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424B1 -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424B1
KR102625424B1 KR1020210076245A KR20210076245A KR102625424B1 KR 102625424 B1 KR102625424 B1 KR 102625424B1 KR 1020210076245 A KR1020210076245 A KR 1020210076245A KR 20210076245 A KR20210076245 A KR 20210076245A KR 102625424 B1 KR102625424 B1 KR 10262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rusion
housing
electronic device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112A (ko
Inventor
심희보
남호상
현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424B1/ko
Priority to PCT/KR2022/007643 priority patent/WO2022260329A1/ko
Priority to US17/837,902 priority patent/US20220397936A1/en
Publication of KR2022016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HINGE APPARU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전자 장치의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기능, 웹 서핑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보다 큰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크기 또한 계속해서 커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가 대칭이 되도록 접히는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가 등장하면서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기술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에는 폴딩(folding)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가 원활하게 폴딩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부품이 배치되는 하우징과 내부 기구물은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은 외력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을 지지해주는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이 보호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a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구성요소의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1 플레이트의 배면 및 제2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에서 도 2b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에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 -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 -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순으로 적층된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A-A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까지 적층된 구성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c의 B-B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까지 적층된 구성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c의 A-A 선을 따라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힌지부와 힌지 커버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c의 B-B 선을 따라 제3 플레이트, 제4 플레이트, 힌지부와 힌지 커버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 및 힌지 커버를 도 7a의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a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구조),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 및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제1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은 제 1 방향이고, 상기 후면이 향하는 방향은 제 2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적층 순서(예: 디스플레이의 적층 순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층 위에 B 층이 형성된다”라는 것은 A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B 층이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에서 적층 순서(예: 디스플레이의 적층 순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층 아래에 B 층이 형성된다”라는 것은 A층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B 층이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센서 영역(131d)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110)과 제1후면 커버(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120)과 제2후면 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펼침 상태(flat stage 또는 unfolding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1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를 통해 제1하우징(110)이 제2하우징(120)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인 폴딩(in-folding) 방식 및/또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힌지(164)는 전자 장치(100)를 위에서 바라 볼 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힌지(164)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힌지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개의 힌지 중에서 일부 힌지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111), 제1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12), 및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면 부재(11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113a), 제1측면(1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113b) 및 제1측면(1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측면(11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121), 제3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122), 및 제3면(121) 및 제4면(1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측면 부재(12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측면(123a), 제4측면(1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측면(123b) 및 제4측면(1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측면(1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면(121)은 접힘 상태에서 제1면(11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01)는 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으로 인해, 리세스(101)는 폴딩 축(A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01)는 제2하우징(120) 중 폴딩 축(A 축)에 평행한 제1부분(120a)과 제1하우징(110) 중 센서 영역(1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부분(110a) 사이의 제1폭(W1), 및 제2하우징(110)의 제2부분(120b)과 제1하우징(110) 중 센서 영역(131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A 축)에 평행한 제2부분(1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폭(W2)은 제1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110)의 제1부분(110a)으로부터 제2하우징(120)의 제1부분(120a)까지 형성되는 제1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110)의 제2부분(110b)으로부터 제2하우징(120)의 제2부분(120b)까지 형성되는 제2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의 제1부분(110a) 및 제2부분(110b)은 폴딩 축(A 축)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의 형태 또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1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1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1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 영역(131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1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리시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하우징(1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폴딩 축(A 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제2후면 커버(150),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후면 커버(140)의 제1후면 영역(1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제2후면 영역(1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52)(예: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배치되는 스피커 모듈(15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한 제1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은 제1후면 커버(140), 제1후면 커버(140)에 인접한 제1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후면 커버(15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인접한 제2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폴딩 영역(131c), 폴딩 영역(1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폴딩 영역(1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1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1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131a)은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고, 제2영역(131b)은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131c)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예: 도 1c의 힌지(164))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폴딩 영역(1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영역(131a)은, 제2영역(131b)과 달리, 센서 영역(131d)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영역(예: 도 1c의 노치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영역(1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1c의 힌지(1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complete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a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131c)은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제2면(112)과 제4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힘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은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1b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도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unit)(130)(예: 제1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 또는 SUS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과 대면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132)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노치 영역(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지지 부재(161)(예: 제1지지 플레이트), 제2지지 부재(162)(예: 제2지지 플레이트), 제1지지 부재(161)과 제2지지 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164), 힌지(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 부재(161)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 부재(162)는 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와 힌지(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a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지지 부재(161) 측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지지 부재(162) 측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의 제1공간에는 제1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제1지지 부재(161)의 제1스웰링 홀(161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배터리(191),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130)의 노치 영역(13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120)의 제2공간에는 제2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제2지지 부재(162)의 제2스웰링 홀(162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터리(19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1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과 제2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의 제2공간에는 서브 디스플레이(15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152)(예: 제2디스플레이)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은 제1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120)은 제1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a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1b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별도로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 번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구성요소의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1 플레이트의 배면 및 제2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에서 도 2b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및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 힌지부(206)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힌지 커버(211)(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예: 도 2a의 +Z 방향)을 전면, 전면의 반대 방향(예: 도 2a의 -Z 방향)을 배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접힐 수 있는 유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202)가 접착되는 제1 영역(200-1)(예: 도 1a의 제1 영역(131a)),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에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203)가 접착되는 제2 영역(200-2)(예: 도 1a의 제2 영역(131b)), 제1 영역(200-1) 및 제2 영역(200-2) 사이에서 굽힘 가능한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200-1), 제2 영역(200-2) 및 폴딩 영역(200-3)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설명을 위해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은 아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에는 지지 부재(201)(예: 도 2b의 지지 부재(201))가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1)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과 대응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1)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sheet)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1)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지지 부재(20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01)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부재(201)는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지칭하여 설명하지만 지지 부재(201)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된 구성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 이미드(polyimide; PI)와 같은 고분자 소재 또는 매우 얇은 두께로 가공된 유리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제2 플레이트(203)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2 영역(200-2)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202)는 제1 영역(200-1)에 접착 부재를 통해 부착되어 고정되며, 제1 영역(200-1)이 평면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3)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2 영역(200-2)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203)는 제2 영역(200-2)에 접착 부재를 통해 부착되어 고정되며, 제2 영역(200-2)이 평면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플레이트(202) 위주로 설명하나 이는 제2 플레이트(203)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영역(200-1)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202)는 제1 영역(200-1) 크기 및 폴딩 영역(200-3)의 일부의 크기를 포함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3) 크기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2 영역(200-2)의 크기에 대응하거나 제2 영역(200-2)) 및 폴딩 영역(200-3)의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 각각의 크기가 폴딩 영역(200-3)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크기인 경우, 도 2b를 참고하면, 펼침 상태일 때, 제1 플레이트(202)가 제1 영역(200-1) 및 폴딩 영역(200-3)의 일부 영역을 지지하고, 제2 플레이트(203)가 제2 영역(200-2) 및 폴딩 영역(200-3)의 다른 일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폴딩 영역(200-3) 중 제1 플레이트(202)에 의해 지지되는 일부 영역 및 제2 플레이트(203)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일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1 플레이트(202) 및/또는 제2 플레이트(203)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c를 참고하면, 접힘 상태일 때,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가 제1 영역(200-1) 및 제2 영역(200-2)을 지지하되 폴딩 영역(200-3)은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202)와 제2 플레이트(203)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에는 폴딩 영역(200-3)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별도의 기구물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200-1)은 제1 플레이트(202)가 배치됨에 따라 지지되고, 제2 영역(200-2)은 제2 플레이트(203)가 배치됨에 따라 지지될 수 있으나 제1 플레이트(202) 및/또는 제2 플레이트(203)가 배치되지 않는 폴딩 영역(20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컨대, 중간 영역)은 기구물에 의한 지지(예컨대, 접착 또는 접촉을 통한 지지)를 받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는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0) 보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소재 및/또는 비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소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STS, SUS), 철, 마그네슘,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금속 소재는 합성수지, 세라믹,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부(206)는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206-1)는 전자 장치(100)의 +Y 방향(예: 도 2a의 +Y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2 힌지(206-2)는 전자 장치(100)의 -Y 방향(예: 도 2a의 -Y 방향)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힌지(206-1)와 제2 힌지(206-2)는 도 2a의 X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06)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연결하며, 제1 하우징(110)을 기준으로 제2 하우징(120)을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제2 하우징(120)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110)을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206)는 제1, 2하우징(110, 120)의 회동 축을 제공하고, 특정 각도, 예컨대, 0도, 45도, 90도 또는 180도에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로 구성 요소 및/또는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힌지부(206)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나의 힌지를 포함하거나 세 개 이상의 힌지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부(206)로 지칭하여 설명하나, 이는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힌지부(206)는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바(ba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바는 양 힌지(206-1, 206-2)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양 힌지(206-1, 206-2))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바 타입으로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및/또는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바는 금속 재질, 예컨대 서스(SUS ; stainless use steel) 재질 또는 금속 분말 재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는 제1 플레이트(202)에 대해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4 플레이트(205)는 제2 플레이트(203)에 대해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와 제4 플레이트(205)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플레이트(204)와 제4 플레이트(205)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는 제1 보조 플레이트(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조 플레이트(218)는 제3 플레이트(20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조 플레이트(218)는 도 2a의 Y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3 플레이트(204)의 중심부를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후술할 제3 플레이트(204)에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예: 도 1c의 배선 부재(163))가 배치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 플레이트(218)는 실제로 제3 플레이트(204)와 구분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보조 플레이트(218)는 제3 플레이트(204)와 분리된 구성으로써 별도의 결합을 통해 제3 플레이트(204)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플레이트(204)는 복수의 구성으로써, 도 2a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100)의 +Y 방향 단부 및 -Y 방향 단부에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1 보조 플레이트(218)는 분리된 제3 플레이트(204)와 용접, 연결 부재(예: 나사, 클립, 볼트와 너트), 접착 부재(예: 본드,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3 플레이트(204)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플레이트(205)는 제2 보조 플레이트(2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제4 플레이트(2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도 2a의 Y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4 플레이트(205)의 중심부를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배선 부재(163)가 제4 플레이트(205)에 배치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실제로 제4 플레이트(205)와 구분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제4 플레이트(205)와 분리된 구성으로써 별도의 결합을 통해 제4 플레이트(205)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플레이트(205)는 도 2a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100)의 +Y 방향 단부 및 -Y 방향 단부에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2 보조 플레이트(219)는 제4 플레이트(205)와 별개로 형성되어 용접, 연결 부재(예: 나사, 클립, 볼트와 너트), 접착 부재(예: 본드,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4 플레이트(205)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전면에는 배선 부재(163)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전자 장치(1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제3 플레이트(204)와 제4 플레이트(205)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도 2a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200-3)의 폴딩 축(예: 도 2a의 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 도 2a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선 부재(163)는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선 부재(163)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1 보조 플레이트(218)와 제4 플레이트(205)의 제2 보조 플레이트(2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211)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부(206)를 가리며,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 커버(211)는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지고 접힘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힌지 커버(211)는 항상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211)는 힌지부(206)의 배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가 도 2a의 Y 축을 따라 배치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커버(211)의 내면의 일부 영역에는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층 순서로 전자 장치(100)의 각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각 부품들은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서 -Z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 상기 제1 플레이트(202), 상기 제2 플레이트(203) 및 힌지부(206)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02) 및 상기 제2 플레이트(203)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 힌지부(206)와 결합되고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힌지 커버(211)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 전면(예: 도 2a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은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3)의 전면 또한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2 영역(200-2)에 접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는 힌지부(206)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부(예: 도 2a의 +Y 방향)는 제1 힌지(206-1)와 결합되고 일단부의 반대인 타단부(예: 도 2a의 -Y 방향)는 제2 힌지(206-2)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는 힌지부(206)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나사, 볼트와 너트), 용접, 클립, 후크,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 및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204)는 제1 플레이트(20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플레이트(204)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1 플레이트(202)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3 플레이트(204)는 나사, 클립, 테이프, 용접, 리벳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202)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플레이트(205)는 제2 플레이트(203)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플레이트(205)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2 플레이트(203)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4 플레이트(205)는 나사, 클립, 테이프, 용접, 리벳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2 플레이트(203)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 및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 및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가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닌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 사이 및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 사이 및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 사이에는 완충 부재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15)가 접착 부재를 통해 제3 플레이트(204) 및 제1 플레이트(202)와 결합됨에 따라 제3 플레이트(204)와 제1 플레이트(202)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완충 부재(215)가 접착 부재를 통해 제4 플레이트(205) 및 제2 플레이트(203)와 결합됨에 따라 제4 플레이트(205)와 제2 플레이트(203)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206-1)와 힌지 커버(211)는 연결 부재(예: 나사, 클립,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206-2)와 힌지 커버(211)도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 사이 및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 사이에 완충 부재(215)(예: 도 4d의 완충 부재(21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힌지부(206)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전자 장치(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206)는 도 1c의 힌지(164)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206)는 복수의 힌지들(예: 제1 힌지(206-1), 제2 힌지(20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를 힌지부(206)로 지칭하여 설명하나, 이는 제1 힌지(206-1) 및 제2 힌지(206-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부(206)는 제1 브라켓(207-1), 제2 브라켓(207-2), 제1 샤프트(208), 제2 샤프트(209), 베어링 몸체(210) 및 복수의 탄성 부재(2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06)는 브라켓(207)을 통해 다른 기구물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207)은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207-1)과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에 배치되는 제2 브라켓(207-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06)는 제1 샤프트(208) 및 제2 샤프트(209)를 통해 회전할 수 있으며, 힌지부(206)와 결합된 기구물들 또한 제1 샤프트(208) 및 제2 샤프트(209)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몸체(210)는 제1 샤프트(208) 및 제2 샤프트(209)를 수용할 수 있는 샤프트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몸체(210)는 힌지부(206)와 힌지 커버(211)(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1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217)의 내벽에는 고정 부재(214)의 고정을 위한 나사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고정홀(217)을 통해 고정 부재(214)가 삽입되어 힌지 커버(211)와 힌지부(206)가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 몸체(210)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인용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복수개의 기구물들을 포함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홀 및/또는 고정홀(217)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기구물들 및 탄성 부재(215)들을 두 개의 샤프트(208, 209)가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215)는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할 때 및/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회동할 때 압축 또는 인장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힘을 보조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215)는 모두 동일하거나 복수의 탄성 부재(215)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거나 길이, 지름 및/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215)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힌지부(206)의 구성 요소는 예시에 불과하며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b 및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플레이트(204), 제4 플레이트(205) 및 힌지부(206)는 하우징(110, 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 제1 브라켓(207-1), 제1 하우징(110)에는 고정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의 일부는 고정홀(217)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를 통해 제1 브라켓(207-1)과 함께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플레이트(204)의 다른 일부는 제1 브라켓(207-1) 없이 고정홀(217)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를 통해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같은 결합 방식으로 제4 플레이트(205), 제2 브라켓(207-2), 제2 하우징(120)에는 고정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205)의 일부는 고정홀(217)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를 통해 제2 브라켓(207-2)과 함께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 플레이트(205)의 다른 일부는 제2 브라켓(207-2) 없이 고정홀(217)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를 통해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홀(217)은 나사선을 포함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나사선이 없는 고정홀(217)에 고정 부재(214)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3 플레이트(204), 제4 플레이트(205) 및 힌지부(206)는 용접, 클립, 후크,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하우징(110, 12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힌지부(206)와 결합되며 힌지부(206)의 제1 샤프트(208) 및 제2 샤프트(209)를 통해 회동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회동함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된 제3 플레이트(204) 및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된 제4 플레이트(205)는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이 하우징(110, 120)에 배치됨에 따라, 제1 하우징(110)에는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가 배치되고 제2 하우징(120)에는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회동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는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는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소재 및/또는 비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소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STS, SUS), 철, 마그네슘,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금속 소재는 합성수지, 세라믹,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에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 -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 -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순으로 적층된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A-A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까지 적층된 구성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c의 B-B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까지 적층된 구성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 -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및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 -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 순으로 적층 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는 제1 플레이트(202)에 대해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205)는 제2 플레이트(203)에 대해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한 적층 구조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지지 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1)는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예: 도 2a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지지 부재(201)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예: 도 1a의 제1 영역(131a))에는 제1 플레이트(2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1 영역(200-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영역(20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제1 영역(200-1) 및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의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 패널(200)의 제2 영역(200-2)(예: 도 1a의 제2 영역(131b))에는 제2 플레이트(20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3)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2 영역(200-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3)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2 영역(200-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제2 영역(200-2) 및 폴딩 영역(200-3)의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일 수 있다. 힌지부(206)와 연결된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는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에 대해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 사이 및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 사이에 완충 부재(21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215)는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 부재를 통해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215)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 사이 및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15)는 러버, 우레탄,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 부재(215)는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를 간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제1 플레이트(202)를 향하는 일면(예: 도 4d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접착 부재를 통해 제1 플레이트(202)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204)를 향하는 타면(예: 도 4d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접착 부재를 통해 제3 플레이트(204)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02)와 제3 플레이트(204)는 완충 부재(21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완충 부재(215)는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를 간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완충 부재(215)는 제2 플레이트(203)를 향하는 일면(예: 도 4d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접착 부재를 통해 제2 플레이트(203)에 고정되고 제4 플레이트(205)를 향하는 타면(예: 도 4d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접착 부재를 통해 제4 플레이트(205)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203)와 제4 플레이트(205)는 완충 부재(21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고정되어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202) 일단과 제2 플레이트(203) 일단 사이의 제1 간격(L1)(예: 도 4d의 L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200-3) 중 제1 간격(L1)에 대응하는 영역은 제1 플레이트(202) 및/또는 제2 플레이트(203)의 지지를 받지 못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시에서, 폴딩 영역(200-3) 중 제1 간격(L1)에 대응하는 영역의 배면 방향(예: 도 4d의 -Z 방향)으로 다른 지지 구조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에 외력(예컨대, 도 4d의 -Z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가해질 때, 폴딩 영역(200-3) 중 제1 간격(L1)에 대응하는 영역이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200-3) 중 제1 간격(L1)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기구물(예컨대, 제3 플레이트(204)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플레이트(204)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 및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에는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에는 제1 돌출부(20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02-1)는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에서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02-1)는 후술할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에 형성된 제2 함몰부(202-2)에 대해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203)에는 제1 돌출부(202-1)에 대응되도록 제1 함몰부(20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03-1)는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에서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함몰부(203-1)는 후술할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203-2)에 대해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는 도 4d의 제1 간격(L1)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제1 플레이트(202)에는 제2 함몰부(20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몰부(202-2)는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에서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함몰부(202-2)는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에 대해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203)에는 제2 함몰부(202-2)에 대응되도록 제2 돌출부(20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03-2)는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에서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203-2)는 제2 플레이트(203)의 제1 함몰부(203-1)에 대해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는 도 4d의 제1 간격(L1)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에는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에는 제3 돌출부(20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204-1)는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에서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돌출부(204-1)는 후술할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에 형성된 제4 함몰부(204-2)에 대해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플레이트(205)에는 제3 돌출부(204-1)에 대응되도록 제3 함몰부(20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함몰부(205-1)는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에서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함몰부(205-1)는 후술할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에 형성된 제4 돌출부(205-2)에 대해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돌출부(204-1)와 제3 함몰부(205-1)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출부(204-1)와 제3 함몰부(205-1)는 도 4d의 제2 간격(L2)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에는 제4 함몰부(20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함몰부(204-2)는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에서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함몰부(204-2)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에 대해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플레이트(205)에는 제4 함몰부(204-2)에 대응되도록 제4 돌출부(20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출부(205-2)는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에서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돌출부(205-2)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에 대해 도 4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돌출부(205-2)와 제4 함몰부(204-2)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돌출부(205-2)와 제4 함몰부(204-2)는 도 4d의 제2 간격(L2)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와 제2 플레이트(203)의 제1 함몰부(203-1) 사이에는 도 4d를 기준으로 -Z 방향에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 사이에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 사이에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 중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와 제1 플레이트(202)의 제2 함몰부(202-2) 사이에는 도 4d를 기준으로 -Z 방향에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 사이에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 사이에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 중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과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은 제1 간격(L1)을 이룰 수 있다. 제1 간격(L1)은 도 4d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간격(L1)은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와 제2 플레이트(203)의 제1 함몰부(203-1) 사이의 거리 및 제1 플레이트(202)의 제2 함몰부(202-2)와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L1)은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간격(L1)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 사이의 간격과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과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은 제2 간격(L2)을 이룰 수 있다. 제2 간격(L2)은 도 4d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간격(L2)은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와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사이의 거리 및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와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간격(L2)은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간격(L2)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출부(204-1)와 제3 함몰부(205-1) 사이의 간격과 제4 돌출부(205-2)와 제4 함몰부(204-2)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과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은 제3 간격(L3)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간격(L3)은 도 4d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간격(L3)은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와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간격(L3)은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와 제3 플레이트(204)의 제4 함몰부(204-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간격(L3)은 0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간격(L3)은 0.1mm 이상 일 수 있다. 제3 간격(L3)이 0 보다 크다는 의미는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이 제2 플레이트(203) 일단에 대해 도 4d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는 제2 플레이트(203) 일단이 제3 플레이트(204) 일단에 대해 도 4d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도 4d를 기준으로 -Z 방향으로 플레이트(202, 203, 204, 205)를 보았을 때, 전자 장치(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과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이 오버랩(overlap) 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3 플레이트(204)는 전자 장치(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을 지지하여 제2 플레이트(203)의 일단이 -Z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 중 제1 플레이트(202)와 제2 플레이트(203) 사이의 간격인 제1 간격(L1)과 대응되는 영역은 제3 플레이트(2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과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은 제3 간격(L3)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간격(L3)은 도 4e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간격(L3)은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와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간격(L3)은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와 제4 플레이트(205)의 제3 함몰부(205-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간격(L3)은 0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간격(L3)은 0.1mm 이상 일 수 있다. 제3 간격(L3)이 0 보다 크다는 의미는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은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에 대해 도 4e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는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이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에 대해 도 4e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는 의미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도 4e를 기준으로 -Z 방향으로 플레이트(202, 203, 204, 205)를 보았을 때, 전자 장치(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과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이 오버랩(overlap) 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4 플레이트(205)는 전자 장치(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을 지지하여 제1 플레이트(202)의 일단이 -Z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 중 제1 플레이트(202)와 제2 플레이트(203) 사이의 간격인 제1 간격(L1)과 대응되는 영역은 제4 플레이트(2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204)는 제1 플레이트(202)에 대하여 도 4d의 -Z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205)는 제2 플레이트(203)에 대하여 도 4d의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돌출부(202-1)와 제1 함몰부(203-1) 사이 및 제2 돌출부(203-2)와 제2 함몰부(202-2)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 플레이트(204)에 형성된 제3 돌출부(204-1), 제4 함몰부(204-2), 제4 플레이트(205)에 형성된 제3 함몰부(205-1) 및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플레이트(202)와 제2 플레이트(2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폴딩 영역(200-3)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폴딩 영역(200-3) 중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 사이의 간격(L1)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3 플레이트(204) 및/또는 제4 플레이트(205)에 의해 지지되는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모든 돌출부와 함몰부는 상대적인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202, 203, 204, 205)의 일단 중에서 일부에 대해서는 돌출부일 수 있지만,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함몰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204)의 일단 중 일부는 제3 돌출부(204-1)에 대해서는 함몰부일 수 있지만, 제4 함몰부(204-2)에 대해서는 돌출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4 플레이트(205)의 일단 중 일부는 제4 돌출부(205-2)에 대해서는 함몰부일 수 있지만, 제3 함몰부(205-1)에 대해서는 돌출부일 수 있다.
도 5는 도 4c의 A-A 선을 따라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힌지부와 힌지 커버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의 회전 반경(R)은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에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가 회전 시,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에 형성된 돌출부와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힌지부(206)의 베어링 몸체(210)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의 회전 반경(R) 하에서 제1 돌출부(202-1) 내지 제4 돌출부(205-2)와 베어링 몸체(21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부(206)의 베어링 몸체(210)에는 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213)는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이 힌지부(206)를 통해 회동 시,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 및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의 제2 돌출부(203-2) 중 적어도 하나와 베어링 몸체(21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몸체(210)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수용부(213)는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가 회전 시, 제1 돌출부(202-1) 및 제2 돌출부(203-2)가 베어링 몸체(21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부(213)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힌지부(206)를 통해 회동 시,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 중 적어도 하나와 베어링 몸체(21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몸체(210)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수용부(213)는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가 회전 시, 제3 돌출부(204-1) 및 제4 돌출부(205-2)가 베어링 몸체(21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4c의 B-B 선을 따라 제3 플레이트, 제4 플레이트, 힌지부와 힌지 커버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는 힌지 커버(211)(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부(206)의 베어링 몸체(210)와 힌지 커버(211)에 형성된 고정부(212)에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고정홀(217) 형성되고, 고정홀(217)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를 통해 힌지부(206)와 힌지 커버(211)는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의 회전 반경(R)은 플레이트(202, 203, 204, 205) 간의 간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의 회전 반경(R)은 제1 플레이트(202)와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의 간격인 제1 간격(L1) 및/또는 제3 플레이트(204)와 제4 플레이트(205)의 간격인 제2 간격(L2)을 축소함에 따라 커질 수 있다. 제1 간격(L1)과 제2 간격(L2)이 축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의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을 지지하는 부분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L1) 및/또는 제2 간격(L2)은 0.5mm 이하의 간격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간격(L1) 및/또는 제2 간격(L2)을 축소함에 따라 회전 반경(R)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는 베어링 몸체(210)의 고정홀(217)을 통과하여 고정부(212)의 고정홀(217)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214)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레이트(202) 내지 제4 플레이트(205)의 회전 반경(R) 하에서 고정 부재(214)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축(예: 도 6의 M-M 축)에 대해 도 6을 기준으로 + X 방향 또는 -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202-1) 내지 제4 돌출부(205-2)는 고정부(212) 또는 고정부(212)의 고정홀(217)에 삽입된 고정 부재(214)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에서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 및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212)는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힌지 커버(211)의 중심축인 M-M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을 지나는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도 6의 +X 방향으로 제4 간격(L4)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간격(L4)은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212)는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에 대해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을 지나는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제4 간격(L4)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간격(L4)은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2)는 제1 플레이트(202)의 제1 돌출부(202-1) 또는 제2 플레이트(203)의 제2 돌출부(203-2)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12)가 제1 돌출부(202-1) 또는 제2 돌출부(203-2)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202) 및 제2 플레이트(203)가 회전 시, 고정부(212) 및/또는 고정부(212)에 결합된 고정 부재(214)와 제1 돌출부(202-1) 및/또는 제2 돌출부(203-2)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2)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및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고정부(212)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힌지 커버(211)의 중심축인 M-M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을 지나는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제4 간격(L4)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간격(L4)는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212)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에 대해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212)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을 지나는 도 6의 M-M 축을 기준으로 -X 방향으로 제4 간격(L4)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간격(L4)는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2)는 제3 플레이트(204)의 제3 돌출부(204-1) 또는 제4 플레이트(205)의 제4 돌출부(205-2)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12)가 제3 돌출부(204-1) 또는 제4 돌출부(205-2)와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제3 플레이트(204) 및 제4 플레이트(205)가 회전 시, 고정부(212) 및/또는 고정부(212)에 결합된 고정 부재(214)와 제3 돌출부(204-1) 및/또는 제4 돌출부(205-2)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부(212)의 위치는 예시에 불과하며, 고정부(212)의 위치가 상술한 위치로 고정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고정부(212)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2)의 위치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부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 및 힌지 커버를 도 7a의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써, 다른 구성은 동일하지만 힌지 커버(211)(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와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가 결합되는 방식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커버(211)에는 걸림부(220)(Hook)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힌지부(206)의 베어링 몸체(210)에 형성된 걸림턱(216)에 체결됨에 따라 힌지 커버(211)와 힌지부(206)는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220)는 힌지 커버(211) 상에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부(220)는 힌지 커버(21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부(220)는 힌지 커버의 중심축인 도 7b의 M-M축을 기준으로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120),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영역(200-1)(예: 도 1a의 제1 영역(131a))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영역(200-2)(예: 도 1a의 제2 영역(131b)) 및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예: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204),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예: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205)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제1 방향(예: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20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함몰부(20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20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몰부(20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방향(예: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202-1)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4a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몰부(20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함몰부(203-1)와 상기 제2 함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20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전자 장치.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204-1)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함몰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205-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4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함몰부(20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와 상기 제4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돌출부, 상기 제3 함몰부, 상기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4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돌출부, 상기 제3 함몰부, 상기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4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204-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204-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205-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205-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 커버(211)(예: 도 1b의 힌지 커버(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 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 수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부를 통과하는 고정 부재(214)가 삽입되는 고정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제4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자 장치(100)(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110)(예: 도 1a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예: 도 1a의 제2 하우징(1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06)(예: 도 1c의 힌지(164)),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200-1)(예: 도 1a의 제1 영역(131a))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202)(예: 도 1c의 플레이트(132))의 하부(예: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204)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200-2)(예: 도 1a의 제2 영역(131b))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203)(예: 도 1c의 플레이트(132))의 하부(예: 도 2a를 기준으로 -Z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4 플레이트(205)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200-3)(예: 도 1a의 폴딩 영역(131c))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제1 방향(예: 도3b를 기준으로 -X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204-1)(예: 도 3b의 제3 돌출부(204-1))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함몰부(205-1)(예: 도 3b의 제3 함몰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3b를 기준으로 + X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205-2)(예: 도 3b의 제4 돌출부(205-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몰부(204-2)(예: 도 3b의 제4 함몰부(20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자 장치 200 : 디스플레이 패널
202 : 제1 플레이트 203 : 제2 플레이트
204 : 제3 플레이트 205 : 제4 플레이트
206 : 힌지부 211 : 힌지 커버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일단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는,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일 방향으로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4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와 상기 제4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 상기 제3 함몰부, 상기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4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함몰부와 상기 제4 함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 상기 제3 함몰부, 상기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4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 사이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 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힌지부를 통과하는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제4 돌출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자 장치.
  18. 힌지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의 하부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일단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는,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일 방향으로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힌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힌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함몰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는 힌지 장치.
KR1020210076245A 2021-06-11 2021-06-11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45A KR102625424B1 (ko) 2021-06-11 2021-06-11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07643 WO2022260329A1 (ko) 2021-06-11 2022-05-30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837,902 US20220397936A1 (en) 2021-06-11 2022-06-10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45A KR102625424B1 (ko) 2021-06-11 2021-06-11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112A KR20220167112A (ko) 2022-12-20
KR102625424B1 true KR102625424B1 (ko) 2024-01-16

Family

ID=8442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45A KR102625424B1 (ko) 2021-06-11 2021-06-11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5424B1 (ko)
WO (1) WO20222603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096B1 (ko) * 2018-04-03 2023-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658428B1 (ko) * 2018-11-29 202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5020B1 (ko) * 2018-12-04 2023-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4823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329A1 (ko) 2022-12-15
KR20220167112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7183B2 (ja) 携帯用情報機器
JP6453413B1 (ja) 携帯用情報機器
CN113672115B (zh) 显示器组件及其制造方法、以及便携式信息设备及其制造方法
EP4350672A1 (en) Folding display device
JP2021015492A (ja) 携帯用情報機器
KR20200100490A (ko) 배선 부재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5273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JP2020046541A (ja) 携帯用情報機器
EP4300927A1 (en) Hinge device comprising cam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device
CN117915551A (zh) 包括弹性构件的电子装置
US20220240637A1 (en) Protective cover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17209194A1 (ja) 電子機器用ヒンジ及び電子機器
US1090863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2021185444A (ja) 携帯用情報機器
CN115883702B (zh) 柔性显示模块及包括该柔性显示模块的电子装置
US11360524B2 (en) Electronic device
KR20200101153A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9733A (ko)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532972B2 (ja) 携帯用情報機器
JP2022047813A (ja) 携帯用情報機器及びカバー装置
WO2022037286A1 (zh) 支撑装置以及可折叠装置
CN115095598A (zh) 转轴机构、支撑装置和折叠屏设备
KR102625424B1 (ko)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686115B1 (ja) 携帯用情報機器
CN115762333A (zh) 电子设备、屏幕承托板及柔性屏幕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