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096B1 -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096B1
KR102625096B1 KR1020230068240A KR20230068240A KR102625096B1 KR 102625096 B1 KR102625096 B1 KR 102625096B1 KR 1020230068240 A KR1020230068240 A KR 1020230068240A KR 20230068240 A KR20230068240 A KR 20230068240A KR 102625096 B1 KR102625096 B1 KR 10262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rtual space
block
unit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근
Original Assignee
(주)레이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존 filed Critical (주)레이존
Priority to KR102023006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등의 데이터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와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시각적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장치; 사용자가 가상 공간을 체험하기 위한 가상 공간 체험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 받으면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 공간 체험 장치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요청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Virtual space visualiza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nthetic data}
본 발명은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등의 데이터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와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시각적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현실 세계에 가상정보를 더해 보여주는 기술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혼합한 기술은 혼합현실(MR, mixed reality)이라고 한다. VR과 AR, MR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현실을 구현해 사람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다만 AR은 실제 현실에 가상의 정보를 더해 보여 주는 방식이고, VR은 모두 허구의 상황이 제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R은 AR과 VR을 혼합해 현실 배경에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혼합시켜 제공하는데,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가상현실의 체험에는 HMD(Head Mount Display)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이는 VR 체험을 위해 사용자가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시선을 외부와 차단한 후 사용자의 시각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눈앞에 디스플레이가 오도록 얼굴에 쓰는 형태로 마이크, 스테레오 스피커를 비롯해 여러 센서 등이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0799호 (2019.12.03.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카메라 등의 데이터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와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시각적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은,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장치; 사용자가 가상 공간을 체험하기 위한 가상 공간 체험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 받으면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 공간 체험 장치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요청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공간 체험 장치는, 상기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장비가 설치되는 체험 본체부; 상기 체험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구비되며, 상기 천장부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VR 헤드셋; 및 가상 공간을 체험 중인 사용자가 가상 공간 체험을 위해 제공되는 체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주는 체험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험 펜스부는,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체험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 이동 프레임; 상기 체험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 기어; 상기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줄 수 있도록 후단 일부가 절개된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절개된 일단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획 펜스; 상기 구획 펜스의 내주면의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전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체험 영역에서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의 접근을 개별적으로 감지한 뒤 상기 프레임 구동 기어의 회전 구동을 담당하는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체험 본체부로 전송하는 3 개의 접근 감지 센서;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와의 충격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펜스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충격 방지 패드; 및 상기 구획 펜스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구획 펜스를 지지하는 펜스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펜스 지지대는, 상기 구획 펜스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완충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안착홈; 상기 상단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완충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단 안착홈; 상단이 상기 상단 안착홈에 안착되고 하단이 상기 하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완충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완충 블록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완충 블록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회전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상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완충 블록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상단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회전홈;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반달형 블록; 하부가 상기 블록 회전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반달형 블록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연결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달형 블록은,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지 날개; 상기 날개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날개 지지 스프링; 상기 날개 안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날개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서 상기 블록 바디의 회동을 유도하는 회동 유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유도 날개가 형성되는 상부가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바디는, 상부에 상기 기둥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등의 데이터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와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공간 체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체험 펜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펜스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10)은, 데이터 획득 장치(100), 가상 공간 체험 장치(200) 및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300)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장치(100)는, 영상 촬영용 카메라, 3D 영상 촬영 카메라, 라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이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한 뒤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300)로 전송한다.
가상 공간 체험 장치(200)는, 사용자가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300)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 공간을 체험하도록 한다.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300)는, 데이터 획득 장치(100)로부터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 받으면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며, 가상 공간 체험 장치(200)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요청된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10)은, 카메라 등의 데이터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와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 공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상 공간 체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공간 체험 장치(200)는, 체험 본체부(210), 천장부(220), VR 헤드셋(230) 및 체험 펜스부(400)를 포함한다.
체험 본체부(210)는,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장비가 설치되며, 상단에 메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240)가 설치된다.
천장부(220)는, VR 헤드셋(230)의 케이블을 거치할 수 있도록 체험 본체부(21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VR 헤드셋(230)은,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구비되며, 천장부(220)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체험 펜스부(400)는, VR 헤드셋(230)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을 체험 중인 사용자가 가상 공간 체험을 위해 제공되는 체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험 본체부(21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체험 펜스부(400)는, 수평 이동 프레임(410), 프레임 구동 기어(420), 구획 펜스(430), 3 개의 접근 감지 센서(440-1 내지 440-3), 충격 방지 패드(450) 및 펜스 지지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 프레임(410)은, 일측 및 타측이 체험 본체부(210)로부터 노출되도록 체험 본체부(21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험 본체부(210)에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이동 프레임(410)은, 구획 펜스(430)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에 구획 펜스(430)를 회전 구동시켜 구획 펜스(430)의 전단을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모터(47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구획 펜스(43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진입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프레임 구동 기어(420)는, 체험 본체부(210)의 내측에서 수평 이동 프레임(410)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수평 이동 프레임(41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동 기어(420)는, 수평 이동 프레임(4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평 이동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구획 펜스(43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획 펜스(430)의 내측에서 가상 공간을 체험 중인 사용자가 외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동하면서 구획 펜스(430)에 충돌하는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획 펜스(430)는, 펜스 지지대(460)에 의해 지지되며,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줄 수 있도록 후단 일부가 절개된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절개된 일단이 수평 이동 프레임(4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수평 이동 프레임(4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 프레임(41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3 개의 접근 감지 센서(440-1 내지 440-3)는,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장치로서, 구획 펜스(430)의 내주면의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전단에 각각 설치되며, 체험 영역, 즉, 구획 펜스(430)의 내측에서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의 접근을 개별적으로 감지한 뒤 프레임 구동 기어(420)의 회전 구동을 담당하는 회전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체험 본체부(210)로 전송한다.
충격 방지 패드(450)는,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와의 충격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획 펜스(43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펜스 지지대(460)는, 구획 펜스(430)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구획 펜스(43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구획 펜스(430)와 함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획 펜스(4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상 공간 체험 장치(200)는, VR 헤드셋(230)을 사용자의 이동 반경으로부터 벗어나 설치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획 펜스(430)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주변이 보이지 않는 사용자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펜스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펜스 지지대(460)는, 지지 프레임(461), 블록 안착홈(462), 완충 블록(463), 상단 안착홈(464), 하단 안착홈(465), 블록 지지부(600) 및 회전 구체(466)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461)은, 구획 펜스(430)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며, 블록 안착홈(462), 완충 블록(463), 상단 안착홈(464), 하단 안착홈(465), 블록 지지부(600) 및 회전 구체(466)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블록 안착홈(462)은, 지지 프레임(461)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지지 프레임(46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다.
완충 블록(463)은, 블록 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안착홈(462)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상단 안착홈(464)은, 블록 지지부(600)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안착홈(462)의 상단에 형성된다.
하단 안착홈(465)은, 블록 지지부(60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 안착홈(464)과 대향하면서 완충 블록(463)의 상단에 형성된다.
블록 지지부(600)는, 상단이 상단 안착홈(464)에 안착되고 하단이 하단 안착홈(465)에 안착되어 완충 블록(463)을 지지한다.
회전 구체(466)는, 하부가 블록 안착홈(462)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는 완충 블록(463)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완충 블록(46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펜스 지지대(460)는, 구획 펜스(4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구획 펜스(43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구획 펜스(430)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구획 펜스(43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여 구획 펜스(43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록 지지부(600)는, 제1 지지 유닛(610), 제2 지지 유닛(620) 및 완충 유닛(6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610)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단 안착홈(464)에 안착되어 지지 프레임(461)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유닛(610)은,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지지 블록(611)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단 안착홈(464)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R1)와 후단에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R2)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컨베이어 설치홈(611a)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단 안착홈(464)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 블록(611)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켜 주고, 반대로 상단 지지 블록(611)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외향면을 따라 피밀착물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못 형상의 스파이크(612a)가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단 안착홈(464)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단 안착홈(464)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2 지지 유닛(620)은, 완충 유닛(6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단 안착홈(465)에 안착되어 완충 블록(463)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 유닛(620)은, 상술한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서, 제1 지지 유닛(610)의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 유닛(630)은,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유닛(630)은, 상부 유닛 바디(631), 하부 유닛 바디(632), 수직 완충 탄성체(633),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 및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를 포함한다.
상부 유닛 바디(631)는, 제1 지지 유닛(610)과 대향하면서 제1 지지 유닛(6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63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하부 유닛 바디(632)의 상측에 설치된다.
하부 유닛 바디(632)는, 제2 지지 유닛(620)과 대향하면서 제2 지지 유닛(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6311)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63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된다.
수직 완충 탄성체(633)는, 블록 안착홈(6321)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6321)에 안착되는 사각 기둥(6311)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사각 기둥(6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 유닛 바디(631)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지지 유닛(62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지지부(600)는, 완충 블록(463)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프레임(461) 또는 완충 블록(463)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461) 또는 완충 블록(463)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후술하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의 동일한 구성으로서, 전진 이동 제동부(613)의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 플레이트(6131)는, 전진 이동 프레임(6133)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안착된다.
수평 완충 스프링(6132)은, 밀착 플레이트(6131)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6131a)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지지하는 동시에 밀착 플레이트(61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은, 수평 완충 스프링(6132)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후단홈(6131a)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밀착 플레이트(6131)를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에 의해 구동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진되는 것을 제동하는 한편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전달되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후술하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와 상하 대칭구조로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의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 회전홈(7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 블록(720)이 안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연결 기둥(730)은, 하부가 블록 회전홈(710)으로부터 노출되는 반달형 블록(72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고, 상단이 제1 지지 유닛(610)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611b)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730)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611c)에 안착되어 저면 슬라이딩홈(611b)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731)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유도 날개(731)가 형성되는 상부(732)가 회동축(732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지지 스프링(740)은, 기둥 안착홈(7211)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는 연결 기둥(73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기울어져 경사지는 경우에도 상단 지지 블록(6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바디(721),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721)는,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바디(721)는, 상부에 기둥 안착홈(7211)이 형성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72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날개(722)는, 블록 바디(721)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과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회전홈(7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된다.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은, 날개 안착홈(711)의 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은, 날개 안착홈(711)의 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후단을 지지한다.
회동 유도 날개(725)는, 블록 바디(721)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712)에 안착되어 블록 회전홈(710)에서 블록 바디(721)의 회동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회전홈(710)에서의 회전 과정에서 연결 기둥(7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100: 데이터 획득 장치
200: 가상 공간 체험 장치
300: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
400: 체험 펜스부

Claims (8)

  1.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장치;
    사용자가 가상 공간을 체험하기 위한 가상 공간 체험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 받으면 가상 공간 시각화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제작된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 공간 체험 장치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요청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 체험 장치는,
    상기 가상 공간 시각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장비가 설치되는 체험 본체부;
    상기 체험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
    가상 공간의 체험을 위해 구비되며, 상기 천장부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VR 헤드셋; 및
    가상 공간을 체험 중인 사용자가 가상 공간 체험을 위해 제공되는 체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주는 체험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험 펜스부는,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체험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험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 이동 프레임;
    상기 체험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 기어;
    상기 체험 영역을 구획시켜 줄 수 있도록 후단 일부가 절개된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절개된 일단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획 펜스;
    상기 구획 펜스의 내주면의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전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체험 영역에서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의 접근을 개별적으로 감지한 뒤 상기 프레임 구동 기어의 회전 구동을 담당하는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체험 본체부로 전송하는 3 개의 접근 감지 센서;
    가상 공간 체험 중인 사용자와의 충격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펜스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충격 방지 패드; 및
    상기 구획 펜스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구획 펜스를 지지하는 펜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지지대는,
    상기 구획 펜스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완충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안착홈;
    상기 상단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완충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단 안착홈;
    상단이 상기 상단 안착홈에 안착되고 하단이 상기 하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완충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완충 블록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완충 블록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회전 구체;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상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완충 블록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상단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단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KR1020230068240A 2023-05-26 2023-05-26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KR10262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40A KR102625096B1 (ko) 2023-05-26 2023-05-26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40A KR102625096B1 (ko) 2023-05-26 2023-05-26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096B1 true KR102625096B1 (ko) 2024-01-12

Family

ID=8954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40A KR102625096B1 (ko) 2023-05-26 2023-05-26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7B1 (ko) * 2018-10-08 2019-04-25 정용욱 Vr 체험부스 키트
KR102050799B1 (ko) 2019-02-07 2019-12-03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20220062938A (ko) * 2020-11-09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2114821A (ja) * 2021-01-27 2022-08-0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住宅等の空間・仕様体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7B1 (ko) * 2018-10-08 2019-04-25 정용욱 Vr 체험부스 키트
KR102050799B1 (ko) 2019-02-07 2019-12-03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20220062938A (ko) * 2020-11-09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2114821A (ja) * 2021-01-27 2022-08-0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住宅等の空間・仕様体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7280A1 (en) Unmanned protective vehicle for protecting manned vehicles
EP29579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systems
US10151927B2 (e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head set for ride vehicle
US9575404B2 (en) Virtual reality theater structure
US10380907B2 (en) Device for spatially moving persons
US10596460B2 (en) Controlled dynamic multi-axis virtual reality system
US9182524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one dimensional (1D) retroreflective screen
US109967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ptic interaction for virtual reality
US201002404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user a somatosensory experience for thrill seeking jumping like activities
KR101669239B1 (ko)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GB2515190A (en) Head-mountable apparatus and systems
US20190139436A1 (en)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Rig
KR20180133117A (ko) 6자유도 운동 및 360도 무한회전이 가능한 모션 플랫폼
JP2020536331A (ja) 車両内において乗物酔いを伴わずに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見ること
WO2018109502A1 (en)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KR102625096B1 (ko)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JP6849317B2 (ja) ゲームシステム
WO2014114409A1 (en) Driving simulator
JP6899508B2 (ja) 床落下装置及び床落下方法
KR102564810B1 (ko) 실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터
US20190336871A1 (en) Motion simulating device
JP4482666B2 (ja) 動揺病低減情報提示装置及び提示方法
KR20180077890A (ko) 입체구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220076361A (ko) 모션 시뮬레이터
KR20220109920A (ko)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