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256B1 -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256B1
KR102255256B1 KR1020190047312A KR20190047312A KR102255256B1 KR 102255256 B1 KR102255256 B1 KR 102255256B1 KR 1020190047312 A KR1020190047312 A KR 1020190047312A KR 20190047312 A KR20190047312 A KR 20190047312A KR 102255256 B1 KR102255256 B1 KR 10225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unit
vessel
delivery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240A (ko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민
Priority to KR102019004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2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20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릇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을 이용하고 싶은 사람들과 저렴한 가격으로 또한 합리적으로 그릇을 사용하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IoT를 이용한 그릇 재고관리와 빅데이터, 증강현실(AR)기술을 통해 자신의 테이블에 적합한 그릇을 추천해주는 중점 기술이 포함된 그릇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Vessel renta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을 이용하고 싶은 사람들과 저렴한 가격으로 또한 합리적으로 그릇을 사용하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IoT를 이용한 그릇 재고관리와 빅데이터, 증강현실(AR)기술을 통해 자신의 테이블에 적합한 그릇을 추천해주는 중점 기술이 포함된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유경제(共有經濟, 영어: sharing economy)는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현재는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 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모델"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공유경제의 대표적 사례로 알려진, '에어비앤비'와 '우버'는 창업 초기 소유한 재산을 공유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운영을 하고 있어, 공유경제와 거리가 멀어졌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그릇과 같은 물품의 경우는 공유경제가 활발히 실행된 경우가 없었고, 현재는 그릇을 사용할 때, 그릇을 구매하여 이용하는 '소유'의 개념만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본인이 원하는 브랜드의 그릇을 모두 이용하려면, 무조건 구입해야 한다는 비용 부담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아무리 마음에 드는 그릇을 구입하여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기는 식상한 감정은 매번 새로운 그릇의 지출로 이어진다.
또한 본인이 원하는 브랜드의 그릇을 모두 이용하려면, 공간적 제약이 있다. 다양한 그릇들을 구매 가능해도 수납공간은 언제나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많은 그릇을 구매하려면, 그릇 수납장을 별도로 추가 구비해야 한다는 부담이 발생한다. 세 번째, 그릇 브랜드 시장의 정보가 없어, 내 집에 어울리는 브랜드와 그릇이 무엇인지 찾아내기 어렵다.
그릇만 보고 마음에 들어서 구매했지만, 집안의 분위기와 식탁의 색상, 소재에 따라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 중에서, 어떤 브랜드가 있는지 모르고, 또한 어떤 그릇이 우리 집과 어울리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특히 그릇의 비싼 가격으로 고가의 그릇은 소비자들이 쉽게 구매할 수 없어, 다양한 그릇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수납공간의 한계로 많은 그릇을 구매 가능해도 한정된 수납공간으로 인해 여러 그릇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 종류가 너무 많고 전부 구매하여 이용하기란 한계가 있어 나에게 맞는 좋은 브랜드를 찾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그릇을 한 번이라도 사용한 뒤 변심이 생기면 교환환불이 불가능함으로 수납장에 넣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4257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5369호 한국공개특허 제2001-0114061호 한국등록특허 제12269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IoT를 이용한 그릇 재고관리와 빅데이터, 증강현실(AR)기술을 통해 자신의 테이블에 적합한 그릇을 추천해주는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IT기술(예 : IoT 저울, AR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통해 고가의 그릇을 대여하기 전에 충분히 살펴보고 대여한 후에는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문제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부;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 정보와, 복수개의 그릇 재고 현황과, 각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에 따라 맞춤 그릇 SET를 추천하는 추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주소로 배송하도록 결제/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결제/배송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 및 결제/배송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입력 정보와 재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결제/배송부에 전달하고 결제 및 배송을 지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인트 구매시 포인트를 저장하고, 각각의 접시 형태에 Point를 부여하여 대여에 따라 포인트의 차감 여부를 계산하는 포인트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천부는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받은 그릇별 무게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재고 그릇별 무게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배송 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반납된 그릇을 IoT 저울로 측정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비교하여 경고 알람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추천부는 상기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력부를 통해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표시부를 통해 복수개의 브랜드 그릇 SET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요금제, 브랜드, 및 그릇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 제어부가 선택된 입력 정보와 재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결제/배송부에 전달하고 결제 및 배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로 나누어 입력하고, 자신이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할 요금제를 선택하고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제어부가 데이터마이닝 기능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SET의 사진들을 SNS에서 검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천부를 통해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R부를 통해 자신만의 그릇 SET 혹은 맞춤 그릇 SET가 실제로 집안에 어울리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미 3D 스캔 촬영으로 형성된 그릇의 이미지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AR부를 통해 각 그릇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표시하고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360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릇 SET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제어부가 출고시 상태와 반납시 상태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 부분을 체크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양한 고급 브랜드의 그릇을 사용 가능하고, 또한 기호에 따라 원하는 그릇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월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식상해질 때 다시 반납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그릇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어 공유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릇 대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다양한 IT기술을 통해 재고관리, 맞춤 그릇 추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IoT 저울을 이용하여 재고현황을 쉽게 파악하여 결제 이후 주문 들어오는 그릇의 재고 파악과 효율적인 포장 및 반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다양화하여 회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다른 브랜드 교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릇 대여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릇 대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릇 대여 시스템의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사용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대여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마이닝 기능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SNS에서 검색하는 방법 등을 보여주는 플로챠트이다.
도 7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을 보여주는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부(10), 포인트부(20), 데이터베이스(30), 추천부(40), 결제/배송부(50), 표시부(60), 제어부(70)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모듈로서, 트리 형태로 화면이 연속하여 복수개의 그릇을 표시하고,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컴퓨터 전산상 키보드 또는 IoT 저울(혹은 선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는 AR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손 동작 또는 모션에 의해 반응된 특정 그릇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포인트부(20)는 포인트 구매시 포인트를 저장하고, 각각의 접시형태에 Point를 부여하여 대여에 따라 포인트의 차감 여부를 계산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은 회원들에게 새로운 구독 형태의 그릇 대여를 제공하는 데, 매월 일정 금액의 저렴한 구독료로 다양한 고급 그릇을 사용할 수 있다.
회원이 그릇 선택 후 맘에 들지 않는다면, 다음달에 다른 브랜드의 그릇을 신청하는 경우 다른 브랜드의 그릇을 교체해 제공한다.
특히 1개월 약정으로 장기간 대여하는 경우 1회 무료로 다른 브랜드 그릇의 교체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회원이 입력부(10)를 통해 무료 교체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70)는 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여 장기간 대여 회원인지 확인한 후 제어부(70)가 결제/배송부(50)를 통해 다른 브랜드 그릇으로 교체 배송한다.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는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 정보와, 복수개의 그릇 재고 현황과, 각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여기에서 상기 사전 정보는 AR부에 미리 입력되어 맞춤 그릇SET 추천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에는 이 외에도 집들이의 경우 가족 모임의 경우 등으로 나누어 가장 선호되는 그릇과 셋팅 정보를 포함하고, SNS 등을 통해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에는 각 그릇 정보가 트리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트리 구조형식을 가지는 자료 구조에 삽입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에는 각 가구별로 주로 하는 요리나 음식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그릇들의 차이점과, 어떤 가구는 양식을 더 많이 요리하기 때문에 중접시를 많이 사용하고, 어떤 가구는 한식을 많이 요리하고 먹기 때문에 중찬기, 소접시들이 많이 사용하는 등의 차이점을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회원이 접속하는 경우 관련된 정보를 트리 형태 또는 AR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추천부(40)는 상기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에 따라 맞춤 그릇 SET를 추천하는 모듈로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SNS 등을 통해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정보를 반영하거나 블로그 등에 공개되어 있는 자료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결제/배송부(50)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포인트부의 포인트로 결제하고 해당 주소로 배송하도록 결제/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모듈이다.
표시부(60)는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 및 결제/배송 정보 등을 표시하고, 컴퓨터 전산상 모니터 또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60)는 상기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포함하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AR부는 각 그릇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표시하고 360도 회전하여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60)는 스마트폰이나 핸드헬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AR 안경,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 신체 부착형,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망은 특정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5G, 4G,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IoT 저울로 측정한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어부(70)는 선택된 입력 정보와 재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고 기준치와 다를 경우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AR부를 제어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AR부는 AR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AR 입력 장치, 상기 AR 입력 장치의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라 상기 모션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AR 컨텐츠 데이터로 적용하여 AR 컨텐츠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AR부의 AR 안경 프로세서는 테이블 주변에 도달한 경우 외장 안경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입력받은 테이블 이미지 정보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그릇 이미지를 동시에 결합 표시하여 최종적으로 셋팅된 그릇이 놓여진 테이블을 회원에게 3차원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대화형 두부 탑재형 AR 안경(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을 제공할 수 있고 AR 안경은 사용자가 테이블 주변 환경 및 테이블 색상 등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광학 어셈블리(optical assembly)를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수개의 그릇 정보가 표현된 AR 콘텐츠를 처리하는 AR 프로세서와 상기 주변 환경 및 테이블 색상 등을 상기 광학 어셈블리에 유입시키는 일체형 영상 광원(integrated image source)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AR 콘텐츠는 복수개의 그릇 정보, 테이블 정보 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AR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AR 안경은 3D 움직임 센서, 가속도계, 경사계,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어, 특정 테이블에 맞춰진 그릇에 도달하기 위한 트리 정보와 일반적인 그릇 정보를 분류하여 필터링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바로 비교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가구별로 주로 하는 요리나 음식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그릇들이 다르다. 즉, 어떤 가구는 양식을 더 많이 요리하기 때문에 중접시를 많이 사용하고, 어떤 가구는 한식을 많이 요리하고 먹기 때문에 중찬기, 소접시들이 많이 사용하는 등의 차이가 생긴다.
본 발명은 사람들의 각기 다른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각각의 접시형태에 Point를 부여하였고, 제어부는 매월 지불하는 요금제 별로 사용 가능 Point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밥공기와 대접은 1Point, 중접시는 2Point, 라자냐볼은 4Point 등 Point를 부여하여 가입한 회원의 사용 가능 Point대로 직접 그릇 SET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반드시 한가지 브랜드의 그릇 SET를 지정할 필요 없이 다양한 브랜드의 그릇 SET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용 후 교환하기 위하여 사전에 그릇 SET를 저장할 수 있다.
맞춤 그릇SET 추천 기능
상기 추천부(40)는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추천하거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마이닝 기술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규모로 저장된 그릇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 내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을 선별하는 기술이다.
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그릇 SET를 지정할 수 있지만, 반대로 그릇 SET를 정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자신의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 등에 요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맞춤 그릇 SET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추가한다.
맞춤 그릇 SET 추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선 먼저 자신의 집 인테리어 사진 혹은 테이블의 사진을 등록한다. 이후 자신이 이용하고 있는, 혹은 이용할 요금제를 선택하고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SNS에서 검색한다.
증강현실(AR) 그릇 확인 기능
표시부(60)는 상기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포함한다.
AR부는 자신만의 그릇 SET 혹은 맞춤 그릇 SET가 실제로 집안에 어울리는지 확인하기 위한 AR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이미 3D 스캔 촬영으로 형성된 그릇의 이미지를 증강현실기술(AR)이 도입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IoT 기반 재고현황 파악 기능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받은 그릇별 무게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재고 그릇별 무게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입력부에서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배송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반납된 그릇을 IoT 저울로 측정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비교하여 경고 알람을 표시한다.
이러한 경고 알람 기능은 결제 이후 주문 들어오는 그릇의 재고파악과 효율적인 포장 및 반납을 위해 IoT 저울을 이용하여 재고현황을 파악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그릇 재고현황과 그릇 1개당 무게를 브랜드와 종류별로 기록한다.
즉 IoT 저울을 이용하여 각각 그릇의 브랜드와 종류 및 무게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시킨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종류별 물품(그릇)의 재고의 수에 따른 무게의 값과 저울에 올려진 그릇 재고의 수에 무게의 값이 일치하면 저울에 초록색 불이 점등된다. 불일치하면 빨간색 불이 점등된다.
출고작업 단계의 그릇과 반납정리 단계의 그릇은 회사에는 있지만, 재고현황 파악 기능이 있는 IoT 저울에 올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재고 현황처리에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저울에 노란색 불이 점등된다.
저울에 등록해 놓은 물품과 다른 물품을 올려놓을 시, 저울에 올려져야 할 무게 값과 오차로 인해 불이 점등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대여 방법에 대해 재고 현황 주문부터 배송까지 시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오덴세 아틀리에 국 대접' 300g/1개의 무게와 현재 보유 중인 '아틀리에 국 대접'의 총 수량인 5개를 컴퓨터 재고 현황에 입력한다.
하나의 IoT 저울에 '오덴세 아틀리에 국대접'을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 입력 후, 측정된 무게 정보 등을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및 스마트폰과 연동한다.
오덴세 아틀리에 국대접' 5개를 저울에 올려 놓으면, 300gx5=1,500g으로 입력되어, 컴퓨터 전산상 재고량의 무게 총합과 일치하여 초록색 불이 점등한다.
주문자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아틀리에 국대접' 1개를 주문 시,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컴퓨터 전산상 재고량의 무게 총합과 불일치한다는 것을 스스로 판단하여 빨간색 불이 점등한다. (컴퓨터 전산상 300gx4=1,200g, IoT 저울의 무게 300gx5=1,500g)
또는 제어부는'아틀리에 국대접' 1개를 IoT 저울에서 가져다 출고작업 시, 실시간으로 컴퓨터 전산상 재고량의 무게 총합과 일치한다는 것을 스스로 판단하여 원칙상으로 초록색 불이 점등되어야 하나, 출고 작업단계에 머물러 있음으로 출고 완료하기 전까지는 노란색 불이 점등된다.
만일 출고 완료가 되면 자동으로 노란색 불에서 초록색 불로 바뀐다. (제어부 전산상 300gx4=1,200g, IoT 저울의 무게 300gx4=1,200g)
고객 회원이 '아틀리에 국대접' 1개를 반납하고 택배반납이 완료되면, 전산상 재고량이 4개에서 5개로 늘게 되고, 아직 반납정리 단계에 해당함으로 IoT 저울에는 초록색 불이 노란색 불로 바뀜. 반납 정리가 완료되면, IoT 저울에 해당 그릇을 올려놓으면 다시 노란색 불이 초록색 불로 바뀌게 된다.
만약 '오덴세 아틀리에 국 대접'이 입력된 저울에 다른 그릇을 올려 놓을 경우, 300g의 배수와는 전혀 무관한 그릇 무게의 총합이 저울에 입력되므로 저울은 점등하지 않는다.
상술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그릇의 범위는 음식을 담는 모든 기구(예 : 접시)와 액체류의 음용수를 마실수 있는 기구(예 : 찻잔)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그릇 대여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가입을 한 후 그릇 대여 시스템에 따른 웹사이트에 접속하면(S101), 입력부를 통해 브랜드를 선택하고, 그릇 종류를 선택한 후 제어부가 포인트부를 통해 포인트를 차감하여 선택된 그릇 SET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2 ~ S107).
그리고 나서 회원은 AR부를 통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 그릇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108).
마지막으로 회원의 결제와 배송 및 사용 후 반납의 과정이 이루어진다(S109 ~ S1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부를 통해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을 등록하고,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표시부를 통해 복수개의 브랜드 그릇 SET를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요금제, 브랜드, 및 그릇 종류를 선택하며, 제어부가 선택된 입력 정보와 재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결제/배송부에 전달하고 결제 및 배송을 지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출고/반납의 경우 그릇의 무게 뿐만 아니라 외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예 : 상측면과 하측면을 동시 촬영할 수 있는 스캐너 또는 3D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출고시 상태와 반납시 상태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 부분을 체크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로 나누어 입력하고, 자신이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할 요금제를 선택하고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제어부가 데이터마이닝 기능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SET의 사진들을 SNS에서 검색한다(S201 ~ S205).
이 때 SNS 검색 시작 후 결과값의 종류와 수량이 현재 그릇 대여 시스템의 재고 수량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 결과값을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현재 그릇 대여 시스템의 재고 수량 보다 클 경우에는 예약을 받아 차후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S206, S20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천부를 통해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AR부를 통해 자신만의 그릇 SET 혹은 맞춤 그릇 SET가 실제로 집안에 어울리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미 3D 스캔 촬영으로 형성된 그릇의 이미지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AR부를 통해 각 그릇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표시하고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360도 회전하여 표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정상일 경우 녹색, 대기일 경우 노랑색, 문제가 있을 경우 빨강색 불빛을 점등하도록 한다(S301 ~ S311). 이 때 세부적인 그릇의 파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휴대용 비파괴검사장치(예 : X-ray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분기 조건식 S305는 IoT 저울 무게 = 데이터 베이스 + 출고 작업 그릇 무게를 나타내고 S307은 IoT 저울 무게 + 반납 작업 그릇 무게 = 데이터 베이스 + 출고 작업 그릇 무게를 나타낸다.
왜냐하면 반납 작업이나, 출고 작업에 있는 그릇은 IoT 저울에 올려져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회사에 있기 때문이다.
10 : 입력부
20 : 포인트부
30 : 데이터베이스
40 : 추천부
50 : 결제/배송부
60 : 표시부
70 : 제어부

Claims (10)

  1.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부;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와,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 정보와, 복수개의 그릇 재고 현황과, 각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회원의 집 인테리어 사진 또는 테이블의 사진, 집 분위기, 테이블의 재질, 테이블의 색깔을 포함하는 사전 정보에 따라 맞춤 그릇 SET를 추천하는 추천부;
    상기 회원의 포인트 구매시 포인트를 저장하고, 각각의 접시형태에 Point를 부여하여 대여에 따라 포인트의 차감 여부를 계산하는 포인트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저장된 회원 정보에 따라 해당 주소로 배송하도록 결제/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결제/배송부;
    상기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 및 결제/배송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입력 정보와 재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결제/배송부에 전달하고 결제 및 배송을 지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그릇의 무게를 전달받아 재고/출고/반납 그릇의 무게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경우 경고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그릇을 대여한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문제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X-ray 장치로 이루어진 비파괴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부가 각각의 접시형태에 Point를 부여하였고, 제어부는 매월 지불하는 요금제 별로 사용 가능 Point를 부여하고, 가입한 회원의 사용 가능 Point대로 직접 그릇 SET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추천부는 맞춤그릇 기능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규모로 저장된 그릇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 내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을 선별하는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통해 조건에 맞는 그릇 SET의 사진들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배송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반납된 그릇을 IoT 저울로 측정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비교하여 경고 알람을 표시하는 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종류별 그릇의 재고의 수에 따른 무게의 값과 저울에 올려진 그릇 재고의 수에 무게의 값이 일치하면 저울에 초록색 불이 점등되며, 불일치하면 빨간색 불이 점등되고, 출고작업 단계의 그릇과 반납정리 단계의 그릇은 회사에는 있지만, 재고현황 파악 기능이 있는 IoT 저울에 올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재고 현황처리에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저울에 노란색 불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대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요금제, 브랜드, 그릇 종류를 선택받아 IoT 저울로 측정하여 배송 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반납된 그릇을 IoT 저울로 측정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비교하여 차이가 날 경우 경고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대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부는 그릇 이미지를 상기 테이블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AR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대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47312A 2019-04-23 2019-04-23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225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12A KR102255256B1 (ko) 2019-04-23 2019-04-23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12A KR102255256B1 (ko) 2019-04-23 2019-04-23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240A KR20200128240A (ko) 2020-11-12
KR102255256B1 true KR102255256B1 (ko) 2021-05-21

Family

ID=7339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312A KR102255256B1 (ko) 2019-04-23 2019-04-23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2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987A (ja) * 2000-04-10 2001-10-19 Nec Corp 集合住宅における物品のレンタルシステム及びレンタル方法
KR101658296B1 (ko) * 2011-10-27 2016-09-20 이베이 인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아이템들의 시각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57A (ko) 2000-02-01 2000-05-06 이홍 복수물품의 선택적 구매 기능을 가지는 상거래망 시스템
KR20010114061A (ko) 2000-06-20 2001-12-29 허장현 조건부예치에 의한 원격지상거래 대금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20085369A (ko) 2001-05-08 2002-11-16 전숙자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101226925B1 (ko) 2008-07-21 2013-01-28 최상혁 상품권 결제 방법
KR20170099480A (ko) * 2016-02-24 2017-09-01 남정남 무제한 회원제 대여 방식의 조립블록 완구 대여방법 및 대여시스템
KR101945726B1 (ko) * 2017-03-21 2019-02-11 (주)프람트테크놀로지 컨텐츠 융합형 동적 광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987A (ja) * 2000-04-10 2001-10-19 Nec Corp 集合住宅における物品のレンタルシステム及びレンタル方法
KR101658296B1 (ko) * 2011-10-27 2016-09-20 이베이 인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아이템들의 시각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240A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682B1 (ko) 커스터마이즈된 증강 현실 아이템 필터링 시스템
US20230222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lobal dynamic hierarchical ordering system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KR102444655B1 (ko) 쇼핑 트립 플래너
CN105981059A (zh) 库存管理
JP71948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56958B2 (en) Real-time context based recipe recommendation system
CA2937684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KR101859055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003634A (ja) 決済システム
US20220405706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n Improved, Automated Procur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55256B1 (ko) 그릇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274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651329B2 (en) Machine readable technologies for the smart shipping of multiple products
KR102499689B1 (ko) 검색 키워드 자동 선별 방법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339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onation receipt
KR102295018B1 (ko) 포장용기 자동 주문발주 장치
WO2019239609A1 (ja) 商品の受注生産を仲介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商品の受注生産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JP4361573B2 (ja) 眼鏡の受・発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13125A (ko) 인터넷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구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535118B1 (ko) 글로벌 온라인 도매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19228B2 (ja) 商品の受注生産を仲介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商品の受注生産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KR101274788B1 (ko) 실시간 개별상담 가능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48825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