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731B1 -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 Google Patents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31B1
KR102622731B1 KR1020230084818A KR20230084818A KR102622731B1 KR 102622731 B1 KR102622731 B1 KR 102622731B1 KR 1020230084818 A KR1020230084818 A KR 1020230084818A KR 20230084818 A KR20230084818 A KR 20230084818A KR 102622731 B1 KR102622731 B1 KR 10262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aw fish
shaped
mounting cover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정현
윤보은
김범승
김미연
오인환
전명희
정상호
정영기
이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모닝씨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742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270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모닝씨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모닝씨푸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횟감을 이용하여 제조한 필렛(Fillet)을 등급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캐닝부에서 스캐닝되는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이용하여 횟감의 등급을 판독하는 등급 구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Sashimi product grade class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횟감을 이용하여 제조한 필렛(Fillet)을 등급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생선회에 대한 관심과 시장이 확대되면서, 생선회에 대한 가격, 위생, 품질 등에 대한 많은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활어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족관 시설 투자, 수족관 청소, 해수 관리, 주방 시설 투자 등 인프라 비용, 고급 기술자에 대한 높은 인건비, 정기적 검사 비용, 높은 물류비 등 막대한 인프라 비용이 부담되고 있다. 그리고 기술자의 손으로부터 활어를 생선회 필렛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기술 숙련도, 컨디션 등에 의해서 작업 수율이 일정하지 않아 생선회의 단가가 높아지는 주요 요인들이 되고 있다.
또한 비인가 시설 작업, 콜드체인 시스템 미구비로 빈번한 질병 발생 등으로 인한 위생관리와 품질관리에 대한 문제로 소비자들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주요 관리 품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예로, 장염비브리오균 발생에 대한 리포트는 매년 5월~11월 비교적 온도가 높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생선회에 대한 안전 및 품질기준 관리 강화, 작업에 대한 관리 지침 표준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선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위생, 품질, 가격 등에 대하여 메리트를 가질 수 있는 one-stop 제조 공정에 대한 국내 최초의 인프라와 기술력 확보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68688호 (2021.06.10.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횟감을 이용하여 제조한 필렛(Fillet)을 등급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은,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캐닝부에서 스캐닝되는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이용하여 횟감의 등급을 판독하는 등급 구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급 구분부는, 어종 별로 등급을 구분하여 나열한 횟감 등급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급 구분부는, 횟감 간에 겉면적이 동일할 경우 높이(두께)가 높을 수록 높은 등급으로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급 구분부는, 횟감의 등급 별로 공급될 수 있는 횟감 사용처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은, 상기 등급 구분부로부터 제공되는 횟감 등급표에서 선택된 횟감 등급에 대응하는 횟감의 공급을 요청하는 활어 요청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캐닝부는, 등급이 판독될 횟감이 안착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에 안착되어 있는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한 뒤 상기 등급 구분부로 전송하는 전자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블은,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 및 상기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며, 상단에 횟감이 안착되면 상기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에 의해 이동 또는 틸팅 구동되는 거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테두리에 직립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거치 커버의 지지 위치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유도부; 및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커버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커버의 회전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유도부는,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듈 설치홈; 상기 모듈 설치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블록; 상기 모듈 설치홈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회전 블록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블록 회전 모터; 상기 회전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롤러 설치홈; 원형의 링 형상으로 상기 롤러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링형 안착홈; 상기 링형 안착홈에 안착 설치되는 거치 링; 상기 거치 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이동 모터; 일측이 상기 이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 링의 내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 및 상부가 상기 모듈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거치 커버를 이동시켜 주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링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에 안착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의 상측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의 하측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링형 안착홈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직립 설치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안착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롤러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지지 및 회전 구동되는 회전 원기둥;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원기둥의 중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모듈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링형 휠; 상기 회전 원기둥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회전 원기둥의 일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링형 휠과 함께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1 보조휠; 및 상기 회전 원기둥의 타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링형 휠과 함께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2 보조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휠은, 상기 회전 원기둥의 일측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었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 다시 삽입되는 지지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횟감을 이용하여 제조한 필렛(Fillet)을 등급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에 의한 등급 판독 수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캐닝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4의 이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거치 링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10)은, 스캐닝부(100), 및 등급 구분부(200)를 포함한다.
스캐닝부(100)는, 전자 스캐닝 장치로서, 횟감(P)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한 뒤 등급 구분부(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닝부(100)는, 횟감(P)의 좌우 폭(L1, L2) 및 높이(두께)(L3) 등의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등급 구분부(200)는, 스캐닝부(100)에서 스캐닝되는 횟감(P)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이용하여 횟감(P)의 등급을 판독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급 구분부(200)는, 어종 별로 등급(예를 들어, 1등급, 2등급 등)을 구분하여 나열한 횟감 등급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급 구분부(200)는, 횟감(P) 간에 겉면적이 동일할 경우 높이(두께)가 높을 수록 높은 등급으로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급 구분부(200)는, 횟감(P)의 등급 별로 공급될 수 있는 횟감 사용처(예를 들어, 1등급의 경우 호텔 또는 고급일식당 등, 2등급의 경우 일반 횟집 또는 초밥용, 3등급의 경우 회무침, 물회 또는 뷔페용 등)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10)은, 활어 요청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어 요청 단말기(300)는, 등급 구분부(200)로부터 제공되는 횟감 등급표에서 선택된 횟감(P) 등급에 대응하는 횟감(P)의 공급을 요청한다.
여기서, 활어 요청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10)은,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횟감을 이용하여 제조한 필렛(Fillet)을 등급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캐닝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닝부(100)는, 테이블(110) 및 전자 스캐너(120)를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전자 스캐너(120)에 의한 스캐닝을 통해 등급 구분부(200)에서 등급이 판독될 횟감(P)이 안착된다.
전자 스캐너(120)는, 테이블(110)에 안착되어 있는 횟감(P)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한 뒤 등급 구분부(200)로 전송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테이블(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11),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400) 및 거치 커버(11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400)이 설치된다.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4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거치 커버(112)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이동, 직선 이동 또는 틸팅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유도 유닛(400)은, 승강 유도부(410) 및 이동 유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4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단 테두리에 직립 설치되며,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거치 커버(112)의 지지 위치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켜 준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일 승강 유도부(410-1)는 신장하고 일 승강 유도부(410-1)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다른 승강 유도부(410-2)는 길이가 유지되는 경우 일 승강 유도부(410-1)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거치 커버(112)의 일측만이 승강되어 거치 커버(112)의 틸팅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동 유도부(500)는, 승강 유도부(410)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치 커버(112)를 지지하는 동시에 거치 커버(112)의 회전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을 유도한다.
거치 커버(112)는,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400)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며, 상단에 횟감(P)이 안착되면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400)에 의해 회전 이동 / 직선 이동 또는 틸팅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테이블(110)은, 횟감(P)이 안착되는 거치 커버(112)를 회전 이동 / 직선 이동 또는 틸팅 구동시켜 줌으로써, 전자 스캐너(120)에 의한 스캐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횟감(P)을 움직이지 아니하고도 다양한 각도에서의 횟감(P)의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이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유도부(500)는, 모듈 설치홈(510), 회전 블록(520), 블록 회전 모터(530), 롤러 설치홈(540), 링형 안착홈(550), 거치 링(560), 이동 모터(570), 회전축(580) 및 회전 롤러(590)를 포함한다.
모듈 설치홈(510)은, 승강 유도부(410)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승강 유도부(410)의 상부에 형성된다.
회전 블록(520)은, 블록 회전 모터(530)에 의해 지지되어 모듈 설치홈(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블록 회전 모터(530)는, 모듈 설치홈(510)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어 회전 블록(5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롤러 설치홈(540)은, 회전 블록(520)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회전 블록(520)의 상부에 형성된다.
링형 안착홈(55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롤러 설치홈(54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거치 링(560)은, 링형 안착홈(550)에 안착 설치된다.
이동 모터(570)는, 거치 링(560)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회전축(580)은, 일측이 이동 모터(570)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타측이 거치 링(560)의 내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동 모터(57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 롤러(590)는, 상부가 모듈 설치홈(5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거치 커버(112)의 저면에 안착되도록 회전축(580)에 설치되며, 회전축(580)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거치 커버(112)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롤러(590)는, 회전 원기둥(591), 링형 휠(592), 유체 공급 탱크(593), 제1 보조휠(594) 및 제2 보조휠(59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원기둥(59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580)에 의해 지지 및 회전 구동되어 링형 휠(592), 제1 보조휠(594) 및 제2 보조휠(595)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링형 휠(592)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원기둥(591)의 중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단이 모듈 설치홈(5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거치 커버(112)의 저면에 안착된다.
유체 공급 탱크(593)는, 회전 원기둥(591)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 등의 유동성 물질인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한다.
제1 보조휠(594)은, 회전 원기둥(591)의 일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유체 공급 탱크(593)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링형 휠(592)과 함께 거치 커버(112)의 저면에 안착된다.
제2 보조휠(595)은, 회전 원기둥(591)의 타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유체 공급 탱크(593)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링형 휠(592)과 함께 거치 커버(112)의 저면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조휠(594)은, 실린더(5941) 및 지지 로드(59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조휠(595)은, 후술하는 제1 보조휠(594)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보조휠(594)의 실린더(5941) 및 지지 로드(5942)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린더(5941)는, 회전 원기둥(591)의 일측의 외측에 설치되며, 유체 공급 탱크(593)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음에 따라 지지 로드(5942)를 노출시켜 주고, 공급되었던 유체를 배출시킴에 따라 지지 로드(5942)를 삽입시켜 준다.
지지 로드(5942)는, 실린더(5941)에 연결 설치되며, 실린더(5941)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5941)로부터 노출되어 거치 커버(112)의 저면을 링형 휠(592)과 함께 지지하고, 실린더(5941)로 공급되었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실린더(5941)로 다시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유도부(500)는, 거치 커버(112)의 회전 또는 곡선 이동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로드(5942)를 실린더(5941)로 삽입시켜 링형 휠(592)만을 이용하여 거치 커버(112)의 저면을 지지하여 접지면적을 최소화시켜 거치 커버(112)의 부드러운 회전 또는 곡선 이동이 되도록 하고, 거치 커버(112)의 직선 이동의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로드(5942)를 실린더(5941)로부터 노출시켜 링형 휠(592)과 지지 로드(5942)가 함께 거치 커버(112)의 저면을 지지하여 접지면적을 최대화시켜 거치 커버(112)의 안정적인 직선 이동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거치 링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거치 링(560)은, 링형 프레임(561), 상단 지지 스프링(562), 하단 지지 스프링(563) 및 가이드 바아(564)를 포함한다.
링형 프레임(561)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링형 안착홈(550)에 안착된다.
상단 지지 스프링(562)은, 링형 프레임(561)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링형 안착홈(550)의 상측에서 링형 프레임(561)을 지지한다.
하단 지지 스프링(563)은, 링형 프레임(561)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링형 안착홈(550)의 하측에서 링형 프레임(561)을 지지한다.
가이드 바아(564)는, 링형 안착홈(550)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직립 설치되어 링형 프레임(56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며, 링형 안착홈(55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링형 안착홈(550)에서 링형 프레임(561)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링(560)은, 거치 커버(112)의 회전 또는 스캐닝 도중에 거치 커버(11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최소화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100: 스캐닝부
200: 등급 구분부
300: 활어 요청 단말기

Claims (2)

  1.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캐닝부에서 스캐닝되는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이용하여 횟감의 등급을 판독하는 등급 구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부는,
    등급이 판독될 횟감이 안착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에 안착되어 있는 횟감의 겉면적, 및 높이(두께)를 스캐닝한 뒤 상기 등급 구분부로 전송하는 전자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은,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 및
    상기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며, 상단에 횟감이 안착되면 상기 다수 개의 회전 유도 유닛에 의해 이동 또는 틸팅 구동되는 거치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테두리에 직립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거치 커버의 지지 위치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유도부; 및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커버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커버의 회전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도부는,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승강 유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모듈 설치홈;
    상기 모듈 설치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블록;
    상기 모듈 설치홈의 하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회전 블록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블록 회전 모터;
    상기 회전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롤러 설치홈;
    원형의 링 형상으로 상기 롤러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링형 안착홈;
    상기 링형 안착홈에 안착 설치되는 거치 링;
    상기 거치 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이동 모터;
    일측이 상기 이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 링의 내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 및
    상부가 상기 모듈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거치 커버를 이동시켜 주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링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에 안착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의 상측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의 하측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링형 안착홈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직립 설치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안착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안착홈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롤러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지지 및 회전 구동되는 회전 원기둥;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원기둥의 중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모듈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링형 휠; 상기 회전 원기둥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회전 원기둥의 일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링형 휠과 함께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1 보조휠; 및 상기 회전 원기둥의 타측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링형 휠과 함께 상기 거치 커버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2 보조휠;을 포함하는,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84818A 2023-05-17 2023-06-30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KR102622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981 2023-05-17
KR20230063981 2023-05-17
KR1020230074282A KR102622704B1 (ko) 2023-05-17 2023-06-09 활어회 등급 판독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282A Division KR102622704B1 (ko) 2023-05-17 2023-06-09 활어회 등급 판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731B1 true KR102622731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818A KR102622731B1 (ko) 2023-05-17 2023-06-30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7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37A (ko) * 2009-12-29 2011-07-0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어류 계측 형질 측정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40707B1 (ko) * 2014-10-30 2015-08-03 대한민국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한 전복 자동선별 방법
KR20190072692A (ko) * 2015-03-23 2019-06-25 닌슈테트 게엠베하 참치어 조각들을 생산하는 방법
KR20210068688A (ko) 2019-12-02 2021-06-10 윤정호 생선회 필렛 제조 공정 데이터 처리 장치
JP2022021261A (ja) * 2020-07-21 2022-02-02 Assest株式会社 魚の品質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37A (ko) * 2009-12-29 2011-07-0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어류 계측 형질 측정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40707B1 (ko) * 2014-10-30 2015-08-03 대한민국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한 전복 자동선별 방법
KR20190072692A (ko) * 2015-03-23 2019-06-25 닌슈테트 게엠베하 참치어 조각들을 생산하는 방법
KR20210068688A (ko) 2019-12-02 2021-06-10 윤정호 생선회 필렛 제조 공정 데이터 처리 장치
JP2022021261A (ja) * 2020-07-21 2022-02-02 Assest株式会社 魚の品質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731B1 (ko) 횟감 상품 등급 구분 시스템
KR102622704B1 (ko) 활어회 등급 판독 시스템
JP5381862B2 (ja) 飲食店用オーダシステム
Sobin et al. Head and neck tumours
JP2009064348A (ja) オーダ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979112A (zh) 基于智能回收装置回收可循环使用餐饮用具的方法及系统
CN109377246B (zh) 一种珠宝证书防伪智能识别系统
KR102497098B1 (ko)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KR102566722B1 (ko)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CN202025323U (zh) 一种带呼叫装置的智能自助餐饮管理系统
KR102619927B1 (ko) 케이터링 제공 시스템
JP5060046B2 (ja) オートリフタ付ゆで麺機
WO2010097821A8 (en) Automatic rfid tag reading station in roll-containers
Bowie K antian Capitalism
KR101142186B1 (ko) 음료수 테이블
CN205121726U (zh) 一种新型户外快餐柜
Peretta Evaluating mobile applications for urban tourism
KR102488420B1 (ko) 잡화 보관 관리 물류 시스템
CA2365061A1 (en) Apparatus for sorting mail
KR102643273B1 (ko) 스마트폰을 통한 라벨링 물류 관리 시스템
CN205513684U (zh) 一种酒水平价平台
FR3060812B1 (fr) Systeme de gestion de cave a vin, cave a vin equipee d'un tel systeme et support d' etiquette rfid pour un tel systeme
Pula Industrialization and deindustrialization
Hanusch Lifestyle Coverage
CN216045198U (zh) 一种外卖减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