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437A -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437A
KR20200061437A KR1020180146180A KR20180146180A KR20200061437A KR 20200061437 A KR20200061437 A KR 20200061437A KR 1020180146180 A KR1020180146180 A KR 1020180146180A KR 20180146180 A KR20180146180 A KR 20180146180A KR 20200061437 A KR20200061437 A KR 2020006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ain body
reaction
reaction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휘
신동철
김지숙
박정연
강민준
국영롱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437A/ko
Publication of KR2020006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증식한 담체로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반응조의 배출구에 거름망을 갖춘 본체를 장착하고, 반응수를 배출할 때 이 반응수에 섞인 담체를 본체에서 거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담체가 반응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담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본체에서 거른 담체를 다시 반응조로 순환할 수 있게 리턴 관을 갖춤으로써, 담체 손실을 줄이면서도 반응조에 담체를 추가하지 않고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펌프로 반응수를 배수하게 할 때 생긴 반응수 압력과 담체가 거름망에 걸러져서 생긴 압력을 이용하여 리턴 관을 통해 본체에 쌓인 담체가 반응조로 리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으로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CARRIER FOR REACTOR}
본 발명은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망을 갖춘 본체로 반응수에 함유한 담체를 걸러주고, 본체 안에 담체가 쌓여 본체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한 압력 이상으로 올라가면 리턴 관을 통해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담체가 반응수와 함께 반응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담체 손실방지 장치는 반응조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다른 반응조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반응조는 유기물이나 질소 그리고 인 등을 제거하려고 미생물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미생물은 반응조 안에서 증식하여 생장하면서 이러한 유기물이나 질소 그리고 인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담체 등을 매체로 증식할 수 있게 구성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담체에 관한 기술과 이를 이용한 처리기술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8012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볼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폐수 내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비롯한 부유물질 처리시 유동상 생물막 반응 공정을 이용함에 있어 미생물 부착능이 뛰어난 다공성 폴리우레탄 담체와 담체의 유동성과 마모성을 보완한 바이오 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1156호
미생물 담체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를 병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생물 담체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되, 산소 활성도를 높게 유지하고 공기 전달효율을 증대하여 하·폐수의 처리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함과 아울러 환경부하를 줄이고, 재생응집제가 사용되는 총인 처리공정을 결합함으로써 강화된 수질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 담체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를 병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2120호
축산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유기 오염물을 분해하는 과정 중에서 미생물이 부착되어 서식할 수 있는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용 순환식 적층 담체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일정거리 이격된 장방형의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중간에 횡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 지지 프레임들;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길이방향 끝에서 하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부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장방형체 프레임들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적층된 장방형체 프레임들 중 최하단의 프레임들은, 상부 수평 지지 프레임들에서 하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고정·연결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들;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처럼 담체를 사용하여 미생물로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담체로 미생물 반응이 이루어지게 하는 반응조에서 반응 후에 반응조에서 반응수를 배출할 때 담체도 반응수에 섞여 함께 배출된다.
(2) 이처럼 반응수에 섞여 배출하는 담체는 배출하는 반응수량에 비례하여 반응조에 남아있는 담체량이 줄어준다.
(3) 담체량 감소는 반응조에서 미생물 반응량을 줄여 오·폐수나 하·폐수의 처리량이 줄어 처리 효율이 떨어진다.
(4) 이에, 오·폐수나 하·폐수의 처리량이 줄지 않게 하려면 주기적으로 반응조에 담체를 추가해야 하므로, 기존 담체를 사용하는 처리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이 늘어난다.
(5) 반응수와 함께 배출한 담체는 그 자체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8012호 (공개일 : 2014.08.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1156호 (공개일 : 2016.12.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2120호 (공개일 : 2018.07.1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미생물을 증식한 담체로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반응조의 배출구에 거름망을 갖춘 본체를 장착하고, 반응수를 배출할 때 이 반응수에 섞인 담체를 본체에서 거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담체가 반응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담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본체에서 거른 담체를 다시 반응조로 순환할 수 있게 리턴 관을 갖춤으로써, 담체 손실을 줄이면서도 반응조에 담체를 추가하지 않고도 재활용할 수 있게 한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펌프로 반응수를 배수하게 할 때 생긴 반응수 압력과 담체가 거름망에 걸러져서 생긴 압력을 이용하여 리턴 관을 통해 본체에 쌓인 담체가 반응조로 리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으로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 시킬 수 있게 한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는, 미생물을 부착한 담체(C)로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반응조(R)에 장착하여 담체의 손실을 줄이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에서, 반응조(R)에서 담체(C)로 반응한 반응수를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제1 커넥터(11)를 갖춘 입수관(10); 상기 입수관(10)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담체(C)를 걸러서 반응수를 배수할 수 있게 거름망(21)을 갖춘 본체(20); 한쪽을 상기 본체(20)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에 제2 커넥터(31)로 연결하여 담체(C)를 거른 반응수를 배수하게 하는 배수관(30); 상기 제2 커넥터(31)에 연결하여 반응수를 강제로 배수하게 하는 펌프(40); 및 상기 반응조(R)에 담체(C)를 공급할 수 있게 본체(20)에 연결하고, 상기 본체(20) 내부가 미리 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열리는 압력밸브(51)를 갖춘 리턴 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입수관(10)은, 상기 본체(20)보다 가늘게 제작하여 이 입수관(10)을 통해 본체(20)로 들어간 반응수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와류를 줄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상기 리턴 관(50)의 연결 부분이 중력을 받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밸브(51)는, 상기 펌프(40) 구동으로 상기 입수관(10)을 통과하여 본체(20)로 들어오는 반응수의 압력, 그리고 상기 거름망(21)으로 담체(C)를 거름에 따라 거름망(21)이 막힘에 따른 압력 변화를 통해 상기 본체(20) 압력이 올라가면 개방하여 담체(C)를 반응조(R)로 리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커넥터(11)와 상기 제 커넥터(31)는, 각각, 원터치 피팅 또는 투터치 피팅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반응조에서 오·폐수나 하·폐수와 반응한 담체가 반응수와 함께 배수되더라도 본체에서 담체를 걸러서 담체가 반응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막아 담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이러한 담체 손실 방지는 반응조에서 오·폐수나 하·폐수의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실량만큼 반응조에 담체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한편, 본체에서 거른 담체는 본체 내부의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리턴 관을 통해 반응조로 리턴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체의 막힘 없이 계속해서 담체를 걸러서 반응조로 리턴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4) 이러한 담체의 리턴 작용은 반응수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의 구동력과 담체를 걸러주는 거름망의 막힘 정도 등에 따라 본체 내부 압력이 올라가면 작동하는 압력 밸브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압력 밸브를 개폐하여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시킬 수 있다.
(5) 상술한 본체와 반응조 사이를 연결하는 입수관은 본체보다 얇은 굵기로 제작하므로, 입수관을 통과한 반응수가 넓은 본체 안으로 들어가면서 와류를 줄여주므로, 반응수에 함유한 담체가 쉽게 가라앉거나 들뜨게 하고 또한 거름망을 통해 쉽게 거를 수 있게 한다.
(6) 또한,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시켜 주는 리턴 관은 본체에 중력 방향을 따라 아래에서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할 수 있게 장착하므로, 담체가 자연스럽게 중력을 받아 반응조로 쉽게 리턴할 수 있게 된다.
(7) 마지막으로, 본체는 양쪽에 연결하는 배수관과 입수관을 각각 원터치 피팅이나 투터치 피팅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반응조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반응조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반응조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로 반응조에서 반응한 반응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로 반응조에서 반응한 반응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 거름망으로 담체를 거름에 따라 본체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내부의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압력 밸브가 열리면서 본체에 쌓인 담체를 반응조로 리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입수관(10), 본체(20), 배수관(30), 펌프(40), 그리고 리턴 관(5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20)에서 담체(C)를 걸러서 리턴 관(50)을 통해 반응조(R)로 리턴시켜 다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담체 손실을 줄이면서도 오·폐수나 하·폐수의 처리 효율이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리턴 관(50)에는 거름망(21)으로 거른 담체(C)가 본체(20)에 쌓여서 막히거나 펌프(40)의 구동 압력으로 본체(20)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작동하는 압력 밸브(51)를 갖춤으로, 본체(2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하면서 담체(C)를 반응조(R)로 리턴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입수관(10)과 배수관(30)은 각각 본체(20)의 입구와 출구 측에 원터치 피팅이나 투터치 피팅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턴 관(50)은 본체(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므로, 본체(20)에 쌓인 담체(C)가 중력을 이용하여 더욱 쉽게 반응조(R)로 리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입수관(10)은 본체(20)보다 얇은 굵기로 제작하므로, 입수관(10)을 통해 본체(20) 안으로 들어간 반응수의 유속이 느려지면서 와류 발생을 줄여 담체(C)의 분리 효과를 높여 쉽게 담체(C)를 반응조(R)로 리턴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C"는 미생물을 증식하게 하여 고정하는 담체를, "R"은 담체(C)를 이용하여 오·폐수나 하·폐수를 정화하는 반응조를, "반응수"는 반응조 안에서 담체(C)에 고정한 미생물로 정화한 물을 각각 나타낸다.
<입수관>
입수관(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쪽을 본체(2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을 반응조(R)에서 반응한 반응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장착한다.
특히, 상기 입수관(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응조(R)의 출구 측에 연결하는 쪽에는 제1 커넥터(11)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는, 반응조(R)에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손실방지 장치를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11)는 쉽고 편리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제1 커넥터(11)는 원터치 피팅이나 투터치 피팅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터치 피팅은 호스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나 튜브 등을 커넥터에 끼움에 따라 호스 등을 고정하게 하는 통상의 방식을, 투터치 피팅은 커넥터에 관이나 호스 등을 삽입한 다음 나사 체결이나 밴드 등을 통해 2차로 고정하는 통상의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입수관(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술할 본체(20)의 입구 측에 일체로 연결하게 되는 데, 이때 입수관(10)은 본체(20)보다 얇은 굵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응수가 입수관(10)을 통해 본체(20)로 들어가면서 유속이 느려지게 하여 본체(20) 안에서의 와류 발생을 줄여 담체(C)가 본체(20) 바닥에 쉽게 가라앉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본체(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입수관(10)을 통해 반응수를 공급받고, 이 반응수에 함유한 담체(C)를 거른 반응수를 본체(2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본체(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응수가 본체(20)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담체(C)를 거를 수 있도록 거름망(21)을 갖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거름망(21)은 담체(C)를 거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21)은 본체(20) 내부에서 본체(20)의 출구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거름망(21)으로 거른 담체(C)가 본체(20) 안에 축적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름망(21)은 거름 작용 중에 다른 부유물에 의해서 막히는 경우는 고압수를 배수의 방향과 역으로 분사하여 역세척으로 세척할 수 있다.
나아가 거름망(21)을 분리하여 세척한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입구 측에는 상술한 제1 커넥터(11)를 통해 입수관(10)에서 반응수를 공급받고, 출구 측에는 후술할 배수관(30)을 통해 거름망(21)으로 담체(C)를 거른 반응수를 배출하게 된다.
<배수관>
배수관(3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본체(20)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후술할 펌프(40)에 연결한다.
특히, 상기 배수관(3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펌프(40)를 연결할 한쪽 끝에는 제2 커넥터(31)를 갖춘다. 제2 커넥터(31)는 펌프(40)에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1 커넥터(11)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배수관(30)은, [도 3]과 같이, 후술할 펌프(40)가 구동함에 따라 본체(20)에서 거름망(21)으로 담체(C)를 거른 반응수를 본체(20) 밖으로 배수하게 한다.
<펌프>
펌프(4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제2 커넥터(31)에 연결하여 반응조(R)에서 미생물 반응 후의 반응수를 반응조(R) 밖으로 배출하게 한다. 이때, 펌프(40)는 본체(20) 내에 소정의 압력을 발생하게 하여 반응수가 강제로 거름망(21)을 통과하면서 담체(C)를 걸러낸 반응수만 본체(2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펌프(4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항상 같은 토크로 반응수를 배수할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본체(20) 내부의 압력 변화의 변화로 반응수의 배수량이 달라진다.
즉, [도 3]에서 큰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수 초기 반응수는 담체(C)가 거름망(21)에 많이 걸러진 상태가 아니므로 반응수는 정상적으로 배수되게 되지만, [도 4]에서 작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거름망(21)을 통해 걸러진 담체(C)가 본체(20) 안에 쌓이고, 또한 입수관(10)을 통과하여 본체(20)에 들어올 때 와류가 없어지면서 가라앉는 담체(C) 등으로 반응수가 본체(20)를 통과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본체(20) 내부 압력이 올라간다. 이에, [도 5]에서 중간 크기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리턴 관(50)을 통해 담체(C)가 반응조(R)로 리턴함에 따라 다시 반응수가 본체(20)를 통과하는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 리턴 관>
리턴 관(5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본체(20)와 반응조(R) 사이에 연결할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리턴 관(50)에는 항상 닫힌 상태의 압력 밸브(51)를 갖춰서 본체(20) 내부가 미리 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열리도록 구성한다.
이는, [도 3]과 같이, 반응수가 본체(20)를 통과함에 따라 거름망(21)으로 거른 담체(C) 등이, [도 4]와 같이 거름망(21)을 막고 또한 반응수의 유속이 느려짐에 따라 와류 발생이 줄어들어 가라앉는 담체(C)가 본체(20) 내부에 쌓임에 따라 본체(20) 내부 압력이 올라가면 상기 압력 밸브(51)가 열리게 하고, 이에 [도 5]와 같이 담체(C)가 반응조(R)로 담체(C)를 리턴 시킴에 따라 다시 정상 유속으로 반응수를 배출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관(50)은, [도 2]와 같이, 반응조(R)에 본체(20)를 장착했을 때 중력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본체(2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20) 안에 쌓이는 담체(C)가 이처럼 중력 방향에서 볼 때 아래쪽에 쌓이게 되므로, 쌓인 담체(C)를 쉽게 본체(C)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반응조에서 미생물 반응 후에 배수하는 반응수에 함유한 담체를 거름망으로 걸러서 다시 반응조로 리턴 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담체의 손실 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압력 밸브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가 미리 정한 압력 이상이면 자동으로 열리게 하여 담체 리턴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담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10 : 입수관
11 : 제1 커넥터
20 : 본체
21 : 거름망
30 : 배수관
31 : 제2 커넥터
40 : 펌프
50 : 리턴 관
51 : 압력 밸브

Claims (5)

  1. 미생물을 부착한 담체(C)로 오·폐수나 하·폐수를 처리하는 반응조(R)에 장착하여 담체의 손실을 줄이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에서,
    반응조(R)에서 담체(C)로 반응한 반응수를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제1 커넥터(11)를 갖춘 입수관(10);
    상기 입수관(10)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담체(C)를 걸러서 반응수를 배수할 수 있게 거름망(21)을 갖춘 본체(20);
    한쪽을 상기 본체(20)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에 제2 커넥터(31)로 연결하여 담체(C)를 거른 반응수를 배수하게 하는 배수관(30);
    상기 제2 커넥터(31)에 연결하여 반응수를 강제로 배수하게 하는 펌프(40); 및
    상기 반응조(R)에 담체(C)를 공급할 수 있게 본체(20)에 연결하고, 상기 본체(20) 내부가 미리 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열리는 압력밸브(51)를 갖춘 리턴 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입수관(10)은,
    상기 본체(20)보다 가늘게 제작하여 이 입수관(10)을 통해 본체(20)로 들어간 반응수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와류를 줄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본체(20)는,
    상기 리턴 관(50)의 연결 부분이 중력을 받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압력밸브(51)는,
    상기 펌프(40) 구동으로 상기 입수관(10)을 통과하여 본체(20)로 들어오는 반응수의 압력, 그리고 상기 거름망(21)으로 담체(C)를 거름에 따라 거름망(21)이 막힘에 따른 압력 변화를 통해 상기 본체(20) 압력이 올라가면 개방하여 담체(C)를 반응조(R)로 리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커넥터(11)와 상기 제 커넥터(31)는, 각각,
    원터치 피팅 또는 투터치 피팅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KR1020180146180A 2018-11-23 2018-11-23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KR20200061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80A KR20200061437A (ko) 2018-11-23 2018-11-23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80A KR20200061437A (ko) 2018-11-23 2018-11-23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37A true KR20200061437A (ko) 2020-06-03

Family

ID=7108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80A KR20200061437A (ko) 2018-11-23 2018-11-23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371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20220143370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012A (ko) 2013-01-30 2014-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볼 및 이를 사용하는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41156A (ko) 2015-05-28 2016-12-08 주식회사 신라엔텍 미생물 담체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를 병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
KR20180082120A (ko) 2017-01-10 2018-07-18 이상헌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용 순환식 적층 담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012A (ko) 2013-01-30 2014-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볼 및 이를 사용하는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41156A (ko) 2015-05-28 2016-12-08 주식회사 신라엔텍 미생물 담체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를 병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방법
KR20180082120A (ko) 2017-01-10 2018-07-18 이상헌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용 순환식 적층 담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371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20220143370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586A (en) Floating media hourglass biofilter
US778547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US20090065412A1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CN102123781A (zh) 用于处理水的方法和系统和使用薄膜过滤系统
KR101682589B1 (ko) 고형물 수집 겸용 쌍방향 회류식 생물여과조
US202203780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filtration of water
KR20200061437A (ko) 반응조의 담체 손실방지 장치
JP7423414B2 (ja) 担体分離装置、担体分離装置の運転方法、多段担体分離装置、および嫌気性処理装置
KR101346604B1 (ko) 무동력 역세 기능을 갖는 생물막 수처리 장치
NL1020091C2 (nl) Nieuwe membraanbioreactor.
CN101172699A (zh) 曝气生物滤池气、水混合反冲洗的改良结构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CA2497391A1 (en) Static screens suited for use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152640B1 (ko) 수족관용여과장치
JPH02207882A (ja) 汚水類処理装置
KR101180338B1 (ko) 하수처리장치
JP3106073B2 (ja) 浄化槽
KR102049944B1 (ko) 역세척이 용이한 배수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존공기부상형 수처리장치
JP4498188B2 (ja) メタン発酵処理の膜分離槽および膜分離槽運転方法
KR20180019362A (ko)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US6540912B1 (en) Aerobic polishing system for wastewater
JP2000210690A (ja) 浄化槽
JP2002001375A (ja) 排水処理装置
JP2000325972A (ja) 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