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833B1 -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833B1
KR102625833B1 KR1020230065789A KR20230065789A KR102625833B1 KR 102625833 B1 KR102625833 B1 KR 102625833B1 KR 1020230065789 A KR1020230065789 A KR 1020230065789A KR 20230065789 A KR20230065789 A KR 20230065789A KR 102625833 B1 KR102625833 B1 KR 10262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crew
crown
fixing member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천석
Original Assignee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구조에서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가압력이 집중되는 크라운의 접촉 부위에서 가압력을 일부 흡수, 완충 및/또는 주변으로 분산시켜 나사형 고정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이 나사형 고정부재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 WITH FUNCTION OF PREVENT CROWN FRACTUR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구조에서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고정되고 저작작용시 가해지는 교합력에 대응하는 가압력을 지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와, 어버트먼트의 상부, 즉 포스트를 수복하여 자연치아와 유사하게 미적 아름다움을 회복시켜주는 크라운(인공치아/보철물)을 포함한다.
어버트먼트를 수복하기 위해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식 임플란트 시스템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접착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 우려로 인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대신 어버트먼트(또는 픽스쳐)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가 상부로 돌출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고정하는 비접착식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나사형 고정부재는 어버트먼트(또는 픽스쳐)에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몸체와, 몸체에 비해 큰 직경으로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한다. 헤드는 몸체가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함께 크라운에 마련된 수용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크라운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는 크라운의 수용부 내면에 걸림되어 크라운을 어버트먼트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크라운은 헤드의 가압력에 의해 어버트먼트에 밀착 고정된다.
KR 10-2304798 B1, 2021. 09. 15. KR 10-2480663 B1, 2022. 12. 20. KR 10-2480666 B1, 2022. 12. 20. KR 10-2527940 B1, 2023. 04. 26.
나사형 고정부재를 적용한 임플란트 시스템의 다양한 예시들이 국내 등록특허 제10-2304798호(등록일: 2021.09.15.), 국내 등록특허 제10-2480663호(등록일: 2022.12.20.), 국내 등록특허 제10-2480666호(등록일: 2022.12.20.), 국내 등록특허 제10-2527940호(등록일: 2023.04.26.)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되었다.
나사형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긴밀하게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크라운은 저작시 음식물을 잘 짓이기기 위해 비교적 딱딱한 재질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형상과 크기로 제작된다. 크라운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골드(gold) 등과 같은 금속을 베이스로 하고, 여기에 포셀라인을 덧붙여 제작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캐드캠(CAD/CAM) 작업을 통해 산화지르코늄 블록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산화지르코늄은 인체에 무해한 인체 친화적인 재료로서, 잇몸과의 반응도 금속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밀링 기계 등을 이용하여 제작이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크라운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사형 고정부재는 통상 산화지르코늄보다 강도가 강한 금속으로 제작하고 있다. 기공 과정 중에 발생한 오차량이 증가하는 경우, 크라운을 어버트먼트 방향으로 가압할 때, 고정부재에서 크라운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크라운의 전체에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고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점 접촉(point contact) 또는 선 접촉(line contact)이 일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나사형 고정부재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이 크라운의 특정 접촉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나사형 고정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크라운이 파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사형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밀착 고정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로서, 나사형 고정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이 나사형 고정부재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서, 나사형 고정부재의 가압력에 집중되는 크라운의 접촉 부위에서 가압력을 가압력을 일부 흡수, 완충 및/또는 주변으로 분산시켜 크라운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서, 조작이 쉽고, 조작하는 동안 나사형 고정부재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서, 나사형 고정부재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메꾸어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를 완충하여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서, 크라운이 나사형 고정부재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크라운이 어버트먼트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밀착 고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앵커홈부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공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 결합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 중 어느 하나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크라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걸림되어 상기 몸체의 결합 고정시 상기 헤드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상기 걸림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앵커홈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은 상기 앵커홈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앵커홈부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측부가 상기 헤드의 측부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홈부는 상기 헤드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이거나, 상기 헤드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앙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홈부는 상기 헤드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헤드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 형성된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커프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커프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둔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서 상기 둔턱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된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와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상기 크라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회전 방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로 가압하여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에 완충부재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가압력이 집중되는 크라운의 접촉 부위에서 가압력을 일부 흡수, 완충 및/또는 주변으로 분산시켜 나사형 고정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이 나사형 고정부재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조작이 쉽고, 조작하는 동안 나사형 고정부재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크라운에 의해 수복되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크라운 사이에 탄성체를 설치하되, 포스트의 외면에 형성된 앵커홈부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나사형 고정부재에 의해 어버트먼트에 밀착 고정되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메꾸어 음식물 찌꺼기 등이 크라운과 포스트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를 완충하여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매개로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나사형 고정부재에 기인한 단차(허용 공차를 벗어나게 제작된 나사형 고정부재로 인한 단차)를 탄성체를 이용하여 해소함으로써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하부에서 둔턱부 경유하여 커프까지 연장되도록 크라운의 회전 방지홈을 형성함으로써 크라운이 어버트먼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를 나타낸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형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어버트먼트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결합력(조임력)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가압하여 어버트먼트에 밀착 고정한다. 즉, 나사형 고정부재를 어버트먼트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고정할 때, 나사형 고정부재에는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어버트먼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 힘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크라운에 작용함으로써 크라운은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된다.
나사형 고정부재는 헤드 부위가 크라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내측면에 어버트먼트 방향으로 접면하고, 이 접면 부위(이하, '접면부'라 함)를 통해 나사형 고정부재의 결합력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크라운으로 전달된다. 나사형 고정부재의 결합력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안정적으로 크라운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와 크라운 간의 접면부가 균일하게 면 접촉(surface contact)되어야 한다.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와 크라운 간의 접면부가 면 접촉되기 위해서는 나사형 고정부재와 크라운을 더욱 정밀하게 제작해야 한다. 하지만, 나사형 고정부재는 단단한 재료인 금속을 사용하고, 또한 비교적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정밀 가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나사형 고정부재를 제작할 때 허용 공차를 벗어나 제작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나사형 고정부재가 허용 공차를 벗어나 제작되는 경우에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와 크라운 간의 접면부가 균일하지 않아 나사형 고정부재와 크라운 간에는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이나 선 접촉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가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고 점 접촉이나 선 접촉되는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집중된다. 이 때문에 나사형 고정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크라운이 파절될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나사형 고정부재가 직접 크라운에 점 접촉되거나, 또는 선 접촉되지 않도록 나사형 고정부재를 정밀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나사형 고정부재를 정밀하게 제작하는 것은 어렵고, 설령 나사형 고정부재를 정밀하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나사형 고정부재와 크라운 간에는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점 접촉 또는 선 접촉 상태에서도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크라운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크라운에 대면하여 크라운을 직접 가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가 크라운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한다. 완충부재의 하나의 예로서, 나사형 고정부재에서 크라운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충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플라스틱재) 또는 고무재를 이용하여 링(ring)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는 크라운에 대면하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에 설치될 수 있고, 나사형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조립 단면도이고, (b) 나사형 고정부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10)는 어버트먼트(또는, 포스트)에 나사 결합되기 위해 숫나사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숫나사부를 구비한 몸체(11)와,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앵커홈부(12a)가 형성된 헤드(12)와, 헤드(12)의 앵커홈부(12a)에 삽입 결합되는 완충부재(13)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가 적용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는 숫나사부를 통해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에 형성된 암나사부(22f)에 나사 결합되거나, 혹은 몸체(11)의 길이가 연장되어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와 같이, 몸체(11)의 숫나사부가 픽스쳐에 직접 결합 고정되는 경우에는 나사형 고정부재(10)가 어버트먼트 스크루로 기능하여 크라운(23)을 어버트먼트에 고정하는 동시에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기능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는 어버트먼트(22)를 픽스쳐(21)에 결합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는 헤드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로 기능할 수 있다. 가령, 임플란트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로 기능할 수 있다.
헤드(12)는 몸체(11)가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포스트(22c)의 상부로 돌출된다. 크라운(23)에는 포스트(22c)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부(2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용부(23a)와 상하로 연통하고 나사형 고정부재(10)가 인입되는 인입부(23b)가 형성된다. 이때, 인입부(23b)는 홀 구조로서, 크라운(23)을 위에서 바라볼 때,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23a)와 인입부(23b)의 경계에는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의 상부로 돌출된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가 어버트먼트(22) 방향, 즉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걸림턱부(23c)가 크라운(23)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부(23c)는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을 크라운(23)으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가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에 형성된 암나사부(22f)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에 발생하는 결합력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걸림턱부(23c)에 작용하여 크라운(23)을 어버트먼트(22) 측으로 긴밀하게 밀착시킨다.
도 1의 (b)와 같이, 헤드(12)와 몸체(11)의 경계, 즉 헤드(12)의 하부에는 완충부재(13)가 결합되는 앵커홈부(12a)가 형성된다. 앵커홈부(12a)는 헤드(12)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띠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앵커홈부(12a)는 헤드(12)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앵커홈부(12a)의 외경(d11)은 완충부재(13)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13a)의 내경(d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충부재(13)는 앵커홈부(12a)에 긴밀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13)는 중앙에 중공(13a)이 형성된 링(ring)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13)는 헤드(12)에서 크라운(23)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충할 수 있는 재료, 가령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플라스틱재), 고성능 폴리머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재로는 실리콘 고무나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헤드(12)는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앵커홈부(12a)에 결합된 완충부재(13)를 통해 매개로 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가 어버트먼트(22)의 암나사부(22f)에 결합될 때 크라운(23)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완충부재(13)에 의해 일부 완충됨에 따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에 기인하여 크라운(23)의 특정 부위에 가압력이 집중되더라도 완충부재(13)에 의해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크라운(23)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버트먼트(22)는 도 2와 같이, 결합부(22a)에 일체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통해 픽스쳐(21)에 결합 고정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서, 어버트먼트(22)를 픽스쳐(21)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의 길이를 연장시켜 픽스쳐(21)에 결합 고정하거나, 또는 어버트먼트(22)와 별도로 개별적으로 제작된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중공을 통해 픽스쳐(21)에 결합 고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나사형 고정부재(10)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기능을 병행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어버트먼트(22)의 암나사부(22f)의 하부에는 어버트먼트(22)를 픽스쳐(21)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드라이버 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드라이버 홈(22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22c)의 하단부와 접하는 커프(22b)의 상단부는 포스트(22c)의 하단부보다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스트(22c)의 하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커프(22b)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둔턱부(22d)가 형성된다.
둔턱부(22d)의 상면은 통상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크라운(23)이 어버트먼트(22)를 덮도록 결합될 때 포스트(22c)와 함께 크라운(23)에 의해 수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버트먼트(22)를 결합부(22a)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매개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21)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와 둔턱부(22d)가 수복되도록 크라운(23)을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에 결합한다. 이어서, 완충부재(13)가 헤드(12)에 형성된 앵커홈부(12a)에 결합된 상태로 나사형 고정부재(10)를 크라운(23)의 인입부(23b)를 통해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어서,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포스트(22c)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2f)에 삽입시킨 후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12b)을 통해 나사형 고정부재(1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1)를 포스트(22c)에 형성된 암나사부(22f)에 나사 결합한다. 나사형 고정부재(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나사형 고정부재(10)가 인입되는 통로로 기능한 크라운(23)의 인입부(23b)는 레진 등과 같은 충진재(23d)로 충진된다.
도 2의 (a)와 같이, 나사형 고정부재(10)가 인입부(23b)를 통해 크라운(23)의 내부로 인입되면, 헤드(12)의 앵커홈부(12a)에 결합 고정된 완충부재(13)는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하측방향으로 걸림 지지된다. 이런 상태에서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를 포스트(22c)의 암나사부(22f)에 나사 결합하면, 나사형 고정부재(10)의 몸체(11)가 암나사부(22f)에 결합되는 결합력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에 가해지고, 이 과정에서 가압력이 완충부재(13)를 통해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하측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크라운(23)은 어버트먼트(22)의 포스트(22c)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나사형 고정부재(10)의 헤드(12)는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헤드(12)에 형성된 앵커홈부(12a)에 결합된 완충부재(13)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크라운(23)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도 2의 (a)에 나타낸 '점선 원형'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2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조립 단면도이고, (b) 나사형 고정부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30)는 실시 예1과 마찬가지로 몸체(31), 헤드(32) 및 완충부재(33)를 포함한다. 다만, 실시 예2는 실시 예1과 다르게 헤드의 구조와 완충부재(33)의 위치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다.
실시 예1에서는 도 1과 같이, 헤드(12)의 측부가 상하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즉, 헤드(12)는 단면 구조상 대략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실시 예1에서는 헤드(12)의 하부가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수직방향(상하)으로 걸림된다. 이에 따라 헤드(12)의 가압력은 수직방향으로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걸리게 된다. 이에 반해, 실시 예2에서는 도 3과 같이, 헤드(32)의 측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된 경사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헤드(32)의 측부는 크라운(43)의 걸림턱부(43c)에 측하방으로 걸림된다.
이와 같이, 실시 예1에서는 헤드(12)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헤드(12)의 가압력은 수직방향으로 크라운(23)의 걸림턱부(23c)에 전달됨에 따라 이를 완충하기 위해서 완충부재(13)는 헤드(12)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야 한다. 반면, 실시 예2에서는 헤드(32)의 가압력이 측하방으로 크라운(43)의 걸림턱부(43c)에 전달됨에 따라 완충부재(33)는 헤드(32)의 하부가 아닌 측부에 경사지도록 결합 고정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가 적용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30)는 헤드(32)의 측면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헤드(32)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여 헤드(32)가 접면하는 크라운(43)의 걸림턱부(43a) 또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앵커홈부(32a)는 수직방향으로 헤드(32)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다. 앵커홈부(32a)의 외경은 헤드(32)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됨에 따라 헤드(32)의 상·하부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가령, 헤드(32)는 앵커홈부(32a)가 형성된 부위에서 외경이 가장 작고, 앵커홈부(32a)를 경계로 상부가 하부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33)는 헤드(32)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보다 상부가 큰 직경을 갖는다. 가령, 헤드(32)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33)는 앵커홈부(32a)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32)의 측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도 4의 (a)에 나타낸 '점선 원형' 참조). 이를 위해 완충부재(33)는 외경이 헤드(3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나사형 고정부재(30)가 크라운(43)의 인입부(43b)에 인입되면, 헤드(32)의 측부는 크라운(43)의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고 완충부재(33)의 측부가 직접 접촉된다.
크라운(43)의 인입부(43b)의 내측면에는 나사형 고정부재(30)에서 제공하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크라운(43)으로 전달하기 위해 걸림턱부(43c)가 형성된다. 걸림턱부(43c)는 도 2에 나타낸 실시 예1와 다르게 완충부재(33)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충부재(33)는 측면부가 크라운(43)의 인입부(43b)에 형성된 걸림턱부(43c)에 균일하게 접면하여 가압력을 걸림턱부(43c)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조립 단면도이고, (b) 나사형 고정부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나사형 고정부재(50)는 실시 예2와 마찬가지로 몸체(51), 헤드(52) 및 완충부재(53)를 포함한다. 다만, 완충부재(53)는 실시 예2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완충부재(53)는 헤드(52)에 형성된 앵커홈부(52a)를 포함하여 크라운의 걸림턱부와 대면하는 헤드(52)의 측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완충부재(53)는 내측에 형성된 내측돌부가 헤드(52)에 형성된 앵커홈부(5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부위는 헤드(52)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실시 예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픽스쳐(61)와, 어버트먼트(62)와, 크라운(63)과, 나사형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크라운(63)의 수용부(63a)에 수용되어 크라운(63)에 의해 수복되는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의 외면과 크라운(63)의 수용부(63a)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64)를 더 포함한다.
어버트먼트(62)는 도 6의 (b)와 같이, 결합부(62a)와, 커프(62b)와, 포스트(62c)를 포함한다. 포스트(62c)와 경계를 이루는 커프(62b)의 상부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둔턱부(62d)가 형성된다. 도 6의 (a)와 같이, 포스트(62c)의 외면과 둔턱부(62d)는 크라운(63)에 형성된 수용부(63a)에 수용되어 크라운(63)에 의해 수복된다.
포스트(62c)의 상부 내부에는 드라이버 공구가 결합되는 드라이버 홈(62e)이 형성되고, 드라이버 홈(62e)의 상부에는 결합홈부로서, 나사형 고정부재(30)의 몸체(31)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62f)가 형성된다. 그리고, 포스트(62c)의 외면에는 포스트(62c)의 둘레를 따라 앵커홈부(62g)가 형성된다. 앵커홈부(62g)는 포스트(62c)의 상하로 1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홈부(62a)는 포스트(62c)의 외면과 크라운(63)의 수용부(63a)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64)가 포스트(62c)의 외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64)는 포스트(62c)의 외면과 크라운(63)의 수용부(63a)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저작작용시 크라운(63)에서 포스트(62c)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크라운(63)의 수용부(63a)의 내면과 포스트(62c)의 외면 사이로 음식물 찌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체(64)는 완충부재(33)와 같이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얇은 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시 취급과 조작이 쉽지 않아 작업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체(64)에는 탄성체(64)의 일부가 포스트(62c)의 외면에 형성된 앵커홈부(62g)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돌부(64a)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부(64a)를 통해 앵커홈부(62g)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크라운(63)의 조립 고정시 탄성체(64)가 포스트(62c)의 외면으로부터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62)의 일측부에는 포스트(62c)의 일측 하부에서 둔턱부(62d)를 경유하여 커프(62b)의 상부까지 소정 깊이로 연장되도록 회전 방지홈(62h)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방지홈(62h)은 포스트(62c)의 외면을 기준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하로 신장된 일자형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64)의 일측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부(64b)가 형성되어 걸림홈(62h)에 삽입 결합되고, 크라운(64)의 하부에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 방지홈(62h)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 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크라운(64)은 회전 방지홈(62h)에 의해 어버트먼트(62)를 축으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와 크라운(63) 사이에 탄성체(64)를 결합하는 구조에서는 탄성체(64)가 외부의 충격이나 자극에 의해 있어야 할 자리를 벗어나 이탈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64)의 내면에는 내측돌부(64a)가 형성되고,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의 외면에는 앵커홈부(62g)가 형성되어 탄성체(64)를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에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물론, 탄성체(64)와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 간의 결합 고정방식은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탄성체(64)의 내면에는 내측홈부가 형성되고, 포스트(62c)는 앵커돌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체(64)에 형성된 내측돌부(64a)로 인해 탄성체(64)의 조작은 더욱 쉬워질 수 있다. 탄성체(64)는 마이크로 단위로 제작되어 그 두께가 비교적 얇아 조작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탄성체(64)에 내측돌부를 형성함으로써 내측돌부가 형성된 부위가 부분적으로 두터워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의 외면에는 앵커홈부(62g)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탄성체(64)가 어버트먼트(62)의 포스트(62c)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탄성체(64)의 취급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탄성체(64)의 상·하단부를 중앙부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단단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나 니티놀(Ni-Ti 합금)로 이루어진 고정링을 탄성체(6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완충부재는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에 형성된 앵커홈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부위가 두터워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는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되는 탄성 특성을 갖는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재나 니티놀(Ni-Ti 합금)과 같이 자체의 휨을 이용하여 탄성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령 부피 변화를 하지 않는 합성수지재나 딱딱한 금속재(합금)를 사용할 때에는 그 외면에 고무재질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크라운과 나사형 고정부재의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크라운에서 전달되는 교합력을 흡수하는 탄성체로 기능한다. 완충부재가 부피 변화에 의한 탄성이 아니라 자체의 휨에 의해 탄성을 갖는 고성능 폴리머High-Performance Polymer, HPP), 예를 들어 PEEK(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나 니티놀(Ni-Ti 합금)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완충부재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완충부재에 슬릿홈과 같은 옆트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옆트임은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완충부재가 플라스틱이나 딱딱한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고무재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30, 50: 나사형 고정부재
11, 31, 51 : 몸체
12, 32, 52 : 헤드
12a, 32a : 앵커홈부
13, 33, 53 : 완충부재
13a : 중공
21, 61 : 픽스쳐
22, 62 : 어버트먼트
22a, 62a : 결합부
22b, 62b: 커프
22c, 62c : 포스트
22d, 62d : 둔턱부
22e, 62e : 드라이버 홈
22f, 62f : 암나사부
23, 43, 63 : 크라운
23a, 43a, 63a : 수용부
23b, 43b, 63b : 인입부
23c, 43c : 걸림턱부
23d, 43d : 충진재
62g : 앵커홈부
62h : 회전 방지홈
64 : 탄성체
64a : 내측돌부
64b : 연장부

Claims (12)

  1.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밀착 고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앵커홈부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앵커홈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은 상기 앵커홈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공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 결합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 중 어느 하나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크라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걸림되어 상기 몸체의 결합 고정시 상기 헤드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상기 걸림턱부로 전달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4. 삭제
  5.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밀착 고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앵커홈부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앵커홈부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측부가 상기 헤드의 측부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홈부는 상기 헤드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이거나, 상기 헤드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앙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밀착 고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앵커홈부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홈부는 상기 헤드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헤드의 측부를 덮도록 상기 헤드에 결합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0.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밀착 고정하는 나사형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앵커홈부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 형성된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결합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커프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커프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둔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서 상기 둔턱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된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와 상기 나사형 고정부재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상기 크라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회전 방지돌부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230065789A 2023-05-22 2023-05-22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62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789A KR102625833B1 (ko) 2023-05-22 2023-05-22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789A KR102625833B1 (ko) 2023-05-22 2023-05-22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33B1 true KR102625833B1 (ko) 2024-01-16

Family

ID=8971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789A KR102625833B1 (ko) 2023-05-22 2023-05-22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8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307B2 (ja) * 1990-09-28 1998-11-25 ノーベル バイオケア アクチボラグ 歯科インプラント
WO2009151614A2 (en) * 2008-06-12 2009-12-17 Chan Wang A resilient denta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04798B1 (ko)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CN215425217U (zh) * 2021-05-14 2022-01-07 杨芷清 一种带有凹凸结构的弹性材料体种植牙
KR102480663B1 (ko)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교합력에 반응하여 유동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80666B1 (ko)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27940B1 (ko) 2022-10-11 2023-05-03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307B2 (ja) * 1990-09-28 1998-11-25 ノーベル バイオケア アクチボラグ 歯科インプラント
WO2009151614A2 (en) * 2008-06-12 2009-12-17 Chan Wang A resilient denta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04798B1 (ko)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CN215425217U (zh) * 2021-05-14 2022-01-07 杨芷清 一种带有凹凸结构的弹性材料体种植牙
KR102480663B1 (ko)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교합력에 반응하여 유동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80666B1 (ko)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27940B1 (ko) 2022-10-11 2023-05-03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5782918A (en) Implant abutment system
JP4801318B2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
EP2934366B1 (en) Dental component with metal adapter
KR10213197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14933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H0513100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EP2713938B1 (en) Two-part dental component
GB2039743A (en) Implant artificial denture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20170088871A (ko) 에노살 단일 치아 임플란트
US20150030993A1 (en) Dental implant, abutment, implant system and implant set
KR10252794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KR20190108699A (ko) 어버트먼트 침몰방지용 착탈형 임플란트 구조체
US20230190421A1 (en) Abutment for implant including cap with strengthened occlusal force with artificial tooth
KR102625833B1 (ko) 크라운 파절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US20100015571A1 (en) Flexible Abutment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KR102305714B1 (ko)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2559248B1 (ko)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 사이의 결합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임플란트 구조체
JPH078508A (ja) 人工歯根
JP200411371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におけ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とアバットメントの接合形態及びアバットメントに関する。
EP4291131A1 (en) Abutmen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