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06B1 -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06B1
KR102621806B1 KR1020220057772A KR20220057772A KR102621806B1 KR 102621806 B1 KR102621806 B1 KR 102621806B1 KR 1020220057772 A KR1020220057772 A KR 1020220057772A KR 20220057772 A KR20220057772 A KR 20220057772A KR 102621806 B1 KR102621806 B1 KR 10262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istance
transportation
map data
targe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8267A (ko
Inventor
여춘동
임재욱
장준영
Original Assignee
지오딕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딕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딕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06B1/ko
Publication of KR2023015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67A/ko
Priority to KR1020230195924A priority patent/KR20240008286A/ko
Priority to KR1020230195925A priority patent/KR20240007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Navig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서버로부터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집장치; 상기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 중 어느 하나(이하 "대상시설"이라 함), 이동수단, 이동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대상시설에서부터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에 도달가능한 위치범위를 등시선으로 생성하는 등시선생성장치; 상기 대상시설에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 안에 도달 불가능한 위치범위인 소외지역을 산출하는 소외지역산출장치; 상기 등시선 및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지도와 함께 출력하는 시각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간은 상기 대상시설과 이동수단이 입력되면, 외부서버에서 제공하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으로 자동 입력되어 특정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 접근가능한 등시선을 생성한 후에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에 접근이 불가능한 소외지역을 산출하여 등시선과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함께 표시한다.

Description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Analysis system for neglected areas of public welfare and convenience facilities reflecting the time and space environment}
본 발명은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형성되고 있는 신도시와 달리 구도심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상황은 상당히 열악한 수준이다. 그래서 노후화된 구도심을 품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도시재생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생활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재정 투자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초생활인프라는 유치원, 초등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공원과 같이 시민의 기초적인 삶에 필요한 시설들을 의미한다. 현재 기초생활인프라는 인구를 기반으로 공급 여부와 수용용량이 결정된다. 이를테면 인구 몇 명 당 도서관 1개를 공급한다는 식이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실질적으로 수요자의 편의나 만족도를 증가시키지 못했고, 생활인프라 공급의 지역 간 불균형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난 수요자 중심형, 주민 체감형 국가적 최저기준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정부가 제시한 최저기준은 도보 또는 차량으로 해당 시설까지 이동하는 시간이다. 아무리 좋은 생활인프라 시설물이라 하더라도 멀리 있어 접근이 어려우면 실질적으로 시민들의 만족도를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부는 시민의 '생활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공급의 새로운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생활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판단은 주거지에서 생활인프라 시설물 사이의 직선거리를 통해 수행되고 있으나, 주거지에서 생활인프라시설물 사이의 경로 및 지형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지 않아 현실성이 결여되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등시선이란, 한 지점으로부터 도달시간이 같은 지점들을 연속적으로 선으로 이어서 표현한 것으로, 등시선도는 등시선을 표현한 지도이다.
등시선 및 등시선도를 활용하면 주거지 또는 출발지점에서 일정 시간에 도달가능한 범위를 도시계획 수립자 등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데, 도시계획 수립 단계에서 실제 지형 등을 반영한 특정 주거지 또는 출발지점로부터 생활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등시선 또는 등시선도를 통해 확인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6869호
본 발명은 특정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 접근가능한 등시선을 생성한 후에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에 접근이 불가능한 소외지역을 산출하여 등시선과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함께 표시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은 외부서버로부터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집장치; 상기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 중 어느 하나(이하 "대상시설"이라 함), 이동수단, 이동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대상시설에서부터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에 도달가능한 위치범위를 등시선으로 생성하는 등시선생성장치; 상기 대상시설에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 안에 도달 불가능한 위치범위인 소외지역을 산출하는 소외지역산출장치; 상기 등시선 및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지도와 함께 출력하는 시각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간은 상기 대상시설과 이동수단이 입력되면, 외부서버에서 제공하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으로 자동 입력된다.
또한, 상기 등시선생성장치는 상기 대상시설, 이동수단 및 이동시간을 포함하는 이동자정보를 입력받는 이동자정보입력부;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속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 외부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 지도데이터베이스;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를 저장하는 경사각데이터베이스;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교통망을 저장하는 교통망데이터베이스; 상기 경사각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와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하는 인접지점거리계산부;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추가한 실거리지도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실거리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실거리지도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에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에 따른 이동속도를 통해 상기 이동시간 안에 도달가능한 최외각 지점들을 선으로 연결한 등시선을 출력하는 등시선출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휠체어, 퀵보드, 오토바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도보는 성인도보, 노인도보, 임산부도보, 어린이도보, 장애인도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등시선출력부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수단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속도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시간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를 계산하는 이동거리계산모듈;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거리지도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익스트라(Dihkstra)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상시설로부터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에서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인 도달가능지점들을 출력하는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도달가능지점들을 컨벡스헐(Convex hull) 알고리즘 또는 컨케이브헐(Concave hul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도형인 등시선으로 출력하는 등시선표현모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1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경사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의 총 개수, L(k) : k번째 경사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X(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
또한,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에서 [수학식 2]에 따라 경사로가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 여부에 따라 제1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오르막인 경사로의 경우 상기 제1가중치는 양의 값이 되고,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내리막인 경사로의 경우 상기 제1가중치는 음의 값이 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2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경사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의 총 개수, L(k) : k번째 경사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X(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 , Z(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제1가중치
또한,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경사로에 따른 상기 제1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코너정보를 저장하는 코너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는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코너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3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코너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총 개수, L(k) : k번째 코너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C(k) : k번째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가중치
또한, 상기 제2가중치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너각에 따른 상기 제2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코너정보를 저장하는 코너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는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코너정보를 더 활용하여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에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 가중치를 더 곱하여 상기 실거리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4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경사로 및 코너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와 코너의 총 개수, L(k) : k번째 경사로 또는 코너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Z(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제1가중치, C(k) : k번째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가중치
또한, 상기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경사로에 따른 상기 제1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되고,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너각에 따른 상기 제2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생성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출발지점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경사로의 수직단면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경사각에 따른 경사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경사각에 따른 실제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출발지점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코너를 간단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경사각과 코너각을 고려하지 않은 지도데이터의 각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경사각과 코너각을 고려한 실거리지도데이터의 각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출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생성장치에서 등시선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의 최외각 지점을 서로 이은 등시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경사각과 코너각을 고려하지 않은 도 7의 지도데이터를 사용하여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동안 도달가능한지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의 최외각 지점을 서로 이은 등시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대상시설과의 직선거리에 따라 도보로 도달가능한 위치범위와 경사각을 반영하여 도달가능한 4곳의 위치를 실제 지도상에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사이의 경사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B-B' 사이의 경사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대상시설과의 직선거리에 따라 도보로 도달가능한 등시선과 경사각과 코너각을 반영하여 성인과 노인이 도보로 도달가능한 등시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내에 도달가능한 등시선을 실제 지도상에 출력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 접근가능한 등시선을 생성한 후에 대상시설에 행정청에서 권장하는 시간 내에 접근이 불가능한 소외지역을 산출하여 등시선과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함께 표시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310) 분석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1000)은 수집장치(100), 등시선생성장치(200), 소외지역산출장치(300), 시각화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장치(100)는 외부서버(10)로부터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고, 상기 등시선생성장치(200)는 상기 시설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 중 어느 하나(이하 "대상시설(201)"이라 함), 이동수단(202), 이동시간(203)을 입력받아 상기 대상시설(201)에서부터 상기 이동수단(202)으로 상기 이동시간(203)에 도달가능한 위치범위를 등시선(294)으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이동시간(203)은 상기 대상시설(201)과 이동수단(202)이 입력되면, 외부서버(10)에서 제공하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202)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201)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으로 자동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시설데이터베이스(110)는 Oracle, MS-SQL, My-SQL과 같은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서버(10)를 통해 상기 수집장치(100)에 입력되는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와 상기 등시선생성장치(200)에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202)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201)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은 모두 행정청의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데이터셋, 오픈API, 파일데이터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생성장치(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등시선생성장치(200)는 이동자정보입력부(200),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 지도데이터베이스,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 교통망데이터베이스(250), 코너데이터베이스(260),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 등시선출력부(290)를 포함한다.
이동자정보입력부(200)는 대상시설(201), 이동수단(202), 이동시간(203)을 포함하는 이동자정보(211)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는다.
상기 입력장치는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대상시설(201), 이동수단(202), 이동시간(203)이 입력된 데이터셋일 수도 있다.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이동수단(202)에 따른 이동속도(221)를 저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수단(202)은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휠체어, 퀵보드, 오토바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보의 경우에는 성인도보, 노인도보, 임산부도보, 어린이도보, 장애인도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상기 이동수단(202)별로 이동속도(221)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자전거의 경우 평균 자전거 이동속도(221)인 15km/h, 퀵보드, 오토바이, 버스, 자동차의 경우 외부서버(10)로부터 수신하는 지도데이터(231)에 포함되는 교통망(251)에 따라 구간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휠체어의 경우 도보속도의 65%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보의 경우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성인도보, 노인도보, 임산부도보, 어린이도보, 장애인도보 각각의 이동속도(221)는 상기 성인도보의 경우에는 4km/h로 설정되고, 노인도보의 경우에는 2.71km/h로 설정되고, 임산부도보의 경우에는 2.88km/h로 설정되고, 장애인도보의 경우에는 2.56km/h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수단별 이동속도(221)는 이에 한정하여 특정된 것이 아니고, 실제 과거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동수단별 이동속도(221)을 측정한 실제 과거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지도데이터베이스는 외부서버(10)로부터 지도데이터(231)를 입력받아 저장한다.이때, 상기 지도데이터(231)는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어느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사이의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각(241)을 포함하는 경사로와 코너각(262)을 포함하는 코너에 대한 코너정보(261)와 도로망, 골목길, 비포장길, 철도, 지하철노선로, 버즈노선과 같은 교통망(25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서버(10)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국가교통DB에서 제공하는 표준 노드링크, 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의 버스정류장 정보 등을 제공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생성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는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241)를 저장하고, 교통망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교통망(251)을 저장하며, 코너데이터베이스(260)는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코너정보(261)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이동속도(221)지도데이터베이스,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 교통망데이터베이스(250)는 Oracle, MS-SQL, My-SQL과 같은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는 상기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241)와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202)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는 경사각(241)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고, 코너각(262)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수도 있으며, 경사각(241)와 코너각(262)을 모두 반영하여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도 3은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출발지점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경사로의 수직단면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의 (a)는 출발지점 A에서 목적지점 B까지의 경로가 평지일 경우이고, 도 3의 (b) 및 (c)는 출발지점 A에서 목적지점 B까지의 경로에 서로 다른 경사로를 포함하는 경우로 각각 2개의 오르막과 1개의 평지, 2개의 내리막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발지점 A에서 목적지점 B까지의 거리는 평지인 도 3의 (a) 인 경우가 오르막 경사로, 평지, 내리막 경사로를 모두 포함하는 도 3의 (b) 및 (c)에 비하여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사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이동수단(202)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일정시간동안 이동가능한 거리의 계산은 평지일 경우에는 정확하지만, 경사로가 포함된 경우에는 부정확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241)를 고려하여 어느 두 지점 사이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경사각(241)에 따른 경사각(241)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a)는 오르막 경사로의 경사각(241)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내리막 경사로의 경사각(241)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오르막 경사로, 내리막 경사로를 포함하는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의 실제거리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5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으로 출발지점이고, B는 지도데이터(231)의 다른 한 지점으로 목적지점이다. D(A, B)는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경사각(241)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이고, 자연수 n은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의 총 개수이고, k는 0에서 n사이의 자연수가 된다.
L(k)는 k번째 경사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이고, X(k)는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241)을 나타낸다.
도 5는 경사각(241)에 따른 실제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직선거리 5m단위로 생성되어 있는 각 지점간의 경사각(241)로부터 두지점간의 경사각(241)를 상기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에서 추출한다. 경사각(241)의 가중치는, L/cosx로 나타내고 L은 경사구간의 두 지점의 평면상 거리이다.
경사각(241)을 고려한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총 거리는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도 5에 표현된 평면상의 거리를 경사각(241)를 고려하여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따라서, 경사각(241)를 고려한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의 실제거리는 평면상 표기 거리인 15m와 비교하면 약 6.25%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다만, 상기 [수학식 1]은 경사로의 존재에 따른 경사각(241)에 따라 거리만을 보정한 것인데, 더욱 정확한 보정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는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경사로가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 여부에 따라 제1가중치(271)를 반영하여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오르막 경사로의 경우 이동수단(202)의 속도가 떨어져 거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내리막 경사로의 경우 이동수단(202)의 속도가 증가하여 거리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7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으로 출발지점이고, B는 지도데이터(231)의 다른 한 지점으로 목적지점이다. D(A, B)는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 경사각(241)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이고, 자연수 n은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의 총 개수이고, k는 0에서 n사이의 자연수가 된다.
L(k)는 k번째 경사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이고, X(k)는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241)이고, Z(k)는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241)에 따른 제1가중치(271)이다.
이때, 상기 제1가중치(271)는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오르막인 경사로의 경우 양의 값이 되어 실제거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내리막인 경사로의 경우에는 음의 값이 되어 실제거리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가중치(271)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동수단(202)별로 오르막 경사로와 내리막 경사로에 따라 이동속도(221)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휘체어 중 어느 하나일 경우 도보, 버스, 지하철, 지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비하여 오르막 경사로와 내리막 경사로에서 이동속도(221)의 감소정도와 증가정도가 더 큰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경사로에 따른 상기 제1가중치(271)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중치(271)는 경사로에 따른 이동수단별 이동속도(221) 차이를 측정한 실제 과거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경사로에 따른 이동수단별 이동속도(221) 차이를 측정한 실제 과거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지도데이터(231)의 인접한 두 지점사이의 실제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경사로에 따른 경사각(241)에 따른 제1가중치(271)가 오르막 경사로와 내리막 경사로에 따라 양의 값과 음의 값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이동수단(202)별 속도의 증감을 반영함으로써 이동수단(202)별 일정시간 내에 도달 가능한 최외각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등시선(294)을 출력함에 있어 그 정확성이 향상된다.
도 6은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출발지점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코너를 간단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때, 도 6의 (a)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출발지점 A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 B 까지의 경로 상에 코너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고, 도 6의 (b) 및 (c)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출발지점 A 에서 어느 한 목적지점 B 까지의 경로 상에 코너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발지점 A 에서 목적지점 B까지의 경로 상에 코너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거리가 가장 짧고, 코너가 많을 수록 코너각(262)이 작을수록 출발지점 A에서 목적지점 B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각(262)이 작아질수록 코너를 돌아갈 때 상기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는 감속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의 감속은 출발지점 A 에서 목적지점 B 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2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도달가능한 지점들을 산출하여 등시선(294)을 생성함에 있어 코너의 존재와, 코너각(262)의 크기에 따라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의 감속량을 보정하여야 정확한 등시선(294)을 얻을 수 있다.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의 코너의 존재여부 및 각각의 코너의 코너각(262)의 크기를 고려한 등시선(294)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는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코너정보(261)를 활용하여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코너각(262)에 따른 제2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8
상기 [수학식 3]에서 A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으로 출발지점이고, B는 지도데이터(231)의 다른 한 지점으로 목적지점이다. D(A, B)는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된 코너각(262)을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이고, 자연수 n은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총 개수이고, k는 0에서 n사이의 자연수가 된다.
L(k)는 k번째 코너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이고, C(k)는 k번째 코너의 코너각(262)에 따른 제2가중치(272)이다.
상기 제1가중치(271)와 같이 제2가중치(272)의 경우에도, 코너의 존재와 코너각(262)의 크기에 따른 이동속도(221)의 감속량은 이동수단(202)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기 제2가중치(272)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수단(202)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코너의 존재와 코너각(262)의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221)에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너각(262)에 따른 상기 제2가중치(272)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2가중치(272)는 제1가중치(271)와는 달리 음의 값을 가지지 않고, 1 이상의 값을 가짐으로써, 출발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의 경로상에 코너가 존재하게 되면 항상 출발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의 거리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때, 상기 코너각(262)의 크기가 작을 수록 상기 이동수단(202)별로 이동속도(221)의 감속량의 크기는 커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상기 제2가중치(272)는 코너각(262)의 크기가 작을 수록 그 값이 크게 설정되어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가 줄어드는 만큼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의 거리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실제 어느 하나의 출발지점에서 다른 목적지점으로의 경로상에는 경사로와 코너가 혼재하는 것이 흔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2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도달가능한 지점들을 산출하여 등시선(294)을 생성함에 있어 경사로의 존재와, 경사각(241)의 크기와, 코너의 존재와, 코너각(262)의 크기에 따라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의 증속량 또는 감속량을 보정하여야 정확한 등시선(294)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는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코너정보(261)를 더 활용하여 경사각(241)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에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코너각(262)에 따른 제2 가중치를 더 곱하여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22049989883-pat00009
상기 [수학식 4]에서 A는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으로 출발지점이고, B는 지도데이터(231)의 다른 한 지점으로 목적지점이다. D(A, B)는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된 경사각(241)과 코너각(262)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이고, 자연수 n은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및 코너의 총 개수이고, k는 0에서 n사이의 자연수가 된다.
L(k)는 k번째 코너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이고, X(k)는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241)이고, Z(k)는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241)에 따른 제1가중치(271)이며, C(k)는 k번째 코너의 코너각(262)에 따른 제2가중치(272)이다.
[수학식 4]의 제1가중치(271)는 [수학식 2]의 제1가중치(271)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수학식 4]의 제2가중치(272)는 [수학식 3]의 제2가중치(272)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수학식 4]에서 상기 제1가중치(271) 및 제2가중치(272)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경사로에 따른 상기 제1가중치(271)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202)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너각(262)에 따른 상기 제2가중치(272)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의 각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의 각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지점들은 알파벳을 사용하여 원으로 표현하였고, 각각의 지점과 그 지점과 인접한 다른 지점사이의 경로는 각각의 지점을 이은 선으로 표현하였으며, 각각의 지점과 그 지점과 인접한 다른 지점사이의 길이는 각각의 경로에 숫자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숫자가 클수록 거리가 멀다는 의미이다.
도 7과 도 8을 서로 비교하면, 도 8에서 A 지점과 F 지점의 사이의 거리, F 지점과 G 지점 사이의 거리, E 지점과 H 지점 사이의 거리, C 지점과 J 지점 사이의 거리는 도 7에 표시된 거리에 비하여 각각 7에서 5로, 3에서 1로, 2에서 1로, 3에서 2로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A 지점과 D 지점 사이의 거리, B 지점과 C 지점 사이의 거리, G 지점과 H 지점 사이의 거리, J 지점과 I 지점 사이의 거리는 도 7에 표시된 거리에 비하여 각각 1에서 3으로, 1에서 3으로, 5에서 7로, 4에서 7로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A 지점과 F 지점의 사이의 거리, F 지점과 G 지점 사이의 거리, E 지점과 H 지점 사이의 거리, C 지점과 J 지점 사이의 거리에는 내리막 경사로가 존재하여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가 증가하여 각 지점의 직선거리보다 더 짧아지는 효과가 반영된 것이고, A 지점과 D 지점 사이의 거리, B 지점과 C 지점 사이의 거리, G 지점과 H 지점 사이의 거리, J 지점과 I 지점 사이의 거리는 오르막 경사로 또는 코너가 존재하여 이동수단(202)의 이동속도(221)가 줄어들어 각 지점의 직선거리보다 더 길어지는 효과가 반영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지도데이터(231)의 인접한 두 지점사이의 실제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경사로의 경사각(241) 뿐만 아니라, 코너각(262)을 포함하는 코너정보(261)에 따른 제2가중치(272)를 반영함으로써 이동수단(202)별 일정시간 내에 도달 가능한 최외각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등시선(294)을 출력함에 있어 그 정확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는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계산한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상기 지도데이터(231)에 추가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저장한다.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는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 지도데이터베이스, 경사각데이터베이스(240), 교통망데이터베이스(250), 코너데이터베이스(260)와 같이 상용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시선출력부(290)는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상기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201)에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202)에 따른 이동속도(221)를 통해 상기 이동시간(203) 안에 도달가능한 최외각 지점들을 선으로 연결한 등시선(294)을 산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출력부(29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등시선출력부(290)는 이동거리계산모듈(291),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 등시선표현모듈(2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거리계산모듈(291)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수단(2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이동속도(221)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시간(203)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이동가능한 거리는 이동수단(2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이동속도(221)에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시간(203)을 곱한 값이 된다.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활용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상시설(201)로부터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인 도달가능지점들을 출력한다.
등시선표현모듈(293)는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에서 출력된 상기 도달가능지점들을 컨벡스헐 알고리즘 또는 컨케이브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도형인 등시선(294)으로 출력한다.
아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등시선생성장치(200)가 등시선(294)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등시선출력부(290)에 의해 등시선(294)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경사각(241), 코너각(262)을 고려하여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202)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을 완료된 상태이고,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에는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계산한 상기 지도데이터(231)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상기 지도데이터(231)에 추가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이미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선생성장치(200)에서 등시선(294)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수단(202)과 경사각(241)을 고려한 등시선(294) 도형 생성장치는 입력장치를 통해 대상시설(201), 이동수단(202), 이동시간(203)을 포함하는 이동자정보(211)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수단(2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이동속도(221)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시간(203)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활용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상시설(201)로부터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인 도달가능지점들을 출력한다.
도 11은 도 8의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203)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대상시설(201)은 A이고,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계산된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수단(2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이동속도(221)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시간(203)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가 5인 경우에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도달가능지점 A, B, C, E, D, F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등시선표현모듈(293)는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에서 출력된 상기 도달가능지점들을 컨벡스헐 알고리즘 또는 컨케이브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도형인 등시선(294)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12은 도 11에서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203)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의 최외각 지점을 서로 이은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등시선표현모듈(293)는 대상시설(201) A에서 이동거리계산모듈(291)가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가 5인 경우에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가 출력한 도달가능지점 A, B, C, E, D, F의 최외각 지점들을 서로 연결하여 등시선(294)으로 표현한다.
도 13은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지 않은 도 7의 지도데이터(231)를 사용하여 대상시설(201) A에서 특정 이동시간(203)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A지점에서 특정 이동시간(203)동안 도달가능지점들의 최외각 지점을 서로 이은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대상시설(201)이 A이고,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계산된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수단(2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이동속도(221)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이동시간(203)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가 5인 경우에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는 도달가능지점 A, B, C, D, E, H, I, J를 출력하고, 상기 등시선표현모듈(293)는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가 출력한 도달가능지점 A, B, C, D, E, H, I, J의 최외각 지점 A, B, D, H. I, J를 서로 연결하여 등시선(294)으로 표현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출발지점 A와 이동거리계산모듈(291)가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가 5로 동일하더라도, 상기 등시선표현모듈(293)에 의해 출력되는 등시선(294)의 모양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도 14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활용하여 등시선(294)을 출력한 것이고, 도 12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활용하여 등시선(294)을 출력한 것으로, 현실에서는 도 14에 표현되는 등시선(294)보다 도 12에 표현되는 등시선(294)이 정확하여 도시계획 등을 수립함에 있어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310) 분석 시스템(1000)의 상기 소외지역산출장치(300)는 상기 대상시설(201)에 상기 이동수단(202)으로 상기 이동시간(203) 안에 도달 불가능한 위치범위인 소외지역(310)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소외지역산출장치(300)는 상기 등시선생성장치(200)에서 산출한 등시선(294)을 활용하여 상기 소외지역(310)을 산출하는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소외지역산출장치(300)는 상기 이동수단(2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서버(10)에서 제공하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202)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201)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인 상기 이동시간(203) 내에 대상시설(201)인 A에 도달 불가능한 지점인 G, H, I, J, K, L, M, N, O, P, Q를 출력하게 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활용하는 경우 상기 소외지역산출장치(300)가 소외지역(310)으로 산출하게 되는 F, G, K, L, M, N, O, P, Q와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4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활용하여 상기 소외지역산출장치(300)가 소외지역(310)을 산출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 12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활용하여 소외지역산출장치(300)가 소외지역(310)을 산출함으로써, 현실에서는 도 14에 표현되는 등시선(294)보다 도 12에 표현되는 등시선(294)이 정확하여 도시계획 등을 수립함에 있어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대상시설(201)과의 직선거리에 따라 도보로 도달가능한 위치범위와 경사각(241)을 반영하여 도달가능한 4곳의 위치를 실제 지도상에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대상시설(201)을 중심으로 표시되는 원반경(20)()은 경사각(241) 및 코너각(262)을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시설(201)을 출발지점으로 하여 성인도보를 통해 9분동안 이동가능한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6은 도 15의 A-A'사이의 경사각(241)을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도 15의 B-B' 사이의 경사각(241)을 도시한 것인데,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대상시설(201)을 출발지점으로 하여 A지점까지는 오르막과 내림막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오르막임을 알 수 있고, A'지점까지는 내리막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대상시설(201)을 출발점으로 하여 B지점까지는 오르막과 내리막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내리막임을 알 수 있고, B'지점까지는 내림막과 평지와 오르막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의 대상시설(201)과 A를 이은 직선, 대상시설(201)과 A'이은 직선, 대상시설(201)과 B를 이은 직선, 대상시설(201)과 B'를 이은 직선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310) 분석 시스템(1000)의 등시성생성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실거리지도데이터(281)에 저장된 상기 대상시설(201)을 출발지점으로 하여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하여 성인도보로 9분동안 도달가능한 최외각 지점인 A, A', B, B을 대상시설(201)과 직선으로 이은 선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대상시설(201)로부터 높은 경사각(241)을 가지는 경사로가 포함된 A지점과 B지점까지 상기 대상시설(201)과 이은 각각의 직선의 경로길이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통해 도달 가능한 지점보다 짧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대상시설(201)로부터의 A지점과 B지점에 비하여 크지않은 경사각(241)을 가지는 경사로가 포함된 A'지점과 B'지점까지 상기 대상시설(201)과 이은 각각의 직선의 경로길이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통해 도달 가능한 지점보다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도 15에서 대상시설(201)과 A지점, 대상시설(201)과 B지점을 이은 경로길이를 서로 비교하면, 대상시설(201)로부터 B지점까지의 경로길이는 내리막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시설(201)로부터 B지점까지의 경사각(241)이 대상시설(201)로부터 A지점까지의 경사각(241)보다 크기 때문에 대상시설(201)로부터 B지점까지의 실제 길이가 본 발명의 등시선생성장치(200)의 인점지점거리계산부에 의하여 실거리가 대상시설(201)로부터 A지점까지의 실제 거리보다 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상기 등시선출력부(290)는 B지점을 A지점보다 대상시설(201)로부터 직선거리로 가까운 지점으로 산출한 것임 알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 대상시설(201)과 A'지점, 대상시설(201)과 B'지점을 이은 경로길이를 서로 비교하면, 대상시설(201)과 B'지점 사이에는 긴 평지와 오르막 경사로를 포함함에 따라 대상시설(201)과의 사이에 내리막과 짧은 평지를 포함하는 A'지점보다 실제 거리가 길어져 상기 등시선출력부(290)에 의해 B'지점은 A'지점보다 대상시설(201)로부터 직선거리가 가까운 지점으로 산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270)에서 제1가중치(271) 및/또는 제2가중치(272)를 반영하여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고려한 지도데이터(231)의 각각의 인접 지점사이의 실제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실제거리를 지도데이터(231)에 추가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실거리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하며, 상기 등시선(294)산출부는 이동거리계산모듈(291)을 통해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사용하여 이동수단(202)을 통해 행정청에서 제공되는 대상시설(201)로부터의 권장 이동시간(203) 내에 이동가능한 거리를 계산하고,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292)에서 대상시설(201)로부터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291)에서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인 도달가능지점들을 출력하고, 소외지역산출장치(300)가 도달가능지점에 포함되지 않는 지점들의 집합인 위치범위를 소외지역(310)으로 산출함으로써, 도시계획 또는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의 건립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종래의 단순한 지도상의 직선거리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유용한 정보를 계획수립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시각화장치(400)는 상기 등시선(294) 및 소외지역(310)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지도와 함께 출력한다. 이때, 시각화장치(400)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등시선(294) 및 소외지역(310)을 지도상이 표시하여 지도와 함께 출력한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대상시설(201)과의 직선거리에 따라 도보로 도달가능한 등시선(294)과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하여 성인과 노인이 도보로 도달가능한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의 (a)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하지 않은 지도데이터(231)를 사용하여 대상시설(201)로부터 성인도보로 도달가능한 지점을 연결한 원반경(20)이고, 도 18의 (b)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사용하여 대상시설(201)로부터 성인도보로 도달가능한 지점을 연결한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고, 도 18의 (c)는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한 실거리지도데이터(281)를 사용하여 대상시설(201)로부터 노인도보로 도달가능한 지점을 연결한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의 (a)의 경사각(241)과 코너각(262)을 반영하지 않은 반원경과 도 18의 (b) 및 (c)의 상기 시각화장치(400)에 의해 지도상에 표시되는 상기 등시선생성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등시선(294)을 비교하면, 각각이 서로 다른 형태로 지도상에 표시되며, 특히 본 발명의 시각화장치(400)에 의해 지도상에 표시되는 등시선(294)은 필지단위로 구분되어 대상시설(201)로부터의 접근성을 한 눈에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b)와 도 18의 (c)를 서로 비교하면, 이동수단(202)이 성인도보인 경우가 이동수단(202)이 노인도보의 경우보다 등시선(294)의 범위가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성인도보와 노인도보의 이동속도(221) 차이에 의해 등시선(294)이 다르게 생성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310) 분석 시스템(1000)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내에 도달가능한 등시선(294)을 실제 지도상에 출력 한 것이다.
이때, 도 19의 (a)는 철도 단절지를 포함하는 경우이고, 도 19의 (b)는 산을 포함하는 경우이고, 도 14의 (c)와 (d)는 대상시설(201)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등시선(294)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대상시설(201)에서 자동차를 사용하여 특정 이동시간(203) 동안에 도달가능한 지점에 대한 등시선(294)은 동일한 색으로 표현하고, 이동수단(202)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시간(203) 동안에 도달가능한 지점에 대한 등시선(294)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하여 동일한 시간에 도달가능한 지점들의 구분이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상시설(201)에 따라 경사각(241), 코너각(262), 교통망(251)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시선(294)을 표현하고 있어, 도시계획 등을 수립함에 있어 정확성과 유용성이 높은 등시선(294)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코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애플리케이션, 논리 회로들, 주문형 반도체, 또는 펌웨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을 것이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0 :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100 : 수집장치
200 : 등시선생성장치
300 : 소외지역산출장치
400 : 시각화장치

Claims (13)

  1. 외부서버로부터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집장치;
    상기 시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공복지 및 편의시설 중 어느 하나(이하 "대상시설"이라 함), 이동수단, 이동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대상시설에서부터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에 도달가능한 위치범위를 등시선으로 생성하는 등시선생성장치;
    상기 대상시설에 상기 이동수단으로 상기 이동시간 안에 도달 불가능한 위치범위인 소외지역을 산출하는 소외지역산출장치;
    상기 등시선 및 소외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지도와 함께 출력하는 시각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간은 상기 대상시설과 이동수단이 입력되면, 외부서버에서 제공하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권장 시간으로 자동 입력되고,
    상기 등시선생성장치는,
    상기 대상시설, 이동수단 및 이동시간을 포함하는 이동자정보를 입력받는 이동자정보입력부;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속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
    외부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 지도데이터베이스;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를 저장하는 경사각데이터베이스;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교통망을 저장하는 교통망데이터베이스;
    상기 경사각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경사각와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하는 인접지점거리계산부;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추가한 실거리지도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실거리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실거리지도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시설에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동수단에 따른 이동속도를 통해 상기 이동시간 안에 도달가능한 최외각 지점들을 선으로 연결한 등시선을 출력하는 등시선출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휠체어, 퀵보드, 오토바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에서 [수학식 2]에 따라 경사로가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 여부에 따라 제1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오르막인 경사로의 경우 상기 제1가중치는 양의 값이 되고,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사로 중에 내리막인 경사로의 경우 상기 제1가중치는 음의 값이 되고,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수단별 미리 설정된 이동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되,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별 상기 경사로가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에 따른 이동속도의 증감 정도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버스, 지하철,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대비, 상기 경사로에 따른 상기 제1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수학식 2]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경사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의 총 개수, L(k) : k번째 경사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X(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 , Z(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제1가중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보는 성인도보, 노인도보, 임산부도보, 어린이도보, 장애인도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 입력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시선출력부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수단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속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속도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시간 안에 이동가능한 거리를 계산하는 이동거리계산모듈;
    상기 실거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거리지도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익스트라(Dihkstra)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상시설로부터 상기 이동거리계산모듈에서 계산한 이동가능한 거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인 도달가능지점들을 출력하는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
    상기 도달가능지점출력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도달가능지점들을 컨벡스헐(Convex hull) 알고리즘 또는 컨케이브헐(Concave hul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도형인 등시선으로 출력하는 등시선표현모듈;를 포함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데이터의 각 구간에 대응하는 코너정보를 저장하는 코너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지점거리계산부는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코너정보를 더 활용하여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에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 가중치를 더 곱하여 상기 실거리지도데이터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한 다른 지점까지의 실제거리를 계산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수학식 4]
    Figure 112023118297669-pat00013

    A : 어느 한 지점, B : 다른 지점, D(A,B) : 경사로 및 코너각를 고려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실제 거리, n :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에 경로상에 존재하는 경사로와 코너의 총 개수, L(k) : k번째 경사로 또는 코너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 Z(k) : k번째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제1가중치, C(k) : k번째 코너의 코너각에 따른 제2가중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중치는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자전거, 버스, 자동차, 오토바이, 퀵보드, 휠체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이동자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이동수단이 도보, 지하철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너각에 따른 상기 제2가중치 사이의 편차가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20057772A 2022-05-11 2022-05-11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62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72A KR102621806B1 (ko) 2022-05-11 2022-05-11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4A KR20240008286A (ko) 2022-05-11 2023-12-29 이동수단별 이동속도 기반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5A KR20240007637A (ko) 2022-05-11 2023-12-29 등시선 도형을 이용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72A KR102621806B1 (ko) 2022-05-11 2022-05-11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924A Division KR20240008286A (ko) 2022-05-11 2023-12-29 이동수단별 이동속도 기반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5A Division KR20240007637A (ko) 2022-05-11 2023-12-29 등시선 도형을 이용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67A KR20230158267A (ko) 2023-11-20
KR102621806B1 true KR102621806B1 (ko) 2024-01-08

Family

ID=889742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72A KR102621806B1 (ko) 2022-05-11 2022-05-11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4A KR20240008286A (ko) 2022-05-11 2023-12-29 이동수단별 이동속도 기반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5A KR20240007637A (ko) 2022-05-11 2023-12-29 등시선 도형을 이용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924A KR20240008286A (ko) 2022-05-11 2023-12-29 이동수단별 이동속도 기반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0230195925A KR20240007637A (ko) 2022-05-11 2023-12-29 등시선 도형을 이용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218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68B1 (ko) * 2004-12-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항법 단말기에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787738B1 (ko) * 2016-04-28 2017-10-18 주식회사 해줌 지리정보와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주거지 탐색 시스템.
KR102009395B1 (ko) * 2018-05-14 2019-10-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친화도 지수 개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9378B1 (ko) * 2019-12-18 2021-07-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용 실시간 이동경로 제공방법
KR102236869B1 (ko) 2019-12-30 2021-04-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6016호 (2006.07.04.)*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7938호 (2021.06.28.)*
등록특허공보 제10-1787738호 (2017.10.18.)*
등록특허공보 제10-2009395호 (2019.10.21.)*
등록특허공보 제10-2236869호 (2021.04.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286A (ko) 2024-01-18
KR20230158267A (ko) 2023-11-20
KR20240007637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0555B2 (ja) 歩行者情報提供システム
Shah et al.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levels for Ahmedabad, India
Iwanski et al. Analyzing an offender's journey to crime: A criminal movement model (CriMM)
Iseki et al. A new approach for bikeshed analysis with consideration of topography, street conne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CN112184088B (zh) 一种基于多源数据的城市可骑行性评价方法及系统
JP2000259603A (ja) 媒体効果確認シミュレータ、媒体による効果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20170080542A (ko)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Crozet et al. Accessibility: a key indicator to assess the past and future of urban mobility
KR102621806B1 (ko)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1740471B1 (ko)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KR102629110B1 (ko) 이동수단과 경사각를 고려한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Kondrateva et al. An isochrones based public transport stops optimization technique
Kemp Aesthetes and engineers: the occupational ideology of highway design
Zhang et al. An improved method for urban Walk Score calculation considering percep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US11473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rigin-independent access maps
Xu et al. Infrastructures for research on multimodal moving objects
Wu et al. Non-connective linear cartograms for mapping traffic conditions
Richter et al. Challenges and experiences in using heterogeneous, geo-referenced data for automatic creation of driving simulator environments
Ertugay et al. Understanding accessibility: Accessibility modeling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Fox Access to Active Play Parks for Youth Segments in Alexandria, Virginia
Jehn et al. A GIS Performance Measure-based Methodology for Prioritizing Bike Share System Expansion
Karimi et al. Collection and presentation of roadway inventory data
CN112732859B (zh) 提示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30034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listic Approach To City Planning
Slane Measuring the unmeasurable: a quantitative approach to access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