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869B1 -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869B1
KR102236869B1 KR1020190177686A KR20190177686A KR102236869B1 KR 102236869 B1 KR102236869 B1 KR 102236869B1 KR 1020190177686 A KR1020190177686 A KR 1020190177686A KR 20190177686 A KR20190177686 A KR 20190177686A KR 102236869 B1 KR102236869 B1 KR 102236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ibility
information
area
residential area
attribu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혁
이하연
김성표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은,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Accessibility Information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Planning}
본 발명은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활인프라가 공급될 필요가 있는 소외 지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일정 지역에 대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형성되고 있는 신도시와 달리 구도심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상황은 상당히 열악한 수준이다. 그래서 노후화된 구도심을 품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재생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생활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재정 투자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초생활인프라는 유치원, 초등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공원과 같이 시민의 기초적인 삶에 필요한 시설들을 의미한다. 현재 기초생활인프라는 인구를 기반으로 공급 여부와 수용용량이 결정된다. 이를테면 인구 몇 명 당 도서관 1개를 공급한다는 식이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실질적으로 수요자의 편의나 만족도를 증가시키지 못했고, 생활인프라 공급의 지역 간 불균형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난 수요자 중심형, 주민 체감형 국가적 최저기준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정부가 제시한 최저기준은 도보 또는 차량으로 해당 시설까지 이동하는 시간이다. 아무리 좋은 생활인프라 시설물이라 하더라도 멀리 있어 접근이 어려우면 실질적으로 시민들의 만족도를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부는 시민의 ‘생활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공급의 새로운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시민의 생활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접근성이 고려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새로이 제시된 기준으로 생활인프라의 접근성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단, 몇몇 연구자들이 특정 시설물의 접근성을 버퍼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평가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직선거리로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은 주거지에서 생활인프라 시설물까지의 경로 및 지형 등을 고려하지 않은 방법으로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 일부 네트워크 거리를 이용한 연구도 있으나 거리만으로는 현실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기반의 현실성있는 접근성을 평가하여 생활인프라가 공급될 필요가 있는 소외 지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일정 지역에 대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은,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는, 도로이름, 건물이름,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다.
상기 시설물은, 상기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지역거점 시설물 및 상기 도보로 이용하는 마을단위 시설물을 포함한다.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에서, 오픈 API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된 결과로부터 상기 이동소요시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간 지형 및 지물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에서의 상기 이동소요시간을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근성 지수는 동종 시설물의 복수의 목적지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역은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와 같거나 상기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 보다 넓게 미리 결정된 지역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수학식
Figure 112019135399183-pat00001
으로 상기 접근성 지수 Ai를 계산하되(i는 구역 인덱스), 여기서, Pi는 i구역의 상주인구, Pij는 i구역 내의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의 상주인구, tmin은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 목적지로의 평균이동소요시간이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보 및 상기 교통수단 각각에 대한 각각의 접근성 지수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하여 접근성 우수 지역, 접근성 미흡 지역 및 소외지역을 포함하는 상기 접근성 평가 정보의 표시를 색상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1)경로안내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활용하여 실제로 시민이 생활인프라 시설물까지 보행 또는 차량으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을 평가함으로써, 계단, 경사로, 횡단보도와 같이 통행에 지장을 주는 정보가 반영된 이동시간이 적용될 수 있고, 2) 경로안내 API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소외지역을 파악할 수 있으며, 3) 지역별로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인프라 건설정책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을 나타낸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시설물들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응된 인구수에 대한 속성 정보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간 지형 및 지물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와 이동소요시간을, 직선 거리에 의한 이동소요시간과 비교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에 의할 때의 접근성 지수를 예시한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에 의할 때의 접근성 지수를 예시한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에 의할 때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한 접근성 우수 지역, 접근성 미흡 지역 및 소외지역을 표시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에 의할 때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한 접근성 우수 지역, 접근성 미흡 지역 및 소외지역을 표시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은, 분석대상 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S130),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은, 소정의 지역에 대한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도 이미지, 시설물, 인구수,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이동거리와 소요시간 등을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접근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에서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른 해당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은,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1) 경로안내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활용하여 실제로 시민이 생활인프라 시설물까지 보행 또는 차량으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을 평가함으로써, 계단, 경사로, 횡단보도와 같이 통행에 지장을 주는 정보가 반영된 이동시간이 적용되도록 하였고, 2) 경로안내 API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소외지역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지역별로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인프라 건설정책 등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분석 대상 지역 정보를 수신한다(S110). 분석 대상 지역 정보는 각종 시설물, 도로, 건물, 공원, 산, 강, 육교, 등 지리적 특징들을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도 2 참조)를 포함하며, 지도 이미지 상의 각 위치(예,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에 대한 시설물 및 도로이름, 건물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대상 지역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국적 또는 세계적 지리 상의 소정의 지역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정보는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와 연동하는 네트워크(이동통신망, 인터넷 등) 상의 서버(예, 네이버, 구글, 다음 등의 지도/지리 정보 제공 서버)에 요청에 따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국적 또는 세계적 지리 상의 지도 이미지, 지도 이미지 상의 각 위치(예,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에 대한 시설물 및 도로이름, 건물이름 등에 대한 지리정보는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관리될 수도 있으며, 언제든지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정보를 요청하여 독출하도록 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정보의 지도 이미지 상의 각 지역 내의 인구수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인구수 정보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수신된 상기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S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을 나타낸 예이다. 도 3과 같이, 거주지역 폴리곤은 거주자들이 거주하는 지역들을 행정동, 지번 등 필요한 범위로 설정되어 복수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시설물들의 예이다. 도 4와 같이,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시설물들은 a) 탁아시설, b) 유치원, c) 초등학교, d) 공원, e) 도서관, f) 운동 시설, g) 고속도로 IC(Interchange), h) 지하철 등 다양한 시설을 포함한다.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는 시설이름, 위치(예,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 기타 특징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응된 인구수에 대한 속성 정보의 예이다. 도 5와 같이, 각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응된 인구수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연동 서버에 요청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은, 생활인프라 시설물로서,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지역거점 시설물 및 도보로 이용하는 마을단위 시설물 등을 포함하며, 지하철역, 고속도로 IC 등이 포함된다. 지역거점 시설물로는, 시민이 문화, 학습, 의료, 휴식 등을 위해 교통수단으로 이동하여 이용하는 시설로 거점도서관, 공공체육시설, 거점공원, 고속도로 IC 등이 이에 해당된다. 마을단위 시설물은 도보로 이동하여 이용하는 시설로 유치원, 초등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생활체육시설, 근린공원, 지하철역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시설물 분류는 정부 등의 정책에 따라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예, 도로이름, 건물이름,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 등을 포함)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예, 도로이름, 건물이름,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 등을 포함)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한다(S130).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직접 이와 같은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주로 수일, 수개월 등의 평균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지리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와 목적지간 직선 거리가 아니 지형 및 지물(예, 계단, 경사로, 횡단보도와 같이 통행에 지장을 주는 정보)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에 대하여 도보의 평균 속도 또는 교통수단(예, 자전거, 승용차, 버스 등 차량)의 평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간 지형 및 지물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와 이동소요시간을, 직선 거리에 의한 이동소요시간과 비교한 표이다. 도 6에서, UNIT ID : 출발지 아이디, PATH는 출발지와 목적지간 직선 거리로 할 때, LLIB는 출발지와 목적지간 지형 및 지물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로 할 때를 나타낸다. 각각에서 WD : 도보 거리, WT : 도보 이동소요시간, CD : 차량에 의할 때 거리, CT : 차량에 의할 때 이동소요시간, NM: 목적지 시설을 나타낸다. 해당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하여 연동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된 값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출발지에서 가장 가까운 관리 위치(예, 이동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도로 등)와 해당 도착지에서 가장 가까운 관리 위치(예, 이동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도로 등)까지의 이동 거리와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반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와 같은 이동소요시간의 산출은 오픈 API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예, 네이버, 구글, 다음 등의 지도/지리 정보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응답 결과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주로 수일, 수개월 등의 평균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예, 네이버, 구글, 다음 등의 지도/지리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된 결과로부터 상기 이동소요시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는 출발지와 목적지간 직선 거리가 아니 지형 및 지물(예, 계단, 경사로, 횡단보도와 같이 통행에 지장을 주는 정보)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에 대하여 도보의 평균 속도 또는 교통수단(예, 자전거, 승용차, 버스 등 차량)의 평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응답함으로써, 상기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상기 이동소요시간을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위와 같은 시설물의 정보, 인구수, 이동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Accessibility Index)를 계산한다(S140).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역은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와 같게 설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상기 거주지역 폴리곤을 묶는 등 상기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 보다 넓게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근성 지수 산출 대상의 구역들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행정동으로 구분된 동 단위 지역범위일 수 있고, 접근성 지수 산출 대상의 구역들에는 하나 이상의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성 지수 Ai(i는 구역 인덱스)는 [수학식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Pi는 i구역의 상주인구, Pij는 i구역 내의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의 상주인구, tmin은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즉, j 구역의 하나 이상의 출발지) 목적지로의 평균이동소요시간이다. 상기 접근성 지수는 동종 시설물의 복수의 목적지, 예를 들어, 공원1, 공원2,..에 대한 접근성 지수값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19135399183-pat0000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에 의할 때의 접근성 지수를 예시한 표이다. 도 7에서, 도서관(Library)의 경우 동춘2동 주민들은 평균적으로 18분을 걸어야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송도2동 주민들은 약 22분을 걸어야 지하철역(Subway)에 다다를 수 있고, 옥련2동 주민들은 18분을 걸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에 의할 때의 접근성 지수를 예시한 표이다. 도 8에서, 해당 주민들은 대부분 거점공원(Park)에 가기 위해 차량을 이용해 1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옥련1동과 옥련2동은 10분 이상의 14.8분과 18.0분으로 거점공원에 대해 접근 소외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거점도서관(Library)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행정동에서 10분 이내에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송도3동은 14.1분으로 거점도서관 접근성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생활인프라 분석 장치는, LCD, LED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한다(S150). 도 7 및 도 8과 같은, 상기 도보 및 상기 교통수단 각각에 대한 각각의 접근성 지수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하여 접근성 우수 지역, 접근성 미흡 지역 및 소외지역을 포함하는 상기 접근성 평가 정보의 표시를 색상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에 의할 때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한 접근성 우수 지역(흰색), 접근성 미흡 지역(회색) 및 소외지역(검은색)을 표시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에 의할 때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한 우수 지역(흰색), 접근성 미흡 지역(회색) 및 소외지역(검은색)을 표시한 예이다.
이와 같은 예에서, 접근성 우수 지역은 접근성 지수가 10(분) 미만 범위, 접근성 미흡 지역은 접근성 지수가 10~15(분) 범위, 소외지역은 접근성 지수가 15분(초과) 범위 등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거점공원(Park)에 대한 예로서, 도 9와 같이 도보에 의할 때에는 일부 소외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접근성 우수 지역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0과 같이 교통수단에 의할 때에는 도 9에서보다는 소외지역이 더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인구를 반영한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과 인프라 접근성이 미흡한 지역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때 현실성 있는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경로안내 API를 활용하여 거리 또는 이동시간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민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접근성을 한층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보행시간뿐만 아니라 차량시간을 산출하여 거점 시설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차량시간의 경우 직선 거리를 사용할 때 오차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경로안내 API를 사용함으로써 이런 오차를 대폭 줄였다. 셋째, 기존에는 공원, 지하철과 같이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시설물의 중심점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여 이동시간의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설물을 포인트(point)가 아닌 폴리곤(polygon)으로 구축하여 주거지에서 지하철역 출입구까지 그리고 주거지에서 공원 입구까지의 통행시간을 산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접근성 분석 결과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별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해 생활인프라 및 교통인프라 시설물의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정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정 시설물에 국한하여 접근성을 측정한 기존의 연구와는 구별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장치는 위와 같은 기능/단계/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도 11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1000)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이 컴퓨터 등 장치로 판독 가능한 저장/기록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1)경로안내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활용하여 실제로 시민이 생활인프라 시설물까지 보행 또는 차량으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을 평가함으로써, 계단, 경사로, 횡단보도와 같이 통행에 지장을 주는 정보가 반영된 이동시간이 적용될 수 있고, 2) 경로안내 API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소외지역을 파악할 수 있으며, 3) 지역별로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여 지역별 생활인프라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인프라 건설정책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은, 상기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지역거점 시설물 및 상기 도보로 이용하는 마을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는, 도로이름, 건물이름,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에서, 오픈 API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된 결과로부터 상기 이동소요시간의 정보를 추출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간 지형 및 지물을 반영한 실질적인 거리에서의 상기 이동소요시간을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6.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근성 지수는 동종 시설물의 복수의 목적지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7.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역은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와 같거나 상기 거주지역 폴리곤의 지역 범위 보다 넓게 미리 결정된 지역 범위인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8.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수학식
    Figure 112020111896136-pat00003
    으로 상기 접근성 지수 Ai를 계산하되(i는 구역 인덱스), 여기서, Pi는 i구역의 상주인구, Pij는 i구역 내의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의 상주인구, tmin은 거주지역 폴리곤 j에서 목적지로의 평균이동소요시간인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9. 생활인프라를 분석하는 장치에서 지리적 표시 기반의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분석대상 지역정보의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지정한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각각 대응된 시설물의 정보 및 인구수를 포함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 내의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출발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기 시설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성 지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접근성 평가 정보를 비주얼하게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보 및 상기 교통수단 각각에 대한 각각의 접근성 지수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거주지역 폴리곤에 대하여 접근성 우수 지역, 접근성 미흡 지역 및 소외지역을 포함하는 상기 접근성 평가 정보의 표시를 색상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177686A 2019-12-30 2019-12-3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3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86A KR102236869B1 (ko) 2019-12-30 2019-12-3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86A KR102236869B1 (ko) 2019-12-30 2019-12-3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869B1 true KR102236869B1 (ko) 2021-04-06

Family

ID=7547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86A KR102236869B1 (ko) 2019-12-30 2019-12-3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8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8996A (zh) * 2023-01-31 2023-05-12 深圳技术大学 采样点布局优化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230082752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두잇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CN116437291A (zh) * 2023-04-21 2023-07-14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信令的文化圈规划方法和系统
KR20230158267A (ko) 2022-05-11 2023-11-20 지오딕트 주식회사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20230158266A (ko) 2022-05-11 2023-11-20 지오딕트 주식회사 이동수단과 경사각를 고려한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JP7497933B1 (ja) 2024-01-26 2024-06-11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エリア評価プログラム及びエリア評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208A (ja) * 2008-11-10 2009-03-12 Zenrin Datacom Co Ltd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54221A (ko) * 2009-11-17 2011-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87738B1 (ko) * 2016-04-28 2017-10-18 주식회사 해줌 지리정보와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주거지 탐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208A (ja) * 2008-11-10 2009-03-12 Zenrin Datacom Co Ltd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54221A (ko) * 2009-11-17 2011-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87738B1 (ko) * 2016-04-28 2017-10-18 주식회사 해줌 지리정보와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주거지 탐색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752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두잇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8267A (ko) 2022-05-11 2023-11-20 지오딕트 주식회사 시공간환경을 반영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20230158266A (ko) 2022-05-11 2023-11-20 지오딕트 주식회사 이동수단과 경사각를 고려한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KR20240007637A (ko) 2022-05-11 2024-01-16 지오딕트 주식회사 등시선 도형을 이용한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20240008286A (ko) 2022-05-11 2024-01-18 지오딕트 주식회사 이동수단별 이동속도 기반 공공복지·편의시설 소외지역 분석 시스템
KR102629110B1 (ko) * 2022-05-11 2024-01-25 지오딕트 주식회사 이동수단과 경사각를 고려한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KR20240014092A (ko) 2022-05-11 2024-01-31 지오딕트 주식회사 이동수단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KR20240014556A (ko) 2022-05-11 2024-02-01 지오딕트 주식회사 공공데이터 기반 등시선 도형 생성장치
CN116108996A (zh) * 2023-01-31 2023-05-12 深圳技术大学 采样点布局优化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6108996B (zh) * 2023-01-31 2023-09-29 深圳技术大学 采样点布局优化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6437291A (zh) * 2023-04-21 2023-07-14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信令的文化圈规划方法和系统
JP7497933B1 (ja) 2024-01-26 2024-06-11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エリア評価プログラム及びエリア評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869B1 (ko)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Shatu et al. Shortest path distance vs. least directional change: Empirical testing of space syntax and geographic theories concerning pedestrian route choice behaviour
Li et al. The varying patterns of rail transit ridership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ine-scale built environment factors: Big data analytics from Guangzhou
Sun et al. Connecting the city: A three-dimensional pedestrian network of Hong Kong
Duncan et al. Validation of Walk Scores and Transit Scores for estimating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ransit availability: a small-area analysis
US20130322694A1 (en) Energy Efficient Routing Using An Impedance Factor
Sevtsuk Estimating pedestrian flows on street networks: revisiting the betweenness index
Schlossberg From TIGER to audit instruments: Measuring neighborhood walkability with street data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Liu et al.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road-constrained areas of interest (AOIs) through spatiotemporal taxi GPS data: A case study in New York City
AU2016201843B2 (en) Method for representing linear features in a location content management system
Sevtsuk et al. Predicting pedestrian flow along city streets: A comparison of route choice estimation approaches in downtown San Francisco
CN107391753A (zh) 一种基于gis的路产矢量化数据自动生成系统及方法
Bosurgi et al. Pavement condition information modelling in an I-BIM environment
Goodchild Beyond Tobler’s hiking function
Wheeler et al. Personalized accessible wayfind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standards and open geospatial platforms in smart cities
Mane et al. Influence of proximal land use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n link travel time
Liang et al. Spatial pattern and influencing factors of tourism based on POI data in Chengdu, China
Zhang et al. Influence of POI accessibility on temporal–spatial differentiation of housing prices: A case study of Hangzhou, China
Dunne et al. A large scale method for extracting geographical features on bus routes from OpenStreetMap and assessment of their impact on bus speed and reliability
KR20200138056A (ko) 출발지에 독립적인 액세스 맵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Bolten Equitable Network Modeling of Diverse Modes of Built Environment Pedestrian Navigation
Kapoor et al. Examination of metro stations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all using open data kit: A case study of Noida City in India
Zhu et al. Improving Inventory of and Investment in Bicycle and Pedestrian Facilities Through Targeted Public Outreach
Thilakshan et al. Evaluating the Ease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 Systems in Urban and Suburban Centers
Copes A Planning based Evaluation of Spatial Data Quality of OpenStreetMap Building Footprints in Ca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