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76B1 -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76B1
KR101725176B1 KR1020157023478A KR20157023478A KR101725176B1 KR 101725176 B1 KR101725176 B1 KR 101725176B1 KR 1020157023478 A KR1020157023478 A KR 1020157023478A KR 20157023478 A KR20157023478 A KR 20157023478A KR 101725176 B1 KR101725176 B1 KR 10172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unit
mode settin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975A (ko
Inventor
고지 교멘
이쿠오 쓰지모토
가즈나리 마에다
요시에 다카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M1/7253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Abstract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전환하는 조명 스위치 또는 부하에 급전하는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에서는, 무선 통신부가,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조작 통신부가 통신선을 통하여 조작 단말기에 조작 신호를 송신하고, 조작 단말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OPER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기기(機器)를 제어하는 조작 단말기와,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기기가 통신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우스 내에 있어서, 조명 기구(器具), 공조 기기 등의 하우스 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유닛 등의 조작 단말기가 벽면 등에 매립 설치되어 있다. 이용자는, 이 조작 단말기를 조작함으로써, 조명 기구의 점등·소등, 공조 기기의 온도 설정 등을 행한다.
또한, 최근,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스 내의 조작 단말기에 적외선 통신 기능을 설치하여, 이 조작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콘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구성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2―174513)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조작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이 조작 단말기 내의 릴레이를 온(on)·오프(off)하여, 하우스 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적외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조작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적외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다른 조작 단말기를 원격 조작할 수는 없다. 또한, 모든 조작 단말기에 적외선 통신 기능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 증대의 요인이 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2―17451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저비용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조작 단말기와,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전환하는 조명 스위치 또는 부하에 급전하는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 단말기와 상기 중계 단말기가 통신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상기 중계 단말기는, 상기 조작 단말기와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조작 단말기에 상기 조작 요구에 따른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조작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와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구성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일괄하여 전환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구성하는 상기 콘센트는, 상기 부하에 대한 급전(給電)을 도통(導通)·차단하는 접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4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하우스 내의 복수 영역의 각각에 설치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제5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제1∼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기를 복수 구비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6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제1∼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기를 복수 구비한다. 또한,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제2 조작부와, 제3 통신부와, 제1 모드 설정부를 가지는 통합 관리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조작부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제3 통신부는,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상기 제1 모드 설정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 중의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 및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 등록한다. 어느 하나의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등록된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7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6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가진다. 상기 제2 무선 통신부가 상기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상기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8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6 또는 제7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제2 모드 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모드 설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모드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 중의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 및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어느 하나의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모드 설정부 또는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해 등록된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9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8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을,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제10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8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을,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제11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8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2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3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조작함으로써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4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6∼제1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다.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5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제1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통신선에 접속된다.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제2 제어 기기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6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15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중계 단말기가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중계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다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통합 관리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기기 제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블록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조작 단말기(1)와, 통합 관리 단말기(2)와, 기기 제어 단말기(3)와, 중계 단말기(5)를 구비하고, 복수의 조작 단말기(1)와, 통합 관리 단말기(2)와, 기기 제어 단말기(3)와, 중계 단말기(5)가, 통신선(L1)에 접속되어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선(L1) 상의 통신에는, 예를 들면, RS485의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또한, 복수의 조작 단말기(1)의 각각 및 중계 단말기(5)에는, 자기(自己) 단말기의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기기(4)(본 발명의 제1 제어 기기에 상당하며, 하우스 내의 조명 기구,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 등으로 구성됨)가 제어 가능하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대응되어 있다. 조작 단말기(1)의 각각 및 중계 단말기(5)는, 자기 단말기에 대응되어 있는 1 내지 복수의 제어 기기(4)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단말기(1)는, 예를 들면, 하우스 내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조명 스위치, 공조 컨트롤러, 바닥 난방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 통신부(1a)(제2 통신부)와, 조작부(1b)(제1 조작부)와, 제어부(1c)로 구성된다. 조명 스위치로서는, 개별 조명 스위치, 일괄 조명 스위치, 터치 스위치, 타이머 리모콘 스위치, 대기 전력 차단 스위치 등이 사용된다.
개별 조명 스위치는, 조작부(1b)의 조작에 의해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개별적으로 전환하고, 일괄 조명 스위치는, 조작부(1b)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조명 기구 상태를 일괄하여 전환한다. 터치 스위치는, 스트로크가 작은 소형 푸시버튼(push button) 스위치를 조작부(1b)에 사용하고 있고, 타이머 리모콘 스위치는, 조작부(1b)에 타이머 시간의 설정 기능을 가지고, 설정 시간 후에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대기 전력 차단 스위치는, 제어 기기(4)의 대기 전력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조작부(1b)는, 제어 기기(4)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자가 조작하는 푸시 버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c)는, 조작부(1b)의 조작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조작 단말기(1)의 제어부(1c)는, 조명 기구의 전력 공급로를 도통·차단하는 릴레이를 내장하고 있고, 조작부(1b)의 조작에 따라 릴레이를 도통·차단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점등·소등시킨다.
또한, 제어 기기(4)로서의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조작 단말기(1)의 제어부(1c)는, 조작부(1b)의 조작에 따라, 운전·정지, 목표 온도 설정의 제어 커맨드를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중계 단말기(5)는, 예를 들면, 하우스 내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조명 스위치, 공조 컨트롤러, 바닥 난방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 통신부(5a)(제1 통신부)와, 조작부(5b)와, 제어부(5c)와, 무선 통신부(5d)(제1 무선 통신부)로 구성된다. 조명 스위치로서는, 개별 조명 스위치, 일괄 조명 스위치, 터치 스위치, 타이머 리모콘 스위치, 대기 전력 차단 스위치 등이 사용된다.
개별 조명 스위치는,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개별적으로 전환하고, 일괄 조명 스위치는,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조명 기구 상태를 일괄하여 전환한다. 터치 스위치는, 스트로크가 작은 소형 푸시버튼 스위치를 조작부(5b)에 사용하고 있고, 타이머 리모콘 스위치는, 조작부(5b)에 타이머 시간의 설정 기능을 가지고, 설정 시간 후에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대기 전력 차단 스위치는, 제어 기기(4)의 대기 전력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조작부(5b)는, 제어 기기(4)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자가 조작하는 푸시 버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c)는, 조작부(5b)의 조작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5)의 제어부(5c)는, 조명 기구의 전력 공급로를 도통·차단하는 릴레이를 내장하고 있고, 조작부(5b)의 조작에 따라 릴레이를 도통·차단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점등·소등시킨다.
또한, 제어 기기(4)로서의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5)의 제어부(5c)는, 조작부(5b)의 조작에 따라, 운전·정지, 목표 온도 설정의 제어 커맨드를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공조 기기, 바닥 난방 기기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부(5d)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PDA 등의 휴대 단말기(6)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6)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조작 단말기(1)의 조작 요구를 무선 신호로 송신한다. 중계 단말기(5)에서는, 무선 통신부(5d)가 휴대 단말기(6)로부터 조작 요구를 수신하고, 이 조작 요구의 요구처가 자기 단말기이면, 중계 단말기(5)의 제어부(5c)는, 조작 요구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중계 단말기(5)가,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스위치이며, 휴대 단말기(6)로부터, 중계 단말기(5)에 의한 조명 기구의 점등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중계 단말기(5)의 제어부(5c)는, 조명 기구를 점등 제어한다.
또한, 중계 단말기(5)의 조작 통신부(5a)는, 조작 요구의 요구처가 자기 단말기가 아닌 다른 조작 단말기(1)[예를 들면, 조작 단말기(1A)]이면, 통신선(L1)을 통하여 조작 단말기(1A)에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 통신부(5a)는, 통신선(L1)과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授受)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고, 조작 요구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작 신호를 통신선(L1)에 송출한다.
조작 단말기(1A)에서는, 조작 통신부(1a)가 중계 단말기(5)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단말기(1A)의 제어부(1c)는,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기(1A)가, 제어 기기(4)로서의 조명 기구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스위치이며, 중계 단말기(5)로부터, 조작 단말기(1A)에 의한 조명 기구의 점등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조작 단말기(1A)의 제어부(1c)는, 조명 기구를 점등 제어한다.
따라서, 본 제어 시스템에서는, 중계 단말기(5)가, 휴대 단말기(6)로부터의 조작 요구를 다른 조작 단말기(1)에 중계하므로, 휴대 단말기(6)를 사용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1)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조작 단말기(1)가 무선 통신부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대의 중계 단말기(5)가 무선 통신부(5d)를 구비하면 되므로, 시스템 구축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6)를 사용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1)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저비용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단말기(5)는, 전술한 개별 조명 스위치, 일괄 조명 스위치, 터치 스위치, 타이머 리모콘 스위치, 대기 전력 차단 스위치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특히, 전술한 개별 조명 스위치, 또는 일괄 조명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계 단말기로서,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8)를 사용해도 된다.
이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통신부(8a)와, 무선 통신부(8b)와, 콘센트부(8c)와, 접점부(8d)와, 급전 조작부(8e)를 구비한다.
콘센트부(8c)는, 부하(도시하지 않음)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어, 부하에 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아웃렛이다. 접점부(8d)는, 콘센트부(8c)의 전력 공급 전로(電路)에 삽입되어, 이용자에 의한 급전 조작부(8e)의 조작에 의해, 콘센트부(8c)의 전로를 도통·차단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부하의 대기 상태 시에 급전 조작부(8e)를 조작함으로써, 부하의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8b)는, 휴대 단말기(6)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조작 통신부(8a)는, 통신선(L1)과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고, 휴대 단말기(6)로부터의 조작 요구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작 신호를 통신선(L1)에 송출한다. 따라서, 중계 단말기(8)도, 중계 단말기(5)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6)로부터의 조작 요구를 다른 조작 단말기(1)에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기(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스 내의 복수의 룸(영역)의 각각에 배치해도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어느 룸에 있을 때라도,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6)를 조작함으로써, 하우스 내의 모든 조작 단말기(1) 또는 중계 단말기(5)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6)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조작 요구를 수신한 중계 단말기(5)의 조작 통신부(5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조작 단말기(1)를 동시에 원격 조작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6)는, 외출 모드, 귀가 모드 등의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조작 단말기(1)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자기 단말기에 등록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6)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된 경우, 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중계 단말기(5)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중계 단말기(5)의 조작 통신부(5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조작 요구로 지정된 복수의 조작 단말기(1)에, 동작 모드가 설정된 조작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1)를 원격 조작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동작 모드마다 복수의 조작 단말기(1)의 각 조작 내용을, 휴대 단말기(6)에 미리 설정하면 되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외출 모드는, 제어 기기(4)로서의 하우스 내의 모든 조명 기구를 소등, 모든 공조기 도구, 모든 바닥 난방 기기를 정지시키고, 귀가 모드는, 거실의 조명 기구를 점등시켜, 거실의 공조 기기 및 바닥 난방 기기를 가동하게 한다.
다음에, 통합 관리 단말기(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통신부(2a)(제3 통신부)와, 조작부(2b)(제2 조작부)와, 제1 모드 설정부(2c)와, 제2 모드 설정부(2d)와, 무선 통신부(2e)(제2 무선 통신부)로 구성된다.
먼저, 무선 통신부(2e)는, 휴대 단말기(6)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6)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조작 단말기(1)[예를 들면, 조작 단말기(1A)]의 조작 요구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통합 관리 단말기(2)에서는, 무선 통신부(2e)가 휴대 단말기(6)로부터 조작 요구를 수신하고, 조작 통신부(2a)가, 통신선(L1)을 통하여 조작 단말기(1A)에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 통신부(2a)는, 통신선(L1)과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고, 조작 요구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작 신호를 통신선(L1)에 송출한다.
조작 단말기(1A)에서는, 조작 통신부(1a)가 통합 관리 단말기(2)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단말기(1A)의 제어부(1c)는,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또한, 조작부(2b)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서도, 조작 통신부(2a)는, 조작 단말기(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하여 조작 단말기(1)를 원격 조작한다.
또한, 제1 모드 설정부(2c)는, 조작부(2b)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외출 모드, 귀가 모드 등의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조작 단말기(1)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즉, 제1 모드 설정부(2c)는,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를 등록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모드 설정부(2c)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 중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작 통신부(2a)는, 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2 이상)의 조작 단말기(1)를 원격 조작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동작 모드마다 복수(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의 각 조작 내용을, 통합 관리 단말기(2)에 미리 설정하면 되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 모드 설정부(2d)는, 휴대 단말기(6)로부터 송신된 모드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조작 단말기(1)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즉, 제2 모드 설정부(2d)는, 휴대 단말기(6)의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를 등록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모드 설정부(2d)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 중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그리고,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조작부(2b)를 사용한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을, 휴대 단말기(6)를 사용한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켜도 된다. 이 경우, 어떤 동작 모드에 대하여,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이 상이한 경우,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을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을 선택한다.
또는, 통합 관리 단말기(2)는, 휴대 단말기(6)를 사용한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을, 조작부(2b)를 사용한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켜도 된다. 이 경우, 어떤 동작 모드에 대하여,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이 상이한 경우,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을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을 선택한다.
또한,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이 우선 설정은,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용자가 휴대 단말기(6)를 조작하고, 이 조작 내용을 통합 관리 단말기(2)에 무선 신호로 송신함으로써, 제1 모드 설정부(2c) 또는 제2 모드 설정부(2d)의 우선 설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선(L1)에는 기기 제어 단말기(3)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기기 제어 단말기(3)는, 복수의 제어 기기(7)[본 발명의 제2 제어 기기에 상당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가스 밸브 구동 장치, 인터폰 서브 장치(子機) 등으로 구성됨]와의 사이에서 통신선(L2)을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기 제어 단말기(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통신부(3a)와, 조작부(3b)와, 제어부(3c)와, 제어 통신부(3d)로 구성된다.
조작 통신부(3a)는, 통신선(L1)과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다.
조작부(3b)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며, 터치 패널에 의해 이용자에 의한 조작을 받아들이고, 화상 정보를 터치 패널에 표시한다.
제어부(3c)는, 제어 기기(7)로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가스 밸브 구동 장치 등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및 제어 기기(7)로서의 인터폰 서브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 정보 및 화상 정보를 수수하는 인터폰 메인 장치(親機)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제어 통신부(3d)는, 통신선(L2)과의 사이에서 신호 수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통신선(L2) 상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선(L1) 상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과는 서로 상이하다.
먼저, 제어부(3c)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3b)의 조작에 의해, 제어 기기(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고, 제어 통신부(3d)는, 제어 대상의 제어 기기(7)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한다. 제어 기기(7)는,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기초한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c)는, 인터폰 메인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제어 기기(7)로서의 인터폰 서브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 정보 및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 조작 통신부(2a)가 기기 제어 단말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제어 기기(7)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 단말기(2)의 조작 통신부(2a)는, 특정한 제어 기기(7)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제어 지시를 기기 제어 단말기(3)에 송신한다. 기기 제어 단말기(3)에서는, 조작 통신부(3a)가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제어 통신부(3d)는, 제어부(3c)가 생성한 제어 커맨드를 제어 대상의 제어 기기(7)에 송신한다.
또한, 중계 단말기(5)는, 제어 기기(7)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기기 제어 단말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제어 기기(7)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단말기(5)에서는, 특정한 제어 기기(7)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제어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하면, 조작 통신부(5a)가, 기기 제어 단말기(3)에 제어 지시를 송신한다. 기기 제어 단말기(3)에서는, 조작 통신부(3a)가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제어 통신부(3d)는, 제어부(3c)가 생성한 제어 커맨드를 제어 대상의 제어 기기(7)에 송신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6)는, 외출 모드, 귀가 모드 등의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제어 기기(7),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제어 기기(7)의 각각의 제어 내용을 자기 단말기에 등록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6)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 기기(7)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중계 단말기(5)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중계 단말기(5)의 조작 통신부(5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기기 제어 단말기(3)에, 동작 모드를 설정한 제어 지시를 송신하여, 복수의 제어 기기(7)를 원격 조정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동작 모드마다 복수의 제어 기기(7)의 각각의 제어 내용을, 휴대 단말기(6)에 미리 설정하면 되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조작 단말기(1)와 중계 단말기(5, 8)를 구비하고, 조작 단말기(1)와 중계 단말기(5, 8)가 통신선(L1)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조작 단말기(1)는, 제어 기기(4)(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한다. 중계 단말기(5, 8)는, 조명 기구[제어 기기(4)의 점등 상태를 전환하는 조명 스위치 또는 부하에 급전하는 콘센트부(8c)](콘센트의 기능)를 가진다. 또한, 중계 단말기(5, 8)는, 조작 단말기(1)와 통신선(L1)을 통하여 통신하는 조작 통신부(5a, 8a)(제1 통신부)와, 휴대 단말기(6)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5d, 8b)(제1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5d, 8b)가, 조작 단말기(1)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조작 통신부(5a, 8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조작 단말기(1)에 조작 요구에 따른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 단말기(1)는, 중계 단말기(5, 8)와 통신선(L1)을 통하여 통신하는 조작 통신부(1a)(제2 통신부)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1b)(제1 조작부)와, 조작부(1b)의 조작에 따라 제어 기기(4)를 제어하는 제어부(1c)를 구비한다. 제어부(1c)는, 조작 통신부(1a)가 수신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기기(4)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중계 단말기(5)를 구성하는 조명 스위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조명 기구[제어 기기(4)]의 점등 상태를 일괄하여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중계 단말기(8)를 구성하는 콘센트부(8c)는, 부하에 대한 급전을 도통·차단하는 접점부(8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중계 단말기(5)를, 하우스 내의 복수 영역의 각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조작 단말기(1)를 복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5d, 8b)가, 복수의 조작 단말기(1)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조작 통신부(5a, 8a)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에 대하여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조작 단말기(1)를 복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조작부(2b)(제2 조작부)와, 조작 통신부(2a)(제3 통신부)와, 제1 모드 설정부(2c)를 가지는 통합 관리 단말기(2)를 구비한다. 조작부(2b)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통신부(2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통신한다. 제1 모드 설정부(2c)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1) 중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조작부(2b)에 의해 등록한다.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작 통신부(2a)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등록된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휴대 단말기(6)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2e)(제2 무선 통신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2e)가 조작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조작 통신부(2a)는, 통신선(L1)을 통하여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2 모드 설정부(2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모드 설정부(2d)는, 휴대 단말기(6)로부터 송신된 모드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작 단말기(1) 중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 및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한다.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작 통신부(2a)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모드 설정부(2c) 또는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해 등록된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2 이상의 조작 단말기(1)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을,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을,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2b)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통합 관리 단말기(2)는, 제1 모드 설정부(2c)에 의한 등록 내용과, 제2 모드 설정부(2d)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가 휴대 단말기(6)를 조작함으로써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제어 기기(7)(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3)가 통신선(L1)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합 관리 단말기(2)가 기기 제어 단말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제어 기기(7)가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제어 기기(7)(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3)가 통신선(L1)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계 단말기(5, 8)가 제어 기기(7)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중계 단말기(5, 8)가 기기 제어 단말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제어 기기(7)가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같이, 기기 제어 단말기(3)는, 복수의 제어 기기(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계 단말기(5, 8)가 복수의 제어 기기(7)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휴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경우, 중계 단말기(5, 8)가 기기 제어 단말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복수의 제어 기기(7)가 제어된다.

Claims (16)

  1. 제1 제어 기기(機器)를 제어하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와, 조명 기구(器具)의 점등 상태를 전환하는 조명 스위치 또는 부하에 급전하는 콘센트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와, 통합 관리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단말기와 상기 중계 단말기와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가 통신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상기 조작 단말기와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조작 단말기에 상기 조작 요구에 따른 조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조작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와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 조작부와,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3 통신부와,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 중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 및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 등록하는 제1 모드 설정부를 가지고,
    어느 하나의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등록된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송신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구성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조명 기구의 점등 상태를 일괄하여 전환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구성하는 상기 콘센트는, 상기 부하에 대한 급전(給電)을 도통(導通)·차단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를, 하우스 내의 복수 영역의 각각에 설치한,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요구하는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조작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부가 상기 조작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상기 조작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모드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조작 단말기 중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2 이상의 조작 단말기 및 상기 동작 모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의 각각의 조작 내용을 등록하는 제2 모드 설정부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 통신부는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모드 설정부 또는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해 등록된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조작 단말기에 송신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을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키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을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보다 우선시키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과 상기 제2 모드 설정부에 의한 등록 내용 중 어느 것을 우선시킬 것인지를, 이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조작함으로써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하는,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통신선에 접속되고,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통신선에 접속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가 제2 제어 기기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중계 단말기가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의 제어를 요구하는 제어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기기 제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제2 제어 기기가 제어되는,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16. 삭제
KR1020157023478A 2013-03-13 2014-03-05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KR101725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0590 2013-03-13
JP2013050590A JP2014179676A (ja) 2013-03-13 2013-03-13 操作端末制御システム
PCT/JP2014/001208 WO2014141629A1 (ja) 2013-03-13 2014-03-05 操作端末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975A KR20150113975A (ko) 2015-10-08
KR101725176B1 true KR101725176B1 (ko) 2017-04-26

Family

ID=5153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478A KR101725176B1 (ko) 2013-03-13 2014-03-05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75855A4 (ko)
JP (1) JP2014179676A (ko)
KR (1) KR101725176B1 (ko)
TW (1) TWI646798B (ko)
WO (1) WO20141416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224A (ko) 2022-01-06 2023-07-1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정공수송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3334B2 (ja) * 2018-03-30 2022-08-23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入力支援ユニット及び入力支援システム
DE102021103270A1 (de) * 2021-02-11 2022-08-11 Steinel Gmbh Gebäudetechnikelement, Gebäudesteuerungssystem mit diesem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Betriebsparametern des Gebäudetechnikel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36B1 (ko) * 2009-09-08 2010-03-22 (주)참슬테크 교류 위상제어방식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및 그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관리 시스템
JP2010152416A (ja) * 2008-06-25 2010-07-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0258534A (ja) * 2009-04-21 2010-11-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2222696A (ja) * 2011-04-12 2012-11-12 Panasonic Corp コンセントおよび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204A (ja) * 1995-03-08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0240951A (ja) * 1999-02-19 2000-09-08 Osaka Gas Co Ltd 床暖房制御装置
JP3972847B2 (ja) * 2003-03-26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住宅用制御・監視統合システム
JP4446854B2 (ja) * 2004-10-12 2010-04-07 九州電力株式会社 電源タップ
JP2008283433A (ja) * 2007-05-10 2008-11-20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家電システム
US20100121698A1 (en) * 2007-08-15 2010-05-13 Michael Luzbet Customer incentive system based on an external lottery drawing
US20100121968A1 (en) * 2008-11-11 2010-05-13 Qwebl,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operations of household systems from remote applications
TWM388053U (en) * 2009-12-31 2010-09-01 mei-fang Hu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radio frequency device
US8538596B2 (en) * 2010-12-20 2013-09-17 Redwood Systems, Inc. Light timeout optimization
CN103477592A (zh) * 2011-02-16 2013-12-25 科泰克工业有限公司 无线电源、照明和自动化控制
JP2012174513A (ja) 2011-02-22 2012-09-10 Digital Electronics Corp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スイッチ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2416A (ja) * 2008-06-25 2010-07-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0258534A (ja) * 2009-04-21 2010-11-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KR100948736B1 (ko) * 2009-09-08 2010-03-22 (주)참슬테크 교류 위상제어방식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및 그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관리 시스템
JP2012222696A (ja) * 2011-04-12 2012-11-12 Panasonic Corp コンセントおよび接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224A (ko) 2022-01-06 2023-07-1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정공수송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1629A1 (ja) 2014-09-18
TWI646798B (zh) 2019-01-01
JP2014179676A (ja) 2014-09-25
KR20150113975A (ko) 2015-10-08
EP2975855A1 (en) 2016-01-20
EP2975855A4 (en) 2016-05-25
TW201442457A (zh)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157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JP6367856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端末、サー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KR10120821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20934A1 (ja) マルチ空気調和機
US10254747B2 (en)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of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and program thereof
KR101725176B1 (ko)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US20080178619A1 (en) Combined managemen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lighting system
US9699872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switching lamps over short distances
KR100836886B1 (ko) 인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JP2018088714A (ja) 中継端末
KR20090095326A (ko) 통신모드 자동전환기능을 갖는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JP7043473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818707B1 (ko)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위한 대기 전류 제어 시스템
JP645946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50030948A (ko) 전등 일체형 중계기
EP3163806A1 (en)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JP2014212369A (ja) 機器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01902967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KR102039083B1 (ko) 조명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허브통신 시스템 및 사물인터넷 허브통신 방법
CN205945685U (zh) 一种带红外的智能墙壁触摸开关
JP2005311549A (ja) ホーム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