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70B1 -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70B1
KR102622470B1 KR1020220074157A KR20220074157A KR102622470B1 KR 102622470 B1 KR102622470 B1 KR 102622470B1 KR 1020220074157 A KR1020220074157 A KR 1020220074157A KR 20220074157 A KR20220074157 A KR 20220074157A KR 102622470 B1 KR102622470 B1 KR 10262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int
painting
indirect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3420A (ko
Inventor
박후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현테크
Priority to KR102022007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70B1/ko
Publication of KR2023017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target velocity, e.g. to relative velocity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85Stands for supporting individual articles to be sprayed, e.g. doors, vehicle bod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6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along a closed path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이 이송되는 이송라인부와, 이송라인부에 배치되어 패널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는 도료공급부와, 패널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배치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지그부 및 도료공급부에서 분사된 도료로 패널을 간접 도장하는 간접도장부를 포함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PAINTING DEVICE OF PANEL FOR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 공정 시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동시에 도장하면서도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塗裝, painting upkeep)은 피도장물에 도료의 색을 입히는 것을 의미하고, 액체도장 및 분체도장으로 구별되며, 그 중 액체도장은 스프레이건(spray gun)으로 도료를 분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거나 액체형 페인트 붓을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액상도장은 주로 스프레이건을 통해 제품을 도장하는 방법으로써, 제품의 외관에 도막이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1차 프라이머도장(하도) 후, 2차 컬러도장(중도) 및 3차 클리어도장(상도)을 진행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된 액상도장은 컨베이어 라인에 피도장물을 이송시키면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도장설비로 하도, 중도, 상도 순의 도장 작업 후 일정 온도(예컨대, 80
Figure 112022063529665-pat00001
)를 통해 오븐건조를 유지한다.
컨베이어 시스템 액상도장은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이송으로 고품질 유지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중량이 적은 제품(플라스틱 사출품 등)의 대량생산을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대량 도장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차량부품의 제조과정에서, 컨베이어 시스템 액상도장의 공정은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의 디자인성을 증대시켜주는 중요한 작업으로서, 차체의 조립이 완료된 후 진행되기보다는 차체를 이루는 각 부품(예컨대, 범퍼, 도어 및 음향설비 등)이 조립되기 전에 진행된다.
그러나, 컨베이어 시스템 액상도장은 피도장물이 비교적 소형이거나 일정 패턴의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경우에 도장 효율성이 떨어진 저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복수의 안내레일을 따라 제품을 적층시켜 도장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제품 전면에 도장을 일정하게 형성시키는 도장지그가 제시되었지만, 제품의 후면에도 균일한 도장 품질이 구현되도록 제품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추가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 추가에 따른 생산성저감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출 패널용 도장설비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3991호(2021.06.01 공개, 발명의 명칭: 도장지그 이동랙에 구비되는 자동차 외장부품 도장용 도장지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 공정 시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동시에 도장하면서도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는 패널이 이송되는 이송라인부와, 상기 이송라인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는 도료공급부와, 상기 패널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지그부 및 상기 도료공급부에서 분사된 도료로 상기 패널을 간접 도장하는 간접도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부와 연결된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널의 후면은 상기 패널의 단부에서 연장된 엣지부를 갖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상기 곡면에 분사된 도료를 상기 엣지부로 반사시키는 와류를 형성시키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부와 연결된 간접도장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널의 후면은 상기 패널의 단부에서 연장된 엣지부를 갖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상기 간접도장면에 분사된 도료를 상기 엣지부로 반사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으로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부와 둔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엣지부는, 상기 패널의 단부에서 일방으로 절곡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높이의 차를 갖는 내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널의 이동 및 상기 도료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이 도장되도록 상기 패널의 진행 속도 및 상기 도료공급부의 도료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료공급부는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재를 x, y 방향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프레이부재가 상기 패널에서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패널의 진행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레이부재는, 상기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1°의 기울기를 갖는 제 1 스프레이라인 및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과 대칭되는 타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2°의 기울기를 갖는 제 2 스프레이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레이부재는,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1°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를 분사하고,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2°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의 θ1°와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의 θ2°가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 및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은 상기 이송라인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그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료공급부는 한 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상기 패널을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도록 상기 패널에 상기 도료를 경사지게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패널이 도장되는 부분의 내측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는 이송라인부, 도료공급부, 베이스부, 지그부 및 간접도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 공정 시에 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여 도장이 필요한 모든 부분의 한 번의 작업으로 균일하게 도장할 수 있으므로,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고급 도장 품질을 갖는 패널의 생산성이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도장부는 일단이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와 연결된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곡면에 분사된 도료를 패널의 엣지부로 반사시키는 와류를 형성하므로, 단일의 도장 공정을 통해 패널의 전후면에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생산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도장부는 일단이 베이스부와 둔각으로 배치되고, 타단이 지그부와 둔각으로 배치된 간접도장면을 구비함으로써, 간접도장면에 분사된 도료를 패널의 엣지부로 반사시키므로, 단일의 도장 공정을 통해 패널의 전후면에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생산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용 보호커버 밸브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의한 도장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의한도장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용 보호커버 밸브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단, 후술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서 직접 도장은 도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도료가 패널을 직접 도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간접 도장은 반사되어 도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이송라인부(110), 도료공급부(120), 베이스부(130), 지그부(140) 및 간접도장부(150)를 포함한다.
이송라인부(110)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패널(10)이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공정부스(111), 이송라인 프레임(미도시) 및 컨베이어벨트(30)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이송라인부(110)에는 베이스부(130)의 이송라인 연결부가 끼워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홈 형상의 라인이 형성되고, 홈 형상의 내부 단면적에 대응하는 베이스부(130)의 이송라인 연결부가 형성되될 수 있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이송라인부(110)의 홈 형상에 베이스부(130)의 이송라인 연결부가 체결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30)와 함께 이송라인 연결부가 작동하여 베이스부(13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송라인부(110)와 이송라인 연결부 간의 연결 구조는 이송라인부(110)와 이송라인 연결부가 탈착되는 구조로 변형되거나 컨베이어벨트(30)에 이송라인 연결부가 고정되는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대체 가능하다.
도료공급부(120)는 이송라인부(110)의 공정부스(111)에 배치되어 패널(10)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도록 패널(10)에 도료를 경사지게 분사하고, 미리 저장된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로 구비되며, 이송부재(120a)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레이부재는 패널(10)의 외관에 균일한 도장 품질을 구현하도록 패널(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1°의 기울기를 갖는 제 1 스프레이라인(121) 및 제 1 스프레이라인(121)과 대칭되는 타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2°의 기울기를 갖는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을 구비한다.
제 1 스프레이라인(121)의 θ1°및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의 θ2°는 제 1 스프레이라인(121)과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이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형성하여 배치되도록 동일한 기울기값을 갖고, 패널(10)을 도장하기 위한 작업 현장의 환경 및 패널(10)의 형상 등에 따라 제 1 스프레이라인(121)과 제 2 스프레이라인(123)에 형성된 기울기값이 가변될 수 있다.
스프레이부재는 제 1 스프레이라인(121)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1°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패널(10) 및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도료를 분사하고,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2°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패널(10) 및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도료를 분사한다.
베이스부(130)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서 지그부(140)를 지지하면서 이송라인부(110)의 작동에 의한 패널(1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컨베이어벨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베이스부(130)는 상측에 지그부(140)가 놓여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하측에 컨베이어벨트(3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패널(10)이 안정적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그부(140)는 베이스부(130) 상에 배치되어 패널(10)의 후면이 면 접촉을 통해 안착되고, 패널(10)이 도장되는 부분의 내측에서 패널(10)을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30)와 수직하게 결합된다.
지그부(140)는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 베이스부(130)와 함께 일방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자체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패널(10)이 도장되는 부분의 내측에서 패널(10)을 지지하도록 사각 형상의 중공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간접도장부(150)는 도료공급부(120)에서 분사된 도료를 통해 패널(10)을 간접 도장하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곡면(151)을 구비한 채 베이스부(130)와 수직 배치된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패널(10)은 후면이 패널(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패널(10)의 단부에서 일방으로 절곡된 돌출부(11a) 및 돌출부(11a)와 높이의 차를 갖는 내측부(11b)가 형성된 엣지부(11)를 가질 수 있다.
간접도장부(150)는 베이스부(130)와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엣지부(11)와 서로 마주보도록 라운드진 곡면(151)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30) 및 지그부(140)와 이루는 결합 구조를 통해 중공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베이스부(130), 지그부(140) 및 간접도장부(150)의 결합 구조를 통해 공간부가 확보되고, 간접도장부(150)의 도료 반사 구현과 동시에 간접도장부(150)가 베이스부(130)와 지그부(140) 사이에서 패널(10)의 지지를 위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재의 역할을 구현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도장부(150`)는 도료공급부(120)에서 분사된 도료를 통해 패널(10)의 일측이 도장되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간접도장면(151`)을 구비한 채 베이스부(130)와 수직 배치된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간접도장부(150`)는 간접도장면(151`)에 분사된 도료를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시키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α1°의 둔각으로 배치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α2°의 둔각으로 배치되며, 간접도장부(150`)의 일단과 베이스부(13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형성된 α1°과 간접도장부(150`)의 타단과 지그부(14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형성된 α2°가 동일한 기울기값으로 구현 가능하다.
간접도장면(151`)은 베이스부(130)와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10)의 엣지부(11)와 서로 마주보도록 사선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고, 베이스부(130) 및 지그부(140)와 이루는 결합 구조를 통해 삼각 기둥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베이스부(130), 지그부(140) 및 간접도장부(150`)의 결합 구조를 통해 공간부가 확보되고, 간접도장부(150`)의 도료 반사 구현과 동시에 간접도장부(150`)가 베이스부(130)와 지그부(140) 사이에서 패널(10)의 지지를 위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재의 역할을 구현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의 구성에 있어서, 패널(10)은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에 의해 도장되는 플라스틱 사출품일 수 있고, 패널(10)의 후면이 패널(10)의 단부에서 연장된 엣지부(11)를 갖는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 베이스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을 통해 안정적인 베이스부(130)의 이동을 구현 가능하다.
컨베이어벨트(30)는 작업 상황에 따라 체인 및 와이어 등으로 대체 가능하고, 컨베이어벨트(30) 방식 외에도 볼 및 롤러 등을 이송라인부(110)의 내부에 일방으로 연속 배치함으로써, 이송라인부(110)에 배치된 볼 및 롤러의 회동에 따라 베이스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그부(140)는 패널(10)이 탈착 가능한 안착면을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장 가능한 막대부재가 구비되어 패널(10)의 내면이 막대부재에 걸림 및 파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패널(10)의 내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며, 패널(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과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료공급부(120)는 제 1 스프레이라인(121)의 θ1°와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의 θ2°가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제 1 스프레이라인(121) 및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이 컨베이어벨트(3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 배치된 채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패널(10)이 도장되도록 패널(10)의 이동 및 진행 속도와, 도료공급부(120)의 도료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더 포함한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센서부(160) 및 구동부(17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80)가 이송라인부(110), 도료공급부(120), 센서부(160) 및 구동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송라인부(110)의 공정부스(111) 상에 설치되거나 이송라인부(110)와 유무선의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별도로 마련된 작업 공간에 구비될 수 있고, 조작버튼 및 구성 요소들의 작동 정보를 기하학적으로 표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제어부(180)의 조작을 통해 패널(10)에 대한 도장 공정을 제어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면서 도료공급부(120)의 일방향 직선 작동 및 도료 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170)를 작동시켜 컨베이어벨트(30), 도료공급부(120) 및 베이스부(130) 등의 위치 이동이 필요한 구성 요소에 동력을 전달하고, 센서부(160)에 의한 컨베이어벨트(30), 도료공급부(120) 및 베이스부(130) 등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른 전체 작동 시스템이 유연하게 진행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에서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베이스부(130)가 이격 배치된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컨베이어벨트(3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베이스부(130)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갖는 작업 현장의 환경에 따라 베이스부(130)의 배치 구조를 다양화하여 도장 공정을 위한 패널(10)의 연속적인 진입 및 다음 공정으로의 통과 이송을 대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를 통한 패널의 도장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의한 도장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에 의한도장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패널(10)은 후면이 패널(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패널(10)의 단부에서 일방으로 절곡된 돌출부(11a) 및 돌출부(11a)와 높이의 차를 갖는 내측부(11b)가 형성된 엣지부(11)를 가질 수 있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패널(10)의 전면과 후면의 엣지부(11)에 균일한 도장 품질이 확보되도록 이송라인부(110), 도료공급부(120), 베이스부(130), 지그부(140) 및 간접도장부(150, 150`)를 포함한다.
이송라인부(110)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패널(10)이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공정부스(111), 이송라인 프레임 및 컨베이어벨트(30)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료공급부(120)는 이송라인부(110)의 공정부스(111)에 배치되어 패널(10)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도록 패널(10)에 도료를 경사지게 분사하고,미리 저장된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를 구비하며, 이송부재(120a)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130)는 컨베이어벨트(30) 상에서 지그부(140)를 지지하면서 이송라인부(110)의 작동에 의한 패널(1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컨베이어벨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된다.
지그부(140)는 베이스부(130) 상에 배치되어 패널(10)의 후면이 면 접촉을 통해 안착되고, 패널(10)이 도장되는 부분의 내측에서 패널(10)을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30)와 수직하게 결합되며, 컨베이어벨트(3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 베이스부(130)와 함께 일방으로 이송된다.
간접도장부(150, 150`)는 도료공급부(120)에서 분사된 도료를 통해 패널(10)의 일측이 도장되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채 베이스부(130)와 수직 배치된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센서부(160), 구동부(170) 및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80)가 이송라인부(110), 도료공급부(120), 센서부(160) 및 구동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간접도장부(150)가 도료공급부(120)에서 분사된 도료를 통해 패널(10)의 일측이 도장되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곡면(151)을 구비한 채 베이스부(130)와 수직 배치된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도료공급부(120)는 제 1 스프레이라인(121)과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이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이송라인부(1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 배치되어 제어부(180)의 조작을 통해 연동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도료공급부(120)는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를 갖고, 제어부(180)가 패널(10) 및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스프레이부재를 이송부재(120a)의 x, y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한다.
도료공급부(120)는 스프레이부재가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패널(10)의 좌측편으로부터 도료를 분사하고, 스프레이부재 중 제 1 스프레이라인(121)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간접도장부(150)의 곡면(151) 상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된다.
패널(10)은 엣지부(11)가 간접도장부(150)에서 발생된 도료의 와류 현상을 통해 도장되고, 제어부(180)의 도료공급부(120)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에 의해 스프레이부재의 이동이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구현된다.
제어부(180)는 스프레이부재가 패널(10)에서 좌측편의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이동되면 패널(10)의 진행 속도를 저감시켜 패널(10)의 엣지부(11)에 대한 균일한 도장 작업을 유지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도 6(b)에서와 같이,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도료공급부(120)가 이송부재(120a)의 y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패널(10)의 전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균일한 도장을 구현한다.
도 6(c)에서와 같이,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도료공급부(120)가 패널(10)을 기준으로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패널(10)의 우측편으로 도료를 분사하고, 스프레이부재 중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간접도장부(150)의 곡면(151) 상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된다.
제어부(180)는 도장 공정의 이송라인부(110)에 진입된 패널(10)에 균일한 도료가 분사되도록 이송부재(120a)를 x, y 방향으로 반복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진행 속도를 갖도록 컨베이어벨트(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간접도장부(150`)가 도료공급부(120)에서 분사된 도료를 통해 패널(10)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도록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간접도장면(151`)을 구비한 채 베이스부(130)와 수직 배치된 지그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도 7(a)에서와 같이, 도료공급부(120)는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를 갖고, 제어부(180)가 패널(10) 및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스프레이부재를 이송부재(120a)의 x, y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한다.
도료공급부(120)는 스프레이부재가 패널(10)을 기준으로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패널(10)의 좌측편으로부터 도료를 분사하고, 스프레이부재 중 제 1 스프레이라인(121)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간접도장부(150`)의 간접도장면(151`) 상에서 반사각을 형성하여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된다.
패널(10)은 엣지부(11)가 간접도장부(150`)에서 발생된 도료의 반사 현상을 통해 도장되고, 제어부(180)의 도료공급부(120)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에 의해 스프레이부재의 이동이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구현된다.
제어부(180)는 스프레이부재가 패널(10)에서 간접도장부(150`)를 향해 이동되면 패널(10)의 진행 속도를 저감시켜 패널(10)의 엣지부(11)에 대한 균일한 도장 작업을 유지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도 7(b)에서와 같이,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도료공급부(120)가 이송부재(120a)의 y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패널(10)의 전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균일한 도장을 구현한다.
도 7(c)에서와 같이,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도료공급부(120)가 패널(10)을 기준으로 이송부재(120a)의 y방향 작동에 따라 패널(10)의 우측편으로 도료를 분사하고, 스프레이부재 중 제 2 스프레이라인(123)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간접도장부(150`)의 간접도장면(151`) 상에서 반사각을 형성하여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된다.
제어부(180)는 도장 공정의 이송라인부(110)에 진입된 패널(10)에 균일한 도료가 분사되도록 이송부재(120a)를 x, y 방향으로 반복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진행 속도를 갖도록 컨베이어벨트(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베이스부(130)와 지그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간접 도장을 진행할 수도 있다.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도 8(a) 내지 도 8(c)의 도장 고정을 통해 도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도료가 베이스부(130)에 반사되어 패널(10)의 간접 도장을 진행하므로, 상술한 간접도장부(150, 150`)와 같이 패널(10)에 대한 간접 도장의 역할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100)는 이송라인부(110), 도료공급부(120), 차량부품용 패널(10)의 도장 공정 시에 패널(10)의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여 도장이 필요한 모든 부분이 한 번의 작업으로 균일하게 도장할 수 있으므로,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고급 도장 품질을 갖는 패널(10)의 생산성이 증감될 수 있다.
간접도장부(150)는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연결된 곡면(151)을 구비함으로써, 곡면(151)에 분사된 도료를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시키는 와류를 형성하므로, 단일의 도장 공정을 통해 패널(10)의 전후면에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생산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간접도장부(150`)는 일단이 베이스부(130)와 둔각으로 배치되고, 타단이 지그부(140)와 둔각으로 배치된 간접도장면(151`)을 구비함으로써, 간접도장면(151`)에 분사된 도료를 패널(10)의 엣지부(11)로 반사시키므로, 단일의 도장 공정을 통해 패널(10)의 전후면에 균일한 도장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생산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패널 11: 엣지부
11a: 돌출부 11b: 내측부
30: 컨베이어벨트
100: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10: 이송라인부 111: 공정부스
120: 도료공급부 120a: 이송부재
121: 제 1 스프레이라인 123: 제 2 스프레이라인
130: 베이스부 140: 지그부
150, 150`: 간접도장부 151: 곡면
151`: 간접도장면 160: 센서부
170: 구동부 180: 제어부

Claims (15)

  1. 패널이 이송되는 이송라인부;
    상기 이송라인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동시에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는 도료공급부;
    상기 패널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지그부; 및
    상기 도료공급부에서 분사된 도료로 상기 패널을 간접 도장하는 간접도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부와 연결된 간접도장면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의 후면은 상기 패널의 단부에서 연장된 엣지부를 갖고,
    상기 간접도장부는, 상기 간접도장면에 분사된 도료를 상기 엣지부로 반사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으로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부와 둔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간접도장면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엣지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사선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지그부와 이루는 결합 구조를 통해 삼각 기둥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는,
    상기 패널의 단부에서 일방으로 절곡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높이의 차를 갖는 내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이동 및 상기 도료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이 도장되도록 상기 패널의 진행 속도 및 상기 도료공급부의 도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공급부는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재를 x, y 방향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프레이부재가 상기 패널에서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패널의 진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재는,
    상기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1°의 기울기를 갖는 제 1 스프레이라인; 및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과 대칭되는 타방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θ2°의 기울기를 갖는 제 2 스프레이라인;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재는,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1°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를 분사하고,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의 도료 분사 각도가 θ2°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 및 상기 간접도장부를 향해 도료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의 θ1°와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의 θ2°가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프레이라인 및 상기 제 2 스프레이라인은 상기 이송라인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4.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공급부는 한 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상기 패널을 직접 도장 및 간접 도장하도록 상기 패널에 상기 도료를 경사지게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15.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패널이 도장되는 부분의 내측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KR1020220074157A 2022-06-17 2022-06-17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KR10262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57A KR102622470B1 (ko) 2022-06-17 2022-06-17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57A KR102622470B1 (ko) 2022-06-17 2022-06-17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20A KR20230173420A (ko) 2023-12-27
KR102622470B1 true KR102622470B1 (ko) 2024-01-09

Family

ID=8937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157A KR102622470B1 (ko) 2022-06-17 2022-06-17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995A (ja) 2001-04-12 2002-10-22 Isuzu Motors Ltd 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JP2016032798A (ja) * 2014-07-31 2016-03-10 マツダ株式会社 塗装装置
JP2016047494A (ja) * 2014-08-27 2016-04-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静電粉体塗装装置
JP6757929B2 (ja) * 2015-09-30 2020-09-23 竹本 直文 パ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39A (ja) * 1992-07-24 1994-02-15 Sekisui Chem Co Ltd 塗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995A (ja) 2001-04-12 2002-10-22 Isuzu Motors Ltd 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JP2016032798A (ja) * 2014-07-31 2016-03-10 マツダ株式会社 塗装装置
JP2016047494A (ja) * 2014-08-27 2016-04-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静電粉体塗装装置
JP6757929B2 (ja) * 2015-09-30 2020-09-23 竹本 直文 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20A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2867B (zh) 用于喷涂涂料的设备
US7691450B2 (en) Painting method
EP1754545B1 (en) Painting method
EP2090374A1 (en) Machine for painting or colouring products with large surfaces
US20140030439A1 (en) Treatment uni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articles
CN101104163A (zh) 一种集装箱箱外喷漆系统
KR20090090569A (ko) 선체 도장 장치
KR102622470B1 (ko) 차량부품용 패널의 도장장치
JP4476407B2 (ja) 塗装用搬送装置
CN104998789B (zh) 皮革喷涂机内的新型喷枪运行轨道及其喷涂方法
JPH0240256A (ja) 塗装装置
JP2841786B2 (ja) メタリック塗料の塗装方法
JP3796925B2 (ja) 自動車ボディの塗装方法
JPS62234566A (ja) 塗装装置
KR100754915B1 (ko) 도장 방법
JPH0461946A (ja) レシプロ塗装機
CN215586927U (zh) 用于对待涂装的物体进行涂装的喷涂柜
JPH0422475A (ja) 自動車車体の側面の塗装方法
KR100754916B1 (ko) 도장 방법
JPH0336521Y2 (ko)
JPH1110035A (ja) 板状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1274864A (ja) 自動塗装装置及び自動車ボディー用自動塗装装置
JPH02109B2 (ko)
CA132769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nting object
CN117505110A (zh) 用于对物体优选地进行自动涂覆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