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00B1 -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 Google Patents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00B1
KR102622400B1 KR1020210130590A KR20210130590A KR102622400B1 KR 102622400 B1 KR102622400 B1 KR 102622400B1 KR 1020210130590 A KR1020210130590 A KR 1020210130590A KR 20210130590 A KR20210130590 A KR 20210130590A KR 102622400 B1 KR102622400 B1 KR 10262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r
frame
stereotaxic device
insertion position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7572A (ko
Inventor
홍성선
조효준
이창준
장승연
손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가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가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가든
Priority to KR102021013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exter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 A61F2002/462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with linear motion along or rotating motion about the instrument axis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e.g. telescopic, along a guiding rod, screwing inside th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rm을 이용한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잠금나사를 체내 삽입할 때 상기 잠금나사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입체정위기로서, 환부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눈금자;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눈금자가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을 조정하는 조정기 및 상기 몸체부 하측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툴을 포함하는 입체정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Stereotactic device for orthopedic implants}
본 발명은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환부를 고정시키고 잠금나사 삽입위치에 잠금나사가 정확하게 위치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적 손상 및 질병 치료를 위해 보철 임플란트(prosthetic implant)가 사용되어 왔다.
뼈의 상처는 재생될 수 있으나, 정형외과적 손상은 치료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 동안 뼈는 생리적 하중(physiologic loads)을 지탱할 수 없다. 인접한 뼈 부분들(bony portions)은 이들 사이의 임플란트 및/또는 상기 뼈 부분들을 따라 위치되는 임플란트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다양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장치(orthopedic implant device)는 환자의 척추 및 기타의 뼈 또는 관절에 구조적인 지지력(structural support)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임플란트는 뼈 부분들간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단하거나, 안정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상기 뼈 부분들 사이의 최소한의 제한된 운동을 허용하도록 유연할 수 있다.
또한, 핀, 나사 및 메쉬(mesh)는 뼈의 치유 및 재생 기간 동안 손상된 뼈의 기계적 기능들을 대체하는 장치들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나 핀, 나사 및 메쉬 등은 손상된 뼈에 대해 양호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수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나 핀, 나사 및 메쉬 등이 삽입되어야 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7693호 "골절 교정을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환부를 고정시키고 잠금나사 삽입위치에 잠금나사가 정확하게 위치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는 C-arm을 이용한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잠금나사를 체내 삽입할 때 상기 잠금나사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입체정위기로서, 환부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눈금자;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눈금자가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을 조정하는 조정기 및 상기 몸체부 하측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상기 프레임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이 입출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위치한 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자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자는, 외측면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표시홈 및 길이방향으로 양 끝단 하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자는, 서로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수술 부위에 맞는 길이의 눈금자를 선택하여 상기 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기는,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눈금자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조정기 프레임; 상기 조정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향조절부; 상기 조정기 프레임 일측 끝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의 좌표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조정기 프레임 일측 끝단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기의 상기 좌표값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미세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조정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전후면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곡률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 형성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 중앙에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삽입위치에 상기 잠금나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툴은, 사각형태로 상기 지지부의 바닥면에 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베어링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삽입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홀의 위치에 따라 발광하여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는 환부를 고정시키고, 삽입위치에 잠금나사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는 정밀하고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삽입위치에 대한 조정기의 세팅 시간을 단축시켜 궁극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삽입홀에 잠금나사가 체결된 삽입도구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a), (b)는 도 3의 개폐부가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b)는 도 3의 고정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눈금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조정기의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캘리브레이션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3의 몸체부로부터 캘리브레이션툴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체결순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가 다리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1)는 C-arm을 이용한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환부를 고정시키고 체내 삽입하는 잠금나사(S)를 삽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정형외과 임플란트는 골반부, 무릎, 어깨, 팔꿈치, 척추 등 신체의 관절을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인공 장치를 일컫는 용어이며, 삽입위치는 환부에 잠금나사(S)가 체내에 삽입되는 바람직한 위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부를 다리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이 필요한 모든 수술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C-arm은 이동형 방사선 투시 영상 장치로, 환부를 C-arm영상을 촬영하여 뼈의 상태를 확인하고 절골, 변경 교정 등의 수술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으로, C-arm 영상을 통해 잠금나사(S)의 삽입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입체정위기(1)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하는 재료를 잠금나사(S)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잠금나사(S)뿐만 아니라, 핀 등 임플란트를 고정하거나 손상된 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삽입홀에 잠금나사가 체결된 삽입도구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 (b)는 도 3의 개폐부가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의 (a), (b)는 도 3의 고정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입체정위기(1)의 방향에 있어서, X축 방향을 정면, Y축 방향을 측면 및 Z축 방향을 상면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설명에 앞서, 상기에서 언급한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1)는 다리(L)에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팔, 허리 등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이 필요한 모든 수술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1)는 몸체부(10), 눈금자(20), 조정기(30) 및 캘리브레이션툴(40)을 포함하여 다리(L)가 입체정위기(1)에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나사(S)가 삽입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몸체부(10)는 내부에 다리(L)가 위치한 상태로 눈금자(20)와 조정기(30)를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다리(L)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도 3과 같이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측에 위치한 몸체부(10)를 제1몸체부(10a), 전측에 위치한 몸체부(10)를 제2몸체부(10b)로 지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프레임부(11), 개폐부(12), 지지부(13), 고정부(14) 및 결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는 내부에 다리(L)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1)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 육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2)는 몸체부(10) 내부에 다리(L)가 쉽게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1) 일측이 개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12)는 프레임부(11) 타측에 형성된 힌지(110)를 중심으로 프레임부(11) 일측이 개폐되는 것으로, 개폐부재(120) 및 개폐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20)는 도 4의 (a)와 같이 힌지(110)에 의해 회동하는 프레임부(1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홈(121)은 개폐부재(120)와 체결되는 부분으로 홈 형태로 형성되어 개폐부재(120)가 개폐홈(121)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20) 및 개폐홈(121)은 자석으로 형성되어 체결되었을 때 보다 고정력을 높이고,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20) 및 개폐홈(121)은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체결 및 해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는 프레임부(11) 바닥면에 형성되어 링 형태의 프레임부(11)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부(13)는 도 5과 같이 프레임부(11) 양측단이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바닥면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프레임부(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13)는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는 하기에서 설명할 캘리브레이션툴(40)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30)은 지지부(13) 양측 바닥면에 형성된 홈으로,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홈(130)은 제1몸체부(10a)의 경우 전면의 양측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몸체부(10b)의 경우 후면의 양측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4)는 프레임부(11) 내부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한 다리(L)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공기압 또는 유압이 입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14)는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부(10) 내부에 다리(L)가 위치할 경우 도 5의 (b)와 같이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인입시켜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4)는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한 다리(L)의 상하측에 밀착되도록 하여 다리(L)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15)는 프레임부(11) 양측에 형성되어 눈금자(2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프레임부(11)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5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51)은 결합부(15)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10a)에 형성된 결합부(15)의 경우 전면에 결합홈(151)이 형성되고, 제2몸체부(10b)에 형성된 결합부(15)의 경우 후면에 결합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몸체부(10a) 및 제2몸체부(10b)에 있어서 결합홈(151)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눈금자(20)의 후단 및 전단이 각각 제1몸체부(10a) 및 제2몸체부(10b)에 형성된 결합홈(15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는 결합홈(151)에 삽입되어 결합된 눈금자(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돌기(미도시) 및 분리버튼(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돌기(미도시)는 결합홈(151) 하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이며, 눈금자(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버튼(152)은 결합부(15) 외면에 형성되어, 분리버튼(152)이 동작함에 따라 분리돌기(미도시)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눈금자(2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눈금자(2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눈금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눈금자(20)는 제1몸체부(10a) 및 제2몸체부(10b)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대한 수평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서로 길이가 다른 눈금자(20)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눈금자(20)는 수술 부위에 맞는 길이의 눈금자(20)를 선택하여 결합부(15)에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눈금자(20)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표시홈(200) 및 굴곡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홈(200)은 에 형성된 눈금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조정기(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홈(200)은 조정기(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해줌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조정기(30)의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눈금자(20)는 길이방향으로 양 끝단 하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굴곡부(2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돌기(미도시)가 분리버튼(152)이 가압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부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분리돌기(미도시)는 분리버튼(152)이 가압되기 전 굴곡부(210)로 인해 형성된 중공인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가 분리버튼(152)이 가압될 경우 분리돌기(미도시)가 굴곡부(21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눈금자(20)가 결합홈(15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눈금자(20)는 외측면의 상측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 표시를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정기(30)의 수평방향에 대한 위치 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눈금자(20)는 외측면 양 끝단에 화살표로 표시하여 결합홈(151)에 삽입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눈금자(20)는 사용자로 하여금 눈금자(20)를 결합홈(151)에 빠르고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조정기의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정기(30)는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제1몸체부(10a) 및 제2몸체부(10b)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눈금자(20)가 관통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기(30)는 조정기 프레임(31), 방향조절부(32), 표시부(33) 및 미세조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기 프레임(31)은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눈금자(20)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310)은 조정기 프레임(31) 양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홀로, 눈금자(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눈금자(20)의 높이만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정기 프레임(31)은 관통홀(310)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미도시)는 눈금자(20)의 표시홈(200)에 삽입되도록 표시홈(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돌기(미도시)는 조정기 프레임(31)이 이동함에 따라 표시홈(2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조정기(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해주고, 보다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방향조절부(32)는 조정기 프레임(3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삽입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가이드홀(320), 이동홈(321) 및 이동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320)은 조정기 프레임(31)의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321)은 가이드홀(320)의 전후면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홈(321)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홈(321)은 내면에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레일(미도시)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부재(322)는 삽입위치에 따른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이동홈(321)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322)는 이동판(3220), 각도조절부재(3221) 및 삽입홀(3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판(3220)은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정기 프레임(31)의 형태에 맞춰 곡률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판(3220)은 전단 및 후단이 이동홈(3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동홈(32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판(3220)은 이동홈(321)에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경우, 전면 및 후면에 레일(미도시)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레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판(3220)은 레일돌기(미도시)가 레일(미도시)에 맞물린 상태로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위치 조정을 보다 정교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도조절부재(3221)는 원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판(3220)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도조절부재(3221)는 이동판(3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다.
삽입홀(3222)은 삽입위치에 잠금나사(S)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재(32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3222)은 각도조절부재(322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삽입홀(3222)은 각도조절부재(3221)의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됨에 따라, 삽입위치에 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잠금나사(S)가 체내로 삽입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재(322)는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직방향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이후, 이동부재(322)는 삽입홀(3222)에 잠금나사(S)를 삽입한 상태로 각도조절부재(322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위치에 대해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시부(33)는 조정기 프레임(31) 일측 끝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삽입위치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330) 및 알림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삽입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좌표값은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위치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331)는 디스플레이(330) 상측에 위치하여 삽입홀(3222)의 위치에 따라 발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수평알림부(331a), 수직알림부(331b) 및 각도알림부(331c)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알림부(331a)는 조정기(30)가 눈금자(2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홀(3222)의 수평위치에 따라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수직알림부(331b)는 이동부재(322)가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하여 삽입홀(3222)의 수직위치가 일치할 경우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각도알림부(331c)는 삽입홀(3222)의 각도에 따라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331)는 수평알림부(331a), 수직알림부(331b) 및 각도알림부(331c) 각각 수평위치, 수직위치 및 각도가 일치할 경우 발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알림부(331)는 수평알림부(331a), 수직알림부(331b) 및 각도알림부(331c)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알림부(331)는 발광하는 것 이외에도 소리, 진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조정부(34)는 조정기 프레임(31) 일측 끝단의 측면에 형성되어 조정기(30)의 좌표값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외주면이 연속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미세조정부(34)는 외주면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기(30)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좌표값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캘리브레이션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3의 몸체부로부터 캘리브레이션툴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툴(40)은 몸체부(10) 하측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몸체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캘리브레이션툴(40)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홈(130)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고, 입체정위기(1)의 모든 구성이 체결된 다음 지지홈(130)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캘리브레이션툴(40)은 사각형태로 지지부(13)의 지지홈(130)에 삽입되어 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베어링볼(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체결순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가 다리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의 체결순서를 설명할 수 있다. 이때, 도 10은 다리(L)가 제외된 상태의 입체정위기(1)의 체결순서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리(L)가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0의 (a)는 제1몸체부(10a)가 먼저 배치된 상태로, 개폐부(12)를 통해 프레임부(11) 일측을 개방시킨 후 다리를 삽입한 다음 프레임부(11)를 폐쇄하여 도 10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도 10의 (b)와 같이 제1몸체부(10a) 양측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홈(151)에 각각 눈금자(20)의 후단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의 (c)와 같이 눈금자(20)에 조정기(30)가 체결되는데, 눈금자(20)가 조정기(30)의 관통홀(310)에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의 (d)와 같이 제2몸체부(10b) 양측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151)에 각각 눈금자(20)의 전단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부(10b)는 눈금자(20)에 체결되기 전, 개폐부(12)를 통해 프레임부(11) 일측을 개방시킨 후 다리를 삽입한 다음 프레임부(11)를 폐쇄한 후 눈금자(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도 10의 (e)와 같이 지지홈(130)으로부터 캘리브레이션툴(40)을 인출시켜 삽입위치를 파악한 다음, 조정기(30)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위치에 삽입홀(3222)이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삽입홀(3222)이 삽입위치와 일치하게 되면, 도 11과 같이 잠금나사(S)가 삽입된 삽입도구(T)를 삽입홀(3222)에 삽입하여 체내에 잠금나사(S)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정위기(1)는 잠금나사(S)가 삽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고, 해당 위치에서 삽입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입체정위기
10: 몸체부
10a: 제1몸체부
10b: 제2몸체부
11: 프레임부
110: 힌지
12: 개폐부
120: 개폐부재
121: 개폐홈
13: 지지부
130: 지지홈
14: 고정부
15: 결합부
151: 결합홈
152: 분리버튼
20: 눈금자
200: 표시홈
210: 굴곡부
30: 조정기
31: 조정기 프레임
310: 관통홀
32: 방향조절부
320: 가이드홀
321: 이동홈
322: 이동부재
3220: 이동판
3221: 각도조절부재
3222: 삽입홀
33: 표시부
330: 디스플레이
331: 알림부
331a: 수평알림부
331b: 수직알림부
331c: 각도알림부
34: 미세조정부
40: 캘리브레이션툴
41: 베어링볼
T: 삽입도구
S: 잠금나사
L: 다리

Claims (9)

  1. C-arm을 이용한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 시, 잠금나사를 체내 삽입할 때 상기 잠금나사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입체정위기로서,
    환부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눈금자;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눈금자가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삽입위치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을 조정하는 조정기 및
    상기 몸체부 하측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툴을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부;
    상기 프레임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이 입출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위치한 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자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외측면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표시홈 및
    길이방향으로 양 끝단 하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서로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수술 부위에 맞는 길이의 눈금자를 선택하여 상기 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정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눈금자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조정기 프레임;
    상기 조정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향조절부;
    상기 조정기 프레임 일측 끝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의 좌표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조정기 프레임 일측 끝단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정기의 상기 좌표값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미세조정부를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조정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전후면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곡률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 형성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 중앙에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삽입위치에 상기 잠금나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툴은,
    사각형태로 상기 지지부의 바닥면에 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베어링볼을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삽입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홀의 위치에 따라 발광하여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입체정위기.


KR1020210130590A 2021-10-01 2021-10-01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KR10262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90A KR102622400B1 (ko) 2021-10-01 2021-10-01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90A KR102622400B1 (ko) 2021-10-01 2021-10-01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72A KR20230047572A (ko) 2023-04-10
KR102622400B1 true KR102622400B1 (ko) 2024-01-09

Family

ID=859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90A KR102622400B1 (ko) 2021-10-01 2021-10-01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0066A (ja) 2014-05-02 2016-09-29 ライト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円形固定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1170612A2 (de) 2020-02-25 2021-09-02 Waldemar Link Gmbh & Co. Kg Extrakorporal längenverstellbares implantatsystem sowie längenverstellbare implantatkomponen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179U (ja) * 2010-10-21 2011-01-06 株式会社湊川金属テストピース製作所 椎弓根挿入器具ガイド装置
CN113194856A (zh) * 2018-12-19 2021-07-30 新药有限责任公司 用于骨折的外部固定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0066A (ja) 2014-05-02 2016-09-29 ライト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円形固定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1170612A2 (de) 2020-02-25 2021-09-02 Waldemar Link Gmbh & Co. Kg Extrakorporal längenverstellbares implantatsystem sowie längenverstellbare implantatkompon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72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652B1 (ko)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US20160310189A1 (en) Devices and method of achieving bone fusion
US10201358B2 (en) Articulating syndesmosis targeting guide device and method
US20080149115A1 (en) Surgical station for orthopedic reconstruction surgery
AU2016283530A1 (en) Patient-specific humeral guide designs
US8771290B2 (en) Microstereotactic table
US10653459B2 (en) Spinal fixation aiming apparatus
CN105916463A (zh) 可拆卸组装圆弧形精准定位设备
ES2554562B1 (es) Guía esterotáctica de cuerpo para posicionar instrumentos de cirugía con precisión en el interior del cuerpo
JP2015504731A (ja) 後頭頸部の固定組立体及びそれを組み立てる方法
CN111936047A (zh) 神经外科系统及相关方法
KR101472847B1 (ko) 자기식 표적 추적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102143842B1 (ko) 무릎관절 외과수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
CN107874809B (zh) 踝关节截骨手术导向装置及踝关节截骨位置的确定方法
US20080269767A1 (en) Intra-operative t-square
KR102622400B1 (ko)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US20190343555A1 (en) Tissue Repair System
JP4709996B2 (ja) 骨追跡装置固定部材
CN213098282U (zh) 手术导板
EP1635721B1 (en) Orthopedic clamps
CN211094770U (zh) 经皮内视镜椎间盘定位装置
CN208989034U (zh) 踝关节截骨手术导向装置
US20170296240A1 (en) Spinal fixation aiming device
US11617609B2 (en) Percutaneous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ositioning a guide wire in a bone
CN110893119A (zh) 校准件;校准装置;导引装置;治疗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