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730B1 -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730B1
KR102625730B1 KR1020220081833A KR20220081833A KR102625730B1 KR 102625730 B1 KR102625730 B1 KR 102625730B1 KR 1020220081833 A KR1020220081833 A KR 1020220081833A KR 20220081833 A KR20220081833 A KR 20220081833A KR 102625730 B1 KR102625730 B1 KR 10262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call connection
follow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580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넥스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윌 filed Critical (주)넥스윌
Priority to PCT/KR2022/01002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08774A1/ko
Publication of KR2023001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08Message originat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essage centre, e.g. after detection of busy or absent state of a call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 장치의 전화 발신 방법으로서, 전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을 하는 단계,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ALL BASED ON RING BACK TONE ANALYSIS}
본 개시는 전화 발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유선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이 착신 단말에게 호를 요청한다. 착신 단말이 호를 수락하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가 연결된다. 만약, 착신 단말이 통화 중이거나,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또는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호는 연결되지 않고, 통신사업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Ring-Back Tone)이 발신 단말에게 전달된다. 통화연결음은, 착신 측이 지정한 통화연결 음악, 그리고 통화 중, 통화거절, 무응답, 단말기 꺼짐 등 착신자의 다양한 통화상태를 알려주는 안내 음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신자는 전형적인 형태의 전화기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스마트워치, 차량통화장치, 인공지능 스피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다. 특히,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스마트워치, 차량통화장치 등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기 때문에, 발신자는 미디어 재생을 중단한 채, 통화대기시간 동안 통화연결음을 들으면서 대기해야 한다. 하지만, 발신자는 통화 중, 통화거절, 무응답, 단말기 꺼짐, 결번 등의 원인으로 상대방과 통화를 못할 수 있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통화연결음을 들으면서 기다렸지만 결국 통화 연결에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 발신으로 인해 미디어 이용 환경이 방해될 수 있다. 특히, 차량 운전자가 모바일 단말을 차량에 연결해서 전화 발신을 할 수 있는데, 운전 중에 통화연결음을 청취하면, 주의력 분산과 교통정보안내 중단으로 안전 운전이 방해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이나 차량통화장치는 음성인식 기반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데, 전화 발신 후 통화연결음 청취를 위해 음성인식 기능은 중단된다. 그로 인해 발신자는 전화 발신 후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해서 후속 절차를 진행하기 어렵다.
본 개시는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으로 전화 발신 절차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전화 발신 방법으로서, 전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을 하는 단계,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하고,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전송 또는 상기 재발신의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화 실패에 따른 추가 동작이 음성 메시지 전달로 설정된 경우,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점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통신사업자 음성사서함으로 전송한 후,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연결 성공이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에서 제공하는 착신 단말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과 상기 통화연결음을 비교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연결음이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중 어느 하나로 분석되는 경우, 통화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기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활성화된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의 전화 발신 방법으로서, 전화 발신 음성 명령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을 하는 단계,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으면서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음성 인식 기능을 계속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음성 명령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연결 성공이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에서 제공하는 착신 단말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과 상기 통화연결음을 비교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연결음이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중 어느 하나로 분석되는 경우, 통화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로서,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하고,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활성화된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하거나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한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초로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기다리는 동안 통화연결음을 청취하지 않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화 발신을 하더라도 호가 연결될 때까지 이용 중인 미디어를 끊김없이 청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실패 시 사용자가 불필요한 통화연결음을 청취할 필요가 없고, 특히 운전 중에 통화연결음을 청취에 의한 안전 운전 방해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연결음 분석으로 사용자 개입 없이 통화 실패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화 발신 종료를 비롯한 후속 동작을 자동으로 진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화 발신 중에, 음성 인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통화 관련 상황과 음성 명령을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화 관련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전화 발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음성 인식 기반 전화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전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후속 동작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분석을 지원하는 차량 장치의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설명에서, 도면 부호 및 이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인 것으로서, 장치들이 반드시 도면 부호나 이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화 발신 절차는 다음과 같다.
발신자는 발신 단말을 통해 착신자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자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로 호를 요청하는 동안, 통화연결음을 청취한다. 착신 단말에서 호가 수락되면, 통신시스템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의 호를 연결해서, 발신자가 착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만약, 착신 단말이 통화 중이거나,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또는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호는 연결되지 않고, 통신사업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Ring Back Tone)이 발신 단말에게 전달된다. 예전에는 착신 측이 통화 중이거나 통화연결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통화연결음을 톤으로 발신 단말에게 전달하였으나, 최근 다양한 상태통화연결음은,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등 착신자의 다양한 통화상태를 알려주는 신호음 또는 음성안내이므로, 발신자는 이를 직접 듣고 전화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후, 발신자는 전화를 다시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후속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기술 및 통화 단말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발신자가 직접 전화 발신 절차에 개입하여, 통화연결음을 듣고 통화연결 시점과 착신 측 상태를 판단하는 모습은 변함없다.
한편, 사용자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스마트워치 등의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통화장치를 통해 음악청취, 네비게이션 등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 오디오에 관련된 다른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로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전화 발신하면, 미디어 재생이 중단된다. 또한, 운전 중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차량에 연결해서 전화 발신을 하거나 차량통화장치를 통해 직접 전화 발신을 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듣던 라디오, 음악 등의 미디어 재생이 중단된다. 게다가, 차량 운전자가 운전 중에 통화연결음을 청취하면, 주의력 분산과 교통정보안내 중단으로 안전 운전이 방해될 수 있다.
다음에서 발신자가 불필요한 통화연결음을 청취하면서 전화 발신 절차에 직접 개입할 필요 없이, 전화 발신 절차 및 후속 절차를 매끄럽게 제공하고, 불필요한 통화연결음 청취를 위해 다른 기능의 이용을 제한할 필요 없는 전화 발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디스플레이, 통신 장치, 그리고 스피커/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술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통화 프로그램(110)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통화 프로그램(110)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이거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장치일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을 받으면,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화 발신을 한다. 통화 장치(100)는 상대방 단말(착신 단말)(300)에서 호를 수락하기 전까지,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을 수신한다. 이때,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사용자는 통화연결음을 청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장치(100)는 상대방 단말(300)과 호가 연결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마이크를 통해 통화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음악 재생, 내비게이션 사용 등)을 우선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되거나, 항상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화 연결 전까지 불필요한 통화연결음을 청취하지 않을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 분석을 통해 통화 연결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비롯한 수신음 분석을 통해, 상대방 단말(300)에서 호를 수락한 통화 연결 시점을 알 수 있다. 그러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출력하지 않다가, 통화 연결이 성공하면 사용자가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호를 통해 전송된 상대방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상대방 단말(300)이 통화 중이거나,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또는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호는 연결되지 않고, 통신사업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Ring Back Tone)이 통화 장치(100)에게 전달된다. 통화연결음은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등 착신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고, 또한 통신사업자에 따라서도 다양하다.
통화 장치(100)는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해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통신사업자마다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이 다르기 때문에,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의 통화연결음 특징을 기초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국가마다의 통신사업자들에서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특징을 기초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저장된 상대방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을 기초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장치(100)는 서버(400)와 실시간 통신하여 상대방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을 획득한 후, 상대방 상태를 판단하거나, 서버(400)로 통화연결음은 전달해서 상대방 상태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에서 구분가능한 핵심 음원을 추출하여 분석하여야 하는데 통화연결음의 시작점 또는 비프(BEEF)/톤(Tone)을 기준으로 각 통화연결음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통화연결음의 시작점 음원이 훼손되어 핵심 음원의 위치 정보 추출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 분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통화 장치(100)는 비프(BEEF)/톤(Tone)을 기준으로 핵심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비프(BEEF)/톤(Tone)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통화 장치(100)는 비프/톤을 포함하는 음원에서 비프/톤을 추출하고, 비프/톤을 기준으로 통화연결음의 핵심 음원이 존재하는 위치 정보(P), 핵심 음원의 길이 정보(W), 그리고 핵심 음원의 음성 패턴(PT)을 특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사의 가입자인 착신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통화 장치(100)는 "고객이 통화중이어서 삐소리 후 소리샘으로 연결되오며 통화료가 부가됩니다. 비프(BEEP)음"을 수신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비프로부터 핵심 음원(예를 들면, "통화중"에 해당하는 음원)이 존재하는 위치 정보(P), 핵심 음원의 길이 정보(W), 그리고 핵심 음원의 음성 패턴(PT)을 S사의 통화중 안내 음원의 특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핵심 음원은 음원마다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통화 장치(100)는 수신한 통화연결음의 시작점 또는 비프/톤을 기준으로, 핵심 음원이 존재하는 위치를 분석 구간으로 추출하고, 분석 구간별로 수신 통화연결음과 해당 분석 구간에 관계된 핵심 음원의 패턴 일치 정도를 계산해서, 착신 단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분석을 기초로 통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의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인 경우,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전화하는 재발신 등의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이동통신망의 문자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연결음을 분석 결과, 통화 실패 원인이 통화 중, 통화거절, 무응답, 단말기 꺼짐인 경우, 통화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텍스트 메시지(예를 들면, 안녕하세요, OOO입니다, 전화부탁 드립니다.)를 전송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원인이 통화 중, 통화거절, 무응답, 단말기 꺼짐인 경우,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실패 원인에 따라, 재발신 간격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 중으로 통화 실패한 경우, 15분 후에 재발신하고, 통화거절/무응답/단말기 꺼짐으로 통화 실패한 경우, 수시간 후에 재발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연결음의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고, 통화 실패에 따른 추가 동작이 음성 메시지 전달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 분석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점을 판단하고, 사용자를 대신해서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통신사업자 음성사서함으로 전송한 후,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할 수 있다. 음성 메시지는 상대방과 연결된 상태에서 음성사서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통화 장치(100)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한 후, 전화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시, 통화 실패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통화 실패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통화 실패 알림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통화 실패 알림은 통화 실패 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통화 실패 후 추가 동작을 수행한 경우,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원인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추가 동작을 포함하는 통화 실패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실패 알림은 한 차례만 제공될 필요 없고, 전화 발신 종료 시와 추가 동작 시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통화 장치(100)는 음성인식 기능과 연동해서, 음성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수신하는 동안에도 음성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행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내장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서버(400)와 연동하여 음성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400)는 연동하는 통화 프로그램(110)으로 상대방 상태별 통화연결음 패턴을 제공하거나, 통화연결음에 대한 상대방 상태를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연동하는 통화 프로그램(110)으로 음성 명령에 따른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전화 발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을 받으면,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화 발신 요청에 따른 전화 발신을 한다(S110).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을 수신한다(S120).
통화 장치(100)는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해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한다(S130).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에서 제공하는 착신 단말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과 수신한 통화연결음을 비교하여,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 분석을 통해, 상대방 단말에서 호를 수락한 통화 연결 시점을 알 수 있고, 또는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등의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 성공하면,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음성을 출력한다(S140).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S150). 예를 들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의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인 경우,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하고,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대방에게 메시지 전송, 재발신 등의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의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고, 통화 실패에 따른 추가 동작이 음성 메시지 전달로 설정된 경우,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점에, 사용자를 대신해서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통신사업자 음성사서함으로 전송한 후, 사용자 개입 없이 전화 발신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장치(100)는 통화 실패 시, 전화 발신을 종료하되,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등의 추가 동작을 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알림 및/또는 수행된 후속 동작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60). 통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통화 실패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통화 실패 알림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음성 인식 기반 전화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전화를 걸 수 있지만, 음성인식 기능을 통한 음성 명령을 통해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통화 장치는 음성 명령을 통해 전화 발신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통화연결음을 들을 수 있도록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로 출력하므로, 음성인식 기능을 비활성화해야 한다.
이처럼, 종래의 통화 장치는 통화가 종료되어야 비로소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통화 장치는 통화 실패 시, 통화 종료 명령 등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는, 음성 인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한하고, 다양한 통화 관련 상황과 음성 명령을 빅데이터로 구축하기 어려워 통화 관련 인공지능 서비스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전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통화 프로그램(110) 및 음성인식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음성 명령을 수신한다(S210). 예를 들면, 음성인식 모듈(130)은 “OOO에게 전화해 줘”라는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130)은 통화 프로그램(110)으로 전화 발신을 지시한다(S212). 음성인식 모듈(130)은 연락처에서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해서, 통화 프로그램(110)으로 전화 발신을 지시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전화 발신 지시를 기초로,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화 발신을 한다(S220).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해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한다(S230). 이때, 음성인식 모듈(130)은 음성 인식 기능을 계속 활성화 상태로 유지해서,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S240).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지정된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 실패 원인 및/또는 착신 번호에 대한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 실패 원인이 “통화 거절”인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명령하였다면, 메시지 전송을 후속 동작으로 추천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착신 번호1에 대한 통화 실패 시,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명령하고, 착신 번호2에 대한 통화 실패 시, 사용자가 재발신을 명령하였다면, 착신 번호1에 대해서는 메시지 전송을 후속 동작으로 추천하고, 착신 번호2에 대해서는 재발신을 후속 동작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OOO님이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 전화를 끊을까요?”, “OOO님이 통화 중입니다. 15분 후에 다시 전화를 걸까요?”, 또는 “OOO님이 전화를 거절하였습니다. 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송할까요?” 등의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후속 동작 음성 명령을 수신한다(S250). 예를 들면, 음성인식 모듈(130)은 “전화 끊어 줘”, “OOO에게 다시 전화 걸어줘”, “OOO에게 메시지 발송해줘”라는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130)은 통화 프로그램(110)으로 후속 동작을 지시한다(S252).
통화 프로그램(110)은 후속 동작 지시에 해당하는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S260).
통화 프로그램(110)은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110)은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은 후속 동작을, 통화 실패 원인 및/또는 착신 번호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통화 프로그램(110)은 통화 실패 알림 및/또는 후속 동작 수행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화 프로그램(110)을 탑재한 통화 장치(100)는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은 채,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므로, 통화연결음을 수신하는 동안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 발신 중에, 음성 명령을 할 수 있어서 음성 인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통화 관련 상황과 음성 명령을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화 관련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장치(100)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는 도중에 전화를 발신하더라도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이 성공하기 전까지 끊김없이 음악을 청취할 수 있고, 음성 명령을 통해 전화 발신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통화 프로그램(110)은 음성 인식 기반으로 전화 발신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지만, 음성 이외의 다른 입력 수단(예를 들면, 화면 터치)을 통해 전화 발신 및/또는 후속 동작을 지시/요청받을 수 있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후속 동작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사용자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한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초로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위치 변화를 기초로 전화 발신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단한다(S210). 통화 장치(100)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들, GPS 등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이동 속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종류, 대중교통 승하차 정보 등을 기초로, 사용자가 걷는 중인지, 자전거를 타는 중인지, 버스/지하철/승용차 등의 교통 수단을 이용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이동 수단을 기초로 사용자를 차량 운전자, 대중 교통 이용자, 일반 사용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기초로, 후속 동작 추천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 정보를 기초로 통화 실패 시 후속 동작을 추천한다(S2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운전자인 경우, 통화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목적지 도착 시간을 획득하고, “OOO의 도착 10분 전에 다시 전화할까요?”, “OOO에 도착 후인 2시30분에 다시 전화할까요?” 등의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장치(10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된 일정 정보를 기초로 통화 실패한 착신자와의 약속 장소로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을 추론하고, 현재 위치에서 약속 장소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OOO님에게 도착 10분 전이라고 메시지를 보낼까요?”, “OOO님에게 현재 위치를 메시지로 보낼까요?” 등의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추천한 후속 동작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추후 인공지능 분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천한 후속 동작과 사용자 명령을 위해 기록할 수 있(S230). 사용자 명령은 추천한 후속 동작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등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12),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13), 디스플레이(14), 통신 장치(15), 그리고 스피커/마이크(16)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10)일 수 있다. 이외에도, 통화 장치(100)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통화 기능을 위한 통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 모듈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어는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
프로세서(11)는 컴퓨팅 장치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저장 장치(13)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 장치(13)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3)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화면을 표시한다. 통신 장치(15)는 통화 기능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마이크(16)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소리를 출력하고, 외부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는 명령어들을 실행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을 받으면,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화 발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해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 성공하면, 스피커를 통해 연결된 호를 통해 전송된 상대방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 실패하면, 통화 실패 원인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 실패 알림 및/또는 후속 동작 수행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전화 발신 음성 명령을 수신하면, 연락처에서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해서, 전화 발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신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을 분석해서, 상대방 상태를 판단한다. 프로세서(11)는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후속 동작 음성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하는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은 후속 동작을, 통화 실패 원인 및/또는 착신 번호별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화 실패 알림 및/또는 후속 동작 수행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분석을 지원하는 차량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통화 장치(100)는 차량 단말(500)과 이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600)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530), 디스플레이(540), 통신 장치(550), 그리고 스피커/마이크(560)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비디오 재생,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600)은 차량 단말(500)에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되면, 차량 단말(500)에 의해 제어되고, 차량 단말(500)을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고, 차량 단말(50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600)은 이동통신망의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 운전자가 모바일 단말(600) 또는 차량 단말(500)을 통해 전화 발신하면, 모바일 단말(600)은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화 발신을 한다. 차량 운전자는 차량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해서 전화를 걸거나, 음성 명령을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다.
차량 단말(500)은 모바일 단말(600)을 통해 수신된 통화연결음을 전달받는데, 통화연결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지 않고, 통화연결음 분석을 통해 통화 연결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통화연결음 분석 동안, 차량 단말(500)은 스피커를 통해, 통화연결음이 아닌 다른 출력할 수 있다.
차량 단말(500)은 통화연결음 분석을 통해 통화 연결 성공을 판단하고, 통화 성공하면,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음성을 출력한다.
만약,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차량 단말(500)은 통화 실패 원인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재발신, 그리고 음성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단말(500)은 인공 지능 기반으로 통화 실패 후 후속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차량 단말(500)은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서 상대방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단말(500)이 차량 운전자를 대신해서, 통화연결음을 듣고 상대방 상태를 판단해서 통화 연결하거나 종료하므로, 운전자는 통화연결음이 송출되는 동안 다른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으므로, 차량 단말(500)이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통화연결음이 송출되는 동안에도 음성 명령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기다리는 동안 통화연결음을 청취하지 않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화 발신을 하더라도 호가 연결될 때까지 이용 중인 미디어를 끊김없이 청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실패 시 사용자가 불필요한 통화연결음을 청취할 필요가 없고, 특히 운전 중에 통화연결음을 청취에 의한 안전 운전 방해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연결음 분석으로 사용자 개입 없이 통화 실패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화 발신 종료를 비롯한 후속 동작을 자동으로 진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화 발신 중에, 음성 인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통화 관련 상황과 음성 명령을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화 관련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통화 장치의 전화 발신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을 하는 단계,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음성 인식 기능을 계속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통화연결음을 분석하여 상대방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그리고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상기 상황 정보와 함께,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화 실패 원인,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또는 재발신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후속 동작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속 동작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화 발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화 발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연결 성공이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화 발신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에서 제공하는 착신 단말 상태별 통화연결음 특징과 상기 통화연결음을 비교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전화 발신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통화연결음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연결음이 통화 중(busy), 통화거절(rejected), 무응답(no answer), 단말기 꺼짐(offline), 결번(invalid number) 중 어느 하나로 분석되는 경우, 통화 실패로 판단하는, 전화 발신 방법.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전화 발신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사용자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시스템으로 전화 발신하고, 통화연결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음성 인식 기능을 계속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통화연결음을 분석하여 상대방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 그리고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판단하고,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상기 상황 정보와 함께,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화 실패 원인, 상기 상대방 단말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전화 발신 종료, 메시지 전송, 또는 재발신 중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추천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후속 동작 음성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후속 동작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통화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연결음이 수신되는 동안, 활성화된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통화 장치.
  19. 제1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연결음 분석 결과가 통화 실패이면, 통화 실패 원인,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으로, 후속 동작을 추천하거나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장치.
  20. 삭제
KR1020220081833A 2021-07-26 2022-07-04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KR10262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0026 WO2023008774A1 (ko) 2021-07-26 2022-07-11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773 2021-07-26
KR20210097773 2021-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80A KR20230016580A (ko) 2023-02-02
KR102625730B1 true KR102625730B1 (ko) 2024-01-16

Family

ID=8522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33A KR102625730B1 (ko) 2021-07-26 2022-07-04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7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161A (ko) * 2012-11-06 2014-05-14 변신웅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모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64335B1 (ko) * 2014-12-05 2016-10-11 (주)넥스윌 착신 단말의 상태 분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80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577B2 (en) Multi-user call waiting
US7180991B2 (en) Dynamic, interactive call notification
US9241059B2 (en) Callee rejection information for rejected voice calls
US9438730B1 (en) Using a speech analytics system to offer callbacks
US1154646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98975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call termination
US10542147B1 (en) Automated intelligent personal representative
CN112866488A (zh) 视频彩铃的播放方法和服务器、终端
US9300793B2 (en) Provision of a personalized indicator datum when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KR102625730B1 (ko)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US20040234047A1 (en) Interactive telephony interface
WO2023008774A1 (ko) 통화연결음 분석 기반 전화 발신 방법 및 장치
KR102426290B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2694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ommunications directed to a telephony device
JP4121894B2 (ja) メッセージ蓄積状態管理サーバ、及び、メッセージ蓄積状態管理システム
JP6665577B2 (ja)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99087A (ja) 着信応対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5241376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着信側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14533456A (ja) 付加的な呼び出し処理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ターミナル機器、及びそれを操作する方法、呼び出し処理補助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ターミナル・デバイス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20060801A (ko) 전화 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69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ommunications directed to a telephony device
US201402740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ommunications directed to a telephony device
KR20070012974A (ko)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7235507A (ja) データ取得端末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