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722B1 -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722B1
KR102566722B1 KR1020220137403A KR20220137403A KR102566722B1 KR 102566722 B1 KR102566722 B1 KR 102566722B1 KR 1020220137403 A KR1020220137403 A KR 1020220137403A KR 20220137403 A KR20220137403 A KR 20220137403A KR 102566722 B1 KR102566722 B1 KR 10256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unit
circular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호섭
홍영준
최승권
Original Assignee
(주)셀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릭 filed Critical (주)셀릭
Priority to KR102022013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에 우수한 제품을 발굴 및 해외 투자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품 기획자 단말기로부터 사업기획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해외로부터 접속된 해외 투자자 단말기로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 기획자 단말기와 상기 해외 투자자 단말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매칭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Overseas funding matching system for promising domestic products}
본 발명은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에 우수한 제품을 발굴 및 해외 투자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업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품화 혹은 시스템화하고, 이를 통해 사업을 발전시켜 기존의 시장에 진입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시도들이 수없이 나타나는 요즘, 좋은 아이디어만을 가지고 창업을 시작하여 이를 발전시킴에 필요한 자금 및 사업환경을 확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좋은 사업 아이템 혹은 아이디어만으로 창업을 시작함에 있어 사업기획안을 바탕으로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우선적으로 자금을 투자받아 사업을 진행시킨 뒤 그 결과에 따른 리워드를 다시 투자자들에 지분만큼 되돌려줄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가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 대중에게 자금을 모으는 방식으로, 종류에 따라 후원형, 기부형, 대출형, 증권형 등이 있다.
좋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업을 시도함에 있어, 초기 자금을 충분히 조달받고 시장 진입의 어려움을 극복함에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제도적으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스타트업으로 진행되는 창업 아이템들이 펀딩을 통해 조달되는 자금을 이용해 사업을 진행 혹은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최초 예측했던 진행 기간을 초과하거나 아예 제품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중간에 사업을 멈추게 되는 경우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투자자들은 쉽게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이용해 투자금을 제공함에 상당한 망설임과 우려를 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창업과 관련한 투자 역시 위축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29347호 (2022.09.23.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한국에 우수한 제품을 발굴 및 해외 투자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제품 기획자 단말기로부터 사업기획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해외로부터 접속된 해외 투자자 단말기로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 기획자 단말기와 상기 해외 투자자 단말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매칭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 서버는, 해외에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제품 구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구매자가 거주하고 있는 해외 배송지까지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배송을 제품 기획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공동 구매 제안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로서,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는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으로서 등록되는 것인,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공동 구매 희망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관리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판매가격에 따른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공동 구매 예측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급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 구매 추진부; 및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이 공동 구매 상품으로 등록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공동 구매 상품의 구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구매 상품 판매부;로 이루어지는 공동 구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상품 공급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produc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상품 등록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conten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컨텐츠 등록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상품을 매칭시키는 컨텐츠 및 상품 매칭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 상기 매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정보가 제공된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부; 및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절차를 통해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컨텐츠 제작자 및 상기 판매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부;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국내제조업체로부터 브랜딩되지 않은 언네임드 제품 정보를 등록 받고,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 인터넷 통신망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카테고리 별 제품 트렌드를 분석하는 상품 트렌드 분석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제품 트렌드 정보, 상기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및 해당 언네임드 제품의 최소발주수량정보를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거래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거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언네임드 제품에 대하여 해외 바이어로부터 발주 신청을 받아 해당 국내제조업체에게 전달하는 언네임드 제품 발주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제품 거래 서버;를 더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기존 구매 고객의 기존 정보 검색 및 구매 내역 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DB화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거나 유사한 제품들을 고객이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할 때 시스템상 첫화면에 노출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비교하며 재구매를 유도하는 AI반응형 무역거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가격으로 펀딩신청을 받고, 가장 낮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먼저 펀딩 상품을 배송하여 얻은 평가지표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높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환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투자자로 하여금 펀딩가격을 기초로 투자리스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우드펀딩 중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인공신경망의 학습을 통해 브랜드와 인플루언서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마케팅하고자 하는 브랜드에 매칭되는 인플루언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브랜드 매칭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 서버는,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들 중에서 해외 투자자가 원하는 투자 종목을 선별하여 추천하며, 상기 해외 투자자 단말기를 통해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입력받아 분석한 후 해당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매칭되는 사업기획안 정보만을 선별하여 제공하며, 투자 종목을 선택한 해외 투자자에게 투자 전망 프로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제품 기획자가 사업기획안에 따라 제조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생성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매칭 서버로 전송하는 제품 스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 스캔 단말기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 거치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거치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원통형 커버; 상기 원통형 커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커버 덮개;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회전형 조명; 및 하단이 상기 원형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 덮개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의 주변을 원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매칭 서버로 전송하는 회전형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형 조명은,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회전링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LED;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링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링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형 촬영부는, 상기 원형 거치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단 원형 레일; 상기 하단 원형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커버 덮개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단 원형 레일; 상기 하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하단 회전 구동부; 상기 상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상단 회전 구동부; 하단이 상기 하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단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단이 상기 상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단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수직 레일 프레임; 시제품 또는 완제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레일; 상기 수직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 슬라이더; 및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슬라이더에 의해 승강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상기 매칭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회전 구동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 원형 레일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며, 측에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하단을 회전 이동시켜 주는 링형 회전 프레임; 상기 링형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슬라이더는, 상기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블록; 상기 회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실린더; 상기 회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상기 간격 조절 실린더가 배치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회동 블록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기어결합하여 안착되는 제1 구동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하부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기어결합하여 안착되는 제2 구동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수직 슬라이딩홈의 외측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휠;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단에 상기 촬영 모듈이 설치되는 노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창업 기획자 및 사업 투자자 모두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 내에서 자신의 권리를 안정적으로 보호 받으며 안전한 사업 진행 및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품 스캔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형 조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회전형 촬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승강 슬라이더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하단 회전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승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매칭 서버(100)를 포함한다.
매칭 서버(100)는, 제품 기획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업기획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해외로부터 접속된 해외 투자자 단말기(300)로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품 기획자 단말기(200)와 해외 투자자 단말기(300)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 서버(100)는, 해외에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제품 구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구매자가 거주하고 있는 해외 배송지까지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배송을 제품 기획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기획자 단말기(200)와 해외 투자자 단말기(300)는, 각각이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 서버(100)는,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들 중에서 해외 투자자가 원하는 투자 종목을 선별하여 추천하며, 해외 투자자 단말기(300)를 통해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입력받아 분석한 후 해당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매칭되는 사업기획안 정보만을 선별하여 제공하며, 투자 종목을 선택한 해외 투자자에게 투자 전망 프로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창업 기획자 및 사업 투자자 모두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 내에서 자신의 권리를 안정적으로 보호 받으며 안전한 사업 진행 및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공동 구매 제안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로서,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는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으로서 등록되는 것인,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공동 구매 희망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관리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판매가격에 따른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공동 구매 예측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급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 구매 추진부; 및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이 공동 구매 상품으로 등록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공동 구매 상품의 구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구매 상품 판매부;로 이루어지는 공동 구매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상품 공급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produc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상품 등록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conten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컨텐츠 등록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상품을 매칭시키는 컨텐츠 및 상품 매칭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 상기 매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정보가 제공된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부; 및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절차를 통해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컨텐츠 제작자 및 상기 판매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부;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국내제조업체로부터 브랜딩되지 않은 언네임드 제품 정보를 등록 받고,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 인터넷 통신망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카테고리 별 제품 트렌드를 분석하는 상품 트렌드 분석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제품 트렌드 정보, 상기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및 해당 언네임드 제품의 최소발주수량정보를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거래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거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언네임드 제품에 대하여 해외 바이어로부터 발주 신청을 받아 해당 국내제조업체에게 전달하는 언네임드 제품 발주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제품 거래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기존 구매 고객의 기존 정보 검색 및 구매 내역 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DB화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거나 유사한 제품들을 고객이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할 때 시스템상 첫화면에 노출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비교하며 재구매를 유도하는 AI반응형 무역거래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10)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가격으로 펀딩신청을 받고, 가장 낮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먼저 펀딩 상품을 배송하여 얻은 평가지표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높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환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투자자로 하여금 펀딩가격을 기초로 투자리스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우드펀딩 중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은, 인공신경망의 학습을 통해 브랜드와 인플루언서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마케팅하고자 하는 브랜드에 매칭되는 인플루언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브랜드 매칭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20)은, 매칭 서버(100) 및 제품 스캔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칭 서버(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품 스캔 단말기(500)는, 제품 기획자가 사업기획안에 따라 제조한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스캔한 뒤 생성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매칭 서버(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 서버(100)는, 제품 스캔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해당 제품의 설명과 함께 해외 투자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외 투자자는, 매칭 서버(100)를 통해 제품 기획자 단말기(200)로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또는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외 투자자는, 3D 모델링 데이터의 확인을 통해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또는 투자하고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투명한 투자가 이루이지도록 함은 물론 투자자와 창업자 간의 신뢰 관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품 스캔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품 스캔 단말기(500)는, 원형 거치대(510), 원통형 커버(520), 커버 덮개(530), 회전형 조명(540), 및 회전형 촬영부(550)를 포함한다.
원형 거치대(510)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원통형 커버(520)는, 내측에 안착되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거치대(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커버 덮개(530)는, 원통형 커버(520)의 상측을 덮고 설치된다.
회전형 조명(540)은, 원통형 커버(5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원통형 커버(52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원형 거치대(510)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회전형 촬영부(550)는, 하단이 원형 거치대(510)에 연결 설치되고, 상단이 커버 덮개(530)에 연결 설치되며, 원형 거치대(510)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의 주변을 원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매칭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품 스캔 단말기(500)는, 3D 모델링 데이터의 확인을 통해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또는 투자하고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투명한 투자가 이루이지도록 함은 물론 투자자와 창업자 간의 신뢰 관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회전형 조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형 조명(540)은, 링형 프레임(541), 회전링(542), 발광 LED(543) 및 회전 구동 기어(544)를 포함한다.
링형 프레임(541)은, 원통형 커버(5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원통형 커버(52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회전링(542)은, 링형 프레임(54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541a)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슬라이딩홈에 안착된다.
발광 LED(543)는, 회전링(54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원형 슬라이딩홈(541a)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회전링(542)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발광되어 원형 거치대(510)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P)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회전 구동 기어(544)는, 링형 프레임(541)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원형 슬라이딩홈(541a)으로 노출되어 회전링(542)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회전링(542)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형 조명(540)은, 여러 방향으로부터 시제품 또는 완제품(P)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시제품 또는 완제품(P)에 발생될 수 있는 그늘로 인하여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분에 음영지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회전형 촬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회전형 촬영부(550)는, 하단 원형 레일(551), 상단 원형 레일(552), 하단 회전 구동부(553), 상단 회전 구동부(554), 수직 레일 프레임(555), 수직 레일(556), 승강 슬라이더(557) 및 촬영 모듈(558)을 포함한다.
하단 원형 레일(551)은, 원형 거치대(5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원통형 커버(5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단 원형 레일(552)은, 하단 원형 레일(551)과 대향하면서 커버 덮개(53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원통형 커버(520)의 내측에 배치된다.
하단 회전 구동부(553)는, 하단 원형 레일(551)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단 회전 구동부(554)는, 상단 원형 레일(552)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된다.
수직 레일 프레임(555)은, 하단이 하단 원형 레일(551)에 연결 설치되어 하단 회전 구동부(553)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단이 상단 원형 레일(552)에 연결 설치되어 상단 회전 구동부(55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수직 레일(556)은, 시제품 또는 완제품(P)과 대향하는 수직 레일 프레임(555)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승강 슬라이더(557)는, 수직 레일(556)에 연결 설치되어 수직 레일(556)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한다.
촬영 모듈(558)은, 승강 슬라이더(557)의 전단에 설치되며, 수직 레일 프레임(555)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승강 슬라이더(557)에 의해 승강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 뒤 매칭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형 촬영부(550)는, 촬영 모듈(558)이 시제품 또는 완제품(P) 주변을 원을 그리면서 이동하면서 촬영을 함은 물론, 원을 그리면서 이동 중인 촬영 모듈(55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보다 여러 위치에서의 시제품 또는 완제품(P)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하단 회전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차?▤玖?, 하단 회전 구동부(553)는, 링형 회전 프레임(5531), 종동 기어(5532) 및 구동 기어(55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단 회전 구동부(554)는, 후술하는 하단 회전 구동부(553)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하단 회전 구동부(553)의 링형 회전 프레임(5531), 종동 기어(5532) 및 구동 기어(55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링형 회전 프레임(5531)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 원형 레일(55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며, 측에 수직 레일 프레임(555)의 하단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수직 레일 프레임(555)의 하단을 회전 이동시켜 준다.
종동 기어(5532)는, 링형 회전 프레임(5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구동 기어(5533)는, 종동 기어(5532)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종동 기어(5532)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회전 구동부(553)는, 수직 레일 프레임(555)을 안정적으로 회전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승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승강 슬라이더(557)는, 슬라이딩 블록(5571), 회동 블록(5572), 간격 조절 실린더(5573), 블록 지지 스프링(5574), 제1 구동휠(5575), 제2 구동휠(5576), 지지휠(5577) 및 노출 블록(5578)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5571)은, 수직 레일(556)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슬라이딩홈(556a)에 안착된다.
회동 블록(5572)은, 수직 슬라이딩홈(556a)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블록(5571)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간격 조절 실린더(5573)는, 회동 블록(5572)과 슬라이딩 블록(557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 블록(5572)과 슬라이딩 블록(5571)의 상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수직 슬라이딩홈(556a)에서의 제1 구동휠(5575)과 수직 슬라이딩홈(556a)의 내측면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한다.
블록 지지 스프링(5574)은, 회동 블록(5572)과 슬라이딩 블록(557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 블록(5572)과 슬라이딩 블록(5571)의 상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동 블록(557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내측을 따라 간격 조절 실린더(5573)가 배치된다.
제1 구동휠(5575)은, 회동 블록(5572)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딩홈(556a)의 내측면에 기어결합하여 안착된다.
제2 구동휠(5576)은, 슬라이딩 블록(5571)의 하부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딩홈(556a)의 내측면에 기어결합하여 안착된다.
지지휠(5577)은, 슬라이딩 블록(5571)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수직 슬라이딩홈(556a)의 외측면을 따라 안착되어 슬라이딩 블록(5571)을 지지한다.
노출 블록(5578)은, 슬라이딩 블록(5571)의 전단에 설치되어 수직 슬라이딩홈(556a)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단에 촬영 모듈(558)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 슬라이더(557)는, 수직 슬라이딩홈(556a)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촬영 모듈(558)을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100: 매칭 서버
200: 제품 기획자 단말기
300: 해외 투자자 단말기
500: 제품 스캔 단말기

Claims (3)

  1. 제품 기획자 단말기로부터 사업기획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해외로부터 접속된 해외 투자자 단말기로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 기획자 단말기와 상기 해외 투자자 단말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매칭 서버(100);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 서버(100)는,
    해외에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제품 구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구매자가 거주하고 있는 해외 배송지까지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배송을 제품 기획자에게 요청하며,
    공동 구매 제안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로서,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는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으로서 등록되는 것인, 공동 구매 상품 모집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동 구매를 희망하는 공동 구매 희망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 구매 상품 관리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가격 정보 및 구매 희망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판매가격에 따른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공동 구매 예측부;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에 대한 공급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동 구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 구매 추진부; 및 상기 공동 구매 희망자 모집 상품이 공동 구매 상품으로 등록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공동 구매 상품의 구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구매 상품 판매부;로 이루어지는 공동 구매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품 공급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produc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상품 등록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등록 요청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content database)에 등록시키는 컨텐츠 등록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판매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상품을 매칭시키는 컨텐츠 및 상품 매칭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매칭된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 상기 매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매칭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부; 및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절차를 통해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컨텐츠 제작자 및 상기 판매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부;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서버;를 더 포함하며,
    국내제조업체로부터 브랜딩되지 않은 언네임드 제품 정보를 등록 받고,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 인터넷 통신망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카테고리 별 제품 트렌드를 분석하는 상품 트렌드 분석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언네임드 제품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 상기 상품 트렌드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제품 트렌드 정보, 상기 언네임드 제품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언네임드 제품 정보, 및 해당 언네임드 제품의 최소발주수량정보를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거래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거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언네임드 제품에 대하여 해외 바이어로부터 발주 신청을 받아 해당 국내제조업체에게 전달하는 언네임드 제품 발주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제품 거래 서버;를 더 포함하며,
    기존 구매 고객의 기존 정보 검색 및 구매 내역 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DB화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거나 유사한 제품들을 고객이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할 때 시스템상 첫화면에 노출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비교하며 재구매를 유도하는 AI반응형 무역거래 서버;를 더 포함하며,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가격으로 펀딩신청을 받고, 가장 낮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먼저 펀딩 상품을 배송하여 얻은 평가지표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높은 가격에 대한 펀딩신청자에게 환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투자자로 하여금 펀딩가격을 기초로 투자리스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우드펀딩 중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인공신경망의 학습을 통해 브랜드와 인플루언서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마케팅하고자 하는 브랜드에 매칭되는 인플루언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브랜드 매칭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칭 서버(100)는,
    저장 관리되고 있는 사업기획안 정보들 중에서 해외 투자자가 원하는 투자 종목을 선별하여 추천하며, 상기 해외 투자자 단말기를 통해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입력받아 분석한 후 해당 해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매칭되는 사업기획안 정보만을 선별하여 제공하며, 투자 종목을 선택한 해외 투자자에게 투자 전망 프로젝트를 제공하며,
    제품 기획자가 사업기획안에 따라 제조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생성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매칭 서버(100)로 전송하는 제품 스캔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 스캔 단말기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 거치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거치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원통형 커버;
    상기 원통형 커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커버 덮개;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회전형 조명; 및
    하단이 상기 원형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 덮개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의 주변을 원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매칭 서버(100)로 전송하는 회전형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조명은,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회전링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원형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시제품 또는 완제품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LED;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링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링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촬영부는,
    상기 원형 거치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단 원형 레일;
    상기 하단 원형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커버 덮개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단 원형 레일;
    상기 하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하단 회전 구동부;
    상기 상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상단 회전 구동부;
    하단이 상기 하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단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단이 상기 상단 원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단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수직 레일 프레임;
    시제품 또는 완제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레일;
    상기 수직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 슬라이더; 및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슬라이더에 의해 승강 이동하면서 시제품 또는 완제품을 스캔한 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상기 매칭 서버(100)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회전 구동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 원형 레일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며, 측에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수직 레일 프레임의 하단을 회전 이동시켜 주는 링형 회전 프레임;
    상기 링형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7403A 2022-10-24 2022-10-24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KR1025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03A KR102566722B1 (ko) 2022-10-24 2022-10-24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03A KR102566722B1 (ko) 2022-10-24 2022-10-24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722B1 true KR102566722B1 (ko) 2023-08-16

Family

ID=8784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403A KR102566722B1 (ko) 2022-10-24 2022-10-24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09B1 (ko) 2023-11-15 2024-03-07 와디즈 주식회사 상품 펀딩을 포함하는 메이커 종합지원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420A (ko) * 2015-12-14 2017-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얼굴 이미지 획득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
KR101996765B1 (ko) * 2018-10-31 2019-07-04 최은철 기술 중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친화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51493B1 (ko) * 2020-04-20 2022-01-17 인핸스비 주식회사 셀럽 브랜드 제작, 판매 및 공유 시스템
KR20220127714A (ko) * 2021-03-11 2022-09-20 최영수 크라우드펀딩 중개방법
KR20220129347A (ko) 2021-03-16 2022-09-23 정경창 창업 투자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420A (ko) * 2015-12-14 2017-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얼굴 이미지 획득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
KR101996765B1 (ko) * 2018-10-31 2019-07-04 최은철 기술 중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친화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51493B1 (ko) * 2020-04-20 2022-01-17 인핸스비 주식회사 셀럽 브랜드 제작, 판매 및 공유 시스템
KR20220127714A (ko) * 2021-03-11 2022-09-20 최영수 크라우드펀딩 중개방법
KR20220129347A (ko) 2021-03-16 2022-09-23 정경창 창업 투자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09B1 (ko) 2023-11-15 2024-03-07 와디즈 주식회사 상품 펀딩을 포함하는 메이커 종합지원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8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third party items at automated locker
US107264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plified in-store, product-based and rental payment processes
US20210174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plified in-store, product-based and rental payment processes
US20210319428A1 (en) Tokenization platform
US20200175566A1 (en) Adding and prioritizing items in a product list
US108389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8560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mand driven collaborative procurement, logistics, and authenticity establishment of luxury commodities using virtual inventories
KR102566722B1 (ko) 국내 유망 제품 해외 펀딩 매칭 시스템
FR2799331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tenant dans la main et procede pour son utilisation
US113415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product based on an image of a scene
KR102501592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온라인 의류 판매 시스템
KR102337762B1 (ko) 휴대폰 쿠폰 발생 시스템
CA3131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UGMENTED CONTENT
US20180158068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electronic commerce
WO2020044211A1 (en) Method and system of distributing and tracking products and/or services
KR101748342B1 (ko)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으로 위탁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판매시스템
EP3844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plified in-store, product-based and rental payment processes
JP6712719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US10963937B1 (en) Online ecommerce in augmented reality platforms
KR102473999B1 (ko) 메타버스를 활용한 통합 물류 시스템
US20210319495A1 (en) Removing purchases from online containers
Batista New business models enabled by digital technologies: A perspective from the fashion sector
KR20180060195A (ko) 패션 아이템 콘텐츠 db구축을 통한 코디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디 기반의 scm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Celik The functionality of online shopping site within the customer service life cycle: a literature review
KR102634659B1 (ko) Ai기반 귀금속 유통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