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799B1 -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799B1
KR102050799B1 KR1020190014575A KR20190014575A KR102050799B1 KR 102050799 B1 KR102050799 B1 KR 102050799B1 KR 1020190014575 A KR1020190014575 A KR 1020190014575A KR 20190014575 A KR20190014575 A KR 20190014575A KR 102050799 B1 KR102050799 B1 KR 10205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user
user terminal
servic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경희
Original Assignee
류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경희 filed Critical 류경희
Priority to KR102019001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Abstract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 및 생성될 가상 공간에 적용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의 일 영역에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핑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VENUE PLATFORM CONSTRUC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편,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과 현실 세계에 가상정보를 더해 보여주는 기술인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혼합한 기술은 혼합현실(MR:mixed reality)이라고 한다. VR과 AR, MR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현실을 구현해 사람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다만 AR은 실제 현실에 가상의 정보를 더해 보여 주는 방식이고, VR은 모두 허구의 상황이 제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R은 AR과 VR을 혼합해 현실 배경에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혼합시켜 제공하는데,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가상현실의 체험에는 HMD(Head Mount Display)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이는 VR 체험을 위해 사용자가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시선을 외부와 차단한 후 사용자의 시각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눈앞에 디스플레이가 오도록 얼굴에 쓰는 형태로 마이크, 스테레오 스피커를 비롯해 여러 센서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 및 생성될 가상 공간에 적용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의 일 영역에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핑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상기 생성될 가상 공간에 대응되는 2D 육면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육면도를 3D 변환하여 상기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공간은, 모델하우스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쇼핑몰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각종 전시회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상기 생성될 가상 공간에 배치될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오브젝트를 상기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개체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새로운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이외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에 매핑된 서비스를 가이드하기 위한 캐릭터 아바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시야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시야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주변 영상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다양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예시로써 도시된 것이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서버(120) 및 판매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서버(120) 및 판매자 단말(130)의 동작에 대하여 개시하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서버(120) 및 판매자 단말(130)에 대하여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공간 제공을 위한 추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10)은 HMD(Head Mount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출력장치는 HMD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출력장치가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공간을 처리 및 재생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내장할 수도 있고, 외부의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외부의 처리장치는 사용자 단말(110)일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120)와 연결된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클라우드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플랫폼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고, 복수의 가상현실 장비들 각각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 및 생성될 가상 공간에 적용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기 위한 가상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20)에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120)에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될 가상 공간은 다양한 종류의 가상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생성될 가상 공간은 모델 하우스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될 가상 공간은 쇼핑몰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될 가상 공간은 각종 전시회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될 가상 공간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사용자 아바타의 협업 공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될 가상 공간은 컨텐츠 제공을 위한 가상 공간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S220).
이후 서비스 서버(120)는 생성된 가상 공간의 일 영역에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매핑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130)은 단순히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가상 공간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 단말(130)는 생성된 가상 공간에 다양한 서비스를 매핑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20)는 생성된 가상 공간에 서비스를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생성된 가상 공간이 모델 하우스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인 경우, 매핑된 서비스는, 모델하우스에 대한 정보(가격 정보, 시공사 및 분양사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또는 빌트인된 가구에 대한 서비스, 환경에 어울리는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된 가상 공간이 쇼핑몰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인 경우, 매핑된 서비스는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제품 정보, 가격 정보, 재고 정보, 피팅 정보 등에 대한 서비스일 수 있다. 나아가, 매핑된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한 사용자 아바타가 사용자 체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쇼핑몰의 제품을 착용했을 때의 예상 모습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된 가상 공간이 각종 전시회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인 경우, 매핑된 서비스는, 전시회에 전시될 작품에 대한 컨텐츠 서비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전시될 작품을 가상 공간 내에서 구현하여 사용자가 직접 전시회에 참석하지 않고도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나아가, 매핑된 서비스는 전시될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증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전시회를 방문하는 것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된 가상 공간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사용자 아바타의 협업 공간일 수 있다. 이때, 매핑된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가 협업하기 위한 자료 전송 서비스, 자료에 대한 각종 뷰어를 제공하는 뷰어 서비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 정보를 편집 및 수정하기 위한 문서 작업 서비스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생성된 가상 공간은 컨텐츠 제공을 위한 가상 공간일 수 있다. 이때, 매핑된 서비스는 컨텐츠를 제공 하기 위한 서비스 일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110)에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S240).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자신의 캐릭터 아바타를 생성된 가상 공간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된 가상 공간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매핑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전송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요청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S250). 이때, 상술한 다양한 서비스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2D 육면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한 2D 육면도를 3D 가상 공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S320).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가 수신하는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2D 육면도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한 2D 육면도를 변환하여 3D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D 육면도의 각각의 면은 필요에 따라 벽지 무늬, 컨텐츠 정보, 액자 등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육면도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가상 공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이 아닌 경우, 그에 맞는 다양한 2D 도면을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3D 공간이 원뿔형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원뿔의 전개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구현되는 가상 공간은 4D의 가상 공간(예를 들어, 4차원 초입방체 등)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비스 서버(120)는 4D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해 3D 전개도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20)는 3D 가상도의 각각의 대응되는 면을 맞붙혀 4D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도 4의 좌측 전개도에서 동일한 숫자를 가지는 면을 맞붙혀 도 4의 우측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110)에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S330).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생성된 가상 공간은 공간 내부에 다양한 오브젝트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가 수신하는 가상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객체 오브젝트 정보 및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서비스 서버(120)는 객체 오브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오브젝트를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객체 오브젝트가 옷장이고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가 안방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옷장을 가상 공간의 안방에 위치하는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객체 오브젝트가 현관문이고,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가 신발장과 외부 사이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신발장과 외부 사이에 현관문을 배치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할 수 있다(S530). 사용자 인터랙션은 사용자 제스쳐,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입력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때, 객체 오브젝트에 매핑된 또 다른 가상 공간이 존재하면, 서비스 서버(120)는 매핑된 또 다른 가상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객체 오브젝트가 옷장인 경우, 매핑된 또 다른 가상 공간은 옷장 내부를 나타내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 또는, 객체 오브젝트가 현관문인 경우, 매핑된 또 다른 가상 공간은 외부를 나타내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
한편, 가상 공간에 배치된 객체 오브젝트는 다양한 서비스와도 매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객체 오브젝트가 옷장인 경우, 옷장에 매핑된 서비스는 옷장 내부의 옷의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또는, 객체 오브젝트가 현관문인 경우, 현관문에 매핑된 서비스는 가상 공간을 종료하기 위한 로그아웃 서비스 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에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S610).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온라인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즉, 사용자가 가상 공간만을 제공 받고 싶어하는 경우에는 가상 공간만을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와 인터랙션 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온라인 모드인지, 오프라인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이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온라인 모드(S620-Y)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S630)
나아가,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캐릭터 아바타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제공된 캐릭터 아바타를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S650).
이때, 캐릭터 아바타는 판매자 단말(130)에서 제공된 캐릭터 아바타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된 캐릭터 아바타일 수 있다. 캐릭터 아바타는 특정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인터랙션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캐릭터 아바타 생성을 요청 받아 캐릭터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캐릭터 아바타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포함하는 캐릭터 아바타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새로운 기능들을 학습 시킬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생성된 캐릭터 아바타를 가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캐릭터 아바타가 판매자 단말(130)의 요청으로부터 생성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배치된 캐릭터 아바타의 위치 정보 및 이동 반경 정보를 수신하여 캐릭터 아바타를 배치할 수 있다. 즉, 판매자 단말(130)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바타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우가 많으므로, 특정 위치 및 특정 이동 반경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캐릭터 아바타가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으로부터 생성된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가상 공간 상의 사용자의 시야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캐릭터 아바타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바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캐릭터 아바타인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20)로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키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 정보는,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키기 위한 다양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카테고리 정보는, 어학 카테고리, 스포츠 카테고리, 쇼핑 카테고리, 교육 카테고리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를 세분화한 세부 카테고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학 카테고리의 세부 카테고리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등 언어의 종류를 구성하는 제1 세부 카테고리, 번역,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 등 언어에 대한 행위를 나타내는 제2 세부 카테고리, 각각의 카테고리의 학습의 정도를 결정하는 제3 세부 카테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3 세부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영어 번역 카테고리에 대한 학습의 정도와 관련된 카테고리로, 초급자 수준의 번역, 중급자 수준의 번역, 고급자 수준의 번역 등 번역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세부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의 정도가 높은 캐릭터 아바타는 학습의 정도가 낮은 캐릭터 아바타보다 많은 리소스(데이터 량, 비용 등)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가용한 리소스 양에 따라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키는 과정은 기 저장된 학습 모듈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키는 과정은 인공 지능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학습된 캐릭터 아바타를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캐릭터 아바타에 학습된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캐릭터 아바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3)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비스 서버(120)가 업데이트될 데이터를 선별하여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신하면,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캐릭터 아바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캐릭터 아바타가 초급자 수준의 영어(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의 경우 또한 같다) 번역을 학습한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30)은 영어 번역 학습을 위한 다양한 영어(및 그의 번역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20)로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120)는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킬 수 있다. 처음에는 초급자 수준의 영어 번역이 가능했던 캐릭터 아바타는,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영어 번역의 수준을 높여갈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이 제공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이 수행되므로, 단말의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캐릭터 아바타가 획득될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는 단말의 사용자가 관심 있거나, 자주 사용하는 단어 또는 문장등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학습된 캐릭터 데이터는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더욱 잘 번역할 수 있게되며 개인화된 캐릭터 아바타가 생성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인 스포츠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킨 경우, 캐릭터 아바타는 다른 분야에 대한 번역의 품질보다 스포츠 분야에서의 번역의 품질이 더 높을 것이다.
나아가, 처음부터 원어민 수준의 영어 번역을 학습한 캐릭터 아바타와 비교할 때, 사용자가 필요한 분야에 대한 번역 능력만을 향상 시킴으로써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캐릭터 아바타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30)이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120)가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판매자 단말(130)로부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사용자 정보란, 단말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단말을 통해 수집된 단말의 사용 히스토리 기록(사용 히스토리 기록은 일정 정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사용 시간, 접속한 웹사이트 주소, 접속 시간, 알람 설정 시간, 단말 사용 시간 및 분포 등 단말을 통한 모든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캐릭터 아바타는 각각의 단말의 개인적인 사용 양태에 따라 학습되어 개인화된 캐릭터 아바타로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학습된 캐릭터 아바타를 구매 및 판매하기 위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습된 캐릭터 아바타의 구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구입 요청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캐릭터 아바타 판매 명령을 수신하면, 구입 요청에 대응되는 단말에게 캐릭터 아바타를 판매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습된 캐릭터 아바타는, 학습 방법 및 학습 내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가 학습시킨 캐릭터 아바타는 특정 사용자만의 것으로서 희소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캐릭터 아바타를 구매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판매하고자 하는 캐릭터 아바타는 특정 사용자에게 개인화 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될 캐릭터 아바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삭제하고 판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판매자의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개인 정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함께 삭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학습은 인공 지능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딥 러닝은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abstractions,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또는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를 시도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딥 러닝은 큰 틀에서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로 볼 수 있다.
어떠한 데이터가 있을 때 이를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영상의 경우는 픽셀정보를 열벡터로 표현하는 등)로 표현(representation)하고 이를 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어떻게 하면 더 좋은 표현기법을 만들고 또 어떻게 이것들을 학습할 모델을 만들지에 대한)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딥 러닝 기법들로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순환 신경망(Reccurent Neural Network, RNN) 및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을 예로 들 수 있다.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은 입력 계층(input layer)과 출력 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 계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이다.
상술한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에 관한 내용은 예시를 위하여 서술된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동일한 과제해결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인공지능 기술 및 그 학습방법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이때, 시야 정보는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의 초점거리를 인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초점거리를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자(10)의 눈 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된 시야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20).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S720-Y),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상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즉,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초첨거리가 짧은 경우, 가상 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상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10)의 주변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지 않고, 제공 중인 가상 공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현실 세계를 탐색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20)는 초점 거리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하여만 사용자 단말(110)주변의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은 가상 공간을 표시할 수 도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주변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가상 공간 상에 초점 거리에 따른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가이드 오브젝트를 응시하여 초점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내로 변경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아무런 오브젝트 없이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서비스 서버(120)는 초점 거리 조절을 위한 가이드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개의 가이드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각각의 가이드 오브젝트 별로 각각의 서비스를 매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범위 내가 아닌 경우(S720-N), 서비스 서버(120)는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S740).
한편, 본 개시에 따른 가상 공간의 표시 방법 및 표시된 가상 공간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또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복수의 캐릭터 아바타로부터 가상 공간 및 가상 공간에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요청 정보란, 사용자 단말(110)이 판매자 단말(130)로 서비스를 요청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획득된 요청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요청 정보 및 요청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서비스, 질문, 불만 사항 등의 분포와 관련된 정보 및 이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서버(120)는 제공된 답변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20)는 제공된 답변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110)로 직접 요청할 수도 있고, 답변 후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 빈도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획득된 요청 정보 및 답변 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정보 및 획득된 요청 정보 및 답변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관심 있어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는 가상 공간과 주변 영상을 혼합 또는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구간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교차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 간의 여백 및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는 실제 주변 영상이 촬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내에 실제 주변 영상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시선 바깥에 가상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선이 다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내에 가상 공간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시선 바깥에 실제 주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시선 바깥에 실제로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시선 바깥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불필요하거나, 디스플레이의 한계상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선 바깥에 영상을 표시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시선을 해당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해당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렌더링 또는 로드하여 두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가 인식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속도에 상한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선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가 인식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속도가 이를 따라오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가 인식하는 시선 바깥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선의 이동이 실제 시선의 이동을 따라올 때까지, 시선의 바깥에 표시되는 실제 주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선을 기 설정된 상한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실제 주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는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가상공간 또는 실제 주변 영상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는 사용자의 주변에 앉은 친구가 사용자를 부르는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방향에 실제 주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10)는 다른 사람이나 객체가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가 외부 객체와 충돌위험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손을 뻗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10)는 해당 객체나 동작이 인식된 방향에 실제 주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는 가상 공간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일 지점에 광고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광고 객체는 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가상 공간내에서 화면보다 앞쪽 공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는 가상 공간에 표시되는 화면들(310 내지 330)중 적어도 하나에 광고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광고 영상 또는 광고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광고 객체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주시하거나, 광고 객체를 선택하는 등 광고 객체와 소정의 인터렉션을 함에 따라 광고 객체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서버(120) 및 판매자 단말(130)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상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가상 공간은 특정 사용자들을 위한 가상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로, 가상 공간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 단말(130)은 생성된 가상 공간에 입장하기 위한 식별코드 또는 보안코드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판매자 단말(130)이 설정한 식별코드 또는 보안코드를 입력하여 생성된 가상 공간에 입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코드 또는 보안코드는 초대장, 쿠폰, 예약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판매자 단말(130)은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프라이빗 가상 공간은 판매자 단말(130)의 판매자가 의도한 사용자만을 입장시킴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가상 공간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 단말(130)은 생성된 가상 공간에 입장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20)에 가상 공간 입장을 위한 다양한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110)이 가상 공간에 입장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판매자 단말(130)은 성별 조건, 나이 조건, 학력 조건, 업무 분야 조건 등의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130)은 여성/20대/코스메틱 업무 종사자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만 가상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비스 서버(120)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단말(130)은 남성/30대/CS 엔지니어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만 가상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비스 서버(120)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다양한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판매자 단말(130)이 요청한 가상 공간에 어느 사용자 단말(110)이 접근하고자 하면,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10)의 조건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공간 입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서비스 서버
130: 판매자 단말

Claims (10)

  1. 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 및 생성될 가상 공간에 적용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의 일 영역에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으로의 접근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핑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이외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에 매핑된 서비스를 가이드하기 위한 캐릭터 아바타를 추가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시야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생성된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시야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상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이외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생성된 가상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오프라인 모드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주변 영상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상에 주변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오브젝트를 응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초점거리가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의 초점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시야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하여만 상기 사용자 단말 주변의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는 상기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주변 영상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주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상기 생성될 가상 공간에 대응되는 2D 육면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육면도를 3D 변환하여 상기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모델하우스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쇼핑몰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각종 전시회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축을 위한 데이터는, 상기 생성될 가상 공간에 배치될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오브젝트를 상기 객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객체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새로운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시장 플랫폼 구축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014575A 2019-02-07 2019-02-07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05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75A KR102050799B1 (ko) 2019-02-07 2019-02-07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75A KR102050799B1 (ko) 2019-02-07 2019-02-07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54A Division KR102122565B1 (ko) 2019-11-25 2019-11-25 접근 권한을 바탕으로 입장 가능한 가상 현실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0190152752A Division KR102122563B1 (ko) 2019-11-25 2019-11-25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쇼핑몰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0190152753A Division KR102122564B1 (ko) 2019-11-25 2019-11-25 객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799B1 true KR102050799B1 (ko) 2019-12-03

Family

ID=6883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75A KR102050799B1 (ko) 2019-02-07 2019-02-07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7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27A (ko) 2020-09-29 2022-04-05 김종명 물리 공간의 가상 할당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449202B1 (ko) 2022-06-24 2022-09-29 주식회사 래빗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4437B1 (ko) * 2022-05-04 2022-11-09 주식회사 엠펀치 기가 픽셀 미디어 객체 감상 및 거래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CN116540903A (zh) * 2023-07-07 2023-08-04 深圳市景创科技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方法、装置、视听设备及计算机介质
KR102625096B1 (ko) 2023-05-26 2024-01-12 (주)레이존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40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54492A (ko) * 2009-11-17 2011-05-25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스토리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808439B1 (ko) * 2016-07-20 2017-12-12 이익재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KR101875697B1 (ko) * 2017-05-22 2018-07-09 김석종 증강 및 가상현실 기반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40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54492A (ko) * 2009-11-17 2011-05-25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스토리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808439B1 (ko) * 2016-07-20 2017-12-12 이익재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KR101875697B1 (ko) * 2017-05-22 2018-07-09 김석종 증강 및 가상현실 기반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27A (ko) 2020-09-29 2022-04-05 김종명 물리 공간의 가상 할당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394156B1 (ko) * 2020-09-29 2022-05-03 김종명 물리 공간의 가상 할당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464437B1 (ko) * 2022-05-04 2022-11-09 주식회사 엠펀치 기가 픽셀 미디어 객체 감상 및 거래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102449202B1 (ko) 2022-06-24 2022-09-29 주식회사 래빗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5096B1 (ko) 2023-05-26 2024-01-12 (주)레이존 인공지능 합성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시각화 시스템
CN116540903A (zh) * 2023-07-07 2023-08-04 深圳市景创科技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方法、装置、视听设备及计算机介质
CN116540903B (zh) * 2023-07-07 2024-02-23 深圳市景创科技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方法、装置、视听设备及计算机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799B1 (ko)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122563B1 (ko)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쇼핑몰 플랫폼 구축 시스템
Pan et al. Why and how to use virtual reality to study human social interaction: The challenges of exploring a new research landscape
US112817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data into a natural language description
US20210166300A1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US10950020B2 (en) Real-time AR content management and intelligent data analysis system
US10586391B2 (e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platforms
US20190294255A1 (en) Unified virtual reality platform
US10984602B1 (en) Facial expression tracking dur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essions
KR102122565B1 (ko) 접근 권한을 바탕으로 입장 가능한 가상 현실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122564B1 (ko) 객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US20190196576A1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a virtual reality server
US11210827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text-related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15736B1 (ko)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생성된 캐릭터 아바타의 표시 방법
KR102215735B1 (ko)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판매 및 구매 장치
KR102215729B1 (ko) 가상 현실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 아바타에 의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102080878B1 (ko)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생성 및 학습 시스템
KR102071198B1 (ko) 캐릭터, 프로그래밍 파일 및 프로그래밍 명령어 관리를 위한 지식 공유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71197B1 (ko) 코딩교육 게임 컨텐츠 관리를 위한 지식 공유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59017B1 (ko) 지식 공유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Horst et al. The shared view paradigm in asymmetric virtual reality setups
Solim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powered Metaverse: analysi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KR102071199B1 (ko) 2d/3d 디자인 관리를 위한 지식 공유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71196B1 (ko) 지식 공유 플랫폼의 수수료 산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410191A1 (en) Chatbot experience to execute banking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