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884B1 - 제진대 - Google Patents

제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884B1
KR102624884B1 KR1020220075004A KR20220075004A KR102624884B1 KR 102624884 B1 KR102624884 B1 KR 102624884B1 KR 1020220075004 A KR1020220075004 A KR 1020220075004A KR 20220075004 A KR20220075004 A KR 20220075004A KR 102624884 B1 KR102624884 B1 KR 10262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eel plate
frame
joint
vibration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4351A (ko
Inventor
김면수
김상환
최은섭
안영준
박진호
우형석
김수영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22007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884B1/ko
Publication of KR2023017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9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processing chambers, e.g. modular processing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대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C)가 내부에 타설되며 동일 형상인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 및, 상기 제1 블록(100)의 일측면과 상기 제2 블록(200)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블록(100)과 상기 제2 블록(200)을 이음 연결하며, 콘크리트(C)가 내부에 타설되고 외면이 상기 제1 블록(100) 및 상기 제2 블록(200)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연결블록(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연결블록으로 연결하여 제진대를 설치하므로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전단키볼트, 수직전단키, 철근 이음부를 적용하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진대{Shock absorbing desk}
본 발명은 제진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비, LCD 장비 등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진대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장은 미세한 공정들이 반복되기 때문에 지진을 견디는 것뿐만 아니라 지진에 의한 진동자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반도체 공장은 반도체 생산공정 중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없도록 제진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반도체 장비를 안착시켜 진동에 대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에 설치되는 제진대는 하나의 몸체로 하나의 반도체 장비를 지지하도록 되고, 그 분해는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반도체 장비가 이설될 때 기존에 설치된 제진대는 이설이 불가하고 철거되며, 반도체 장비가 이설될 위치에는 새로운 제진대가 다시 설치된다. 이 경우 반도체 공장의 내부에는 제진대의 철거에 따른 분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므로 반도체 제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새로운 제진대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분할형으로 제진대를 제작하고 설치 현장 반입 후 이음부에 대해 용접, 콘크리트 습식 타설 방식으로 제진대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용접 방식은 정밀장비가 설치되는 클린룸 조성에 치명적일 수 있는 화재나 분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콘크리트 습식 타설 방식은 원하는 강도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양생 기간을 확보해야 하고 이음부에 대한 결합력 저하 우려가 있는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1-0122368호(2021.10.1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형으로 제진대를 제작하고 콘크리트 습식 타설 방식으로 제진대를 설치하되, 기존의 일체형 제진대와 상응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소하며, 안전이 확보되고, 시공 기간 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부를 현장에서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음부에 대한 결합력이 확보되고, 구조 일체형이 확보되며, 전단저항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는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며 동일 형상인 제1 블록과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일측면과 상기 제2 블록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이음 연결하며,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고 외면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철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ㄷ자 형상 철판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ㄷ자 형상 철판연결프레임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철판프레임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블록은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도록 상방이 개구된 육면체형상인 상기 철판프레임과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된 다수 개의 이음공과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되고 이음공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키공과 상기 철판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 형태로 교차되며 양단이 이음공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기초 철근을 포함한다.
상기 키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가 부착된다.
상기 이음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 상기 기초 철근의 단부 나사산에 결합되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제거되는 소켓부에 의해 소켓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홈부로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의 단부에 철근 이음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철근 이음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블록의 소켓홈부로 노출되는 기초 철근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철근 이음부는 상기 기초 철근의 수나사산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는 통형상의 이음너트와 상기 이음너트의 내주 암나사산에 맞물리는 수나사산을 갖는 이음철근을 포함한다.
상기 키공을 통해 단부가 상기 철판프레임 내의 콘크리트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철판프레임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수평전단키볼트와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과 밀착되는 조임너트와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머리부와 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을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머리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블록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단과 타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전후 수직부를 갖는 상기 ㄷ자 형상 철판연결프레임과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철판연결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는 보강판부와 상기 보강판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철판프레임의 연결공과 대응하여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상기 철판프레임의 연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측면에 볼트용 너트캡부가 부착된다.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전단키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전단키는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바닥부착너트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단 고정부와 상기 하단 고정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꺽인 형상인 상단 키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전단키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키공과 대응하는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연결블록으로 연결하여 제진대를 설치하므로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전단키볼트, 수직전단키, 철근 이음부를 적용하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평전단키볼트와 수직전단키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확보하고, 철근 이음부가 블록 간의 기초 철근을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에도 이음부위가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일체형 제진대와 상응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소하며, 안전이 확보되고, 시공 기간 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에서 연결블록 부분의 콘크리트 타설 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진대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제1 블록과 제2 블록 부분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켓홈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의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10)는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며 동일 형상인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 및, 제1 블록(100)의 일측면과 제2 블록(200)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이음 연결하는 연결블록(300)을 포함한다. 연결블록(300)은 콘크리트가 내부에 타설되고 외면이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이며 일정크기를 갖는다.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은 크기와 형상 및 제조방법이 동일한 동일 블록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으로 구분하였다.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연결블록(300)으로 연결하여 제진대(10)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진대(10)를 취급이 용이한 면적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로 사전 제작하고, 설치장소에서 사전 제작한 블록들을 연결 및 콘크리트 타설하여 제진대를 제작한다. 설치장소에서 사전 제작한 블록들을 연결 및 콘크리트 타설한 구성이 연결블록(300)이 된다. 연결블록(300)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연결시 콘크리트의 이음 타설량을 최소화하고 이음부분의 구조적 강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에서 연결블록 부분의 콘크리트 타설 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진대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제1 블록과 제2 블록 부분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블록(100)은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기초 철근(121,122)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다. 철판프레임(110)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육면체형상의 철판프레임(110)은 평판형상인 철판 다수 개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거나 볼트 이음으로 연결하여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철판프레임은 철판으로 형성하나,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을 둘러 다수 개의 이음공(111)이 형성된다. 이음공(111)에는 후술할 철근 이음부(170)가 설치된다. 또한,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을 둘러 다수 개의 키공(112)이 형성된다. 키공(112)은 이음공들(111)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키공(112)에는 후술할 수평전단키볼트(150)가 설치된다.
이음공(111)은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을 둘러 상하로 형성되고, 키공(112)은 이음공(111)이 형성된 가상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이음공(111)에 설치되는 철근 이음부(170)와 키공(112)에 설치되는 수평전단키볼트(150)의 균일 배치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고 내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기초 철근이 설치된다. 기초 철근(121,122)은 + 형태로 교차되며 양단이 이음공에 대응되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즉,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이 + 형태로 교차되고, 교차되는 부위는 수직 철근을 세워 고정하거나 결속선으로 묶어서 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이 + 형태로 교차되는 부위에 수직 철근(123)을 세우고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수직 철근(123)은 기초 철근(121,122)과 결속시켜 강도를 높인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나사탭 가공된 수직 기둥(125)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수직 기둥(125)의 높이는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의 높이와 동일하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수직 기둥(125)의 나사탭(125a)이 외부로 노출되고, 제1 블록(100)의 상면에 나사탭(125a)이 형성된다. 제1 블록(100)의 나사탭(125a)에는 반도체 장비 설치를 위한 기둥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철판프레임(110)의 상단 내측면을 따라 보강철판(127)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판(127)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철판 및 철근의 결속력을 높인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기초 철근(121,122) 등이 설치되면 기초 철근(121,122)의 각 단부의 나사산에 소켓부(130)를 결합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할 수 있다.
이음공(111)의 단부에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부는 소켓홈부(135)가 형성된다. 소켓홈부(135)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 나사산에 결합되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제거되는 소켓부(130)에 의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켓홈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소켓홈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기초 철근(121,122)을 설치한 다음 수행한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기초 철근(121,122)을 설치하면, 이음공(111)을 통해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의 나사산에 소켓부(130)를 결합한다. 소켓부(130)는 선단으로 개구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나사부는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소켓부(130)는 후단에 이음공(1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단차부(131)가 형성된다. 소켓부(130)가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의 나사산에 결합되면 소켓부(130)의 단차부(131)가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음공(111)을 막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이음공(11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전 키공(112)을 막는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키공(112)을 막는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는 철판프레임(110)의 키공(112)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용접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키공(112)에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를 부착하면,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가 키공(112)을 막아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는 역할과 콘크리트 타설 후 키공(112)으로 노출된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의 나사산에 수평전단키볼트(150)를 결합하기 용이하다.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이 교차되게 기초 철근(121,122)을 설치하고,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이 교차하는 부분에 수직 철근(123)을 설치하며, 필요시 수직 기둥(125)을 더 설치하고, 키공(112)에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를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공(111)을 통해 소켓부(130)의 선단을 삽입하여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에 소켓부(130)를 결합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철판프레임(110)의 측면을 둘러 형성된 각 이음공(111)에 소켓부(130)를 결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철판프레임(1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함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리, 납 등의 흡진제를 콘크리트에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양생과정이 수행되며,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소켓부(130)를 제거한다. 소켓부(130)가 제거되면 소켓홈부(135)가 형성된다. 소켓홈부(135)로 노출된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에 후술할 철근 이음부(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블록(100)이 완성된다. 제2 블록(200)은 제1 블록(100)의 형상과 동일하고 제조방법도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돌아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결블록(300)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이음 연결하며, 콘크리트(C)가 내부에 타설되고 외면이 제1 블록(100) 및 제2 블록(200)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연결블록(300)은 ㄷ자 형상 철판연결프레임(310)과 보강판부(314)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철판연결프레임(310)은 바닥부(311)와 바닥부(311)의 일단과 타단에 수직으로 돌출된 전후 수직부(312,313)를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바닥부(311) 및 수직부(312,313)은 하나의 철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철판의 양 측을 절곡 형상함으로써 바닥부(311) 및 수직부(312,313)이 형성될 수 있다.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부(311)는 철판프레임(110)의 바닥부에 비해 폭이 좁고 길이는 동일하다. 철판연결프레임(310)의 전후 수직부(312,313)는 철판프레임(110)의 측면과 동일 높이를 갖는다. 상기한 철판연결프레임(310)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연결시 콘크리트의 이음 타설량을 최소화한다.
보강판부(314)는 철판연결프레임(310)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보강판부(314)는 철판연결프레임(310)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철판프레임(110)의 측면 테두리와 대응된다. 보강판부(314)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철판프레임(110)의 연결공(113)과 대응하는 체결공(315)이 형성된다. 보강판부(314)의 연결공(113)과 체결공(315)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16)가 체결되며, 체결볼트(316)의 단부는 철판프레임(110)의 체결공(315)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부착된 볼트용 너트캡부(155)에 체결된다. 철판프레임(110)의 측면 테두리에는 체결공(315)이 형성되며, 체결공(315)과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볼트용 너트캡부(155)가 고정되어 있다. 볼트용 너트캡부(155)는 철판프레임(110)의 키공(112)과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고정된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물론, 키공(112)과 체결공(315)도 형성된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체결공(315)과 대응하는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볼트용 너트캡부(155)는 콘크리트 타설시 체결공(315)을 통해 콘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보강판부(314)의 연결공(113)과 체결공(315)을 관통한 체결볼트(316)의 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결블록(300)은 보강리브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부(317)는 마주보는 보강판부(314)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바닥부(311)와 수직을 이루며 바닥부(3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리브부(317)의 높이는 보강판부(31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리브부(317)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보강리브부(317)들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는 연결블록(300)을 이용하여 블록들(110)을 연결한다. 이 때, 연결블록(300)은 철판연결프레임(310), 보강판부(314) 및 보강리브부(317)을 포함하고, 보강판부(314) 및 보강리브부(317)가 연결블록(300)의 전체적인 강성을 강화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즉, 좁은 폭의) 연결블록(300)으로도 제진대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블록들(110) 사이의 폭이 좁아질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블록(100)의 일측면에 철판연결프레임(310)이 연결되고, 제1 블록(100)의 일측면에 연결된 철판연결프레임(310)의 일측면에 제2 블록(200)의 일측면이 연결된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블록(100)의 일측면에 철판연결프레임(3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블록(100)의 키공(112)에는 수평전단키볼트(150)가 설치된다. 수평전단키볼트(150)의 외주에 조임너트(151), 고정판(152) 및 고정너트(153)가 결합된다.
조임너트(151)는 수평전단키볼트(150)의 외주에 결합되고 철판프레임(110)의 측면과 밀착된다. 고정판(152)은 수평전단키볼트(150)의 외주에 결합되고 수평전단키볼트(150)의 머리부와 밀착된다. 고정너트(153)는 수평전단키볼트(150)의 외주에 결합되고 고정판(152)을 수평전단키볼트(150)의 머리부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수평전단키볼트(150)는 단부가 키공(112)을 관통하여 철판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140)에 체결되고,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임너트(151), 고정판(152) 및 고정너트(153)에 의해 고정력을 높여 철판연결프레임(3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판(152)은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을 높여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부(311)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전단키(160)가 설치된다.
수직전단키(160)는 하단 고정부(161)와 상단 키부(162)를 포함한다.
하단 고정부(161)는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부(311)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바닥부착너트(165)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단 키부(162)는 하단 고정부(161)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되고 상단부가 ㄱ자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꺽인 형태로 된다. 수직전단키(160)는 수평전단키볼트(150)와 마찬가지로 철판연결프레임(3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고정력을 높여 연결블록(300)이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수직전단키(160)의 ㄱ자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수직전단키(160)는 철판프레임(110)의 키공(112)과 대응하는 선상에 위치되고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부(311)의 폭방향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수직전단키(160)는 제1 블록(100)의 키공(112)에 설치되는 수평전단키볼트(150)와 제2 블록(200)의 키공(112)에 설치되는 수평전단키볼트(150)의 사이에 상단 키부(162)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철판연결프레임(3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단, 수직전단키(160)는 수평전단키볼트(15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음공(111)으로 노출된 기초 철근(121)의 단부에 철근 이음부(170)가 결합된다. 철근 이음부(170)는 한 쌍의 이음너트(171)와 하나의 이음철근(17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블록(100)의 소켓홈부(135)로 노출된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에 이음공(111)으로 삽입된 이음너트(171)의 일단이 결합되고, 이 이음너트(171)의 타단에 이음철근(172)의 일단이 체결되며, 이 이음철근(172)의 타단이 제2 블록(200)의 기초 철근(121,122)에 결합된 이음너트에 체결된다. 즉, 이음철근(172)의 양단에 각각 이음너트(171)가 체결되고, 이음철근(172)의 양단의 이음너트(171)에 제1 블록(100)의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와 제2 블록(200)의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가 체결되어 제1 블록(100)의 기초 철근(121,122)과 제2 블록(200)의 기초 철근(121)의 단부가 철근 이음부(170)로 연결될 수 있다.
철근 이음부(170)는 제1 블록(100)의 기초 철근(121)과 제2 블록(200)의 기초 철근(121)을 하나로 연결하여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이 하나의 평판 형상이 되게 견고하게 연결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에도 이음부위가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평전단키볼트(150)와 수직전단키(160)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이음부위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고 전단저항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철근 이음부(170)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기초 철근(121,122)을 일체로 연결하므로 구조 일체형 확보되고 이음부에 대한 결합력이 확보되며 이음부의 구조적 안정성 및 강성도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제진대는 넓은 의미에서 제진대로 지칭하였으나, 하부에 진동흡수장치가 더 설치되는 경우 진동흡수장치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드로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연결블록(300)으로 연결하는 것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블록들을 연결블록(300)을 사용하여 연속하여 상하좌우로 확장하여 연결함에 의해 원하는 넓이의 제진대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진대를 제1 블록과 제2 블록으로 지칭한 분할형 블록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진대의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진대 제조방법은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으로 지칭되는 동일 형상의 블록을 다수 개 제조하는 단계(s1)와 제1 블록(100)의 일측면에 철판연결프레임(310)의 일측 보강판부(314)를 밀착되게 배치하고, 일측 보강판부(314)의 체결공(315)과 제1 블록(100)의 연결공(113)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16)를 체결하여 제1 블록(100)의 일측면에 철판연결프레임(310)의 일측 보강판부(314)를 고정하는 단계(s2)와 철판연결프레임(310)의 타측 보강판부(314)에 제2 블록(200)의 일측면이 밀착되게 배치하고, 타측 보강판부(314)의 제2 블록(200)의 연결공(113)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16)를 체결하여 철판연결프레임(310)의 타측 보강판부(314)에 제2 블록(200)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s3)의 단계 후 또는 (s3) 단계 수행 중에, 제1 블록(100)의 이음공(111)으로 노출된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와 제2 블록(200)의 이음공(111)으로 노출된 기초 철근(121,122)의 단부를 철근 이음부(170)로 연결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1 블록(100)의 키공(112)과 제2 블록(200)의 키공(112)에 각각 수평전단키볼트(150)를 설치하고,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면에 부착된 바닥부착너트(165)에 수직전단키(160)를 설치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이때, 수직전단키(160)를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바닥부착너트(165)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바닥부착너트(165)를 사용하여 수직전단키(160)를 철판연결프레임(310)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것을 일 예로 제시하였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철판연결프레임(310)으로 이음 연결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철판연결프레임(3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과정에서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철근 이음부(170)가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여도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의 이음부가 뒤틀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1 블록(100)과 제2 블록(200)을 연결하는 연결블록(300)이 형성되고, 연결블록(300)은 외면이 제1 블록(100) 및 제2 블록(200)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일체화된 구조의 확장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블록을 연결블록으로 확장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연속하여 더 수행하면, 분할형 제진대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한 제진대는 기존의 일체형 제진대와 상응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소하며, 안전이 확보되고, 시공 기간 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전단키볼트, 수직전단키, 철근 이음부를 적용함에 의해 블록과 블록을 현장에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블록에 대한 결합력이 확보되고, 구조 일체형이 확보되며, 전단저항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제진대 100: 제1 블록
110: 철판프레임 111: 이음공
112: 키공 113: 연결공
121,122: 기초 철근 123: 수직 철근
125: 수직 기둥 125a: 나사탭
127: 보강철판 130: 소켓부
131: 단차부 135: 소켓홈부
C: 콘크리트 140: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
150: 수평전단키볼트 151: 조임너트
152: 고정판 153: 고정너트
155: 볼트용 너트캡부 160: 수직전단키
161: 하단 고정부 162: 상단 키부
165: 바닥부착너트 170: 철근 이음부
171: 이음너트 172: 이음철근
200: 제2 블록 300: 연결블록
310: 철판연결프레임 311: 바닥부
312,313: 수직부 314: 보강판부
315: 체결공 316: 체결볼트

Claims (12)

  1. 철판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콘크리트 충진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일측면과 상기 제2 블록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하나의 철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ㄷ자 형상을 갖는 철판연결프레임;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철판연결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보강판부; 및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전단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된 다수 개의 이음공; 및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되고 이음공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키공;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전단키는,
    상기 제1 블록의 철판프레임에 형성된 키공과 대응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제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철판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 형태로 교차되며 양단이 이음공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기초 철근;
    을 포함하는 제진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전단키용 너트캡부가 부착된 제진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 상기 기초 철근의 단부 나사산에 결합되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제거되는 소켓부에 의해 소켓홈부가 형성된 제진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홈부로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의 단부에 철근 이음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철근 이음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블록의 소켓홈부로 노출되는 기초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진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이음부는
    상기 기초 철근의 수나사산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는 통형상의 이음너트와
    상기 이음너트의 내주 암나사산에 맞물리는 수나사산을 갖는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진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보강판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철판프레임의 연결공과 대응하여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제진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프레임의 연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철판프레임의 내측면에 볼트용 너트캡부가 부착된 제진대.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전단키는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바닥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바닥부착너트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단 고정부와;
    상기 하단 고정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꺽인 형상인 상단 키부를 포함하는 제진대.
  12. 철판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콘크리트 충진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일측면과 상기 제2 블록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하나의 철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ㄷ자 형상을 갖는 철판연결프레임; 및
    상기 철판연결프레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철판연결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보강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된 다수 개의 이음공; 및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형성되고 이음공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키공;
    을 포함하고,
    상기 키공을 통해 단부가 상기 철판프레임 내의 콘크리트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수평전단키볼트;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철판프레임의 측면과 밀착되는 조임너트;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머리부와 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을 상기 수평전단키볼트의 머리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는 제진대.
KR1020220075004A 2022-06-20 2022-06-20 제진대 KR10262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004A KR102624884B1 (ko) 2022-06-20 2022-06-20 제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004A KR102624884B1 (ko) 2022-06-20 2022-06-20 제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351A KR20230174351A (ko) 2023-12-28
KR102624884B1 true KR102624884B1 (ko) 2024-01-16

Family

ID=8938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004A KR102624884B1 (ko) 2022-06-20 2022-06-20 제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8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95B1 (ko) * 2018-11-27 2019-05-24 주식회사 브이원 일체화 시공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2804B1 (ko) * 2019-05-20 2019-07-23 주식회사 브이원 동일한 구조물 동적특성을 갖는 분리형 일체화 제진대
KR102176141B1 (ko) * 2020-04-16 2020-11-10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368A (ko) 2020-03-30 2021-10-12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
KR102483543B1 (ko) * 2020-09-24 2023-01-03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KR102481590B1 (ko) * 2020-10-21 2022-12-28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95B1 (ko) * 2018-11-27 2019-05-24 주식회사 브이원 일체화 시공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2804B1 (ko) * 2019-05-20 2019-07-23 주식회사 브이원 동일한 구조물 동적특성을 갖는 분리형 일체화 제진대
KR102176141B1 (ko) * 2020-04-16 2020-11-10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351A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214139B1 (ko)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KR102012486B1 (ko) 필로티 구조 건물에 가변적인 설치가 가능한 내진 보강 구조체와 그 내진 보강 구조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KR101720473B1 (ko)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0987762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JP5699015B2 (ja) 鋼製の杭と構造物の接合構造
KR102624884B1 (ko) 제진대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CN115749260A (zh) 梁柱节点模板固定体系
JP5386214B2 (ja) 基礎構造
JP7126828B2 (ja) 露出型柱脚構造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KR100904387B1 (ko)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
KR102169828B1 (ko) 변위관리형 기둥 접합부
JP2021195834A (ja) 柱脚アンカー構造体、架台、および柱脚アンカー構造体の設計方法
KR20220035752A (ko) 철근콘크리트와 강판콘크리트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JP6829631B2 (ja) 柱脚の施工方法、既存柱脚の補強方法
JP7313770B2 (ja) 梁の補強構造、梁補強用の構造体、鉄骨構造体、および梁の補強方法
JP7407214B2 (ja) 複合柱梁架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214526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