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752A -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752A
KR20230082752A KR1020210170511A KR20210170511A KR20230082752A KR 20230082752 A KR20230082752 A KR 20230082752A KR 1020210170511 A KR1020210170511 A KR 1020210170511A KR 20210170511 A KR20210170511 A KR 20210170511A KR 20230082752 A KR20230082752 A KR 2023008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resident
public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0167B1 (ko
Inventor
김성표
강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to KR102021017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1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05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101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되는 속성정보DB부; 실제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최근접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처리부; 신규 또는 예정 공공인프라시설인 신규공공시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기하연산부; 및 상기 프로파일정보와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의 갱신 대상이 되는 레지던트섹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레지던트섹터의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갱신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ESTIMATING ACCESSABILITY OF PUBLIC FACILITIES DYNAMICALLY CONSIDERING VARIABLE PARAMETER AND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공공시설의 접근성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근성 판단 내지 예측의 기준이 되는 복수 개 레지던트섹터와 복수 개 공공시설(기존, 신규 또는 예정공공시설 등) 사이의 기하하적 거리와 실제 이동거리에 대한 파라미터를 접근성 예측을 위한 프로세싱에 이원적으로 그리고 입체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킴과 동시에 접근성 판단 내지 예측 결과에 대한 데이터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 생활의 질적 향상 등에 대한 관심과 이를 실현하는 그린뉴딜 정책, 도시재생사업 등이 보편적으로 확대 적용되면서 도시숲, 공원, 녹지, 도서관, 공공주차장, 생활체육시설, 복지시설 등과 같은 공공인프라시설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 의하여 확장적으로 조성 및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공인프라시설은 사회, 경제, 환경, 생활 등 그 분야에 제한됨 없이 사회적 가치와 효용성 등이 높으므로 많을수록 바람직할 수 있으나, 공공인프라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토지 또는 지리적 공간 등에 제약이 있으므로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최적의 장소에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에는 이러한 공공인프라시설의 개수를 늘리는 단편적인 방향으로 정책 등이 수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그 공공성의 보편적 적용을 위하여 해당 행정지역(도, 시, 군, 구 등) 내 공공인프라시설에 대한 거리 등을 중심으로 소외되는 주민(시민 등)이 최소화되는 위치 조건 등이 주요 기준 요소가 되고 있다.
공공인프라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정량화된 수치로 산출 내지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특정 레지던트섹터(Resident Sector)와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와의 거리를 통계적 함수로 활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레지던트섹터는 도, 시, 군 구 등과 같은 개별 행정지역을 하나 이상의 단위 유닛으로 구분한 공간적 개념을 가지는 단위거주지역 또는 집계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 처리 등의 간단성과 명확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있으나, 해당 공공인프라시설까지의 경로, 지형, 장애물, 보도, 차도 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으므로 해당 주민의 실질적 접근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복수의 거주지역과 목적지까지의 도보 또는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소요시간을 오픈 API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이 산출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 관계를 이용하여 접근성 지수를 연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주민(시민)이 실제 해당 공공인프라시설에 도달하는 거리 내지 시간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본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동거리 또는 이동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예를 들어 1,000개의 거주지역과 100개의 목적지(공공시설)를 전제로 하는 경우 정형적으로 100,000번(1,000×100)의 연산 프로세싱과 그에 따른 후속 프로세싱이 요구되므로 연산처리의 효율성이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신규(예정/후보) 공공인프라시설에 대한 최적 조건을 예측 내지 평가하는 경우, 신규공공인프라시설에 의하여 복수 개 거주지역마다의 최근접시설이 모두 변경될 수 있으므로 기존 연산된 결과와는 별도로 신규 예정지에 해당하는 복수 개 위치정보마다 위와 같은 프로세싱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처리 속도 등의 저하 문제는 물론이거니와 데이터 활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이동시간정보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오픈 API 서버에 전송한 후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전송받게 되므로 출발지와 목적지가 하나로 특정된 경우에도 그 과정 자체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위와 같이 이동시간정보의 요청과 회신이 수천 또는 수만 번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당히 긴 시간이 요구된다.
나아가 이러한 방법은 서버 간 데이터 통신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트래픽 상황에 따른 딜레이, 통신 장애 등이 발생될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상술된 문제점들은 더욱 심화되므로 전체적으로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최적화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236869호(2021.03.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정확성과 신속성이 보장되는 기하학 거리와 거주자 접근성을 실질적으로 표상하는 API 등에 의한 이동거리 사이의 연관 관계를 유기적으로 접목시켜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접근성을 표상하는 지표 등의 신뢰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은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되는 속성정보DB부; 실제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최근접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처리부; 신규공공시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기하연산부; 및 상기 프로파일정보와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의 갱신 대상이 되는 레지던트섹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레지던트섹터의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갱신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와 상기 프로파일정보 사이의 대비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N개 레지던트섹터 중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레지던트섹터인 대상섹터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대상섹터와 상기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제1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동거리산출부; 및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대상섹터만을 대상으로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로 갱신하는 갱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갱신처리부에 의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갱신된 대상섹터의 개수정보 또는 갱신 전후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변화된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공공시설에 의한 접근성 향상을 표상하는 예측지표정보를 생성하는 예측지표생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 공공인프라시설 중 레지던트섹터와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예비공공시설을 추출하는 제1추출부;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상기 예비공공시설 사이의 제2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M개 공공인프라시설 중 상기 레지던트섹터와의 직선거리가 상기 제2이동거리정보 내에 위치하는 공공인프라시설인 후보공공시설을 추출하는 제2추출부; 및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상기 후보공공시설 사이의 제3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3이동거리정보 중 최단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프로파일정보로 생성하는 프로파일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는 상기 신규공공시설에 속한 개별 게이트와 상기 대상섹터 사이의 이동거리 중 최단의 이동거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방법은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되는 속성정보저장단계; 실제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최근접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처리단계;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기하연산단계;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와 상기 프로파일정보 사이의 대비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N개 레지던트섹터 중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레지던트섹터인 대상섹터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대상섹터와 상기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제1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동거리산출단계; 및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대상섹터만을 대상으로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로 갱신하는 갱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GIS 등에 기초한 좌표정보 사이의 기하학적 연산을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이동거리와 직선거리(기하학적 내지 물리적 거리)의 상호 연관 관계에서 API 등에 의한 이동거리(도보 또는 차량 베이스) 산출이 요구되는 이벤트를 정확히 특정 및 선별하여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거주자의 실질적 접근성을 정확히 반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리퀘스트신호(이동거리 내지 이동시간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API서버로 전송하는 횟수 및 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전송받는 횟수를 비약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외부 환경 등에 의한 의존도와 영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시스템 운용의 경제성은 물론, 데이터 처리의 독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공공인프라시설 후보지, 예정지 등에 대한 입력 파라미터가 가변적으로 변경되더라도 필요한 특정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수정 내지 변경시키는 방법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어 기존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수 데이터의 수정 및 변경이 요구되는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프로파일정보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이동거리 산출이 요구되는 레지던트섹터를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프로파일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접근성 예측시스템(이하 '접근성 예측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접근성 판단 또는 예측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최소 단위체인 레지던트섹터가 하나 이상 집합된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해당 지역의 거주자가 가장 근접한 장소에 위치하거나 위치할 예정인 공공인프라시설(S)에 도달하는 시간정보 또는 거리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접근성을 정량화된 수치의 지표로 산출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은 도, 시, 구, 군, 읍, 면 동 등과 같은 행정지역일 수 있으며, 상기 레지던트섹터(RS)는 너비, 주거 환경, 인구 밀집도, 인구 분포 등을 기준으로 해당 특정지역을 복수 개로 구분하는 단위 객체일 수 있다.
특정 행정 지역의 너비가 크지 않고 인구수가 많지 않는 등의 경우 상기 레지던트섹터(RS)는 단일 개수일 수 있으나, 근접성 산출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주민 편의성 등이 더욱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특정 행정지역을 기준으로 복수 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국가 기반의 정보 체계와 상응할 수 있도록 상기 레지던트섹터(Resident Sector, RS)는 기초단위구를 기반으로 인구규모(최적 500명), 사회경제적 동질성(주택유형, 지가) 등을 고려하여 구축한 최소 통계 집계구역을 의미하는 집계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집계구를 정의하는 행정구역 정보와 현재(최신)의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적절한 보정 연산을 적용하여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된 공공인프라시설은 공원이 대표적인 예이나, 도시숲, 공원, 녹지, 도서관, 공공주차장, 생활체육시설, 복지시설, 교통망, 교통 편의시설 등과 같이 공공으로 이용되는 시설을 포괄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국가공간정보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형상정보, 속정정보, 인구정보를 GIS DB로 구축하고 다양한 1차 정보(인구, 3D 기반 형상정보, 통계, 교통망 등) 및 1차 정보를 가공한 복합정보 등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으로 클라이언트(200, 4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단말을 표상하는 클라이언트(200, 400)는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온라인 접속되는 피씨, 노트북 등의 단말(200)이 대표적이나,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앱(App)이 탑재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되어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출발지(레지던트섹터(RS))와 도착지(공공인프라시설(S)) 사이의 실제 이동거리정보 또는 이동시간정보(도보 또는 교통수단 베이스)를 주요한 파라미터로 활용한다.
이러한 실제 이동거리정보 등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API 서버(300)(daum, naver, google 등의 포털 API 서비스 서버 등)로 출발지의 아이디정보, 목적지의 아이디정보, 위경도정보 등을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레지던트섹터(RS)의 제1속성정보, 공공인프라시설(S)의 제2속성정보, 레지던트섹터(RS)와 공공인프라시설(S)의 사이의 물리적 거리정보(기하학적 직선거리) 및 실제 이동거리정보(이동시간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통계적 연산을 통하여 접근성 평가에 대한 정량화된 수치를 가지는 지표 등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다양한 시각적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속성정보는 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 형상정보, GIS정보, 통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공인프라시설(S)에 대한 제2속성정보는 위치정보, 형상정보, GIS정보, 카테고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새롭게 조성되거나 조성될 후보시설을 의미하는 신규공공인프라시설(SN)을 기준으로 접근성을 예측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기-구축된 DB의 활용도는 물론,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실질적 접근성 또한, 충실히 반영하여 정보 신뢰성과 정확성을 동시적으로 충족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등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고유한 프로세싱과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이동거리 산출이 요구되는 레지던트섹터를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속성정보DB부(110), 기초정보처리부(120), 입력부(130), 기하연수부(140), 메인처리부(150), 예측지표생성부(160) 및 지수연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온라인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근성 예측시스템(100) 또한, 이와 같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속성정보DB부(110)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S)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된다(S400, 도 4 참조).
레지던트섹터(RS)는 일정한 영역 내지 공간을 점유하거나 차지하는 형태가 되므로 해당 영역 내지 공간의 아웃라인 중 특정 포인트(다각형인 경우 꼭지점 등) 또는 최근접 공공인프라시설(S)과의 상호 관계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해당 레지던트섹터(RS)를 대표하는 위치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레지던트섹터(RS)에 속하는 거주자의 평균적 거리 등을 통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해당 레지던트섹터(RS)의 중심점 포인트가 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레지던트섹터(RS) 내 인구 분포 등이 기준값 이상 균등하지 않는 경우, 인구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에 그에 상응하는 가중치 등을 부여하여 해당 레지던트섹터(RS)의 기하학적 중심점 좌표를 편향(shift) 시킨 좌표정보를 해당 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해당 레지던트섹터(RS)의 실제 거주자의 현황을 더욱 실질적으로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공공인프라시설(S)의 위치정보 또한, 이와 상응하는 관점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공공인프라시설(S)에 대한 실제 출입은 게이트(gate)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복수 개 출입 게이트가 존재하고 기준 너비 이상을 가지는 공공인프라시설(S)의 경우, 출입 게이트의 좌표정보 등이 공공인프라시설(S)의 위치정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초정보처리부(120)는 실제 이동경로(인도 및/또는 차도 등)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RS)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S)(이하 '최근접시설'이라 지칭한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RS)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를 저장한다(S410).
레지던트섹터(RS)의 개수가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인 경우, 상기 기초정보처리부(120)에는 레지던트섹터(RS) 각각의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므로 N개의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프로파일정보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한국등록특허공보 10-2236869호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출발지 정보(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공공인프라시설(S)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정보를 API 서버(300)로 전송하고 API 서버(300)로부터 이동거리정보(이동시간정보)를 회신받는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200, 400)로부터 입력된(S415) 신규 공공인프라시설(S) 또는 후보/예정 공공인프라시설(이하 총칭하여 '신규공공시설'이라 지칭한다)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420) 본 발명의 기하연수부(140)는 상기 신규공공시설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RS)의 위치정보 사이의 직선거리인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한다(S430).
속성정보DB부(110)에 저장된 레지던트섹터(RS)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제1직선거리정보는 각 레지던트섹터(RS)와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직선거리으므로 기하연수부(140)는 N개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생성한다(S430).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레지던트섹터(RS)와 신규공공시설의 위치정보는 지도 좌표계의 위경도 정보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의 기하학적 직선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같은 간단한 수식으로 산출되므로 N의 개수가 상당히 크다고 하더라도 연산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 밀리 초(ms) 내지 수 초(s)에 지나지 않아 데이터 처리의 즉시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레지던트섹터(RS)와 제1위치정보(신규공공시설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가 산출되어 저장되면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은 기존 공공인프라시설(S)을 기준으로 각 레지던트섹터(RS)마다 생성되는 프로파일정보(최근접 공공인프라시설(S)과의 실제 이동거리정보)와 신규공공시설을 기준으로 각 레지던트섹터(RS)마다 생성되는 제1직선거리정보가 확보된다.
그 후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50)는 기 구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정보 및 신규공공시설과의 관계에서 산출된 제1직선거리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정보의 갱신이 요구되는 레지던트섹터(RS)를 정확히 선별하고 이 선별된 레지던트섹터(RS)만을 대상으로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프로파일정보의 갱신 여부를 진행한다(S480).
이하에서는 메인처리부(150)에서 수행되는 프로파일정보의 갱신 여부를 진행하는 본 발명의 프로세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메인처리부(150)의 일 구성인 선별부(151)는 각 레지던트섹터(RS)를 대상으로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와 상기 프로파일정보 사이의 대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S440) 그 결과, 전체 N개 레지던트섹터(RS) 중 제1직선거리정보가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레지던트섹터(RS)(이하 '대상섹터'라 지칭한다)를 선별한다(S450).
두 공간 사이의 기하학적 직선거리는 두 공간 사이의 이동경로거리보다 작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 추론이므로 대상섹터(“제1직선거리정보<자신의 프로파일정보”에 해당하는 레지던트섹터(RS))로 선별된 레지던트섹터(RS)의 개수가 전체 100(N=100)개 중 15개라고 가정하면 나머지 85개는 신규공공시설이 새롭게 조성된다고 하여도 이미 이동경로정보를 기준으로 직선거리(신규공공시설과의 거리)보다 작은(짧은) 공공인프라시설(S)이 존재하는 레지던트섹터(RS)에 해당한다.
즉, 이들 85개의 레지던트섹터(RS)는 신규공공시설이 조성된다고 가정하더라도 이 신규공공시설이 이동경로정보를 기준으로 최근접 공공인프라시설(S)이 될 확률이 극히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이들 85개의 레지던트섹터(RS)는 이미 그 이동거리(도보/차량)가 레지던트섹터(RS)와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짧은 다른 공공인프라시설(S)이 존재하는 레지던트섹터(RS)이므로 레지던트섹터(RS)와 신규공공시설의 직선거리보다 긴 이동경로정보를 생성(API서버와의 연계)할 필요성이 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도 6의 예를 기준으로 할 때, 제2레지던트섹터(RS)만이 프로파일정보가 제1직선거리정보가 작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2레지던트섹터(RS)만이 대상섹터가 된다.
이와 같이 전체 N개의 레지던트섹터(RS) 중 상기 조건에 보합되는 대상섹터가 선별되면(S450) 본 발명의 이동거리산출부(153)는 상기 대상섹터와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제1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한다(S460, S470).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상섹터의 위치정보와 신규공공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API 서버(300)로 전송하고 API 서버(300)의 연산 프로세싱(S465) 등을 통하여 피드백정보를 전송받는(S470)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아닌 종래 기술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100(N=100, 앞서 기술된 예 기준)개 레지던트섹터(RS) 각각과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이동거리정보가 산출되어야 한다. 즉, API 서버(300)로 100개의 리퀘스트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고 각 리퀘스트 신호에 따른 100개의 피드백정보를 전송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15개의 이동거리정보만 산출되면 되므로 데이터 처리의 속도와 효율성을 6.7(100/15)배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외부 서버에 대한 의존성을 6.7배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API 서버(300)의 연동 프로세싱 등을 통하여 전체 레지던트섹터(RS) 중 대상섹터에 해당하는 레지던트섹터(RS)만을 기준으로 하는 제1이동거리정보가 산출되면 본 발명의 갱신처리부(155)는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대상섹터만을 대상으로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로 갱신한다(S480).
도 6에 예시된 예의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API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제1이동거리정보 즉, #2레지던트섹터(RS)와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실제 이동거리정보가 2,800m인 경우 기존 프로파일정보 2,700m보다 큰 값이므로 기존 프로파일정보를 유지한다.
이와는 달리, 전송된 제1이동거리정보가 2,500m이라면 이 정보는 기존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값이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갱신처리부(155)는 새롭게 전송된 제1이동거리정보(2,500m)를 제2레지던트섹터(RS)의 프로파일정보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API 서버(300)로 전송하고 전송받는 데이터의 개수 내지 볼륨을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API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한 후속 프로세싱 또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공원을 조성할 후보지가 3군데라고 가정하고 각 후보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싱이 수행되었을 때, 프로파일정보가 변화된 개수가 10, 2, 1의 순서를 가진다면, 최근접 공공인프라시설(S)이 변화되는 즉, 더 가까운 위치에 공공인프라시설(S)이 조성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레지던트섹터(RS)가 첫 번째 후보지에서 가장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신규 공원의 부지로서의 첫 번째 후보지에 대한 파급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변화된 개수가 동수(同數)이거나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경우, 프로파일정보가 변화된 정량적 크기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더 우선시되어야 하는 후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측지표생성부(160)는 이와 같은 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처리부(155)에 의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갱신된 대상섹터의 개수정보 또는 갱신 전후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변화된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공공시설에 의한 접근성 향상을 표상하는 예측지표정보를 생성한다(S490).
이와 같이 생성된 예측지표정보 또는/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안내정보는 사용자(유저)단말(200, 400)로 전송되어(S495) GUI 환경 등으로 표출될(S497)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수연산부(170)는 하나 이상의 레지던트섹터(RS)를 포함하는 행정단위영역을 대상으로 접근성 지수를 생성하되, 상기 행정단위영역에 포함되는 객체섹터마다의 프로파일정보에 상응하는 이동시간정보와 항기 행정단위영역의 인구정보를 이용하여 접근성지수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특정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레지던트섹터(RS)의 프로파일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50)는 상기 접근성 지수가 갱신되어 산출되도록 상기 지수연산부(17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접근성 지수의 수정이 요구되는 이벤트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거리산출부(153)는 API 서버(300)로 대상섹터의 위치정보와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전송할 때, 신규공공시설의 개별 게이트에 대한 복수 개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이들 복수 개 위치정보 중 최단의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제1이동거리정보를 전송받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동거리정보는 간단한 함수관계를 통하여 이동시간정보와 연관되므로 실시형태에 따라서 API 서버(300)로부터 이동시간정보가 수신된다고 하여도 통상적인 속도(3~5km/h. 보행 기준)와의 연산을 통하여 이동거리정보가 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프로파일정보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 및 도 8은 프로파일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프로파일정보를 생성하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과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정보는 실제 이동거리(이동시간)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장소에 위치하는 공공인프라시설(S)과 레지던트섹터(RS) 사이의 이동거리정보를 의미하며, 이 프로파일정보는 N개 각각의 레지던트섹터(RS)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 중 하나로서 N개 각각의 레지던트섹터(RS)마다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성 예측시스템(100)의 일 구성으로서 프로파일정보를 처리하는 본 발명의 기초정보처리부(120)는 구체적으로 제1추출부(121), 거리산출부(123), 제2추출부(125) 및 프로파일생성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정 레지던트섹터(RS)와 M개 공공인프라시설(S) 사이의 이동거리를 산출(API 서버(300)와의 연동 프로세싱 등)하고, 이 M개의 이동거리 중 그 크기가 가장 작은 이동거리를 특정 레지던트섹터(RS)의 프로파일정보로 생성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종래 방법에 의할 때, N개의 레지던트섹터(RS)와 M개의 공공인프라시설(S)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N×M번의 관련 프로세싱(리퀘스트신호 생성, 전송, 피드백정보(실제이동거리정보) 수신, 연산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문제점 내지 비효율성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질적 접근성이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프로세싱 등을 제안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추출부(121)는 속성정보DB부(110)에 저장된 제1속성정보 및 제2속성정보를 이용하여 M개 공공인프라시설(S) 중 특정 레지던트섹터(RS)와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S)인 예비공공시설을 추출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속성정보는 N개 레지던트섹터(RS) 각각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의미하며, 제2속성정보는 M개 공공인프라시설(S) 각각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의미한다.
도 7의 예를 기준으로 할 때, 특정 레지던트섹터(RS)인 RS1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6개의 공공인프라시설(S)의 위치정보 사이의 기하학적 직선거리(D1~D6)를 산출한다. 도 7의 예시에서는 설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당 레지던트섹터(RS)와 공공인프라시설(S)의 중심점 좌표를 위치정보로 이용한다.
도 7의 예시에서는 #3공공인프라시설(S)이 직선거리(D3)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S)인 예비공공시설에 해당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위경도 정보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들을 기준으로 한 기하학적 직선거리는 극히 간단한 함수관계로 산출되므로 연산의 즉시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직선거리 산출을 위한 연산은 N개 레지던트섹터(RS)마다 수행된다.
이와 같이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S)인 예비공공시설이 확인되면, 본 발명의 거리산출부(123)는 해당 레지던트섹터(RS)와 예비공공시설 사이의 실제이동거리인 제2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한다(S520~S530).
제2이동거리의 산출은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API 서버(300)와의 관계에서 리퀘스트신호전송(S520), 이동거리 연산프로세싱(S525) 및 피드백정보(제2이동거리정보) 회신(S530) 등을 과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표시된 MD가 #1레지던트섹터(RS1)와 #3공공인프라시설(S) 사이의 실제 이동거리를 표상하는 제2이동거리정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1레지던트섹터(RS1)와 #3공공인프라시설(S) 사이의 실제 이동거리정보가 산출되면 본 발명의 제2추출부(125)는 상기 M개 공공인프라시설(S) 중 레지던트섹터와의 직선거리가 상기 제2이동거리정보 내에 위치하는 공공인프라시설인 후보공공시설을 추출한다(S54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선거리가 MD(제2이동거리정보) 이내에 위치하는 공공인프라시설(S)(후보공공시설)은 #2공공인프라시설(S), #3공공인프라시설(S), #5공공인프라시설(S)이 된다.
이와 같이 후보공공시설이 선별되면 본 발명의 프로파일생성부(127)는 이들 후보공공시설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API 서버(300)에 전송하고(S550) 이에 대한 피드백정보로 API 서버(300)로부터 제3이동거리정보(레지던트섹터(RS)와 후보공공시설 사이의 이동거리정보)를 전송받는(S560) 방법으로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상기 후보공공시설 사이의 제3이동거리정보를 생성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의 프로파일생성부(127)는 #2공공인프라시설(S2), #5공공인프라시설(S5)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신호를 API 서버(300)를 전송한다. MD 이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3공공인프라시설(S3)의 경우, 이미 그 이동거리정보(제2이동거리정보)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이 프로세싱(S550)에서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3이동거리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프로파일생성부(127)는 이들 제3이동거리정보 중 최단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레지던트섹터(RS)의 프로파일정보로 생성한다(S57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싱을 적용하는 경우, 모든 공공인프라시설(S)을 대상으로 실제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할 필요성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API 서버(300)와의 연동에 의하여 실제이동거리정보를 요청하고 전송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간소화시킬 수 있어 연산 처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직선거리와 실제 이동거리 사이의 상호 연관관계를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모든 공공인프라시설(S) 대상으로 실제 이동거리를 연산하지 않아도 그 실질적 접근성을 그대로 표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
100 : 본 발명의 접근성 예측시스템
200(400) : 사용자단말(유저단말) 300 : API 서버
110 : 속성정보DB부 120 : 기초정보처리부
121 : 제1추출부 123 : 거리산출부
125 : 제2추출부 127 : 프로파일생성부
130 : 입력부 140 : 기하연수부
150 : 메인처리부 151 : 선별부
153 : 이동거리산출부 155 : 갱신처리부
160 : 예측지표생성부 170 : 지수연산부

Claims (6)

  1.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되는 속성정보DB부;
    실제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최근접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처리부;
    신규 또는 예정 공공인프라시설인 신규공공시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기하연산부; 및
    상기 프로파일정보와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의 갱신 대상이 되는 레지던트섹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레지던트섹터의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갱신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와 상기 프로파일정보 사이의 대비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N개 레지던트섹터 중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레지던트섹터인 대상섹터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대상섹터와 상기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제1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동거리산출부; 및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대상섹터만을 대상으로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로 갱신하는 갱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처리부에 의하여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갱신된 대상섹터의 개수정보 또는 갱신 전후 상기 프로파일정보가 변화된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공공시설에 의한 접근성 향상을 표상하는 예측지표정보를 생성하는 예측지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 공공인프라시설 중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예비공공시설을 추출하는 제1추출부;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상기 예비공공시설 사이의 제2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M개 공공인프라시설 중 상기 레지던트섹터와의 직선거리가 상기 제2이동거리정보 내에 위치하는 공공인프라시설인 후보공공시설을 추출하는 제2추출부; 및
    상기 레지던트섹터와 상기 후보공공시설 사이의 제3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3이동거리정보 중 최단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프로파일정보로 생성하는 프로파일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는,
    상기 신규공공시설에 속한 개별 게이트와 상기 대상섹터 사이의 이동거리 중 최단의 이동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6.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정보 및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공공인프라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정보가 저장되는 속성정보저장단계;
    실제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레지던트섹터에 가장 근접한 공공인프라시설인 최근접시설과 해당 레지던트섹터 사이의 이동거리인 프로파일정보가 저장되는 기초정보처리단계;
    신규 또는 예정 공공인프라시설인 신규공공시설의 제1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레지던트섹터의 위치정보 사이의 제1직선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기하연산단계;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와 상기 프로파일정보 사이의 대비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N개 레지던트섹터 중 상기 제1직선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레지던트섹터인 대상섹터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대상섹터와 상기 신규공공시설 사이의 제1이동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동거리산출단계; 및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가 상기 프로파일정보보다 작은 대상섹터만을 대상으로 상기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제1이동거리정보로 갱신하는 갱신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인프라시설 접근성 예측방법.
KR1020210170511A 2021-12-02 가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271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511A KR102710167B1 (ko) 2021-12-02 가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511A KR102710167B1 (ko) 2021-12-02 가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752A true KR20230082752A (ko) 2023-06-09
KR102710167B1 KR102710167B1 (ko) 2024-09-2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69B1 (ko) 2019-12-30 2021-04-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69B1 (ko) 2019-12-30 2021-04-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91773B (zh) 建筑方案生成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RU2406158C2 (ru) Способы предсказания пунктов назначения из частичных траекторий, применяющие способы моделирования открытого и замкнутого мира
Chan et al. A station-level ridership model for the metro network in Montreal, Quebec
US9677904B2 (en) Generating travel time data
US20080097688A1 (en) Route generation based upon activity criteria
CN111275383B (zh) 一种配送范围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236869B1 (ko)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0175713B (zh) 分时租赁汽车用户出行目的预测方法
CN112418518A (zh) 基于时间特征权重和线网拓扑的客流预测方法及装置
CN110598917B (zh) 一种基于路径轨迹的目的地预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7886717A (zh) 一种停车诱导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0059860A (zh) 一种城市的公共充电站位置布局多目标优化方法
Dong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feature recognition of the metro-led underground space in China based on point of interest data
Dorosan et al. Use of machine learning in understanding transport dynamics of land use and public transportation in a developing city
Zhu et al. Ridership prediction of urban rail transit stations based on AFC and POI data
Wen et al. Research on urban road network evaluation based on fractal analysis
CN116129643B (zh) 一种公交车出行特征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Li et al.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Property Walking Accessibility on Housing Affordability and Equity: Evidence from Shanghai, China
KR20230082752A (ko) 가변 파마리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2710167B1 (ko) 가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공공시설 접근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CN116070738A (zh) 基于轨迹预测的城市移动充电桩的迁移方法和系统
KR102156809B1 (ko) 위치 표현 방법 및 시스템
CN114007186A (zh) 定位方法及相关产品
Zhou et al. Design of intelligent carpooling progra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nd multi-information perception
You et al. [Retracted]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al Public Service Facilities with Two‐Step Mobile Search Taking Hetao District of Ganzhou City as an Ex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