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239B1 -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239B1
KR101669239B1 KR1020150072015A KR20150072015A KR101669239B1 KR 101669239 B1 KR101669239 B1 KR 101669239B1 KR 1020150072015 A KR1020150072015 A KR 1020150072015A KR 20150072015 A KR20150072015 A KR 20150072015A KR 101669239 B1 KR101669239 B1 KR 10166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nit
user
reality imag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154A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김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희 filed Critical 김신희
Publication of KR2015013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현실 시뮬레이터가 개시된다.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방향에 따라 적어도 세 개의 축 각각이 상하로 움직여 전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탑승부를 상단에 배치하여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가상현실 영상의 체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시뮬레이터{Virtual reality simulator}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탈 것과 그에 따른 실제 환경을 사용자가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자동차, 탱크, 헬기, 잠수함, 항공기, 우주선, 롤러코스터 등 여러 가지 탈 것들에 대한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실제의 상황과 조건에 맞는 속도감과 현장감을 구현하고, 항공기와 같은 비행체를 모의할 경우 비행자세에 따른 중력 체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의 탈 것들에 대한 가상체험 효과를 얻도록 한다.
즉,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오락실 등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탑승하면, 화면에 가상현실을 출력하고, 이를 사용자가 보면서 조정하게 되면, 실제 탑승하였을 상황을 간접적으로 사용자가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데는 몇 가지의 요소가 필요로 하게 된다.
첫째는 가상현실 상황을 연출하는 영상이다. 이 영상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 현실에 몰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연출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실제 체험감을 주는 베이스부이다. 이러한 베이스부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통해 실제로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글라이더에 탑승한 것과 같은 체험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는 실제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글라이더에 탑승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동작들을 기계적인 자유도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는 영상과 모션을 동조시키기 위한 제어부이다. 제어부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모션데이터의 움직임과 베이스부의 움직임이 동일하도록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어부는 영상과 모션을 동조시킬 뿐만 아니라, 바람, 안개 등과 같은 자연환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영상과 4D 기술을 동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국내공개특허 제2004-0048584호는 탑승자가 전방의 화면을 보면서 직접 조작하여 가상환경을 스릴있게 체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 롤링부재가 전후, 좌우방향으로 360도 선회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가상의 자연환경을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게 하는 4D 기술을 결합한 본 발명과는 그 구성이 상이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4D 기술과 결합되고, 단순한 구조로 다양한 탈 것들의 동작을 모의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방향에 따라 적어도 세 개의 축 각각이 상하로 움직여 전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탑승부를 상단에 배치하여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나타나면, 상기 이벤트에 따라 특수효과를 생성하는 특수효과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단에 배치하여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의 일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각각이 상기 축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실린더; 및 상기 복수개의 실린더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방에 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방에 프로젝터,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탑승부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단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전방 프레임; 상기 스크린에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사 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상단에 설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실린더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길이 방향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곡면 형태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에 입체효과를 가지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 후방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사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곡선을 이루는 곡선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곡선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로젝터에 연결되게끔 배치되는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 및 상기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조이스틱; 상기 조이스틱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탑승부의 등 받침대부터 스크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위치하여 상기 조이스틱이 받게 되는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하는 받침대; 및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실행, 중지 또는 시점 변화와 같은 기능 변경을 위한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요금을 받고 운영되는 경우, 상기 요금이 투입되는 요금정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구동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실린더 구동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 내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특수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특수효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특수효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촬영된 장소를 글라이더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가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영상으로서, 번개, 바람 및 안개와 같은 특수효과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각각이 상기 축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 상기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방에 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방에 프로젝터,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탑승부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양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타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1 막대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제2 막대부, 상기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2 막대부를 연결하는 제3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대부, 상기 제2 막대부 및, 상기 제3 막대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단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 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전방 프레임; 상기 스크린에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사 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상단에 설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구동부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길이 방향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과 고정된 적어도 두 개의 모터 구동부는, 각각의 회전축과 수직한 각각의 가상선이 서로 어느 한 점에서 만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4D 기술을 결합한 복잡하고 전문화된 시뮬레이터를 일반적인 범용화된 장비로 구축하여, 조작이 쉽고, 시각 및 촉각적인 체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수효과 및 베이스부를 통해 실감 있는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전기식 실린더로 베이스부가 구동되는 것이어서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받는 조작부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탑승부의 등 받침대로부터 스크린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구성된 받침대를 구비하여 조작부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식 실린더를 대신한 모터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소음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다른 제어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특수효과 생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운용방법을 간략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조작부(120), 제어부(130), 베이스부(140), 탑승부(150), 특수효과 생성부(160), 음향출력부(미도시), 요금정산기(미도시) 및 덮개(170)를 포함한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현실 세계를 보여주는 화면에 가상 입체영상이 덧붙여지고 이러한 가상 입체영상을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을 입체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PDP, LCD, 프로젝터(Projector), HMD(Head Mounted Display)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광원과 렌즈를 이용하여 영상필름을 연속적으로 영사하고 이때 나타나는 잔상 효과를 이용해 영상이 움직이는 것 같은 환영을 만드는 광학 장치인 프로젝터(111) 및 프로젝터(111)의 입체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백색 또는 은색 막이라 할 수 있는 스크린(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111) 및 스크린(112)를 이용하는 것은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가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생생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로젝터(111)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적어도 두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스크린(112)에 투영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은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112)에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가상현실 영상은 실제 세상을 찍은 영상에 가상으로 생성한 이미지를 덧붙여 생성한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영상은 개발자의 의도에 의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현실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글라이더, 자동차 등의 탈 것을 이용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111)는 베이스부(140)의 후방에 장착된 곡면 프레임(18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111)는 스크린(112)과의 사이에 방해되는 물체가 없는 경우에 가상현실 영상을 제대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후방으로 휘는 형태인 곡면 프레임(180)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스크린(112)은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112)은 화면 가장자리가 광원에 가깝게 되므로 왜곡을 완화 할 수 있어,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평평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112)을 통해 입체영상을 사용자가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스크린(112)의 입체영상을 보기 위한 3D 안경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추후 기술발전에 따라 3D 안경 없이 입체영상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조작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조이스틱(121), 시작버튼(미도시), 중지버튼(미도시), 기능버튼(미도시) 및 팔 받침대(122)를 포함한다.
조이스틱(121)은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오락기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조종 레버(lever)형의 입력 장치이다. 조이스틱(121)은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탑승부(150)에 설치되어 탑승부(150)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이스틱(121)은 상하좌우 및 경사 방향으로 레버가 움직일 수 있고, 이러한 레버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정보는 제어부(13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이스틱(121) 조작을 통해 레버가 도달한 방향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영상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121)은 별도의 입력버튼, 즉 컴퓨터의 마우스, 오락기기의 방향 전환키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시작버튼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초기 영상에서 다음 영상으로 진행시키는 입력 장치이다. 이러한 시작버튼은 조이스틱(121)을 포함하는 받침대(12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오락기기 등에 사용되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지버튼은 사용자의 가상현실 체험을 중지시키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가상현실 체험 도중 체험을 중지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지버튼은 앞서 설명한 시작버튼과 같이 받침대(122)에 장착될 수 있다.
기능버튼은 필요에 따라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예컨대, 가상현실 영상의 체험 도중 사용자의 시점을 변경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버튼은 받침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여러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더욱 많은 수가 장착될 수 있다.
받침대(122)는 조이스틱(121), 시작버튼, 중지버튼 및 기능버튼이 장착되는 장소로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탑승부(15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칠 수 있으며 조이스틱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22)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50)의 등 받침대부터 스크린(112)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22)는 사용자의 과도한 조작에 의해 조이스틱(121)이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형태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조이스틱(121)을 통해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할 시 받침대(122)에 손부터 팔꿈치까지에 해당하는 팔의 하부를 지탱한 채 조이스틱(121)을 조작하게 된다. 이때, 조이스틱(121)에 가해지는 하중이 받침대에 분산되므로 높은 하중으로 인한 조이스틱(12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22)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탱하므로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10), 조작부(120), 베이스부(140), 특수효과 생성부(160), 음향출력부(미도시) 및 요금정산기(미도시)와 같은 각종 장치들이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각종 입력 장치들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각종 장치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주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통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콘텐츠 선택,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게임분야에 적용될 시 게임 종목의 선택, 각종 가상현실 영상의 선택, 탑승부의 동작속도 수준의 선택, 게임의 시동 및 정지, 스피커 및 특수효과 생성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나지 않지만,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설치예에 불과하고 제어부(130)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작동에 장애가 되지 않는 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40)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각종 장치들을 상단에 배치하고,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보면서 조작부(12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좌우로 입체감 있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40)는 각각이 상하로 움직이는 적어도 세 개의 축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승하강, 기울어짐, 진동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영상의 움직임과 같은 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40)는 내부에 여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시 깔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탑승부(15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해 탑승하는 의자이며, 베이스부(140)의 후방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탑승부(150)는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나, 두 개부터 네 개까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부(150)는 조작부(120)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상현실 영상을 조종하는 장소이며,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의해 베이스부(140)가 움직이게 되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움직임을 전달하게 된다.
특수효과 생성부(160)는 가상현실 영상에 나타나는 번개가 치는 상황 같은 이벤트를 실제로 연출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벤트가 가상현실 영상에 출력됨과 동시에 실제 현실에 각종 특수효과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특수효과 생성부(160)는 번개, 안개, 바람, 진동 등과 같은 다양한 특수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맞춰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음향출력부는 제어부(13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의 청각요소를 구현하며, 탑승부(150)에 탑승한 사용자가 가상현실의 청각요소를 더욱 확실히 체험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4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출력부는 전방 스크린 주변에 3개의 스피커와 우퍼가 설치되고, 후방 탑승부에 2개의 스피커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는 필요에 따라 배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음향출력부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거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오동작이나 외부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이에 대한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요금정산기(미도시)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상업적인 목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일반인에게 일정금액의 요금을 받고 운영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요금정산기는 요금투입구가 구비되어 사용자 요금을 수납하게 된다. 요금정산기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사용에 따른 요금의 수납유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하며, 제어부(130)는 요금정산기로부터 사용자 요금의 수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것과 동시에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로부터 현재 작동 유무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여 가상현실 영상의 초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덮개(10)는 외부 빛의 영향을 줄여서 스크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선명함을 높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전체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시뮬레이션 동작을 설명한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먼저, 베이스부(140)상의 탑승부(150)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보면서 기설정된 여러 가지 체험 중 어느 하나를 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가상현실 영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을 실제 현실상에 구현하게 된다. 예컨대,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가상현실 영상에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라면, 실제 환경에 특수효과 생성부(160)를 통해 바람이 불게 하고, 탑승부(150)에 장착된 진동기를 동작시켜 실제 바람에 의한 진동인 것처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20)의 조작을 통해 가상현실 영상을 통해 원하는 지역을 자유자재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정이 끝이 나면, 사용자는 더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더 사용하고자 한다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사용자의 가상현실 체험이 진행되도록 계속해서 이어지는 가상현실 영상을 보여주게 된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가상현실 체험을 끝마치게 되면 초기화면을 출력하여 다음 가상현실을 체험하게 될 사용자를 기다리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실린더(141) 및 전방 상단에 스크린(112)이 설치되고 후방 상단에 프로젝터(111), 조작부(120) 및 탑승부(150)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42), 상단에 복수개의 실린더(141)가 배치되는 'T' 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143)을 포함한다.
실린더(141)는 베이스부(140)의 전방에 하나 후방에 두 개가 위치하며, 실린더(141)는 상하로 움직이는 장치로서,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베이스부(140) 전체의 움직이는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14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사용자에게 영상에서 표현되는 방향성을 실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b)에서 실린더(141)는 전방 프레임(142a)과 후방 프레임(142c) 내부에 위치하게 구성되어 전체적인 시뮬레이터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42)은 전방 프레임(142a), 연결 프레임(142b) 및 후방 프레임(142c)을 포함한다.
도 4의(a)에서 전방 프레임(142a)은 스크린(112)이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각종 특수효과를 구현하는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42a)은 실린더(141)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어 사용자의 가상현실 체험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 프레임(142b)은 베이스부(140)를 구성하는 뼈대이며, 전방 프레임(142a)과 후방 프레임(142c)을 연결하여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연결 프레임(142b)은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막대 프레임들(142b-1)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42b)은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막대 프레임들(142b-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 프레임(142b-2)을 구비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142c)은 프로젝터(111), 조작부(120), 탑승부(150)를 상단에 배치하며, 제어부(13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프레임(142c)은 두 개의 실린더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111)는 후방 프레임(142c)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는 곡면 프레임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따라 실린더가 동작하여 베이스부(140)가 움직이면, 베이스부(140)의 움직임에 의해 입체감을 가지는 동작을 보여준다.
도 5와 같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후방에 위치하는 두 개의 실린더(141)가 동시에 상승하면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실린더(141)가 상승하면 가능하다. 도 7과 같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후방에 위치하는 실린더(141) 중 우측에 위치하는 실린더(141)가 상승하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8과 같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후방에 위치하는 실린더(141) 중 좌측에 위치하는 실린더(141)가 상승하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베이스 프레임(142)과 실린더(141) 사이에 슬라이드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여 전방 전진 또는 후방 후진과 같은 동작이 추가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전방 전진 또는 후방 후진 동작은 슬라이드 프레임과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142)이 이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를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구동부(131), 실린더 구동부(132), 이벤트 감지부(133) 및 특수효과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구동부(131)는 서버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가상현실 영상을 운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동부(131)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영상을 통해 진동 또는 기타 특수효과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가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동부(1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영상이 글라이더를 통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부를 조작하고, 이러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부(131)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구동부(131)는 사용자의 조작과 관련없이 기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을 통해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 서버(미도시)등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실린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실린더(14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실린더 구동부(132)는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따라 실린더(14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의 레버가 오른쪽으로 향하면 좌측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구동시켜 베이스부(140)가 우측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의 레버가 왼쪽으로 향하면 우측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제어하여 베이스부(140)가 좌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의 레버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면 전방으로 향할 시 뒤 쪽에 위치하는 2개의 실린더(141)를 제어하여 베이스부(14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고, 조작부(120)의 레버가 후방으로 향할 시 전방에 위치하는 실린더(141)를 제어하여 베이스부(140)가 후방을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의 레버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실린더(141)를 동시 또는 단독으로 제어하여 전 방향에 대해 베이스부(140)가 기울어지게 제어 가능하다. 실린더 구동부(132)는 조작부(120)의 조작과 관련없이 가상현실 영상의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벤트 감지부(133)는 스크린 화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는 화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는 글라이더 체험 영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람에 의한 진동, 착륙에 의한 진동, 환경 변화에 따른 번개, 안개 및 바람 등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을 말한다.
이벤트 감지부(133)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어떠한 특수효과가 발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감지부(133)는 화면상에서 새가 지나가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새가 지나가는 이벤트는 특수효과가 발생 되지 않아도 되는 이벤트라고 판단할 수 있고, 가상현실 영상에서 글라이더가 지면에 착륙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착륙하는 진동이 발생되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결과는 특수효과 제어부(134)에 전달되고, 특수효과 제어부(134)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가상현실 영상에서의 진동을 사용자가 실제 느낄 수 있게 된다.
특수효과 제어부(134)는 가상현실 영상 내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실현되면 특수효과 신호를 생성하여 특수효과 생성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특수효과 제어부(134)는 특수효과 신호를 통해 특수효과 생성부(160)를 제어하여, 번개, 안개, 바람 및 진동 같은 특수효과를 낼 수 있다. 예컨대, 가상현실 영상 내에서 번개가 치면, 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번개 생성부(161)를 통해 번개 효과를 내도록 제어하고, 화면 상에 안개가 펼쳐지면 스크린 하단에 설치된 안개효과 생성부(162)를 통해 안개가 현실 내에 펼쳐질 수 있도록 제어하고, 화면 상에 바람이 불면, 스크린 하단 베이스부(140)에 장착된 바람 생성부(163)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수효과 제어부(134)는 영상 내에서 특정한 충격이나 충돌이 나타나면 베이스부(140)의 발판과 탑승부(150)에 장착된 진동 생성부(164)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일어난 충격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특수효과 생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특수효과 생성부(160)는 번개 성생부(161), 안개 생성부(162), 바람 생성부(163) 및 진동 생성부(164)를 포함한다.
번개 생성부(161)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나타나는 번개 영상에 따라 빛을 내는 장치이다. 번개 생성부(161)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플래쉬일 수 있으며, 스크린 상단 좌우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안개 생성부(162)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사람의 인체에 무해한 드라이 아이스 등을 통해 안개와 같은 효과를 연출하는 장치이다. 안개 생성부(162)는 스크린(112) 하단, 전방 프레임(142a)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는데 영향이 가지 않도록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 생성부(163)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전방 프레임(142a)으로부터 바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바람 생성부(143)는 전방 프레임(142a)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강도 조절을 위해 세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 생성부(143)는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가 바람에 의해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전방 프레임(142a)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생성부(164)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충돌이나 충격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베이스부(140) 및 탑승부(150)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진동이 생성되는 경우는 가상현실 영상에서 특별한 충격이 느껴지는 영상일 경우이다.
특수효과 생성부(160)는 앞서 설명한 특수효과 외에 물 생성 장치, 인체 터치 장치, 눈 생성 장치 등을 더 구비하여 영상의 상황에 따라 작동되어 사용자가 가상 체험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운용방법을 간략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운용 방법은 기 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 출력 단계(S11), 조작부(120)의 조작을 통한 가상현실 영상 제어 단계(S13), 조작부(120)의 조작을 통한 실린더 구동 단계(S15), 가상현실 영상 내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단계(S17),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특수효과 생성 단계(S19) 및, 가상현실 영상의 진행 여부 결정 단계(S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운용 방법은 먼저 기 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S11). 여기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금을 받는 경우에는 코인이 요금정산기에 투입되어 가상현실 영상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투입된 코인에 의해 동작하게 되고, '착용하십시오' 등과 같은 안내문구를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는 기 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현실세계를 비행하는 글라이더 형태의 가상체험인 경우, 현실세계의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따라 제어된다(S13).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탑승부(150)가 베이스부(140)에 의해 가상현실 영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S15).
이후, 가상현실 영상에서 특정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7). 기설정된 특정이벤트가 발생되면, 동시에 현실 세계에서도 그에 맞는 특수효과가 발생하게 된다(S19).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이벤트를 각종 특수효과를 통해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요금을 수납하는 경우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해당 컨텐츠를 더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안내 문구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용중인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이용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의 코인 투입에 의해 컨텐츠는 지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이용을 중지하고자 결정했다면, 가상현실 영상이 최초 코인 투입 영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가상현실 영상이 최초 영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종료가 입력된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4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실린더(141)를 대체하여, 상기한 바 있는 세 개의 축에 대응하고,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180) 및 상단에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180)가 배치되는 'T' 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19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18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181), 모터부(18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82) 및 회전축(182) 양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베이스 프레임(142)(도4 참조)에 타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링크부(183)는 회전축(182)에 결합된 제1 막대부(183a), 베이스 프레임(142)에 고정된 제2 막대부(183c), 제1 막대부(183a) 및 제2 막대부(183c)를 연결하는 제3 막대부(183b)를 포함하고, 제1 막대부(183a), 제2 막대부(183c) 및, 제3 막대부(183b)는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베이스 프레임(142)의 전방 프레임(142a)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구동부(18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142c)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구동부(180)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후방 프레임(142c)에 고정되어 후방 프레임(142c)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적어도 두 개의 모터 구동부(180)는, 각각의 회전축(182)과 수직한 각각의 가상선이 서로 어느 한 점(p)에서 만나도록 하부 프레임(190)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 구동부(180) 각각의 회전축(182)이 하부 프레임(190)에 서로 대체적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이때 모터 구동부(180)가 동작할 시 나타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142)에 대한 힘의 분산과 모터부(181)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뮬레이터(100)의 베이스부(1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20)가 작동하면, 조작부(120)의 레버 방향에 따라 그에 맞는 모터 구동부(180)가 적절히 동작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모터 구동부(180)에 베이스 프레임(142)을 상승시키는 명령이 전해지면, 모터부(181)가 회전하고, 모터부(181)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이(182)이 연동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회전축(18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막대부(183a)가 연동 회전하게 되고, 제1 막대부(183a)와 힌지 결합된 제2 막대부(183b)는 제1 막대부(183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막대부(183a)와 제2 막대부(183b)는 거의 일직선을 이루게 되며, 늘어난 링크부(183)의 전체 길이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142)이 상승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승된 베이스 프레임(142)은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체험감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부
120: 조작부
121: 조이스틱
122: 받침대
130: 제어부
131: 프로그램 구동부
132: 실린더 구동부
133: 이벤트 감지부
134: 특수효과 제어부
140: 베이스부
150: 탑승부
160: 특수효과 생성부
170: 덮개
180: 모터 구동부
190: 하부 프레임

Claims (17)

  1.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방향에 따라 적어도 세 개의 축 각각이 상하로 움직여 전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탑승부를 상단에 배치하여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베이스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나타나면, 상기 이벤트에 따라 특수효과를 생성하는 특수효과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단에 배치하여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의 일체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는, 각각이 상기 축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 상기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방에 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방에 프로젝터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탑승부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터 구동부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양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타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1 막대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제2 막대부, 상기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2 막대부를 연결하는 제3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대부, 상기 제2 막대부 및, 상기 제3 막대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단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 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전방 프레임, 상기 스크린에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사 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상단에 설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구동부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길이 방향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프레임과 고정된 적어도 두 개의 모터 구동부는, 각각의 회전축과 수직한 각각의 가상선이 서로 어느 한 점에서 만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곡면 형태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에 입체효과를 가지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투영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 후방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사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곡선을 이루는 곡선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곡선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로젝터에 연결되게끔 배치되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 및 상기 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조이스틱;
    상기 조이스틱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탑승부의 등 받침대부터 스크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위치하여 상기 조이스틱이 받게 되는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하는 받침대; 및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실행, 중지 또는 시점 변화와 같은 기능 변경을 위한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11. 제1 항에 있어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일정금액의 요금을 받고 운영되는 경우, 상기 요금이 투입되는 요금정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구동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실린더 구동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 내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특수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특수효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특수효과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촬영된 장소를 글라이더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가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영상으로서, 번개, 바람 및 안개와 같은 특수효과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072015A 2014-05-23 2015-05-22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101669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15 2014-05-23
KR20140062315 2014-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154A KR20150135154A (ko) 2015-12-02
KR101669239B1 true KR101669239B1 (ko) 2016-10-25

Family

ID=5488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015A KR101669239B1 (ko) 2014-05-23 2015-05-22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09B1 (ko) 2016-12-05 2017-07-04 박형안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
KR101934233B1 (ko) 2018-05-21 2018-12-31 강원철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485B1 (ko) * 2015-12-04 2017-05-24 주식회사 이제갬 가상 현실 체험 시스템
KR101817268B1 (ko) * 2016-02-24 2018-01-11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가상 현실 제어 장치
KR101827912B1 (ko) * 2016-07-05 2018-02-12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보행 가능한 가상 현실 장치
US10656704B2 (en) * 2017-05-10 2020-05-19 Universal City Studios Llc Virtual reality mobile pod
KR102238272B1 (ko) * 2019-01-08 2021-04-09 주식회사 포리얼 가정용 4d 영상물체험 시스템
KR102173295B1 (ko) * 2020-01-20 2020-11-03 주식회사 바인더에이 레이저와 프로젝션 영상 동기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082A (ja) * 1998-10-29 2000-05-12 Hitachi Ltd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KR100896450B1 (ko) * 2008-07-29 2009-05-12 신동호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KR101094858B1 (ko) * 2008-05-26 2011-12-15 (주)다림시스템 실시간 가상 현실 스포츠 플랫폼 장치
JP2013211672A (ja) * 2012-03-30 2013-10-10 Namco Bandai Games Inc 曲面投影立体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082A (ja) * 1998-10-29 2000-05-12 Hitachi Ltd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KR101094858B1 (ko) * 2008-05-26 2011-12-15 (주)다림시스템 실시간 가상 현실 스포츠 플랫폼 장치
KR100896450B1 (ko) * 2008-07-29 2009-05-12 신동호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JP2013211672A (ja) * 2012-03-30 2013-10-10 Namco Bandai Games Inc 曲面投影立体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09B1 (ko) 2016-12-05 2017-07-04 박형안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
KR101934233B1 (ko) 2018-05-21 2018-12-31 강원철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19225831A1 (ko) * 2018-05-21 2019-11-28 Kang Won Chul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154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239B1 (ko)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US11484790B2 (en) Reality vs virtual reality racing
US10589176B2 (en)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space,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space
JP6660891B2 (ja) 没入型窓効果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
JP6719308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327629B (zh) 模拟器骑乘设备
WO2012016416A1 (zh) 动感仿真影院的模拟系统、方法和设备
KR101608342B1 (ko) 무인 부스 형태의 체감형 모션 라이딩 시스템과 그의 작동방법
JP6782297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WO2018078670A1 (ja) Vrアミューズメント搭乗装置
CN108043024A (zh) 一种基于图像传输和姿态感应控制的过山车模拟游乐系统
KR20170045679A (ko) Hmd를 이용한 fps 게임 장치
US20190114841A1 (en)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GB2535729A (en) Immersive vehicle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99075A (ko) 영상 시뮬레이팅 시스템, 플랫폼 제어 장치 및 플랫폼 제어 방법
KR101972120B1 (ko) Ict와 vr 컨텐츠가 융합된 모션 시뮬레이터
EP3262624A1 (en) Immersive vehicle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75357A (ko) 체험장치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KR20200065452A (ko) 4d 상영관 시스템
KR101254855B1 (ko) 극장용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 및 극장용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의 이벤트신호 입력 방법
KR101750064B1 (ko)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918822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039836A (ja) 油圧ショベルシミュレータ
US20240119858A1 (en) Systems of flight simulation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