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07B1 -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07B1
KR101228807B1 KR1020110085648A KR20110085648A KR101228807B1 KR 101228807 B1 KR101228807 B1 KR 101228807B1 KR 1020110085648 A KR1020110085648 A KR 1020110085648A KR 20110085648 A KR20110085648 A KR 20110085648A KR 101228807 B1 KR101228807 B1 KR 10122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tactor
state information
control signal
contacto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07B1/ko
Priority to CN201210007688.7A priority patent/CN10295639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전자접촉기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감시시스템을 통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조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사용을 대폭 절감해 그에 따른 비용 감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 그리고 공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CONTROL METHOD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전자접촉기의 온/오프 제어를 실시간으로 가능케 하는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는 전자석에 전류를 통해 접촉자를 갖다 붙여 접점을 닫게 하는 장치로 부하전류 정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전자접촉기의 상태처리는 PLC(Programmble Logic Controller)의 I/O(Input/output)을 이용하여 PLC와 전자접촉기의 주접점 혹은 보조접점과의 와이어(wire)를 연결하여 상태 입력신호를 받아서 감시하고, 전자접촉기의 제어는 보조 릴레이를 사용하여 PLC에서 전자접촉기를 제어하고 전자정보의 상태정보 및 제어정보를 원격 감시반 혹은 제어반과 통신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전자접촉기의 경우 설치와 구성이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었다.
구체적으로 PLC에서 I/O를 이용하여 상태정보 감시 및 전자접촉기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PLC의 I/O와 와이어가 전자접촉기 당 4개가 필요했고,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릴레이가 필요했다. 전자접촉기가 여러 개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와 릴레이의 숫자는 전자접촉기의 수에 비례하여 늘어나기 때문에 와이어 연결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치시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PLC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자접촉기의 상태 감시 및 전자접촉기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시스템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접촉기의 상태처리 및 전자접촉기의 제어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외부 감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MC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MC 제어부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자접촉기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입력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제어방법은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계; 및 외부로부터 전자접촉기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계; 및 상기 입력된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접촉기를 동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작 여부와 관련한 결정을 내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전자접촉기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감시시스템을 통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조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사용을 대폭 절감해 그에 따른 비용 감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 그리고 공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에 포함된 제어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110)는 제어모듈(200)을 포함하며, 제어모듈(200)은 감시 장치(130)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접촉기(110)는 전자석에 전류를 통해 접촉자를 갖다 붙여 접점을 닫게 하는 장치로 부하(10)에 흐르는 전류 정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110)는 부하(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자접촉기(110)는 모터보호용 배선차단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보호용 배선차단기(100)는 과전류, 결상, 순시전류 및 단락전류 등에 의한 사고 전류 발생시 동작해 계통을 차단해 줌으로써 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해주는 장치이다. 다만 모터보호용 배선차단기(100)는 생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과는 다른 형태로 전자접촉기(11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모듈(200)은 전자접촉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00)은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전자접촉기(110)의 효율적인 동작을 가능케 한다.
도 2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전자접촉기(110)의 상태 신호가 온(ON)인 경우 제어모듈(20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감시 장치(130)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라면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반면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온(ON)이라면 전자접촉기(110)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전자접촉기(110)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접촉기(110)를 동작시키라는 제어신호는 잘못 입력된 제어신호로 판단하고 전자접촉기(110)의 제어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다. 전자접촉기(110)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아무 변화 없이 계속 동작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자접촉기(110)의 상태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 제어모듈(20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감시 장치(130)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온(ON)이라면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라면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자접촉기(110)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감시장치(130)와 제어모듈(200)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200)은 전자접촉기(110) 위에 헤드 온 타입(head on type)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에 포함된 제어모듈(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의 일구성인 제어모듈(200)은 MC 상태 접점단자(210), 상태입력부(220), 메인 제어부(230), MC 제어부(240) 및 통신부(2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모듈(200)의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전원부(280)는 전자접촉기(1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MC 상태 접점단자(21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전자접촉기(110)와 연결되는 포인트다.
상태입력부(22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는다.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는 온(ON)과 오프(OFF) 상태가 있고, 온(ON) 상태는 전자접촉기(110)가 동작중임을 나타내며 오프(OFF) 상태는 전자접촉기(110)가 동작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
MC 제어부(240)는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MC 제어부(240)는 MC 코일 단자(250)를 통해 부하(10)와 연결된다.
통신부(26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외부 감시장치(270)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부(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는 전자접촉기(110)를 동작시킬지 여부를 명령하는 신호를 말한다.
메인 제어부(230)는 제어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가능케 하는 핵심부이다. 메인 제어부(230)는 상태입력부(220)를 통해 수신한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30)는 상기 설명한 통신부(260)를 통해 외부 감시장치(270)에서 수신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렇게 전달받은 상태정보 및 제어신호를 기초로 메인 제어부(230)는 전자접촉기(1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3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가 오프(OFF)를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 감시 장치(270)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온(ON)을 나타내는 경우, MC 제어부(240)를 제어해 전자접촉기(110)를 동작시킨다.
또한 메인 제어부(23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가 온(ON)을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 감시 장치(270)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110)의 제어신호가 오프(OFF)를 나타내는 경우, MC 제어부(240)를 제어해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30)는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가 온(ON)을 나타내고 상기 외부 감시 장치(270)로부터 이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 역시 온(ON)을 나타내는 경우, MC 제어부(240)를 제어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명령이 있더라도 오류로 판단하여 아무 동작도 취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메인 제어부(230)는 이와 같은 오류 사실을 상위 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접촉기(110)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감시시스템을 통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조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사용을 대폭 절감해 그에 따른 비용 감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 그리고 공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부(280)는 제어모듈(200)의 이와 같은 동작을 가능케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설명에서는 전원부(280)가 제어모듈(200)에 포함된 형태로 상정하였으나 외부에 설치되어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S300, S310). 여기서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는 온(ON)과 오프(OFF) 상태가 있고, 온(ON) 상태는 전자접촉기(110)가 동작중임을 나타내며 오프(OFF) 상태는 전자접촉기(110)가 동작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는 전자접촉기(110)를 동작시킬지 여부를 명령하는 신호를 말한다.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가 온(ON)인 경우(S320-YES), 전자접촉기 제어신호 역시 온(ON)을 나타내면(S330-YES), 전자접촉기(11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지 않는다.
반면 전자접촉기(110)의 상태정보가 온(ON)인 경우(S320-YES),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는 오프(OFF)를 나타내면(S330-NO), 전자접촉기(11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전자접촉기를 제어한다.
한편 전자접촉기 상태정보는 오프(OFF)인데(S320-NO),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온(ON)이라면(S340-NO),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S370).
이와 달리 전자접촉기 상태정보는 오프(OFF)인데(S320-NO),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라면(S340-YES), 전자접촉기(11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지 않는다(S360). 즉, 전자접촉기(110)의 동작과 관련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 이와 같은 결과를 상위 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접촉기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감시시스템을 통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조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사용을 대폭 절감해 그에 따른 비용 감소와 작업 시간의 단축, 그리고 공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전자접촉기
200......................................제어모듈
210......................................MC 상태 접점단자
220......................................상태입력부
230......................................메인 제어부
240......................................MC 제어부
250......................................MC 코일 단자
260......................................통신부
270......................................감시 장치
280......................................전원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외부 감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MC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4.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외부 감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외부 감시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MC 제어부를 제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접촉기 상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상태 입력부;
    상기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 제어부; 및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MC 제어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입력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7. 삭제
  8.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계; 및
    외부로부터 전자접촉기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계; 및
    상기 입력된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접촉기를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9.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계; 및
    외부로부터 전자접촉기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계; 및
    상기 입력된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전자접촉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전자접촉기 제어신호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작 여부와 관련한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KR1020110085648A 2011-08-26 2011-08-26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KR10122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648A KR101228807B1 (ko) 2011-08-26 2011-08-26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CN201210007688.7A CN102956398B (zh) 2011-08-26 2012-01-11 电磁接触器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648A KR101228807B1 (ko) 2011-08-26 2011-08-26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807B1 true KR101228807B1 (ko) 2013-01-31

Family

ID=4776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648A KR101228807B1 (ko) 2011-08-26 2011-08-26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8807B1 (ko)
CN (1) CN10295639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1031A (zh) * 2014-06-13 2014-12-24 漳州市锦成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带故障显示的交流接触器
KR101670080B1 (ko) * 2016-02-19 2016-10-27 (주)신명전력산업 역률 조정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851301B1 (ko) * 2017-08-24 2018-04-23 보우제전(주) 스타-델타 결선용 기동 장치의 전자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동 장치
WO2019245111A1 (ko) * 2018-06-22 2019-1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화된 보조접점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
KR20210144069A (ko) 2020-05-21 2021-11-30 최충현 전력스위치 구동 제어장치
KR20220167603A (ko) * 2021-06-14 2022-12-21 황기형 전자접촉기 보호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086B2 (en) * 2015-12-18 2021-01-05 Pepperl+Fuchs S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the functionality of redundantly interconnected contacts
CN106959416A (zh) * 2017-04-25 2017-07-18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低压接触器触点状态在线监测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305A (ja) * 1995-10-26 1997-05-06 Toshiba Corp プロセス制御動作監視装置
JPH1139012A (ja) * 1997-07-24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60091027A (ko) * 2005-02-12 2006-08-17 김용학 복합식 전자개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4438B2 (en) * 2008-10-03 2012-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system
CN201425921Y (zh) * 2009-06-12 2010-03-17 百利通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电磁继电器过零开关电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305A (ja) * 1995-10-26 1997-05-06 Toshiba Corp プロセス制御動作監視装置
JPH1139012A (ja) * 1997-07-24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60091027A (ko) * 2005-02-12 2006-08-17 김용학 복합식 전자개폐기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91027 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1031A (zh) * 2014-06-13 2014-12-24 漳州市锦成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带故障显示的交流接触器
KR101670080B1 (ko) * 2016-02-19 2016-10-27 (주)신명전력산업 역률 조정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851301B1 (ko) * 2017-08-24 2018-04-23 보우제전(주) 스타-델타 결선용 기동 장치의 전자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동 장치
WO2019245111A1 (ko) * 2018-06-22 2019-1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화된 보조접점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
KR20210144069A (ko) 2020-05-21 2021-11-30 최충현 전력스위치 구동 제어장치
KR20220167603A (ko) * 2021-06-14 2022-12-21 황기형 전자접촉기 보호계전기
KR102580960B1 (ko) * 2021-06-14 2023-09-19 황기형 전자접촉기 보호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6398A (zh) 2013-03-06
CN102956398B (zh)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07B1 (ko) 전자접촉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접촉기
EP2180577B1 (en) Motor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system
US5955859A (en) Interface module between a field bus and electrical equipment controlling and protecting an electric motor
US20080231112A1 (en) Multi-functional lrm performing sspc and elcu functions
US7834633B2 (en) Monitoring a protective device arranged upstream of a switching device
US7304406B2 (en) Control device for safety-critical compon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US9559525B2 (en) Network monitoring device
EP3425654A1 (en) Relay device
KR101304786B1 (ko) 모터스타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터스타터
US8564420B2 (en) Control module with connection devices for connection to connection terminals of a load feeder and load feeder
JP4613743B2 (ja) 電鉄変電所用配電盤
US20230073870A1 (en) Rail-mounted devic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 automation
CN217034531U (zh) 一种安全控制电路及控制设备
WO2021166838A1 (ja) 無瞬停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無瞬停電源システム
CN112653562B (zh) 供电模块
KR101238056B1 (ko)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터스타터
CN101414829B (zh) 一种防止数模转换输出电路输出失控的方法及其电路
KR101098030B1 (ko) 전원 제어 장치
JP5224883B2 (ja) 位相制御装置
KR20230043367A (ko) 원격제어와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분전반용 차단기 시스템과 분전반
CN115237100A (zh) 轨道车辆远程控制系统
KR100820949B1 (ko) 주요 설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실시간 중앙제어시스템.
KR20200031190A (ko) 원격 회로차단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JPH04150294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1197658A (ja) 負荷選択遮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