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59B1 -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59B1
KR102621659B1 KR1020220136954A KR20220136954A KR102621659B1 KR 102621659 B1 KR102621659 B1 KR 102621659B1 KR 1020220136954 A KR1020220136954 A KR 1020220136954A KR 20220136954 A KR20220136954 A KR 20220136954A KR 102621659 B1 KR102621659 B1 KR 10262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building
image
constructe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인환
Original Assignee
(주)감성도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감성도시디자인 filed Critical (주)감성도시디자인
Priority to KR102022013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61Scene descri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복수의 조망 지점에서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LANDSCAPE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집합 건물, 상가, 주상복합 건물 등은 실제 건설이 완료되기 전 특정 비율로 축소된 모델링된 조형물이나 모델 하우스(견본 주택)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형물이나 모델 하우스를 통하여 그 형태, 구조, 조경 환경은 물론, 건물 주변과 건물 주변의 시장적 환경 등을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건축물이 완성되기 전에는 건물의 실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변 건물들이나 공원 등과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는 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이 배치될 대상지 이미지에 건물 모델링 이미지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 이미지 영상을 제공하는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복수의 조망 지점에서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 및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할 수 있는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는 조망점 선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상기 조망 지점에서 각각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이미지인 대상지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대상지 이미지 획득부; 3차원 건물 모델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건물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대상지 이미지에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망점 선정부는,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의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이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여 상기 지도 이미지에서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고,
상기 복수의 조망 지점은,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3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인 근경 조망 지점,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6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인 중경 조망 지점 및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700m 이상 떨어진 지점인 원경 조망 지점을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이 완공되기 전에 건물이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입면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 및 관리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웹브라우징 기능이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운영체제와 연동되는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브라우저는 운영체제와 함께 기본적으로 설치된 기본 브라우저이거나, 기본 브라우저와는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설치된 브라우저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러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 및 관리 서버(2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의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웹페이지의 전송 경로가 되는 망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는 조망점 선정부(21), 대상지 이미지 획득부(22), 건물 이미지 획득부(23) 및 시뮬레이션 이미지 생성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망점 선정부(21)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 및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망점 선정부(21)는 근경, 중경 및 원경으로 분류되는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근경 조망 지점은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3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이고, 중경 지점은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6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이고, 원경 지점은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700m 이상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조망점은 상위계획에서 제시하는 지점, 도로의 결점 점, 도로 진입부 등 이용빈도가 높은 지점, 입지적 중요성과 보행자의 행태 및 활동 빈도가 높은 지점, 주변지역의 특성이 고려된 경관 분석을 할 수 있는 지점 등으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망점 선정부(21)는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 및 조망 지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망 지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의 주소를 입력하면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이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지도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대상지 이미지 획득부(22)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조망 지점에서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이미지인 대상지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자체적으로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지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대상지 이미지를 획득하여 대상지 이미지 획득부(22)로 전송할 수 있다.
건물 이미지 획득부(23)는 3차원 건물 모델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건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이미지 생성부(24)는 대상지 이미지에 건물 이미지를 합성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통해 조망 지점에서 건물이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1)은 건물이 완공되기 전에 건물이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입면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 및 관리 서버(20)의 구성에 더하여 촬영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관리 서버(2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 또는 관리 서버(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 또는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장치(30)는 관리 서버(20)로 대상지 이미지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30)는 촬영부(31) 및 거치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31)는 통상의 카메라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거치부(35)는 촬영부(31)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촬영부(31)가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삼각대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35)는 삼각대 형태로 펼쳐지는 다리부(351)의 단부에 사용자의 버튼 바아(355) 회전 조작에 따라 출몰되는 지지 블록(35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블록(353)은 사용자의 버튼 바아(355) 회전 조작에 따라 출몰됨으로써 3 개의 다리부(351)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블록(351)은 다리부(351)에 내장되는 지지 플레이트(354)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54)는 일단에 회전 봉(352)이 삽입되어 회전 봉(35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다리부(351)에 내장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봉(352)은 다리부(351)에 세워진 상태로 내장될 수 있으며, 회전봉(352)의 단부는 기어(356)를 통해 버튼 바아(355)와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바아(355)는 다리부(351)에 내장되되,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내장될 수 있으며, 일단이 다리부(35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버튼 바아(355)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어(356)를 통해 회전 봉(352)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 봉(352)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지지 플레이트(35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 블록(351)이 다리부(35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 봉(35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 블록(351)의 돌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3 개의 다리부(351) 간에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거치부(35)는 촬영부(31)가 설치되는 경우, 촬영부(31)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압부(3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31)는 거치부(35)의 상단에 형성되는 접속 단자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부(361)는 접속 단자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61)는 적어도 일부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지고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61)는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홀(362)을 통해 공급 노즐(363)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급 노즐(363)은 외부의 공기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에 의해 가압부(361)로 공기를 공급하여 가압부(361)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361)는 접속 단자에 삽입 설치된 촬영부(31)의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촬영부(3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
20: 관리 서버

Claims (3)

  1. 복수의 조망 지점에서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 및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할 수 있는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는 조망점 선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상기 조망 지점에서 각각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을 조망하는 이미지인 대상지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대상지 이미지 획득부;
    3차원 건물 모델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건물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대상지 이미지에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망점 선정부는,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의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이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여 상기 지도 이미지에서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복수의 조망 지점을 입력 받고,
    상기 복수의 조망 지점은,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3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인 근경 조망 지점,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6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점인 중경 조망 지점 및 상기 건물이 건설되는 지점으로부터 700m 이상 떨어진 지점인 원경 조망 지점을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삼각대 형태로 펼쳐지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내장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버튼 바아 회전 조작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다리부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일단에 회전 봉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리부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회전 봉은,
    상기 다리부에 세워진 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회전 봉의 단부가 기어를 통해 상기 버튼 바아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 바아는,
    상기 다리부에 내장되되,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내장되고,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 봉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 봉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다리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촬영부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촬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접속 단자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지고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홀을 통해 공급 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 노즐을 통한 외부 공기의 공급으로 팽창하여 상기 촬영부의 일부를 가압하는,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6954A 2022-10-23 2022-10-23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62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54A KR102621659B1 (ko) 2022-10-23 2022-10-23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54A KR102621659B1 (ko) 2022-10-23 2022-10-23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659B1 true KR102621659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54A KR102621659B1 (ko) 2022-10-23 2022-10-23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2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아나나스 모델링 기반 vr을 이용한 건축물 종합정보제공시스템
KR102177404B1 (ko) * 2020-04-23 2020-11-12 주식회사 테크트리 이노베이션 실제지도정보 기반 입지정보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210097307A (ko) * 2020-01-30 2021-08-09 윤재풍 부동산 건축 시뮬레이션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2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아나나스 모델링 기반 vr을 이용한 건축물 종합정보제공시스템
KR20210097307A (ko) * 2020-01-30 2021-08-09 윤재풍 부동산 건축 시뮬레이션 서비스 방법
KR102177404B1 (ko) * 2020-04-23 2020-11-12 주식회사 테크트리 이노베이션 실제지도정보 기반 입지정보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392B1 (ko)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064545B (zh) 一种对房屋进行数据采集和模型生成的方法及装置
KR101839111B1 (ko) Bim 기반 건축물 정보 제공 시스템
CN110291799A (zh) 用于无线网络的触觉增强现实辅助的自服务
CN104887155A (zh) 智能扫地机
CN104484327A (zh) 一种项目工程的环境展示方法
KR20120038316A (ko) A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3514621B (zh) 案、事件场景全真动态3d再现方法及重构系统
EP3070625B1 (en) Image-recognition-based guidance for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and other enviroments
KR1014125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0912367B1 (ko) 홈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470037A (zh) 一种多维度的三维场景展示方法及装置
CN102968816A (zh) 一种将三维实景漫游技术用于电力设备状态可视化的方法
CN109462736A (zh) 一种基于bim+gis建模的路桥工程建设视频会议管理方法及系统
KR102621659B1 (ko) 경관 시뮬레이션 시스템
JP2014240754A (ja) 気象情報提供装置及び気象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KR20230124878A (ko)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JP2016194784A (ja) 画像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108972A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einl A Retrospective on ASPires: An Advanced System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Forest Fires
JP2005204124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5100066A (zh) 一种WiFi风险展示方法及装置
KR102477783B1 (ko) 디지털 트윈에 기반한 메타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Martinussen Making material of the networked city
AU2019101803A4 (en) A contained area network and a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