충분히 야기될 수 있어 안정성의 문제도 있다. However, when forming an evacuation passage using a roll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ll screen must be installed on all ceilings formed by the evacuation path, and the problem of failing to keep the roll screen stably installed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can be sufficiently caused. There is also a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0294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비상 상황시에는 효과적인 대피장소와 대피통로를 형성하며,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실제 상황에 맞춰 최적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피난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pies a minimum space, but forms an effective evacuation site and evacuation passage in an emergency situation, structurally stable, optimal for the actual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tunnel evacuation route system that can form an evacuation route and enable evacuation of refugees more safel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은 상자블록, 견인유닛 및 확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형성된다.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비상시 상기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어 상기 상자블록과 상기 견인유닛 사이에 대피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은 인접한 위치의 상자블록의 후면부에 연결된다.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block, a traction unit and an expansion unit. The box block is formed with at least one door. The towing unit forms a front portion of the box block and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in an emergency to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and is located inside the box block, and expands as the towing unit moves in an emergency to form an evacuation path between the box block and the towing unit. The moved towing unit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ox block in an adjacent posi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후면부가 복합공간의 벽에 접촉되거나, 상기 벽의 내측에 고정되며, 비상시에는 회전하여 측면부가 상기 벽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 block, usually the rea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complex space, o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wall, in an emergency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side portion facing the wa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부 상에 위치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확장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 block, it is usually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in an emergency may include a display portion to rotat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pans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 출입문,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 출입문,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과 연결되는 후면 출입문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 block may include a front door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 side door formed in the side portion, and a rear door formed in the rea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moved tow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출입문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방향을 내부에서 확인하는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ront door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wing unit there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wing unit, the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transfer of the tow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owing unit, the length is extende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of the towing unit to convey the expansion unit It may include a transf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자블록의 후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ive portion protrudes from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of the box block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drive portion is inser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천막부, 상기 천막부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천막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막부를 이동시키는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pansion unit, from the state folded in the inside of the box block, the tent portion unfol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the frame portion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ent portion to support the tent portion, and the tent It may include a wheel portion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ortion to move the tent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상자블록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롤러부, 및 끝단이 상기 견인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확장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 block, the roller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x block, and the end may be fixed to the towing unit, and may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and wound on the roller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롤러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견인유닛과 상기 확장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 is released from the roller unit as the towing unit is moved can be fixed to the towing unit and the expans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형성된 상기 대피 경로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 block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unit for providing air to the interior of the evacuation path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일 실시예에서,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마커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커부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rker unit is arranged on the floor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further fixed to the front of the towing unit, th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mark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커부를 센싱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마커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sensor unit senses the marker unit, the towing unit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ark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부는 서로 인접한 상자블록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열되거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rker portion may be arranged to connect between adjacent box blocks, or may be arranged in an outward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들은 지하 공간, 건물의 내부 또는 복합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상자블록들 각각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ox blocks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in the underground space,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or the interior of the complex space, each of the box blocks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상시에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확장되며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 연속 피난 통로를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대피통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cuation passage system that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in an emergency and is connected to an adjacent box block to form a continuous evacuation passag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inducing a safer evacuation more stably. Can be implemented.

특히, 상자블록은 전면부나 측면부만이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평상시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고, 전면부를 통해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활용성도 높으며, 비상시에 비상 안내 상황을 표시할 수 있어 피난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box block is located in a state where only the front or side portion is protruding, so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in normal times, and can display advertisements through the front part, so that the utilization is high, and emergency guidance in emergency It can be displayed and the safety of the evacuator can be further improved.

이 경우, 상자블록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함으로써,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들 사이만을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외부 또는 안전지대까지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단순히 밀폐 공간의 내부에서 구출이나 비상 상황의 종료까지 대기하는 것과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box blocks ar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successively connecting only adjacent box blocks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finally create an evacuation route to the outside or the safety zone, so it is simply a rescue or emergency in the interior of the conventional closed space. You can improve safety against waiting until the end of the situation.

또한, 상자블록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포함되며, 별도의 구조물을 공간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은 물론 제작비용이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자블록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간의 구조적 변경 등에 따른 대피 경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ll configurations are included inside the box block,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structure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duction cost or installation cost as well as the space utilization,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pace by moving the box block. Effective install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change of evacuation route by

또한, 상자블록은 모든 면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용이한 진입이 가능하며, 전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인접 사각블록을 향해 견인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어 화재나 연기로부터 밀폐된 상황에서 인접 사각블록과의 연결을 통한 탈출 통로 형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ox block has doors formed on all sid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box block, and the traction unit can be moved toward the adjacent square block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adjacent block is closed in a fire or smok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escape passag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block.

특히, 견인유닛의 경우 구동부를 포함하여 확장되는 확장유닛을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인접 상자블록과의 빠른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확장유닛은 접혔다 펴지기가 용이한 천막부를 포함하며 천막부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towing unit, the expansion unit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n be effectively transported to facilitate quick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box block, and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 tent unit which is easily folded and unfolded, and a frame for fixing the tent unit. The addi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a stable structure.

이 경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통해 상기 천막부가 연결되어, 천막부가 보다 빠르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천 재질의 천막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nt part is connected through a wire wound around the roller part, so that the tent part can be folded or unfolded more quickly, and the tent part of the cloth material can be more stably expanded.

또한, 급기유닛을 통해 밀폐된 공간 내부로 양압을 제공하여 내부로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ositive pressure into the sealed space through the air supply unit to block the inflow of smoke, etc. into the interior can provide fresh air continuously.

한편, 바닥에 설치된 자기마커를 센싱하며 견인유닛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견인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 등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탈출 경로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form a stable escape path even in a situation such as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move the towing unit by sensing the magnetic marker installed on the floor can be guided movement of the tow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상자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상자블록이 비상 상황에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견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의 이송유닛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is expan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of FIG.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box block of FIG. 1.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x block of Figure 1 protrudes from the wall in an emergency situation.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towing unit of FIG. 1.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the transfer unit of FIG. 5A.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panded state of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of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supply uni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is expan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of FIG.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10)은 상자블록(100), 견인유닛(200) 및 확장유닛(30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evacuation path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x block 100, a traction unit 200, and an expansion unit 300.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대피 경로로 형성되는 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상자블록(10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은 연장되어 인접 상자블록의 타면까지 연장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탈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box block 100 may b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on a path formed as an evacuation path. 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towing unit 200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x block 100 is extended to exten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djacent box block so that the escape path is continuous as shown in FIG. 2. Will form.

그리하여,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에 의해 내부공간(11)은 밀폐되어, 외부공간(12)에 발생한 화재나 유독 가스 등이 인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Thus, the interior space 11 is sealed by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10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fire or toxic gas generated in the exterior space 12.

이하,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상자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상자블록이 비상 상황에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box block of FIG. 1.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x block of Figure 1 protrudes from the wall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은 전면부(101), 후면부(102), 상면부(103), 측면부(104) 및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3A to 4, the box block 10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e a rectangular block shape as shown. Thus, the box block 100 includes a front portion 101, a rear portion 102, an upper surface portion 103, a side portion 104, and a display portion 110.

상기 전면부(101)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며, 후술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前面)에도 해당된다. The front portion 101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box block 100 and corresponds to a front surface of the tow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전면부(101)에는 전면 출입문(210)이 형성되며, 전면 출입문(21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 front door 101 is formed in the front door 210, the front door 21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후면부(102)에는 후면 출입문(130)이 형성되며, 후술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구동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The rear door 102 has a rear door 130 is formed, the insertion portion 131 is formed so that the drive unit 220 of the tow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이 경우,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구동부(220)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인접한 상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가 상기 후면부(102)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220)가 상기 삽입부(131)에 삽입되어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ertion portion 131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driving unit 220, so that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towing unit 200 extending from the adjacent box block In the case of contacting the rear surface 102, the driving uni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31 to effectively seal the space.

상기 후면부(102)는 인접한 상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된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와 연결되며, 상기 후면 출입문(130)이 개방되어 상기 인접한 상자블록과의 개방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The rear portion 102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towing unit 200 extending from the adjacent box block, the rear door 130 is opened to form an open passage with the adjacent box block.

물론, 상기 후면 출입문(130)은 연장된 견인유닛(200)과 접촉되기 전에라도 피난자가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f course, the rear door 130 may be opened so that the evacuator can access at any time, even before contact with the extended towing unit 200.

상기 측면부(104)에는 측면 출입문(120)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피난자가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The side part 104 is formed with a side door 120, and likewise can be opened so that the evacuator can access at any time.

이상과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모든 면에는 출입문들이 각각 형성되어, 피난자는 접근하는 방향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출입문을 통해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로 진입하여, 위험요소로부터 회피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s are formed on all sides of the box block 100, so the evacuator can enter the inside of the box block 100 through the door located closest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thereby avoiding the danger. have.

상기 상면부(103)에는 알람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알람부(140)는 비상시에 음성과 비상등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상자블록(100)을 찾을 수 있다. An alarm unit 1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unit 103, and the alarm unit 140 displays a voice and an emergency light to the outside in an emergency,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find the box block 100.

상기 표시부(110)는 표시창(111), 지지부(112) 및 회전부(113)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display window 111, a support unit 112, and a rotating unit 113.

상기 표시창(111)은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의 앞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창(110)을 통해서, 평상시에는 각종 광고나 기타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window 111 displays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general,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window 11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box block 100. In addition, through the display window 110,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dvertisements or other guide information.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표시창(111)의 하단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어, 상기 표시창(111)을 고정하며, 예를 들어, 프레임(fra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12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display window 111 to the bottom to fix the display window 111 and may have, for example, a frame shape.

상기 회전부(113)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와 측면부(104)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표시창(111)을 회전시킨다. The rotating part 113 is fixedly rotated between the front part 101 and the side part 104 of the box block 100 to rotate the display window 111.

즉, 상기 회전부(1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창(111)은 도 3a에서와 같이 평상시 상기 전면부(101)의 앞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비상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04)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That i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113, the display window 111 is normally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101 as shown in Figure 3a, in the emergency, as shown in Figure 3b and the side portion 104 Rotate in parallel direction.

그리하여, 상기 표시창(1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유닛(2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표시창(111)을 통해 안내되는 비상 상황에 대한 안내 정보를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u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splay window 111 is positioned to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wing unit 200 extends, and is guid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111 in an emergency. Guide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후면부(102)가 벽(13)과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 및 상기 측면부(104)의 일부가 상기 벽(13)의 내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x block 100, as shown in Figure 4, for example,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rear portion 102 in contact with the wall (13). In addition, a part of the rear part 102 and the side part 104 of the box block 100 may b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part or all of the box block 100 is inserted.

즉, 평상시에 상기 상자블록(100)이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상자블록(1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접촉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part in which the box block 100 protrudes into the external space is minimized and normally positioned, the space occupied by the box block 100 can be minimized and damage due to unnecessary contact can be minimized.

반면, 비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에 형성된 스위치(201)를 통해 상기 상자블록(100)이 상기 벽(13)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ergency, the box block 100 may protrude from the wall 13 and rotate through a switch 201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box block 100.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상기 벽(13)과 상기 상자블록(100)의 측면부(104)가 서로 마주하거나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Thus, as shown in FIG. 4, the box block 100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wall 13 and the side surface 104 of the box block 100 face or contact each other in an emergency.

이와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측면부(104)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견인유닛(200)이 벽(13)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결국 대피 통로가 벽(13)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하여, 피난자는 벽(13) 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대피통로를 찾을 수 있으며, 대피통로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ide portion 104 of the box block 100 is located, the towing unit 200 may extend along the wall 13, and eventually the evacuation passage extends along the wall 13. Thus, the evacuator can move toward the wall 13 to find the evacuation passage more easily, and the evacuation passage is also more stably positioned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external impacts.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견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의 이송유닛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towing unit of FIG. 1.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the transfer unit of FIG. 5A.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panded state of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of FIG. 1.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견인유닛(200) 및 상기 확장유닛(300)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Referring to Figures 5a to 7, the towing unit 200 and the expans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를 형성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는 상기 확장유닛(300)이 연결되며,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며 대피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First, the towing unit 200 forms a front portion 101 of the box block 100, and in an emergency,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100 and moves toward an adjacent box block. In this case, the expans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owing unit 200, the expansion unit 300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200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유닛(200)은 정면 출입문(210), 구동부(220) 및 이송유닛(230)을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towing unit 200 includes a front door 210, a drive unit 220 and the transfer unit 230.

상기 정면 출입문(210)은 상기 전면부(101)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출입이 가능하도록 열리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어 인접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후면부(102)의 개방과 함께 개방되어 상기 대피통로를 연장시키게 된다. The front door 210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01, the user is opened to allow access, as well as the towing unit 200 is moved to contact the rear portion 102 of the adjacent box block 100. If so, the opening with the opening of the rear portion 102 is to extend the evacuation passage.

한편, 상기 정면 출입문(210)의 상부에는 투명창(211)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창(211)을 통해 내부의 피난자들은 외부의 상황을 관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견인유닛(200)은 대피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야 하며,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 transparent window 2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door 210,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211, the refugees inside can observe the external situation. In particular, the towing unit 200 should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box block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and must be moved toward the adjacent box block in an emergency.

따라서, 내부에서 피난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투명창(211)을 통해 외부를 관측하며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evacuee or the manager from the inside may observe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211 and control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200 to move the towing unit 200 toward the adjacent box block. .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The driving unit 220 is located under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towing unit 20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towing unit 200 is moved.

이 경우, 상기 구동부(220)는 도면에서는 전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전면부(101)와 접촉되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에는 상기 구동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driving part 220 is shown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n the drawing may be formed in various locations, as described above, whe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101 An insertion part 131 into which the driving part 22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rear part 102 of the box block 100.

상기 이송유닛(230)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300)을 이송시킨다. The transfer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owing unit 200, the length is extende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of the towing unit 200 and transfers the expansion unit (300).

상기 이송유닛(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31) 및 이동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231) 및 이동부(232) 모두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방의 하단에 한 쌍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the transfer unit 230 includes an extension part 231 and a moving part 232, and both the extension part 231 and the moving part 232 are lower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towing unit 200. Can be connected to a pair.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31)와 상기 이동부(232)는 평상시, 즉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기 전에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위치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 즉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어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31)가 상기 이동부(23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이송유닛(230)의 전체의 길이는 증가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A, the extension part 231 and the moving part 232 are normally placed in an overlapping state before the expansion unit 300 is unfolded. However, as shown in FIG. 6B, in an emergency, that is, when the towing unit 200 is moved and the expansion unit 300 is unfolded, the extension part 231 extends from the moving part 232. The entire length of the transfer unit 230 is increased.

상기 이동부(232)는 하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하는 경우 이동을 수월하게 유도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232 has a wheel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it can easily guide the movement when the towing unit 200 moves.

한편, 상기 이송유닛(230)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송에 따라 상기 확장유닛(300)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조 외에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unit 230 is to transfer the expansion unit 300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of the towing unit 200, it may be changed to various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figur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유닛(300)은 일 단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 연결되며, 타 단은 상기 상자블록(100)에 연결되어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견인유닛(200)과 상기 상자블록(100) 사이에서 대피통로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7, the expansion unit 3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owing unit 2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x block 100 to extend the length of the expansion unit 300. 200 and the evacua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box block (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유닛(300)은 천막부(310), 프레임(320) 및 바퀴부(33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expansion unit 300 includes a tent part 310, a frame 320 and a wheel part 330.

상기 천막부(310)는 비상시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지며 내부에 대피통로를 형성한다. 다만, 상기 천막부(310)는 평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공간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인접 상자블록으로 이동되면서 펼쳐지며 대피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The tent part 310 is expanded from a folded state in an emergency and forms an evacuation passage therein. However, the tent part 310 is normally located in a folded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x block 100, in case of emergency the towing unit 200 is expanded while moving to the adjacent box block from the box block 100 Evacuate passageway.

상기 프레임(320)은 상기 천막부(31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확장되는 상기 천막부(31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320)은 상기 천막부(310)의 상면 및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320)의 끝단에는 상기 바퀴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frame 320 is fix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iddle of the tent portion 310 to stably position the extended tent portion 310. In this case, the frame 320 may extend alo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tent part 310, and the wheel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rame 320.

또한, 상기 프레임(320)은 소정의 간격으로 한 쌍의 프레임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역시 상기 천막부(310)가 졉혀짐에 따라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320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fram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air of frames may also be unfolded from the folded state as the tent part 310 is folded.

상기 바퀴부(330)는 상기 프레임(32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이 전진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프레임(320) 및 상기 천막부(310)를 이동시키게 된다. The wheel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320, and moves for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owing unit 200 moves to move the frame 320 and the tent part 310. .

한편, 상기 바퀴부(330)는, 평상시에 상기 천막부(31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유닛(230)의 이동부(232)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천막부(310)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232)의 상면으로부터 바닥으로 이동되며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heel part 33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32 of the transfer unit 230 in a state where the tent part 310 is normally folded, and the tent part 310 is As it is unfolded, the moving part 232 may be moved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이상과 같이,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 연결되는 상기 확장유닛(30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며 연장되고, 이를 통해 대피통로가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towing unit 200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100 and moves toward the adjacent box block, the expansion unit 30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owing unit 200 is the box block ( It extends from the folded state in the interior of 100, through which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formed in the expansion unit 300.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0)의 표시창(111)은, 비상시에 상기 천막부(3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천막부(310) 상에서 필요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window 111 of the display unit 110 may rotate to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ent 310 in an emergency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tent 310.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supply uni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FIG. 8.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20)은 롤러부 및 급기유닛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except that the roller portion and the air supply unit are additionally install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에서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상면부(103) 상에 상면 공간(109)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 공간(109)의 내부에 롤러부(150)가 구비된다. 8 and 9, in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upper surface space 109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103 of the box block 100, and the upper surface space ( The roller unit 150 is provided inside the 109.

상기 롤러부(150)에는 상기 롤러부(150)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151)가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와이어(151)는 상기 천막부(310)의 상면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의 상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As the roller unit 150 rotates to the roller unit 150, the wire 151 is wound or unwinded, and the wire 151 is connec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ent unit 310 to be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200. It can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그리하여,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이동되면 상기 롤러부(150)도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롤러부(150)에 감겨있던 상기 와이어(151)가 풀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천막부(310)가 보다 일정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51)는 상기 펼쳐진 천막부(310)에 대한 고정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상기 천막부(31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Thus, when the towing unit 200 is moved from the box block 100, the roller unit 150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to release the wire 151 wound on the roller unit 150, thereby the tent The unit 310 can be expanded more uniformly. In addition, the wire 151 also serves to fix the unfolded tent part 310, thereby enabling a stable fixing of the tent part 310.

한편,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의 상기 상면 공간(109)에는 급기유닛(19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기유닛(19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및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Meanwhile, an air supply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space 109 of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20, and the air supply unit 190 may be formed inside the box block 100 and the expansion unit 300. It will continue to provide fresh air into the interior.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및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에는 양압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될 수 있는 연기를 차단하며, 내부에 위치하는 피난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연기 등에 의한 질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us,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x block 100 and the expansion unit 300 to block smoke that can be drawn from the outside, and to continuously provide fresh air to the evacuees located therein Problems such as choking due to smoke can be minimized.

이 경우, 상기 급기유닛(190)은 상기 상면 공간(109)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air supply unit 190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space 109, it is obvious that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20 may be provided at various locations.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30)은 센서부(250) 및 마커부(2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except that the sensor unit 250 and the marker unit 260 are provide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30)에서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의 하단에 센서부(250)가 구비되며, 바닥에는 마커부(260)가 일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evacuation passage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nsor unit 25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1 of the towing unit 200, and a marker unit 260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마커부(260)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마커부(260)가 바닥에 부착되므로, 상기 마커부(260)의 보다 효과적인 센싱을 위해 상기 전면부(101)의 하단에 구비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250 senses the marker unit 260, and since the marker unit 260 is attached to the bott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1 for more effective sensing of the marker unit 260. It may be provided in, or if necessary,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block 100.

상기 마커부(260)는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한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마커부(260)가 배열되는 방향은 결국 대피 통로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최종적으로는 외부나 안전지대로 연결된다. The marker portion 260 is attached to the botto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rker portion 260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that the evacuation passage is eventually formed, finally to the outside or safety zone Connected.

따라서, 상기 마커부(260)는 비상시를 위해, 평소에도 바닥에 부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rker unit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floor, usually for emergencies.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마커부(260)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마커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센싱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마커부(260)를 향해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50 senses the marker unit 260 and induces the movement of the traction unit 200 toward the marker unit 260 based on a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marker unit 260. can do.

예를 들어, 상기 마커부(260)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마커일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자기력이 발생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견인유닛(200)을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구동부(22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이동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rker unit 260 may be a magnetic marker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he sensor unit 250 may induce to move the traction unit 2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towing unit 200 may be driven and moved by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unit 220.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250)에서 센싱되는 상기 마커부(260)의 신호의 강도를 바탕으로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마커부(260)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a moving direction of the towing unit 2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marker unit 260 sensed by the sensor unit 250 through a separate control unit. The towing unit 200 ma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rker unit 260 is arranged to form an evacuation passag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상시에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확장되며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 연속 피난 통로를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대피통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n emergency, it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and expands and is connected to an adjacent box block to form a continuous evacuation passag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inducing a safer evacuation more stably. An evacuation route system can be implemented.

특히, 상자블록은 전면부나 측면부만이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평상시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고, 전면부를 통해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활용성도 높으며, 비상시에 비상 안내 상황을 표시할 수 있어 피난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box block is located in a state where only the front or side portion is protruding, so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in normal times, and can display advertisements through the front part, so that the utilization is high, and emergency guidance in emergency It can be displayed and the safety of the evacuator can be further improved.

이 경우, 상자블록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함으로써,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들 사이만을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외부 또는 안전지대까지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단순히 밀폐 공간의 내부에서 구출이나 비상 상황의 종료까지 대기하는 것과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box blocks ar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successively connecting only adjacent box blocks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finally create an evacuation route to the outside or the safety zone, so it is simply a rescue or emergency in the interior of the conventional closed space. You can improve safety against waiting until the end of the situation.

또한, 상자블록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포함되며, 별도의 구조물을 공간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은 물론 제작비용이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자블록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간의 구조적 변경 등에 따른 대피 경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ll configurations are included inside the box block,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structure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duction cost or installation cost as well as the space utilization,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pace by moving the box block. Effective install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change of evacuation route by

또한, 상자블록은 모든 면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용이한 진입이 가능하며, 전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인접 사각블록을 향해 견인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어 화재나 연기로부터 밀폐된 상황에서 인접 사각블록과의 연결을 통한 탈출 통로 형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ox block has doors formed on all sid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box block, and the traction unit can be moved toward the adjacent square block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adjacent block is closed in a fire or smok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escape passag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block.

특히, 견인유닛의 경우 구동부를 포함하여 확장되는 확장유닛을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인접 상자블록과의 빠른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확장유닛은 접혔다 펴지기가 용이한 천막부를 포함하며 천막부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towing unit, the expansion unit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n be effectively transported to facilitate quick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box block, and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 tent part which is easily folded and unfolded, and a frame for fixing the tent part The addi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a stable structure.

이 경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통해 상기 천막부가 연결되어, 천막부가 보다 빠르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천 재질의 천막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nt part is connected through a wire wound around the roller part, so that the tent part can be folded or unfolded more quickly, and the tent part of the cloth material can be more stably expanded.

또한, 급기유닛을 통해 밀폐된 공간 내부로 양압을 제공하여 내부로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ositive pressure into the sealed space through the air supply unit to block the inflow of smoke, etc. into the interior can provide fresh air continuously.

한편, 바닥에 설치된 자기마커를 센싱하며 견인유닛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견인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 등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탈출 경로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form a stable escape path even in a situation such as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ove the towing unit by sensing the magnetic marker installed on the floor can be guided movement of the towing uni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본 발명에 따른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은 지하공간이나 복합공간의 대피통로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for evacuation passages of underground spaces or complex spaces.

10, 20, 30 :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00 : 상자블록 110 : 표시부
120 : 측면출입문 130 : 후면출입문
140 : 알람부 150 : 롤러부
190 : 급기유닛 200 : 견인유닛
210 : 정면출입문 220 : 구동부
230 : 이송유닛 250 : 센서부
260 : 마커부 300 : 확장유닛
310 : 천막부 320 : 프레임
10, 20, 30: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100: box block 110: display unit
120: side entrance door 130: rear door
140: alarm unit 150: roller unit
190: air supply unit 200: towing unit
210: front entrance door 220: drive unit
230: transfer unit 250: sensor
260: marker portion 300: expansion unit
310: tent portion 320: frame

Claims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형성된 상자블록;
상기 상자블록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비상시 상기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견인유닛; 및
상기 견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어 상기 상자블록과 상기 견인유닛 사이에 대피 경로를 형성하는 확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은 인접한 위치의 상자블록의 후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A box block in which at least one door is formed;
A towing unit which forms a front part of the box block and protrudes from the box block in an emergency and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is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box block, and expands as the towing unit is moved in an emergency to include an expansion unit for forming an evacuation path between the box block and the towing unit,
And the moved towing unit is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box block in an adjacen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후면부가 복합공간의 벽에 접촉되거나, 상기 벽의 내측에 고정되며,
비상시에는 회전하여 측면부가 상기 벽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 block,
Normally the rea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complex space, 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wall,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mergency to rotate so that the side portion facing th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부 상에 위치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확장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 block,
The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usually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in case of emergency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to rotat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pan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 출입문;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 출입문;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과 연결되는 후면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 block,
A front door formed at the front part;
A side door formed on the side part; And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omprising a rear door connected to the moved tow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출입문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방향을 내부에서 확인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door,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omprising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owing unit from the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owing unit,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ransferring the tow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owing unit, the length of the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transport of the traction unit and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omprising a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expans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자블록의 후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front portion,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portion of the box block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riv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천막부;
상기 천막부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천막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막부를 이동시키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pansion unit,
A tent portion that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from the state folded in the box block;
A frame par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ent part to support the tent part; And
And a wheel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tent part to move the ten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상자블록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롤러부; 및
끝단이 상기 견인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확장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 block,
A roller unit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x block; And
The end is fixed to the towing unit, the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 wound on the roller unit connecting the expans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롤러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견인유닛과 상기 확장유닛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ire,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owing unit is released from the roller portion as the towing unit is fixed to the towing unit and the expan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형성된 상기 대피 경로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 block,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ir supply unit for providing air to the interior of the evacuation path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w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마커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커부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Marker parts arranged on the floo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olding tunnel type evacuation passage system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tow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marker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커부를 센싱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마커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traction unit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marker unit as the sensor unit senses the marker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서로 인접한 상자블록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열되거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marker portion is arranged to connect between adjacent box blocks, or folding tunnel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n out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들은 지하 공간, 건물의 내부 또는 복합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상자블록들 각각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ox block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space,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or the interior of the complex space,
Folding box evacuation pass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box blocks are arranged to be movable.
KR1020180015827A 2018-02-08 2018-02-08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KR102027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en) 2018-02-08 2018-02-08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en) 2018-02-08 2018-02-08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95A true KR20190096195A (en) 2019-08-19
KR102027807B1 KR102027807B1 (en) 2019-10-02

Family

ID=6780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en) 2018-02-08 2018-02-08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83A (en)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oldable evacuation passage
KR102626089B1 (en) * 2023-06-23 2024-01-17 (주)킴블스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117033B1 (en)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Exit guide board
JP2013031591A (en) * 2011-08-03 2013-02-14 Shinya Katano Equipment for rescue and evacuation
KR101402942B1 (en)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scaping apparatus for corridor
KR101798837B1 (en) * 2016-01-25 2017-1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magnetic landma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117033B1 (en)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Exit guide board
JP2013031591A (en) * 2011-08-03 2013-02-14 Shinya Katano Equipment for rescue and evacuation
KR101402942B1 (en)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scaping apparatus for corridor
KR101798837B1 (en) * 2016-01-25 2017-1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magnetic landma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83A (en)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oldable evacuation passage
KR102626089B1 (en) * 2023-06-23 2024-01-17 (주)킴블스 Emergency tunnel device for fire 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07B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07B1 (en) 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KR101402942B1 (en) Escaping apparatus for corridor
KR101312337B1 (en) Roll-up shutter
JPH10211295A (en) Fireproof screen device
KR102050028B1 (en) Fire Prevention Equipment
KR20150086966A (en) Device for shutting and rolling the fire protecting screen shutter with curve track
KR102050030B1 (en) Smoke Controlling Equipment
JP5267914B2 (en) Door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138562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H09313632A (en) Interlocked type fireproof shutter
KR102224389B1 (en) Evacuation guidance apparatus using led display
IT201800021547A1 (en) FIRE-FIGHTING CLOSING SYSTEM OF THE FIRE-RESISTANT CURTAIN TYPE WITH INSULATING CHAMBER COVER
KR101297429B1 (en)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JPH10165531A (en) Fire resisting screen device
JP2004016600A (en) Smokeproof apparatus for elevator entrance part
JP4441216B2 (en) Screen shutter device for fire prevention compartment
JP4169765B2 (en) Fireproof smoke shield
KR102398147B1 (en) Fireproof curtain device, and a system containing it,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KR102540491B1 (e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or building
JPH11131943A (en) Screen device
JP4010619B2 (en) aisle
JP3865755B2 (en) Screen device
JP6977971B2 (en) Foldable smoke-proof hanging wall or fire-proof wall
JP2010265578A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KR20110064811A (en) Sub bar structure of fire screen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