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515B1 -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515B1
KR101412515B1 KR1020130113887A KR20130113887A KR101412515B1 KR 101412515 B1 KR101412515 B1 KR 101412515B1 KR 1020130113887 A KR1020130113887 A KR 1020130113887A KR 20130113887 A KR20130113887 A KR 20130113887A KR 101412515 B1 KR101412515 B1 KR 10141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building
augmented reality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별하
Original Assignee
김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별하 filed Critical 김별하
Priority to KR102013011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의하여 아파트 건설프로젝트 현장에 표시된 logo 또는 mark를 인식하고 GPS 좌표정보를 확인 후 해당 서버에 자동 접속하므로 아파트 공사현장에 적용되는 건축물 공사정보를 모델하우스 설치, 공사착공 전, 공사진행 중, 공사완공 후의 단계별 또는 시점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증강현실로 안내하므로 아파트의 홍보와 판촉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공사현장에 표시된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인공위성에 의한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확인하며 과거, 현재, 미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로 요청하여 확인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접속하고 공사현장의 주변 이미지, 시점별 공사진행 이미지, 건축물 공사 정보를 선택된 시점의 증강현실 컨텐츠로 제공하여 전달하는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진행되는 공사현황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현장에서와 같이 체험 확인하므로 홍보 효과를 높이고 건설에 관련된 대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Augmented reality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for public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 컴퓨터가 포함된 단말기를 사용하여 아파트 건설프로젝트 현장에 표시된 로고(logo) 또는 마크(mark)를 인식하고 지피에스(GPS) 좌표정보를 확인한 후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자동 접속하므로 아파트 공사현장에 적용되는 설계, 공법, 공정률, 공사진행 현황, 공사현황 이미지, 공사기간, 공사완공 후의 건물과 주변모습, 세대수, 평수, 분양가격 등의 정보를 모델하우스 설치, 공사착공 전, 공사진행 중, 공사완공 후의 단계별, 시점별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증강현실로 안내하므로 소비자가 아파트 공사의 진척현황, 완공 후 상태, 각 세대의 내부구조를 직접 경험하고 확인하므로 아파트 홍보와 판촉효과를 높이게 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기술과 이미지 처리기술과 정보통신 기술 등의 발전 및 발달은 과거에 시도하기 어려웠었던 대용량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 처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한 분야이며 실제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에 가상 사물을 합성시켜 3 차원(3D)의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 중에 하나이다.
증강현실은 제공되는 이미지 콘텐츠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 같이 표시되면서 360도 모든 방향으로 회전시켜 관찰하면서 경험하거나 360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관찰하는 것처럼 경험하거나 또는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관찰하는 것처럼 경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의 한 분야이다.
가상현실(VR)은 현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사전에 미리 구축해 놓은 가상공간에서 대상체 또는 객체(object)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컴퓨터 그래픽이다.
한편, 증강현실(AR)은 실제 환경과 가상의 사물을 실시간으로 합성된 상태로 노출시켜 보여주는 것으로 현실세계 정보(증강정보)를 가상세계 정보로 보완해주는 개념의 컴퓨터 그래픽이며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세계의 환경이다.
즉, 증강현실(AR)은 실제로 관찰되는 현실세계의 영상 또는 실사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이라는 특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3 차원 가상영상을 정합(register)시켜 표현하므로 현실세계의 현실적 환경과 가상세계의 가상적 환경에 대한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실제환경이 보다 증강되어 개선된 이미지로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특정 지역 또는 실제 상품 등의 정보에 대하여 관찰자가 신속하고 빠르며 편리하게 상황 판단하도록 응용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은 널리 알려져 있고 쉽게 알 수 있는 기술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종래기술로 특허등록 제10-0980202호(2010년 08월 30일 등록)에 의한 것으로“3차원 가상물체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카메라, 영상처리부, 디스플레이부, 인터렉션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카메라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부착된 것이고, 영상처리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 위에 3 차원 가상물체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부는 3 차원 가상물체와 손의 영상을 출력하고, 인터렉션부는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3 차원 가상물체를 제어한다.
종래기술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3 차원 가상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고,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무게감 및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증강현실에 의한 실제감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증강현실에 의한 사실적 컨텐츠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증강현실에 의하여 이질감 없는 사실적 이미지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0202호(2010.08.30.) “3차원 가상물체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건축물 건설프로젝트 공사현장에 표시된 로고 또는 마크를 스캔한 단말기가 건설사에 설치된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접속하므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공사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모델하우스와 같이 해당 건축물의 지정된 세대 내부에 직접 들어가서 완공된 상태의 내부를 증강현실로 직접 경험 또는 확인하고 건설공사의 진척상황을 점검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은 공사현장에 표시된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인공위성에 의한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확인하며 과거, 현재, 미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증강현실로 요청하여 확인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접속하며 상기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공사진행에 의한 건축물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건축물 공사정보를 선택된 시점별로 검색하고 상기 단말기의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한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루어진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공사진행에 의한 건축물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해당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해당 시점별로 각각 입력하고 서로 연계시켜 위치기반 컨텐츠로 저장하며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공사현장의 상기 건축물 공사정보를 해당 좌표정보, 이미지, 오디오, 시간정보와 함께 할당된 영역에 위치기반 컨텐츠 정보로 저장하며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공사현장의 주변 이미지, 공사진행 시점별 이미지를 각각 촬영하며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시점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고 출력하는 촬영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C)가 포함되고, 상기 통신망은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공사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설계, 공법, 공정률, 공사진행현황, 공사기간, 설계된 각 세대의 모습과 주변모습, 세대수, 넓이, 층수, 각 세대별 분양가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단말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 촬영장치가 포함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한 공사현장과 인근의 주변 이미지와 수집된 공사현장의 넓이, 인근 주변환경에 의한 입지조건이 포함된 정보 조사과정의 아파트 건축물에 대한 시점별 공사정보를 오디오와 문자와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각각 입력하고 해당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연계된 위치기반 컨텐츠로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아파트의 건축물 공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아파트에 의한 건축물의 공사기간, 세대수, 공법이 포함된 계획과정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시점별로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계획과정에 의한 상기 건축물의 공사 계획이 확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상기 건축물의 공사 계획이 확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축물의 설계정보, 각 세대별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렌더링된 이미지, 완공 후 주변 이미지에 대한 렌더링 정보를 각각 시점별로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공사진행에 따른 시점별 촬영 이미지, 공정률이 포함된 현황에 의한 건축물 공사정보를 해당 좌표정보와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증강현실 루틴을 운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루틴은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건축물 공사현장에 표시되고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한 후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1 과정;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건축물 증강현실 앱이 설치되어 운용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앱이 설치와 운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앱을 다운로드 시켜 자동으로 설치와 운용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과거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지정된 과거 시점 또는 현재 시점 이전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 제공하는 제 13 단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현재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점 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미래 시점의 공사현장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미래 시점 또는 현재 이후의 상황으로 판단되는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공사정보는 상기 건축물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건축물 공사이전에 촬영된 이미지, 넓이, 인근 주변 현황, 건축물의 설계정보, 공법, 공정률, 공사진행에 의한 인근 주변과 현장의 이미지, 공사진행 현황, 공사기간, 설계된 인근 주변 모습, 세대별 넓이, 층수, 세대수, 주차장 면적, 주차장의 렌더링된 모습, 분양가격, 렌더링된 각 세대별 내부 모습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건축물 건설프로젝트 공사현장 또는 모델하우스에 표시된 로고 또는 마크를 단말기로 스캔하여 건설사에 구비된 증강현실 서버에 자동 접속하므로 진행되는 공사현황 정보를 실제 현장에서와 같이 확인하고 건설의 진척 현황 등을 확인하면서 체험하므로 홍보의 효과를 높이고 건설에 관련된 대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건설프로젝트는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을 건설하는 프로젝트(Project, 과제)를 설명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건설에 관련된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시점(일자가 포함된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과거 시점의 경우에도 매우 다양한 시점으로 구분되고, 현재 시점은 현재 또는 가장 최근 시점일 수 있으며, 미래의 경우에도 매우 다양한 시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은 아파트를 포함하며 일반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 기간산업시설, 항만, 공항, 경기장, 쇼핑몰, 호텔, 터미널, 발전소, 도로, 토목공사 등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고 설명과 이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예시가 포함된 것을 건축물이라고 기재하고 아파트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증강현실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1000)은 단말기(1100), 인공위성(1200), 통신망(1300), 건축현장 증강현실서버(1400),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150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1600), 촬영장치(17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아파트 등의 건설현장에는 안전을 위하여 담, 가림막, 등이 설치되거나 장애물이 쌓여 있으므로 현장을 보고 싶어하는 일반인이 볼 수 없고, 현장 확인을 못 하는 일반인은 아파트의 실제 공사 현장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인한 정보 부재로 계약을 쉽게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아파트 건설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고객이 확인하거나 진행현황을 직접 확인한 경우 아파트의 구매계약이 쉽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아파트의 세대를 계약 또는 구매한 고객의 경우에도 자신이 입주할 세대의 공사가 진행되었는지 또는 언제 공사 될 예정인지, 내부 인테리어가 공사 되었는지, 설계정보, 공사를 진행하는 공법, 공정률, 공사진행에 의한 인근 주변과 현장의 이미지, 공사진행 현황, 공사기간, 설계된 인근 주변의 모습, 세대수, 세대별 넓이, 층수, 주차장 면적, 주차장의 렌더링된 모습, 놀이터 등을 포함하는 주변 공공시설, 분양가격, 렌더링된 각 세대별 내부 모습이 포함되는 모든 내용의 건축물 공사정보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어하고 이러한 정보 확인을 위하여 건설사 현장에 전화 등으로 문의하거나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내용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위치기반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서비스하는 것이다.
여기서 렌더링은 아파트 디지털 이미지의 벽, 바닥, 천장, 내수 시설물 등을 색칠하여 실제 건설이 완성된 현장에 위치한 것과 같은 느낌을 받도록 하는 이미지 처리 기술이다. 증강현실은 이와 같이 렌더링된 아파트 이미지 속에 단말기를 사용하는 고객이 단말기의 좌표정보 또는 지정한 좌표정보의 위치에 직접 위치한 것과 같은 느낌으로 현장을 답사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설계된 모습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렌더링 상태이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공사진행 현황 정보에 고객 또는 잠재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경우 고객은 안심할 수 있으며 주변에 해당 정보를 홍보 또는 전파하여 아파트의 판매 계약이 촉진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건설공사 현장의 특수성과 위험성 등에 의하여 건축물 공사정보를 계약자가 포함된 고객 또는 잠재고객이 포함된 일반인에게 제공하기 어려움이 있어 아파트 판촉을 위한 홍보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현장 또는 모델 하우스에 표시된 로고(logo), 마크(mark)를 스마트폰, 태블릿이 포함된 단말기(1100)로 스캔하고 단말기(1100)는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에 접속하여 건축물 증강현실 앱(app)을 설치하므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에 의하여 건축물 특히, 아파트의 과거, 현재, 미래에 의한 건축물 공사정보와 각 세대, 주변 공공시설, 주차장 시설 등을 실제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것과 같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1100)는 이동통신에 가입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인터넷에 접속되는 개인 컴퓨터(PC), 데이터 단말기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단말기(1100)는 큐알코드(QR code) 등을 스캔하여 인식하는 기능과 인공위성(1200)에 접속하여 인공위성이 방송하는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경도, 위도, 해발이 포함된 좌표정보로 분석하고 시간 등을 확인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설명한다.
큐알코드는 2 차원적인 바코드(Bar-code) 보다 더 진보된 것으로 흑백의 크기가 다른 네모 모양을 다양하게 배치(배열)한 패턴 이미지를 이용하여 약 4 천 바이트(Byte) 정도의 정보를 코드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큐알코드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스캐너로 읽어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해독할 수 있으며 1994년에 덴소 웨이브가 개발하였고, 1997년 10월 AIM International 표준이 되었으며 1998년 3월 JEIDA규격 2000년 6월 ISO/IEC 18004 표준 규격이 되었고 일반인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알려진 기술이다.
여기서 아파트 건설프로젝트 현장에 표시된 로고(logo) 또는 마크(mark)에는 큐알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큐알코드에는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에 무선인터넷 등을 통하여 접속하고 건축물 증강현실 앱을 다운로드 받아 자동으로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도록 인증받고 허용받는 해당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설명한다.
앱(app)은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일종이며 애플릿으로도 불리고 스마트폰과 같이 메모리가 포함된 자원(resource)의 규모가 작은 데이터 단말기 등에서 운용될 수 있는 소규모 응용프로그램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공위성(1200)은 지구의 저궤도를 회전하는 다수의 인공위성이 좌표정보로 분석될 수 있는 정보를 방송하는 지피에스(GPS) 인공위성이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통신망(13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이 포함된 무선통신망과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이 포함된 유선통신망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통신망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는 통신망(1300)을 경유하여 단말기(1100)와 접속하고 공사현장의 주변 이미지, 시점별 공사진행 이미지, 건축물 공사 정보를 선택된 시점의 증강현실 컨텐츠로 제공하여 전달한다. 여기서 선택된 시점은 과거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이거나 현재시점이거나 미래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일 수 있고, 증강현실 컨텐츠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므로 이미 설명한 증강현실(AR) 기술과 동일하다.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는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입력하고 단말기가 요구하는 건설현장의 건축물 정보를 증강현실(AR)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신호, 비디오 컨텐츠 신호, 문자 컨텐츠 신호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촬영장치(1700)는 공사현장의 주변 이미지, 과거와 현재로 구분되는 각 시점별 공사진행 이미지를 각각 촬영하고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시간 정보를 연계시켜 접속된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1500)에 제공한다.
촬영장치(1700)는 공사현장에 건설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해당하는 과거 시점의 이미지와 건설공사가 진행되는 시점별 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시에 촬영된 위치에서의 해당 좌표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촬영장치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하지만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설정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촬영할 수도 있으며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1500)는 촬영장치(1700)가 공사현장의 주변 이미지, 시점별 공사진행 이미지와 해당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접속된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에 검색 및 요청에 의하여 제공한다.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1600)는 공사현장의 각종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공사정보를 해당 좌표정보, 오디오 정보와 함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접속된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의 검색과 요청에 의하여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1100),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1400),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150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1600), 촬영장치(1700)가 포함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는 촬영장치가 촬영한 공사현장과 주변의 이미지, 공사현장의 넓이, 입지조건 등이 포함된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S2010), 수집된 컨텐츠에 해당되는 좌표정보를 촬영장치로부터 수집한다(S2020). 여기서 수집은 제공받는 것일 수 있다.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는 수집된 컨텐츠 정보와 좌표정보를 연계시켜 위치기반 컨텐츠로 변환시킨 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203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는 공사현장에 건축물공사가 진행되는 해당 정보가 입력되는지 또는 입력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S204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는 해당 정보가 입력되므로 건축물 공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건축물의 공사기간, 세대수, 공법이 포함된 건축공사 계획의 정보를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S2050), 건축공사 계획이 확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6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는 건축공사 계획이 확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건축물 설계정보, 건축물의 각 세대별 렌더링 정보, 주차장의 렌더링 정보, 놀이터를 포함하는 주변 공익시설의 렌더링 정보, 완공 후 건축물 및 주변환경 이미지의 렌더링 정보 등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2070).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는 건축물의 공사진행에 따른 시점별 촬영된 이미지, 연산된 공정률, 각 시점별 다양한 공사 현황정보를 해당 좌표정보와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한다(S2080).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는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S2090), 증강현실 루틴을 운용하며(S2100), 증강현실 루틴의 운용은 건축물의 공사가 완공될 때까지 계속된다(S2110).
한편, 증강현실 루틴은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운영되는 것으로 단말기가 건축물 공사현장에 표시되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한 상태로 접속하는지를 판단한다(S3010, S3020).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는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하면 단말기에 건축물 증강현실 앱이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30).
이때,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는 접속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앱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확인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가 단말기에 건축물 증강현실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접속된 단말기에 건축물 증강현실 앱을 무선으로 다운로드시키고 자동으로 설치되어 운용되도록 제어와 감시한다(S3040).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는 단말기가 공사현장의 과거 시점의 건축물 공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050),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지정된 과거 시점 또는 현재 시점 이전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S3060).
그리고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단말기가 공사현장의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건축물 공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3070),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현재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S3080).
또한,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단말기가 공사현장의 미래 시점에 해당하는 건축물 공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3090),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지정된 미래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S3100).
증강현실은 렌더링된 가상의 건축물 각 세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 일 실시 예로, 거실, 주방, 안방, 건너방, 화장실, 욕실, 테라스 등을 이동하면서 전후좌우와 상하 등을 관찰하고 문을 여닫을 수 있으며 창밖으로 보이는 경치를 감상할 수 있으며 주차장 시설, 노인정, 놀이터 등의 시설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이 완공되기 이전에 편리성, 장점 등등을 홍보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판촉과 계약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
1100 : 단말기 1200 : 인공위성
1300 : 통신망 1400 :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
1500 :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 1600 :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
1700 : 촬영장치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공사현장에 큐알코드가 포함되어 표시된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인공위성에 의한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확인하며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증강현실 앱으로 과거, 현재, 미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증강현실로 요청하여 확인하며 이동통신에 가입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접속하며 상기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공사진행에 의한 건축물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건축물 공사정보를 선택된 시점별로 검색하고 상기 단말기의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한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루어진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공사진행에 의한 건축물과 인근 주변의 이미지, 해당 지피에스 좌표정보를 해당 시점별로 각각 입력하고 서로 연계시켜 위치기반 컨텐츠로 저장하며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공사현장의 상기 건축물 공사정보를 해당 좌표정보, 이미지, 오디오, 시간정보와 함께 할당된 영역에 위치기반 컨텐츠 정보로 저장하며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공사현장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며 주변 이미지, 공사진행 시점별 정지영상 이미지를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각각 촬영하며 촬영위치에서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시점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고 출력하는 촬영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C)가 포함되고,
    상기 통신망은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이 포함되며,
    상기 건축물은 아파트를 포함하는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물, 기간산업시설, 항만, 공항, 경기장, 쇼핑몰, 호텔, 터미널, 발전소, 도로, 토목공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한 공사현장과 인근의 주변 이미지와 수집된 공사현장의 넓이, 인근 주변환경에 의한 입지조건이 포함된 정보 조사과정의 아파트 건축물에 대한 시점별 공사정보를 오디오와 문자와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각각 입력하고 해당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연계된 위치기반 컨텐츠로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아파트의 건축물 공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아파트에 의한 건축물의 공사기간, 세대수, 공법이 포함된 계획과정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시점별로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계획과정에 의한 상기 건축물의 공사 계획이 확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의하여 상기 건축물의 공사 계획이 확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축물의 설계정보, 각 세대별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렌더링된 이미지, 완공 후 주변 이미지에 대한 렌더링 정보를 각각 시점별로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공사진행에 따른 시점별 촬영 이미지, 공정률이 포함된 현황에 의한 건축물 공사정보를 해당 좌표정보와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증강현실 루틴을 운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루틴은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건축물 공사현장에 표시되고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로고 또는 마크의 이미지를 스캔한 후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건축물 증강현실 앱이 설치되어 운용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앱이 설치와 운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앱을 다운로드 시켜 자동으로 설치와 운용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과거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지정된 과거 시점 또는 현재 시점 이전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 제공하는 제 13 단계;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현재 시점의 건축물 공사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점 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건축현장 증강현실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가 접속하고 미래 시점의 공사현장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서버와 상기 공사현장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미래 시점 또는 현재 이후의 상황으로 판단되는 건축물 공사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좌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 공사정보는
    상기 건축물 공사현장과 인근 주변의 건축물 공사이전에 촬영된 이미지, 넓이, 인근 주변 현황, 건축물의 설계정보, 공법, 공정률, 공사진행에 의한 인근 주변과 현장의 이미지, 공사진행 현황, 공사기간, 설계된 인근 주변 모습, 세대별 넓이, 층수, 세대수, 주차장 면적, 주차장의 렌더링된 모습, 분양가격, 렌더링된 각 세대별 내부 모습과 각 세대별 분양가격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30113887A 2013-09-25 2013-09-25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41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887A KR101412515B1 (ko) 2013-09-25 2013-09-25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887A KR101412515B1 (ko) 2013-09-25 2013-09-25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515B1 true KR101412515B1 (ko) 2014-07-09

Family

ID=5174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887A KR101412515B1 (ko) 2013-09-25 2013-09-25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51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0896A1 (en) * 2015-04-01 2016-10-06 Caterpillar Inc. Time-shift controlled visualization of worksite operations
KR101844533B1 (ko) * 2016-04-22 2018-04-03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축 현장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시간 건축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현장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시간 건축 현장 모니터링 방법
KR101934315B1 (ko) * 2018-05-23 2019-01-02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Ict 기반 ar을 이용한 건설 유지 관리 원스톱 시스템
CN111311741A (zh) * 2020-03-23 2020-06-19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交互式室内空间构建装置及方法
KR20210041146A (ko) 2019-10-04 2021-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현장용 사진기반 데이터 추적관리 시스템 및 추적관리방법
KR20220001376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드론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 홍보 장치
CN115660510A (zh) * 2022-12-28 2023-01-31 北京东方广厦模块化房屋有限公司 一种方舱医院建筑质量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43A (ko) * 2004-03-24 2005-09-28 고호은 4차원 건설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관리정보제공방법
KR20120042306A (ko) * 2010-10-25 2012-05-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부동산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2820A (ko) * 2010-12-24 2012-07-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과거 및 미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43A (ko) * 2004-03-24 2005-09-28 고호은 4차원 건설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관리정보제공방법
KR20120042306A (ko) * 2010-10-25 2012-05-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부동산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2820A (ko) * 2010-12-24 2012-07-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과거 및 미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2006.02) *
논문1(2006.02)*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0896A1 (en) * 2015-04-01 2016-10-06 Caterpillar Inc. Time-shift controlled visualization of worksite operations
KR101844533B1 (ko) * 2016-04-22 2018-04-03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축 현장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시간 건축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현장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시간 건축 현장 모니터링 방법
KR101934315B1 (ko) * 2018-05-23 2019-01-02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Ict 기반 ar을 이용한 건설 유지 관리 원스톱 시스템
KR20210041146A (ko) 2019-10-04 2021-04-15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현장용 사진기반 데이터 추적관리 시스템 및 추적관리방법
CN111311741A (zh) * 2020-03-23 2020-06-19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交互式室内空间构建装置及方法
CN111311741B (zh) * 2020-03-23 2023-07-07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交互式室内空间构建装置及方法
KR20220001376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드론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 홍보 장치
KR102489564B1 (ko) * 2020-06-29 2023-01-18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드론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 홍보 장치
CN115660510A (zh) * 2022-12-28 2023-01-31 北京东方广厦模块化房屋有限公司 一种方舱医院建筑质量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5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 정보 전달 홍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JP5334911B2 (ja) 3次元地図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地図画像生成システム
US8947421B2 (en) Method and server computer for generating map images for creating virtual spaces representing the real world
US10368197B2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on the basis of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1857222B1 (ko) 혼합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42057A1 (zh) 远程全景看房方法、装置、用户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20100433A (ko) 사용자 정보와 3차원 지아이에스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81967B1 (ko) 고유식별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실시간 거리뷰시스템
CN104517001A (zh) 一种基于浏览器的用于展示待建成建筑信息的方法
KR101839111B1 (ko) Bim 기반 건축물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1084720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a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engine and product monetization therefrom
CA30878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agging building features in a 3d space
EP2871606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1128774A (ja) 電子クーポン配布サーバ、電子クーポン配布システム、電子クーポン配布方法、及び電子クーポン配布プログラム
KR20230124878A (ko)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KR102266541B1 (ko) 모델링 기반 vr을 이용한 건축물 종합정보제공시스템
KR101436914B1 (ko) 가상 체험 시스템
JP2019016100A (ja) データ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55620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360도 vr 컨텐츠 제공방법
CN113496038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看房系统及方法
KR102184718B1 (ko) 거래처 중심의 건축물 설계감리 업무 제공 시스템
KR102567857B1 (ko) 확장현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8900609B (zh) 一种业务审批方法、服务器、客户端及存储介质
CN109902337B (zh) 一种用于提供建筑物信息建模数据的方法和系统
KR20230076479A (ko) 조경 설계 지원 시스템과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