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379B1 -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379B1
KR102622379B1 KR1020210049793A KR20210049793A KR102622379B1 KR 102622379 B1 KR102622379 B1 KR 102622379B1 KR 1020210049793 A KR1020210049793 A KR 1020210049793A KR 20210049793 A KR20210049793 A KR 20210049793A KR 102622379 B1 KR102622379 B1 KR 10262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rrier
drop
unit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371A (ko
Inventor
국중창
국영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to KR102021004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3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08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synthet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공급부(100)에 저장된 원료가 점적부(200)에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점적부(200)의 점적조립체(22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점적조립체(220) 내에 위치한 점적플레이트(210)의 점적홀(211)을 따라 원료가 하강하여 컨베이어 벨트(300)의 벨트상부(310)에 점적으로 드랍되는 단계; (c)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 상의 점적이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와 하부 일부를 덮는 덮개(400) 내측으로 가열송풍부(500)에 의해 생성된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점적이 건조되며 이동하는 단계; (d)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의 점적이 벨트하부(320)로 이동하고, 상기 벨트하부(320) 상의 점적이 수집부(600)의 상부에 위치하면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되는 단계; (e)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상기 린싱부(700)에 의해 린싱되고 상기 덮개(400) 내측으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건조되는 단계; 및 (f)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다시 상기 점적부(200) 하단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는 동결 건조된 미생물, PVA(Poly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하폐수 처리용 담체인,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microbial carrier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said carriers}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5188호 및 제10-2020-0061437호를 통해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 및 그 손실을 방지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이하, "담체"로 지칭)는 미생물이 잘 부착되어 증식되고 생장할 수 있는 부착 표면을 제공하기에,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적절한 하폐수 처리에 다량의 담체가 필요한데, 담체는 그 크기가 작아 균일한 성능으로 대량 제조하는 것에 난이도가 높아 적절한 제조 시설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4940호에 기재된 생산 장치의 이용을 고려하였다. 본 종래기술을 요약하면, 여기에 기재된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 원료를 점적 형태로 드랍시키고, 드랍된 점적을 가열 건조하면서 담체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본 생산 장치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벨트 컨베이어를 따른 점적이 이동 중 가열 건조를 위해 가열공기를 벨트 컨베이어에 제공하면, 점적이 가열 건조된 이후 벨트 컨베이어에서 수집 탱크에 떨어지지 않고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벨트 컨베이어는 연속적으로 담체를 제조하므로, 점적이 들러붙어 있으면 다음 점적이 드랍될 공간이 줄어들며 미생물을 고정하는 담체이므로 멸균이 중요한데 남아 있는 점적으로 인한 오염의 우려가 매우 컸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가열 건조된 점적을 떨어뜨리는 기술이 매우 필요하였다.
둘째, 벨트 컨베이어 전체적으로 가열공기가 원활하게 공급이 되지 않았다. 점적이 이동하는 동안 지속적이면서도 균일하게 가열되고 건조되어야 하는데, 가열공기가 공급되는 특정 지점에서만 점적이 집중 가열 건조되고 그 외의 부분은 가열 건조 효과가 낮았다. 이로 인해 점적은 가열과 냉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미생물의 증식되고 생장될 수 있는 부착 표면의 성능이 일정하지 않았다.
셋째,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담체의 크기는 1cm가 되지 않고 매우 작기에 담체의 형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이는 점적홀의 일부 막힘, 벨트 컨베이어의 오염, 가열 공기의 균일성 부족 등 다양한 문제에 기인하였다.
넷째, 다량 생산을 위해 제조 라인이 연속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데, 원료 중 일부의 공급이 늦어질 경우 제조 라인 전체가 멈추어야 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원료 공급통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야 하는데, 동결 건조 미생물을 사용하므로 원료 공급통이 하우징 내에 비교적 단단히 밀봉되어 있어야 하여 육안 확인이 어려웠다.
KR 10-2019-0075188A KR 10-2020-0061437A KR 10-2009-0004940A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4940호에 기재된 생산 장치를 이용하면서 특히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를 제조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해당 장치를 개량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점적이 벨트 컨베이어에서 떨어지지 않는 문제, 가열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 담체의 형태를 균일하게 하는 문제, 연속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공급부(100)에 저장된 원료가 점적부(200)에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점적부(200)의 점적조립체(22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점적조립체(220) 내에 위치한 점적플레이트(210)의 점적홀(211)을 따라 원료가 하강하여 컨베이어 벨트(300)의 벨트상부(310)에 점적으로 드랍되는 단계; (c)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 상의 점적이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와 하부 일부를 덮는 덮개(400) 내측으로 가열송풍부(500)에 의해 생성된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점적이 건조되며 이동하는 단계; (d)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의 점적이 벨트하부(320)로 이동하고, 상기 벨트하부(320) 상의 점적이 수집부(600)의 상부에 위치하면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되는 단계; (e)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상기 린싱부(700)에 의해 린싱되고 상기 덮개(400) 내측으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건조되는 단계; 및 (f)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다시 상기 점적부(200) 하단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는 동결 건조된 미생물, PVA(Poly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하폐수 처리용 담체인,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적홀(211)은 상부홀(211a) 및 상기 상부홀(211a)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홀(211a)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홀(211b)을 포함하며, 상기 점적홀(21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열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홀(211b)의 직경이 담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원료수용부(120)에 원료가 수용되는 단계; 및 (a2)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교반기가 상기 원료수용부(120)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하고,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가열부(130)가 상기 원료수용부(120)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가열부(130)의 잔열이 축열부(800)에 공급되는 단계; 및 (c2) 상기 축열부(800)에 공급된 열이 상기 가열송풍부(500)에 공급되어 가열공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수집부(600)에 구비된 열교환기(650)가 수집된 담체에서 열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3) 상기 열교환기(650)가 열교환하여 보유한 열이 상기 축열부(800)에 공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하부(320)는 벨트수용부(325)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600)는, 상기 수집부(600)의 상부로서 상기 벨트수용부(325) 아래에 위치하며, 펌프(620)가 연결되어 음압을 제공하는 노즐조립체(610); 및 상기 노즐조립체(610) 하부에 위치하는 담체수용부(640)를 포함하며, 상기 담체수용부(640) 외측에 상기 열교환기(650)가 위치하며, 상기 노즐조립체(610)는 상기 펌프(620)에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노즐(613)을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d2) 상기 펌프(620)가 상기 노즐(613)에 음압을 제공하면, 상기 벨트하부(320) 상의 점적이 상기 수집부(600)에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3) 상기 담체수용부(640)에 붕산 및 염화칼슘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부(100)에 원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공급수위센서(S1)가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는 드랍된 점적의 높이를 감지하고 점적의 하단면 형태를 감지하는 점적형상센서(S2)가 위치하고, 상기 수집부(600)에는 수집된 담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담체센서(S3)가 위치하며, 상기 (f) 단계 이후, (g1) 상기 공급수위센서(S1)가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점적홀(2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막힘 현상을 경고하는 단계; 및 (g2)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하단면 형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형태와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담체센서(S3)가 감지한 수집된 담체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집부 높이 범위 외인 경우, 담체의 불량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으로서, (A) 질산화 세균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를 질산화 담체로 준비하는 단계; (B) 탈질화 세균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를 탈질화 담체로 준비하는 단계; (C) 무산소조 및 이에 연결된 호기조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상기 무산소조에 탈질화 담체를 수용시키고, 상기 호기조에 질산화 담체를 수용시키는 단계; (D) 하폐수가 상기 무산소조에 유입된 후 상기 호기조로 이송되어 상기 질산화 담체에 의해 질산화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이 이루어진 1차 처리수가 상기 무산소조에 내부 반송되는 단계; 및 (E) 상기 내부 반송된 1차 처리수가 상기 무산소조에서 상기 탈질화 담체에 의해 탈질화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따른 점적이 이동 중 가열 건조되면서 점착력이 높아져도 원하는 위치에서 수집부에 효과적으로 떨어진다. 이는, 증류수 공급부, 펌프의 음압 및 벨트수용부의 높이 차이에 이해 이루어진다.
벨트 컨베이어 전체적으로 가열공기가 원활하고 균등하게 공급된다. 이는, 덮개의 효과적인 형상 및 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양한 센서가 조합되어, 원료 부족 문제, 점적홀 막힘 문제, 담체 형태 물량 문제 등이 발생한 경우 이중으로 체크되며, 그 즉시 경고가 이루어진다.
다양한 잔열이 사용되어, 가열공기 생성시 열효율이 증가한다. 열효율 증가는 생산성 향상에 귀결되어, 보다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다량의 담체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이 조합되어, 불량률을 낮고, 열효율이 우수하며, 연속 생산이 가능한 담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공급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점적부 일부의 전개 사시도 및 단면도/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컨베이어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수집부의 사시도, 수집부의 노즐조립체의 사시도 및 수집부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린싱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장치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단면과 함께 제조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장치는 원료가 저장되는 공급부(100), 공급부(1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점적으로 드랍하는 점적부(200), 드랍된 점적을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벨트상부(310) 및 벨트하부(3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300),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와 하부 일부를 덮는 덮개(400), 덮개(400) 내측으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송풍부(500), 벨트하부(320)의 전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300)를 통해 이동된 점적이 담체로서 수집되는 수집부(600), 및 수집부(600)의 후단에 구비되어 벨트하부(320)를 린싱하는 린싱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400) 내측으로 공급되는 가열공기 생성시 추가의 열을 제공하는 축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부(600) 상에 증류수를 분사하는 증류수 공급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 측면에서 서술하면, 원료는 공급부(100)에 저장되어 있다가 점적부(20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 점적 형태로 드랍된다. 원료는 동결 건조된 미생물을 포함하는바 그 온도가 매우 낮다. 또한, 공급부(100)의 내부에는 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점적 형태로 드랍된 원료는 온도가 매우 낮고 함수량이 높은 상태이다.
점적으로 드랍된 원료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데(도 1 및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 컨베이어 벨트(300)의 벨트상부(310) 대부분은 덮개(400)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며, 덮개(400)의 내부에는 가열공기가 공급되는바, 드랍된 원료가 가열 건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15 내지 120℃에서 가열되고 건조된다. 또한, 덮개(400)에 의해 멸균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30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10~15분 동안 가열 건조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적 형태로 드랍된 원료는 컨베이어 벨트(300) 일단(즉, 도 1 및 도 2의 벨트 우측 말단)에서 벨트하부(320)로 진행한다. 원료의 특성에 의해 점착력이 있어서 바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벨트하부(320)에서 이동하던 원료에, 증류수 공급부(900)에서 공급된 증류수가 분사된다. 증류수는 원료의 점착력을 약화시켜 벨트하부(320)에서 원료가 떨어지는 작동을 돕는다.
벨트하부(320)에 증류수가 분사되는 위치 아래에 수집부(600)가 위치하여, 증류수에 의해 점착력이 약화된 원료가 수집부(600)에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된다. 수집된 담체를 소정의 수통에 담은 사진이 도 10에 도시된다.
한편, 벨트하부(320) 전체에서도 그 높이를 다르게 하여, 수집부(600) 위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높이가 상이한 부분을 벨트수용부(325)로 지칭할 수 있다. 벨트수용부(325)의 높이는 다른 벨트하부(320)의 높이보다 낮으며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증류수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은 점적이 있다면,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벨트수용부(325)를 벗어나는 시점에 벨트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점적이 하강하는 힘을 받아서 수집부(600)에 떨어지는 작동을 도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벨트하부(320)는 벨트수용부(325)와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벨트수용부(325)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벨트의 높이가 달라지는 시점에 점적의 드랍을 유도하여, 누락 없이 담체를 수집하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원료가 모두 떨어지고 없어진 벨트하부(320)는 린싱부(700)에 진입한다. 린싱부(700)는 컨베이어 벨트(300)에 잔류한 원료를 세척한다.
컨베이어 벨트(300)의 린싱부(700) 후단은 다시 덮개(400)로 커버되어 있으며,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멸균 동작이 이루어진다.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면, 원료가 떨어지고, 린싱되고, 가열 건조된 벨트하부(320)의 방향이 전환되어 벨트상부(310)가 되며, 다시 여기에 점적부(200)에 의해 점적이 드랍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제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급부(100)를 설명한다.
공급부(100)는 원료를 수용하여 점적부(20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폐수 처리용 담체를 제조하기 위해, 공급부(100)에 수용되는 원료는 동결 건조된 미생물, PVA(Poly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들은 물과 함께 저장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50~70℃의 증류수와 동결 건조된 미생물을 포함하면서 PVA 15~20중량% 및 PEG 5~1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급부(100)의 외부에 하우징(110)이 위치한다. 하우징(110)에는 손잡이(111)가 위치한다.
공급부(100) 내부에는 원료가 포함되는 원료수용부(120)가 구비되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원료공급부(121)가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한다. 이를 이용하여 원료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원료가 연속적으로 충진된다.
원료공급부(121)는 하우징(110) 내측에 위치시키되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위치시킴으로써, 원료의 손상을 방지한다.
원료공급부(121) 내부에는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으며, 원료공급부(121) 외부에는 원료를 가열하는 가열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직접 가열로 인핸 원료 손상 방지를 위해 가열부(130)는 원료 외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130)는 열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선인 경우, 가열부(130)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선을 가열함으로써 원료에 열을 공급한다. 한편, 이 과정에서 잔열이 발생하는데, 발생한 잔열은 축열부(800)로 전달되어 가열공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가열된 원료는 별도의 라인(미도시)을 따라 점적부(200)로 유동한다.
한편, 수집부(100)에는 원료의 수위를 측정하는 공급수위센서(S1)가 위치한다. 지속적으로 드랍되어 사용되는 원료의 양에 원료공급부(121)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동기화할 경우 공급수위센서(S1)는 일정한 원료 수위가 유지됨을 감지하여야 한다. 만약, 원료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이하로 낮아진다면, 이는 원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원료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이상으로 높아진다면, 이는 후술하는 점적홀(211)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점적부(200)를 설명한다.
점적부(200)는 공급부(1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이를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 점적으로 드랍한다.
점적부(200)는 승강 가능한 점적조립체(220) 및 점적조립체(220) 내에 수용되며 다수의 점적홀(211)을 포함하며 점적조립체(220)의 승강에 따라 원료를 점적으로 드랍하는 점적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점적조립체(220)에는 원료가 공급되며 별도로 구비된 전자석 밸브(미도시)에 의해 승강한다.
점적플레이트(210)는 점적조립체(220) 내에 수용되기에 점적조립체(21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한다. 점적조립체(220) 내에 공급된 원료는 점적플레이트(210)의 승강에 따라 점적플레이트(210)에 구비된 점적홀(211)을 통과하게 되어 점적 형태로 드랍된다. 따라서, 드랍되는 점적의 크기는 점적홀(211)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점적홀(211)이 큰 경우 점적의 크기가 크고 따라서 담체의 크기가 크다. 달리 말하면, 담체의 크기를 크게 하고자 한다면 점적홀(211)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조정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다수의 점적홀(211)이 사용되기에, 각각의 점적홀(211)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다양한 담체를 한 번에 제조할 수도 있다.
점적홀(211)은 상부홀(211a) 및 그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홀(211b)을 포함한다. 상부홀(211a)의 직경은 하부홀(211b)의 직경보다 크다. 이는, 점적홀(211) 내측으로 원료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홀(211)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열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300)의 동일 면적에 최대한 많은 개수의 점적을 드랍시킬 수 있어서 생산성이 증가한다.
점적홀(211)의 크기는 매우 작기에 원료에 의한 막힘 현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수위센서(S1) 및 점적형상센서(S2)를 이용한다. 방법은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벨트 컨베이어(300)를 설명한다.
벨트 컨베이어(300)는 통상적인 컨베이어와 같이 연속적으로 작동되고 진행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벨트를 벨트상부(310)로 지칭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벨트를 벨트하부(320)로 지칭한다.
벨트하부(320)는 그 높이가 낮아지는 벨트수용부(325)와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점적을 떨어뜨리기 위함이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는 드랍된 점적의 높이를 감지하고 점적의 하단면 형태를 감지하는 점적형상센서(S2)가 위치한다. 감지된 점적의 높이는 점적홀(211)의 막힘 현상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점적의 하단면 형태는 점적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덮개(400)를 설명한다.
덮개(400)는 벨트 컨베이어(300) 중 벨트수용부(325) 이외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그 내측에 가열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내측을 115 내지 120℃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벨트수용부(325) 하측에는 수집부(600)가 위치하므로 커버하기 어려우며, 린싱부(700) 일부 역시 커버하기 어려운바, 이를 제외한 대부분을 커버한다.
덮개(400)는 벨트상부(310)에 가열공기를 가두어 점적의 가열 건조를 돕게 되며, 벨트하부(320)의 일부에 가열공기를 가두어 벨트의 멸균을 돕는다.
덮개(400)는, 벨트상부(310)를 덮는 상부커버(401)와 벨트하부(320) 중 벨트수용부(325) 외의 부분을 덮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한다.
상부커버(401)는, 점적부(200) 후단에 위치하는 점적후드(410)와 점적후드(410)의 후단으로 벨트상부(310) 상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부후드(420)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가열송풍부(500)가 연결되어 가열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점적후드(410)는 가장 습한 상태의 점적을 가열 건조하는 부분에 설치되는바, 용량이 비교적 큰 후드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상부(310)의 다른 부분은 그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상부후드(420)가 위치한다. 도 7에서 4개의 상부후드(420)가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후드(420)는 벨트 컨베이어(300)의 진행방향에 따라 그 시작 부분이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후드(420)에 공급되는 가열공기가 벨트 컨베이어(320)에 수직이 아닌 경사진 각도로 유입되게 되고, 방향성을 갖게 되어 상부후드(420)가 없는 상부커버(401)의 내측 전체로 가열공기가 고르게 퍼질 수 있다.
하부커버(402)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에서 하부커버(402)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는 린싱후드(430)와 하부커버(402)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리턴후드(440)를 포함한다.
린싱부(700)가 린싱액을 이용하여 벨트 컨베이어(300)를 세척하였으므로 하부커버(402) 내측의 가열공기는 이를 건조하는 동시에 멸균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수집부(600)를 설명한다.
수집부(600)는 벨트 컨베이어(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열 건조된 점적을 담체로서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수집부(600)는, 외부를 이루는 하우징(630), 음압을 제공하는 펌프(620), 벨트수용부(325) 아래에 위치하며 펌프(620)가 연결되는 노즐조립체(610), 노즐조립체(610) 하부에 위치하는 담체수용부(640), 담체수용부(640) 외측에 위치하여 담체수용부(640) 내의 담체에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650), 및 담체수용부(640)의 이송을 위한 바퀴(660)를 포함한다.
노즐조립체(610)는 펌프(620)에 연결되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노즐(613)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열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펌프(620)가 동작하면 파이프(612)를 통해 노즐(613)이 컨베이어 벨트(300)를 향해 음압을 제공하고 이 힘에 의해 점적이 담체로서 담체수용부(640)에 떨어진다.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펌프(620)와 파이프(612)의 연결 호스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담체수용부(640) 내의 담체는 다른 탱크(미도시)로 이동되고, 그 탱크(미도시)에 붕산 및 염화칼슘 공급부(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담체수용부(640)에 붕산 및 염화칼슘 공급부(미도시)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담체수용부(640) 또는 다른 탱크(미도시)에서 담체는 35 내지 45℃ 온도로서 3~4시간 건조될 것이며, 붕산 및 염화칼슘을 가교제로서 공급하여 가교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가 완성된다.
한편, 수집부(600)는 수집된 담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50)는 축열부(80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축열부(800)는 열교환기(65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부(600)에는 수집된 담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담체센서(S3)가 위치한다. 담체센서(S3)가 감지한 수집된 담체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집부 높이 범위 외인 경우, 담체의 형태 등이 예상한 바와 다르게 불량이어서, 적절한 형태의 담체가 제조되지 않았음을 경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린싱부(700)를 설명한다.
린싱부(700)는 점적이 떨어진 후 벨트 컨베이어(300)를 린싱하는 기능을 한다.
린싱부(700)는 벨트 컨베이어(300)가 통과하는 벨트관통홀(710)과, 린싱액을 공급하는 펌프(720)와, 린싱 후 생성된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수집부(730)를 포함한다.
린싱된 직후의 벨트 컨베이어(300)는 습한 상태이므로, 전술한 린싱후드(430)에 의해 공급된 가열공기로서 건조된다. 하부커버(402)에 의해 갇힌 가열공기가 벨트 컨베이어(300)를 지속적으로 건조하며 동시에 멸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가열송풍부(500)와 축열부(800)를 설명한다.
가열송풍부(500)는 가열공기를 생성하고 점적후드(410), 다수의 상부후드(420), 린싱후드(430) 및 리턴후드(440)에 가열공기를 공급한다. 이를 위하 가열공기 생성부,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적후드(410)에 공급되는 가열공기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상부후드(420)에는 균등한 가열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동 중인 점적의 가열 건조를 위해, 상부커버(401) 내 전체적으로 가열공기를 채우고 115 내지 120℃로 유지시킨다.
린싱후드(430)와 리턴후드(440)에도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하부커버(402) 내 전체적으로 가열공기가 채워지고 115 내지 120℃로 유지되어 벨트 컨베이어(300)가 건조되고 멸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열부(800)가 가열송풍부(500)의 가열공기 생성에 도움을 준다. 축열부(800)는, 공급부(100)의 가열부(130)에서 전달된 열과, 수집부(600)의 열교환기(650)에서 전달된 열을 가열송풍부(500)에 전달한다. 축열부(800)로 인하여 본 발명의 열효율이 크게 상승한다.
제조방법의 설명
공급부(100)에 준비된 원료가 저장된다. 이 때에 교반기(미도시)에 의해 교반되고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부(130)의 잔열은 축열부(800)로 전달되어 가열송풍부(500)가 가열공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공급부(100)에 저장된 원료가 점적부(200)에 공급된다.
점적부(200)의 점적조립체(220)가 승강함에 따라, 원료는 점적조립체(220) 내에 위치한 점적플레이트(210)의 점적홀(211)을 통과하여 하강하여 컨베이어 벨트(300)의 벨트상부(310)에 점적으로 드랍된다. 사용자는 미리 점적홀(211)의 직경, 특히 하부홀(211b)의 직경을 제조하고자 하는 담체의 크기에 맞추어 설정해둔 상태이다.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벨트상부(310) 상의 점적이 이동한다. 이 때에 덮개(400) 내측으로 가열송풍부(500)에 의해 생성된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점적이 건조되며 이동한다. 특히, 점적 직후 점적후드(410)에서 공급되는 다량의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점적이 벨트하부(320)로 이동하여 벨트수용부(325)에 이른다.
세 가지 기능에 의해 대부분의 점적이 담체로서 수용된다.
첫째, 증류수 공급부(900)가 벨트수용부(325) 상의 점적에 직접 증류수를 분사하여 점적의 점착력을 낮춤으로써 떨어뜨린다.
둘째, 펌프(620)의 음압이다. 수집부(600)의 펌프(620)는 음압을 제공하는 상태이다. 음압은 노즐조립체(610)에 전달되어, 벨트수용부(325) 상의 점적을 담체수용부(640)에 떨어뜨린다.
셋째, 벨트수용부(325)의 진행방향 말단에서 높이가 올라감에 따라, 높이 변화로 인해 첫째 및 둘째 기능에 의해서도 떨어지지 않은 점적이 다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해 담체수용부(640)에 점적이 떨어지면 담체가 된다. 담체수용부(640)의 외측에는 열교환기(650)가 위치하여, 고온의 담체의 온도를 낮추게 되며, 이 과정에서 교환된 열이 축열부(800)에 공급된다. 축열부(800)는 가열송풍부(500)에 열을 전달하여 가열공기를 생성한다. 즉, 축열부(800)는 가열부(130) 및 열교환기(650)에서 전달된 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점적이 떨어지는 동안에도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한다.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린싱부(700)에 의해 린싱되고, 하부커버(402) 내측으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면,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다시 점적부(200) 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설명한 동작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담체수용부(640)에 수용된 점적에는 붕산 및 염화칼슘이 공급아 가교됨으로써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가 최종 제조된다.
한편, 이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는, 원료 공급 중단, 점적홀(211)의 막힘, 담체 형태 불량 등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공급수위센서(S1)와, 점적형상센서(S2)와 담체센서(S3)의 감지값이 이용된다.
공급수위센서(S1)가 감지한 원료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미만이라면, 제조장치의 연속적 동작에 따른 원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경고가 이루어진다.
공급수위센서(S1)가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이상이거나, 또는,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 이하인 경우, 사용되는 점적이 정상적인 양 미만으로 사용됨을 의미하는바, 다수의 점적홀(2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막힘 현상을 경고하게 된다.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하단면 형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형태와 상이하거나, 또는, 담체센서(S3)가 감지한 수집된 담체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집부 높이 범위 외인 경우, 담체의 형태가 불량임을 의미하는바, 이를 경고하게 된다.
하폐수 처리방법의 설명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하폐수 처리장치는 무산소조 및 호기조가 연결되어 있는 어떠한 장치여도 무방하다. 전처리조와 후처리조 등 하폐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일반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조된 담체와 질산화 세균을 이용하여 질산화 담체를 준비하고, 제조된 담체와 탈질화 세균을 이용하여 탈질화 담체를 준비한다.
무산소조에는 탈질화 담체를 수용시키고, 호기조에 질산화 담체를 수용시킨다.
전탈질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유입원수인 하폐수는 무산소조에 유입된 후 후단의 호기조로 이송된다. 질산화 담체에 의하여 호기조에 이송된 하폐수의 질산화 반응이 이루어지며, 이후 무산소조로 내부 반송되어 탈질화 담체에 의해 탈질 반응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 유입원수의 탄소원이 이용된다.
후탈질 공정도 수행될 수 있으며, 외부탄소원이 많이 필요하기에, 호기조에서 무산소조로 유입원수가 이송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처리수는 후처리조 등을 걸쳐 최종 처리수가 된다.
한편, 질산화 담체 및 탈질화 담체는 크기가 작지만 세균을 이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바, 처리수조 사이의 유동시 담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급부
110: 하우징
111: 손잡이
120: 원료수용부
121: 원료공급부
130: 가열부
200: 점적부
210: 점적플레이트
211: 점적홀
211a: 상부홀
211b: 하부홀
220: 점적조립체
300: 컨베이어 벨트
310: 벨트상부
320: 벨트하부
325: 벨트수용부
400: 덮개
401: 상부커버
410: 점적후드
420: 상부후드
430: 린싱후드
440: 리턴후드
402: 하부커버
500: 가열송풍부
600: 수집부
610: 노즐조립체
611: 펌프연결부
612: 파이프
613: 노즐
620: 펌프
630: 하우징
640: 담체수용부
650: 열교환기
660: 바퀴
700: 린싱부
710: 벨트관통홀
720: 펌프
730: 폐수수집부
800: 축열부
900: 증류수 공급부
S1: 공급수위센서
S2: 점적형상센서
S3: 담체센서

Claims (8)

  1. 원료가 저장되며, 저장된 원료를 가열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점적으로 드랍하는 점적부(200);
    상기 드랍된 점적을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벨트상부(310) 및 벨트하부(3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300);
    상기 벨트상부(310)를 커버하고 상기 벨트하부(320)의 일부를 커버하는 덮개(400);
    상기 덮개(400) 내측으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송풍부(500);
    상기 벨트하부(320)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를 통해 이동된 점적이 담체로서 수집되는 수집부(600);
    상기 수집부(6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하부(320)를 린싱하는 린싱부(700);
    상기 벨트하부(320) 중 상기 수집부(600) 상에 증류수를 분사하는 증류수 공급부(900);
    상기 가열송풍부(500)에 열을 공급하는 축열부(800);
    상기 공급부(100)에 위치하여 원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공급수위센서(S1);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 드랍된 점적의 높이를 감지하고 점적의 하단면 형태를 감지하는 점적형상센서(S2); 및
    상기 수집부(600)에 위치하여 수집된 담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담체센서(S3);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하부(320)는,
    상기 벨트하부(320)의 상기 전단인 벨트수용부(325)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수용부(325)의 높이는 상기 벨트하부(320)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수용부(325) 아래에 상기 수집부(600)가 위치하고,
    상기 수집부(600)는,
    상기 수집부(600)의 상부로서 상기 벨트수용부(325) 아래에 위치하며, 펌프(620)가 연결되어 음압을 제공하는 노즐조립체(610);
    상기 노즐조립체(610) 하부에 위치하는 담체수용부(640); 및
    상기 담체수용부(640) 외측에서 수집된 담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5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조립체(610)는 상기 펌프(620)에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노즐(613)을 포함하고,
    상기 점적부(200)는,
    승강 가능한 점적조립체(220); 및
    상기 점적조립체(220) 내에 수용되며, 다수의 점적홀(211)을 포함하여, 상기 점적조립체(2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원료를 점적으로 드랍하는 점적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점적홀(211)은 상부홀(211a) 및 상기 상부홀(211a)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홀(211a)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홀(211b)을 포함하며,
    상기 점적홀(21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열로 형성되되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열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홀(211b)의 직경은 결정된 담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 상이하여, 상기 수집부(600)에서 수집되는 담체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덮개(400)는,
    상기 벨트상부(310)를 덮는 상부커버(401); 및
    상기 벨트하부(320) 중 상기 벨트수용부(325) 외의 부분을 덮는 하부커버(402)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수용부(325)는 외기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401)는,
    상기 점적부(200) 후단에 위치하는 점적후드(410); 및
    상기 점적후드(410)의 후단으로 상기 벨트상부(31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에서 그 시작 부분은 경사진 다수의 상부후드(42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402)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방향에서 상기 하부커버(402)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는 린싱후드(430); 및
    상기 하부커버(402)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리턴후드(440)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는 동결 건조된 미생물, PVA(Poly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하여, 상기 담체는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인 담체 제조장치를 이용한 담체 제조방법으로서,
    (a) 상기 공급부(100)에 저장된 원료가 상기 점적부(200)에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점적부(200)의 상기 점적조립체(22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점적조립체(220) 내에 위치한 상기 점적플레이트(210)의 상기 점적홀(211)을 따라 원료가 하강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기 벨트상부(310)에 점적으로 드랍되는 단계;
    (c)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 상의 점적이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와 하부 일부를 덮는 상기 덮개(400) 내측으로 상기 가열송풍부(500)에 의해 생성된 가열공기가 공급되어 점적이 건조되며 이동하는 단계;
    (d)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벨트상부(310)의 점적이 상기 벨트하부(320)로 이동하고, 상기 벨트하부(320) 상의 점적이 상기 수집부(600)의 상부에 위치하면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되는 단계;
    (e)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상기 린싱부(700)에 의해 린싱되고 상기 덮개(400) 내측으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건조되는 단계; 및
    (f)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가 계속 진행하여, 점적이 위치하던 컨베이어 벨트 부분이 다시 상기 점적부(200) 하단에 위치하는 단계;
    (g1) 상기 공급수위센서(S1)가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위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점적홀(2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막힘 현상을 경고하는 단계; 및
    (g2)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적 높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점적형상센서(S2)가 감지한 점적 하단면 형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형태와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담체센서(S3)가 감지한 수집된 담체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집부 높이 범위 외인 경우, 담체의 불량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원료수용부(120)에 원료가 수용되는 단계; 및
    (a2)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교반기가 상기 원료수용부(120)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하고, 상기 공급부(100)에 구비된 상기 가열부(130)가 상기 원료수용부(120)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가열부(130)의 잔열이 상기 축열부(800)에 공급되는 단계;
    (c2) 상기 축열부(800)에 공급된 열이 상기 가열송풍부(500)에 공급되어 가열공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상기 열교환기(650)가 열교환하여 보유한 열이 상기 축열부(800)에 공급되는 단계를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수집부(600)에 구비된 열교환기(650)가 수집된 담체에서 열을 교환하는 단계; 및
    (d2) 상기 펌프(620)가 상기 노즐(613)에 음압을 제공하면, 상기 벨트하부(320) 상의 점적이 상기 수집부(600)에 떨어져서 담체로서 수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체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3) 상기 담체수용부(640)에 붕산 및 염화칼슘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담체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라 제조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으로서,
    (A) 질산화 세균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를 질산화 담체로 준비하는 단계;
    (B) 탈질화 세균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를 탈질화 담체로 준비하는 단계;
    (C) 무산소조 및 이에 연결된 호기조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상기 무산소조에 탈질화 담체를 수용시키고, 상기 호기조에 질산화 담체를 수용시키는 단계;
    (D) 하폐수가 상기 무산소조에 유입된 후 상기 호기조로 이송되어 상기 질산화 담체에 의해 질산화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이 이루어진 1차 처리수가 상기 무산소조에 내부 반송되는 단계; 및
    (E) 상기 내부 반송된 1차 처리수가 상기 무산소조에서 상기 탈질화 담체에 의해 탈질화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방법.
KR1020210049793A 2021-04-16 2021-04-16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10262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93A KR102622379B1 (ko) 2021-04-16 2021-04-16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93A KR102622379B1 (ko) 2021-04-16 2021-04-16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71A KR20220143371A (ko) 2022-10-25
KR102622379B1 true KR102622379B1 (ko) 2024-01-09

Family

ID=8380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793A KR102622379B1 (ko) 2021-04-16 2021-04-16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775B1 (ko) 2015-11-18 2017-05-08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연속식 미생물 고정화장치
US20170260482A1 (en) 2016-03-08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rticles including enzyme
US20170321207A1 (en) 2014-11-03 2017-11-09 Bioright Worldwide Company Limited Device and a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Proteins, Enzymes or Cel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6156B1 (en) 2006-03-13 2016-12-07 Lentikat'S, A.S. A device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biocatalysts in the form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immobilized in polyvinyl alcohol gel
KR101538024B1 (ko) * 2014-01-03 2015-07-22 한국기계연구원 멀티노즐형 세포배양지지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배양지지체 제조 방법
KR20180125092A (ko) * 2017-05-12 2018-11-22 주식회사 그레넥스 고농도 질소함유 하·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의 제조방법
KR20190075188A (ko) 2017-12-20 2019-07-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함유 하·폐수처리장치
KR20200061437A (ko) 2018-11-23 2020-06-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1207A1 (en) 2014-11-03 2017-11-09 Bioright Worldwide Company Limited Device and a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Proteins, Enzymes or Cells
KR101733775B1 (ko) 2015-11-18 2017-05-08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연속식 미생물 고정화장치
US20170260482A1 (en) 2016-03-08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rticles including enzy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71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EP1912491B1 (en)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as well as a culture medium
US9113606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CN105198137B (zh) 利用工艺液体进行净化的巴氏杀菌系统
DE102017208430A1 (de) Reinigungsgerät zur Reinigung oder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KR102622379B1 (ko)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102622378B1 (ko)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장치
CN206852819U (zh) 一种带搅拌装置的减振型药材灭菌干燥设备
JP2012010633A (ja) 育苗箱搬送装置及び温湯加温・冷却設備及び栽培施設
KR101755100B1 (ko)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안개 공급방법
CN112566602A (zh) 吸水性片和包含其的吸水性物品
CN113329619B (zh) 浮板及以此栽种植物的方法
FI61460C (fi) Foerfarande foer anvaendning av en fluidiserad baedd vid vaermebehandling av glas
NL2006340C2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kweekmedia voor het kweken van planten en kweekmedium.
CN203152133U (zh) 农业育苗培养箱
CN109005747B (zh) 水稻种子培育装置
JP3597288B2 (ja) 育苗施設
JP2016077188A (ja) 植物栽培用培地、並びに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WO2007106526A2 (en) Recyclable synthetic plant growth medium
AU609515B2 (en) Geotextile having soil treatment compound and method
JP5663958B2 (ja) 施設
CN104974976B (zh) 一种细胞的固定化培养方法
KR101394626B1 (ko) 씨앗 자동온탕소독기
CN213191347U (zh) 一种塑料袋浸泡式灭菌盘
EP3582606A1 (en) Vertical greening module, vertical gre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green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