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928B1 - 차단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928B1
KR102621928B1 KR1020180050507A KR20180050507A KR102621928B1 KR 102621928 B1 KR102621928 B1 KR 102621928B1 KR 1020180050507 A KR1020180050507 A KR 1020180050507A KR 20180050507 A KR20180050507 A KR 20180050507A KR 102621928 B1 KR102621928 B1 KR 10262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open
mode
user interfac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523A (ko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05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차단기 제어장치는 차단기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차단기 조작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는 컨트롤러;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부에 차단기 클로즈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로 차단기 클로즈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차단기 클로즈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게는 배선용 차단기를 조작하는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차단기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 및 배선용차단기(이하, 차단기라 칭함)는 통전상태의 전로에 과전류나 누설전류에 의해 부하에 가해지는 전류가 정격 이상으로 초과 사용되는 경우나 전로의 지락이 발생하는 경우에 누전에 의한 인체의 감전사고와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차단기의 작용이 도시된 개념도이고, 도 2는 종래에 차단기 조작장치에 의해 차단기를 조작되는 방식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기(1)는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오픈/클로즈(open/close) 될 수 있다. 차단기(1)가 클로즈(투입) 상태이면 전력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부하(3)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차단기(1)가 오픈(차단) 상태이면 전력 공급원(2)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부하(3)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기(1)는 차단기 조작장치(4)에 의해 오픈/클로즈 동작될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장치(4)는 구동 메커니즘(5)을 포함하며,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와 연결되어 차단기(6)를 오픈/클로즈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장치(4)의 예시는 선행기술 KR 10-2008-0106626A(차단기 조작용 모터 구동장치) 및 KR 20-0296862Y1(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종류나 구성이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장치(4)는 개폐 스위치(6)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폐 스위치(6)는 차단기 조작장치(4)와 연결되며, 개폐 스위치(6)의 동작에 따라 차단기 조작장치(4)는 개폐 스위치(6)의 제어 신호를 받아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폐 스위치(6) 대신 차단기(1)에 구비된 핸들을 직접 조작하여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 스위치(6)는 사무실이나 관리소 등과 같이 차단기(1) 및 차단기 조작장치(4)와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개폐 스위치(6)와 차단기 조작장치(4)를 연결하는 제어신호 선로(6A)가 매우 길어야 하여 설치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다수 개의 배선용 차단기를 다수 개의 차단기 조작장치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더욱 증가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단기(1)가 설치된 분전반의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안전을 위해 차단기(1)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작업한다. 그런데 만일 작업 도중에 다른 사용자가 사무실 등 멀리서 원격으로 개폐 스위치(6)를 작동시켜 차단기(1)를 클로즈시키면 분전반에 갑자기 전기가 통전되어 작업자가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KR 10-2008-0106626A (2008.12.09 공개) KR 20-0296862Y1 (2002.11.21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작업자의 작업 도중에는 차단기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작업자가 특정 기능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차단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단기 제어장치는 차단기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차단기 조작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는 컨트롤러;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단기의 오픈/클로즈를 선택 가능한 개폐 스위치에 연결되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는 컨트롤러;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 복수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모드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통신부의 명령을 전달받는 제1모드;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부의 명령을 전달받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스위치는,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에 대해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력부에는 복수개의 차단기 조작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드는,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에 의해 제어되는 일 차단기 조작장치와 다른 타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3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는, 상기 제3모드에 대해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상태감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에서 차단기 클로즈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차단기가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갑작스런 통전으로 인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현장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단기, 차단기 조작장치 및 차단기 제어장치와 멀리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차단기를 오픈/클로즈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택 스위치에 의해 현장 작업자는 필요한 기능을 현장에서 직접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원거리에서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별개의 제어 선로를 길게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차단기의 작용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에 차단기 조작장치에 의해 차단기를 조작되는 방식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가 제1모드일 경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가 제2모드일 경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단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10)는 배선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 이하 '차단기'로 명명함)(1)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차단기 조작장치(4)와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1)는 차단기 조작장치(4)에 의해 오픈/클로즈 동작될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장치(4)는 구동 메커니즘(5)을 포함하며,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와 연결되어 차단기(6)를 오픈/클로즈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단기 조작장치(4)는 모터 오퍼레이터(MOP: Motor Op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 및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성은 주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차단기 조작장치(4) 및 차단기(1)와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차단기 조작장치(4) 및 차단기(1)가 배치된 현장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차단기 조작장치(4) 및 차단기(1)와 동일한 판넬(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작업자는 차단기 제어장치(10)를 현장에서 곧바로 조작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컨트롤러(20)와, 통신부(30)와, 선택 스위치(40)와,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입력부(60)와 표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차단기 제어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거나, 통신부(30)에서 발신될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선택 스위치(40)의 선택 옵션에 따라 출력부(50)로 신호를 출력시키거나 출력시키지 않을 수 있다. 선택 스위치(40)가 후술할 조작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정보나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차단기 조작장치(4), 차단기(1), 차단기 제어장치(5)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부(7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HMI(Human-Machine Interface), 컴퓨터나 서버 등의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운용 소프트웨어, 또는 전용 하드웨어의 디지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가 운용되는 하드웨어에는 차단기 제어장치(10)의 통신부(30)와 통신가능한 통신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나 무선 통신함이 바람직하다.
통신부(3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무선 통신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통신부(3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8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차단기(1), 차단기 조작장치(4) 및 차단기 제어장치(10)와 멀리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를 조작하여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원거리에서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별개의 제어 선로를 길게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차단기 제어장치(10)에는 통신부(30)의 통신 대역 또는 통신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통신부 제어스위치(3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60)는 차단기(1)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기(1) 또는 차단기 조작장치(4)에는 상태감지장치(9)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1), 차단기 조작장치(4) 및 상태감지장치(9)는 차단기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태감지장치(9)는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태감지장치(9)는 감지한 차단기(1)의 상태정보를 차단기 제어장치(10)의 입력부(60)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60)는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를 선택 가능한 개폐 스위치(6)에 연결되어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60)는 복수개의 입력단자(6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입력단자(61) 중 일부에는 개폐 스위치(6)와 연결된 전선이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에는 상태감지장치(9)와 연결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60)에는 상태감지장치(9) 및 개폐 스위치(6) 이외의 전자부품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출력부(50)는 차단기 조작장치(4)에 연결되고, 차단기 조작장치(4)로 제어 신호를 내보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차단기 조작장치(4)로 송신할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장치(4)에 차단기 오픈 신호가 송신되면,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오픈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차단기 조작장치(4)에 차단기 클로즈 신호가 송신되면,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출력부(50)는 복수개의 출력단자(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출력단자(51) 중 일부에는 차단기 조작장치(4)와 연결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선택스위치(40)는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스위치(50)는 로터리 놉(rotory nob)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스위치(50)의 주변부에는 인덱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덱스는 조작 가능옵션을 의미하는 'E1', 'E2', 'E3', 'E4', 'E5'와, 조작 불가옵션을 의미하는 'D1', 'D2', 'D3', 'D4', 'D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덱스는 E1, 제2 인덱스는 D1, 제3 인덱스는 E2, 제4 인덱스는 D2, 제5 인덱스는 E3, E4, E5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조작 가능 옵션(예를 들어, E1 내지 E5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면, 차단기 제어장치(1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조작 불가 옵션(예를 들어, D1 내지 D5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면, 차단기 제어장치(1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통신부(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부터 보내진 차단기 오픈 명령이 수신된 경우, 선택 스위치(40)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오픈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오픈시킬 수 있다.
통신부(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부터 보내진 차단기 클로즈 명령이 수신된 경우, 선택 스위치(40)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클로즈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통신부(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부터 보내진 차단기 오픈 명령이 수신된 경우, 선택 스위치(40)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오픈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오픈시키지 않을 수 있다.
통신부(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부터 보내진 차단기 클로즈 명령이 수신된 경우, 선택 스위치(40)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클로즈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조작장치(4)의 구동 메커니즘(5)은 차단기(1)를 클로즈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차단기(1)를 유지보수하는 현장 작업자는 차단기(1)를 오픈시키고 선택 스위치(40)를 조작 불가 옵션에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설사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원격에서 차단기 클로즈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차단기(1)가 클로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갑작스런 통전으로 인한 사고가 방지되어 현장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선택 스위치(40)는 복수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모드는, 컨트롤러(20)가 통신부(30)의 명령을 전달받는 제1모드(예를 들어, E1 및 D1)와, 컨트롤러(20)가 입력부(60)의 명령을 전달받는 제2모드(예를 들어, E2 및 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드 시,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로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고,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제2모드 시,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전달받고, 통신부(30)로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80)와 개폐 스위치(6)의 명령이 상충될 경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50)는 제1모드와 제2모드에 대해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1모드의 조작 가능 옵션(예를 들어, E1)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에 따라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어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1모드의 조작 불가 옵션(예를 들어, D1)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2모드의 조작 가능 옵션(예를 들어, E2)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를 통해 수신된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에 따라 출력부(50)를 통해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어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2모드의 조작 불가 옵션(예를 들어, D2)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를 통해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선택 스위치(40)가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모드는 제3모드(예를 들어, E3 및 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모드는 차단기 제어장치(10)의 출력부(50)에 복수개의 차단기 조작장치(4)가 연결된 경우 사용되는 모드일 수 있다.
출력부(50)의 복수개의 단자(51) 중 일부에는 일 차단기 조작장치(4)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에는 타 차단기 조작장치(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4)와 상기 타 차단기 조작장치(4)는 서로 다른 차단기(1)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모드 및 제2모드 시,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고, 제3모드 시 차단기 제어장치(10)는 상기 타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제3모드 시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 또는 입력부(60)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선택 스위치(50)는 제3모드에 대해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3모드의 조작 가능 옵션(예를 들어, E3)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이나, 입력부(60)를 통해 수신된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에 따라 출력부(50)를 통해 상기 타 차단기 조작장치(4)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어 상기 타 차단기 조작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회전시켜 제3모드의 조작 불가 옵션(예를 들어, D3)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0)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이 수신되거나, 입력부(60)를 통해 개폐 스위치(6)의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내보내지 않을 수 있다.
선택 스위치(40)에 의해, 현장 작업자는 필요한 기능을 현장에서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표시부(70)는 차단기(1)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로 입력된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표시부(70)에 표시할 수 있다.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 상태정보는 입력부(60)와 연결된 상태감지장치(9)에서 보내질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20)는 앞서 설명한 제1모드 시 표시부(70)에 차단기(1)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장 작업자는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부(70)는 복수개의 램프(71)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71)는 차단기(1)가 오픈이면 불이 꺼진 상태를 유지하고, 차단기(1)가 투입(클로즈)되면 불이 켜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로 입력된 차단기(1)의 상태정보를 통신부(3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차단기(1)의 오픈/클로즈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가 제1모드일 경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플로우 차트이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1모드로 조작한 상태에서, 통신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80)부터 송신된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 컨트롤러(20)는 통신부(30)에서 수신된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1모드의 조작가능옵션(예를 들어, E1)으로 조작한 경우,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차단기 조작장치(4)는 상기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수신하여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 시킬 수 있다(S2)(S3).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1모드의 조작불가옵션(예를 들어, D1)으로 조작한 경우,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 차단기 조작장치(4)는 차단기(1)를 조작하지 않을 수 있다(S2)(S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제어장치가 제2모드일 경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플로우 차트이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2모드로 조작한 상태에서, 입력부(60)는 개폐 스위치(6)부터 송신된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5). 컨트롤러(20)는 입력부(60)에서 수신된 차단기 오픈/클로즈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2모드의 조작가능옵션(예를 들어, E2)으로 조작한 경우,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차단기 조작장치(4)는 상기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수신하여 차단기(1)를 오픈/클로즈 시킬 수 있다(S6)(S7).
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0)를 제2모드의 조작불가옵션(예를 들어, D2)으로 조작한 경우, 컨트롤러(20)는 출력부(50)로 차단기 오픈/클로즈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 차단기 조작장치(4)는 차단기(1)를 조작하지 않을 수 있다(S6)(S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선용 차단기 4: 차단기 조작장치
6: 개폐 스위치 9: 상태감지장치
10: 차단기 제어장치 20: 컨트롤러
30: 통신부 40: 선택 스위치
50: 출력부 60: 입력부
70: 표시부

Claims (9)

  1. 차단기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차단기 조작장치와 연결된 차단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는 컨트롤러;
    복수의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한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 및 조작 불가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택 스위치; 그리고,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각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개폐 스위치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 불가옵션을 선택한 상태이면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며,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1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무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2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무시하고,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3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타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1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차단하는 제1 모드의 조작 불가옵션에 대한 제2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3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모드의 조작 불가옵션에 대한 제4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타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5 인덱스가 표시되는
    차단기 제어장치.
  2. 삭제
  3. 차단기를 오픈/클로즈시키는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와 연결된 차단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각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차단기의 오픈/클로즈를 선택 가능한 개폐 스위치에 연결되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는 컨트롤러;
    상기 차단기 조작장치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
    복수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모드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통신부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 또는 차단하는 제1모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부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 또는 차단하는 제2모드;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통신부의 명령 또는 상기 입력부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타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 또는 차단하는 제3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1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무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2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무시하고,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가 제3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타 차단기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1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차단하는 제1 모드의 조작 불가옵션에 대한 제2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3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상기 일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모드의 조작 불가옵션에 대한 제4 인덱스,
    상기 복수의 차단기 조작장치들 중 타 차단기 조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 모드의 조작 가능옵션에 대한 제5 인덱스가 표시되는
    차단기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제어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차단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송신하는
    차단기 제어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단기 제어장치.
KR1020180050507A 2018-05-02 2018-05-02 차단기 제어장치 KR10262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07A KR102621928B1 (ko) 2018-05-02 2018-05-02 차단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07A KR102621928B1 (ko) 2018-05-02 2018-05-02 차단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23A KR20190126523A (ko) 2019-11-12
KR102621928B1 true KR102621928B1 (ko) 2024-01-08

Family

ID=6857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07A KR102621928B1 (ko) 2018-05-02 2018-05-02 차단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62Y1 (ko) * 2002-09-04 2002-12-02 이하용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82B1 (ko) 2007-06-04 2009-04-08 주식회사 효성 차단기 조작용 모터 구동장치
KR20160112085A (ko) * 2015-03-17 2016-09-28 엔텍월드(주) 차단기 작동 스위치 잠금기능을 가지는 현장제어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62Y1 (ko) * 2002-09-04 2002-12-02 이하용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23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3295B (zh) 用于操作绞车的遥控器和用户界面
US8797720B2 (en) Manually-controlled arc flash energ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trip units
CN103438259B (zh) 电动执行机构的控制系统
KR101228807B1 (ko)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CN104135083A (zh) 一种智能家居配电箱
US8487748B2 (en)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at least one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KR101725176B1 (ko)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KR102621928B1 (ko) 차단기 제어장치
CN105485854A (zh) 基于智能终端的空调温度控制方法及系统
JP6502563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
US20150263651A1 (en)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backup control module
KR102217550B1 (ko) 원격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5116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141667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원격제어 누전 차단기
JP6260634B2 (ja) バルブ開閉システム、バルブ制御装置
KR101818707B1 (ko)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위한 대기 전류 제어 시스템
KR20170136816A (ko)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71843A (ko)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와 연동되는 전원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4329B1 (ko) 멀티탭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상태변화 제어시스템
KR101612401B1 (ko) 할로겐램프 제어모듈
KR101630232B1 (ko) 무선제어를 적용한 mcc반
KR102077464B1 (ko) 공조, 에어컨, 조명, 전력 통합 ddc에 의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
KR20110133721A (ko) 절전기와 이를 이용한 절전방법
KR102195042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콘센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콘센트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콘센트 원격제어 방법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