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89B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89B1
KR102621589B1 KR1020210127259A KR20210127259A KR102621589B1 KR 102621589 B1 KR102621589 B1 KR 102621589B1 KR 1020210127259 A KR1020210127259 A KR 1020210127259A KR 20210127259 A KR20210127259 A KR 20210127259A KR 102621589 B1 KR102621589 B1 KR 10262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enclosure
present
nois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748A (ko
Inventor
이정재
김종원
김광현
박헌준
김동석
Original Assignee
크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6Noise absorbers by mean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공기의 유입구(102)와 유출구(104)가 형성된 함체(105); 상기 함체(105)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격판(200); 상기 함체 내벽에 위치하는 소음 흡수부(400);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기 {SILENCER}
본 발명은 소음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난방기와 각종 산업시설에 설치되어 공기의 빠른 흐름이나 압력 차이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소음기 함체 내에 흠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음부재의 유동을 막아 소음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공압장치용 소음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공압장치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함체에서 저압으로 되고 상기 함체 내부의 내장된 흡음부재에 의하여 흡음이 이루어지며 함체에 형성된 배출통공들을 통하여 저압의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함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함체 내부에 상기 공압장치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될 때 상기 흡음부재의 밀림현상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들이 설치된다.
특허발명 002는 차량용 소음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측 중간부에 내측으로 향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형성하고, 이 고정편을 소음기를 고정하기 위한 상/하 고정판의 볼트 체결위치에 끼워 넣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상/하 고정판과 함께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소음기의 인슐레이터 고정구조는, 소음기를 고정하는 상/하 고정판의 볼팅과 동시에 인슐레이터도 고정할 수 있다.
특허발명 003은 방음 캐비닛에 있어서 공기흡입기, 방음상자, 소음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방음캐비닛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공기흡입기와 소음기를 방음상자의 위 또는 옆면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공기흡입기와 소음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허발명 004는 양측면이 개방 사각 함체 형태를 갖는 몸체와, 양단부에는 천공되지 않은 반원형 또는 반 타원형의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곡면부 사이에 형성된 평면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플리터와; 상기 스플리터와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공동(空洞)부를 일정 체적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공동부 사이에서 음향 및 유체가 서로 왕래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칸막이로 구성한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상기 몸체의 중앙 통로상에서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격벽을 설치하고, 이 격벽들의 양면부에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스플리터와 칸막이를 부가 설치하여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과도한 재생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소음기들을 적절히 직렬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통해 특정 주파수대역 또는 넓은 주파수대역의 음향까지도 감쇠시킨다.
KR 10-2003-0024575 A (공개일자 2004년10월26일) KR 20- 1996-057816 U (공개일자 1998년09월25일) KR 20-2002-0000076 A (등록일자 2002년06월04일) KR 20-2000-0020617 A (등록일자 2000년09월27일)
본 발명은 소음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냉난방기와 각종 산업시설에 설치되어 공기의 빠른 흐름이나 압력 차이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공기의 유입구(102)와 유출구(104)가 형성된 함체(105);, 상기 함체(105)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격판(200); 상기 함체 내벽에 위치하는 소음 흡수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앞에서 제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에 채워지며, 상기 격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격판의 단부와 면이 일치하는 흐름 가이드(5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앞에서 제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체(105)는 일부용기 및 타부용기의 끼워맞움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워맞춤은 일부용기의 제1판재(600) 및 타부용기의 제2판재(602)가 부분결합되는 겹침부(604); 상기 겹침부의 제1, 2 판재(600, 602) 사이에 위치하는 판 실링부재(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앞에서 제기한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유입구(102) 및/또는 상기 유출구(104)에 위치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팅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앞에서 제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와 결합되는 공조장치(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에서 함체 내부에 배치된 격판은 공기의 흐름속도를 저하시켜 공기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에서 흐름 가이드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격판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에서 두 판재가 겹쳐지는 겹침부에 개재되는 판 실링부재는 함체 차체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함체 내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에서 마운팅부는 소음기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전열 열교환기에 적용함으로써 공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정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구비한 공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소음기(100)는 공기의 유입구(102)와 유출구(104)가 형성된 함체(105); 상기 함체(105)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격판(200); 상기 함체 내벽에 위치하는 소음 흡수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1)은 소음기에 대한 발명이다. 소음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함체는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의 대응되는 타면에 공기 유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함체 내부에는 복수의 격판을 형성한다. 상기 격판은 함체 내부의 2면에 위치하며, 상기 2면은 대응되는 면을 형성한다. 상기 격판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함체 내벽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흡수부를 형성한다. 상기 소음흡수부는 폼형태를 이루며, 이는 내부에 복수의 기공을 형성한다. 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유출구로 배출되며, 공기중에 포함된 소음은 격판에 의해 소음전파방향이 분산되며, 분산된 소음은 소음흡수부에 의해 흡수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격판(200)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는 소음 저감홀(305);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격판(200)은 유입구 및 유출구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함체 내부 일면 및 내부 타면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격판의 길이가 인접된 격판 길이와 상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2 내지 1-4)은 격판을 구체적으로 한정한 발명이다.(도3 참조) 격판은 판재형상이나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은 함체 공기 흐름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격판은 인접하는 격판에 대하여 상이한 길이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공기의 흐름은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유동된다. 공기 내부의 소음은 공기흐름방향으로 전파될 수 있으나, 주변의 전방향으로 소음이 전파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격판은 소음파동의 위치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격판에 의해 분산된 소음파동은 격판을 따라 함체 내벽으로 이동된다. 소음파동이 이동과정 중 격판에 형성된 소음저감홀에 의해 굴절되어 1차로 소음이 소실되며, 내벽의 소음흡수부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저감홀 의해 소음파장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격판은 공기흐름방향을 따라 경사 형성되며, 이는 공기흐름의 와류를 형성한다. 소음은 공기와류와 함께 분산되어 에너지를 소실하게 되므로 소음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 소음기 내부의 공기와류를 증대시키기 위해 공기흐름방향의 직진성을 의도적으로 훼손해야 된다. 이를 위해, 격판은 각각 길이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주기적으로 길고 짧은 길이를 반복적으로 형성한다. 이는 공기 흐름과정 중 풍압변동을 유발하며, 이는 와류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소음파동의 에너지를 소실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소음흡수부는 일면이 상기 함체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층(402);일면이 상기 접착층 타면에 부착되는 소음 흡수층(404);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소음 흡수층(404) 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음흡수부에 대한 발명이다. 소음흡수부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발포된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음흡수부는 함체 내벽의 전체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함체 내부의 소음파동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소음파동이 소음흡수부에 의해 소멸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복수의 기공이 소음흡수의 효력을 가진다. 또한, 소음흡수층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이는 소음파장의 굴절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소음파장의 굴절과정 중 에너지 소산을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에 채워지며, 상기 격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격판의 단부와 면이 일치하는 흐름 가이드(505);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흐름 가이드(505)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흐름 가이드(505)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기공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기공은 흐름가이드 내부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내지 2-4, 도5 참조)은 소음기 내부에 채워지는 흐름가이드를 구체화 한다. 상기 흐름가이드는 함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판을 내부에 수용한다. 따라서 흐름가이드 외부로 격판이 돌출되지 않는다. 격판의 길이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므로 흐름가이드의 내면은 평행하지 않으며, 복수의 굴곡을 형성하게 된다. 마주하는 2개의 흐름가이드는 상호 굴곡이 마주하게 되므로, 공기유동로가 직선임에도 불구하고 표면이 굴곡을 형성하게 된다. 즉, 직선의 공기유동로에 의해 공기 흐름의 직선성을 확보하면서도, 표면에서 인위적인 와류를 형성하여 소음파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흐름가이드 내부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상호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랜덤한 기공의 크기 및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소음이 투입되어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함체(105)는 일부용기 및 타부용기의 끼워맞움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워맞춤은 일부용기의 제1판재(600) 및 타부용기의 제2판재(602)가 부분결합되는 겹침부(604); 상기 겹침부의 제1, 2 판재(600, 602) 사이에 위치하는 판 실링부재(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판 실링부재(610)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판 실링부재(610) 내부에는 에어포켓(612);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3-4, 도6 참조)은 함체를 구체적인 한정한다. 본 발명의 함체는 2개의 용기가 상호 끼워맞춤되는 형태를 취한다. 끼워맞춤되는 겹침부는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간극에는 판실링부재를 삽입된다. 상기 판실링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실링부재 내부에는 복수의 에어포켓을 형성한다. 상기 에이포켓은 기밀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개의 용기로 구분되는 이유는 함체 내부에 순간적인 높은 유속이 발생될 경우, 상기 함체 내부 압력이 증대되며, 이는 고주파 소음의 원인이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함체는 체적 가변형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2개의 용기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압력에 의해 함체 체적이 가변됨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되는 위치는 겹침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겹칩부에 의해 압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를 형성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유입구(102) 및/또는 상기 유출구(104)에 위치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팅부(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700) 일측에는 상기 함체와 결합되는 연결실링부재(720); 타측에는 타구조물과 결합되는 접촉관(715); 상기 접촉관 및 상기 실링부재를 덮는 신축연결부(710);를 형성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신축연결부(710)는 신축수단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접촉관(715)는 고정수단을 형성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실링부재(720)는 일측에는 경사부(722);를 형성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복수의 단차가 연결되는 계단형식을 형성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실링부재(720)의 내부에는 제2 에어포켓(724)을 형성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내지 4-7, 도7 참조)는 함체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위치하는 마운팅부를 구체화 한다. 본 발명의 마운팅 부는 다른 소음기와 직렬 결합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운팅 부는 진동이 타 구조물(인접결합되는 소음기 등)에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소음이 진행되는 길이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해야 된다. 또한 다양한 직경변화를 수용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결실링부재, 접촉관, 신축연결부의 구성으로 조합된다. 이들은 소음기의 일측 또는 타측의 유입구 도는 유출구에 결합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타구조물과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 리벳, 접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틱을 형성하여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력으로 결합될 경우, 일정한 풍압변동에 대하여 분리가능하며, 다시 자력에 의해 접촉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신축연결부는 고무재질의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며, 가변되는 변위에 능동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면에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는 단차로 이루어진다. 이는 다앙?h 직경의 구멍을 단계적으로 수용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소음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와 결합되는 공조장치(9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 소음기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 소음기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에 형성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 소음기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가 교차되며, 교차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내지 5-4, 도9 참조)는 소음기와 결합되는 공조장치를 구체화 한다. 상기 공조장치는 옥내 또는 옥외 설치되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교환시 발생되는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는 교차되어 교차부위에 열교환기를 형성한다. 공기의 유동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사기 공조장치 내부에는 송풍기를 장착한다.
100: 소음기 102: 유입구
105: 함체 104: 유출구
200: 격판 305: 소음 저감홀
400: 소음 흡수부 402: 접착층
404: 소음 흡수층 505: 흐름 가이드
600: 제1 판재 602: 제2 판재
610: 판 실링부재 612: 에어포켓
700: 마운팅부 705: 자석
710: 신축연결부 715: 접촉관
720: 연결 실링부재 722: 경사부
724: 제2 에어포켓 900: 공조장치
902: 몸체 904: 열교환기

Claims (5)

  1. 소음기에 있어서,
    공기의 유입구(102)와 유출구(104)가 형성된 함체(105);
    상기 함체(105)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격판(200);
    상기 함체 내벽에 위치하는 소음 흡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200)은,
    복수로 형성되어 관통 형성되는 소음 저감홀(305);을 포함하고,
    상기 격판(200)은 상기 함체(105)의 내부 일면 및 내부 타면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격판(200)의 길이는 인접된 상기 격판(200)의 길이와 상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105)는 일부용기 및 타부용기의 끼워맞춤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워맞춤은 일부용기의 제1판재(600) 및 타부용기의 제2판재(602)가 부분 결합되는 겹침부(604); 및
    상기 겹침부(604)의 제1, 2 판재(600, 602) 사이에 위치하는 판 실링부재(610);를 포함하며,
    상기 판 실링부재(610)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판 실링부재(610)의 내부에는 에어포켓(612);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유입구(102) 및/또는 상기 유출구(104)에 위치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팅부(700);를 포함하는 소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와 결합되는 공조장치(900);를 포함하는 소음기.
KR1020210127259A 2021-09-27 2021-09-27 소음기 KR10262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59A KR102621589B1 (ko) 2021-09-27 2021-09-27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59A KR102621589B1 (ko) 2021-09-27 2021-09-27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48A KR20230044748A (ko) 2023-04-04
KR102621589B1 true KR102621589B1 (ko) 2024-01-05

Family

ID=8592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259A KR102621589B1 (ko) 2021-09-27 2021-09-27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19B2 (ja) * 1994-07-05 2000-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投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432789Y1 (ko) * 2006-09-29 2006-12-06 주식회사 대선엔지니어링 열교환기용 소음저감장치
JP2009270782A (ja) * 2008-05-08 2009-11-19 Tigers Polymer Corp 吸音ダク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5044B2 (ja) * 1993-06-18 2002-07-22 日本鉄道建設公団 消音装置
KR20000020617U (ko) 1999-05-11 2000-12-05 이처술 전화선연결구
JP3083719U (ja) * 2001-07-30 2002-02-15 エアコンスター株式会社 消音エレメントからなる空調用消音器
JP3741013B2 (ja) 2001-09-17 2006-02-0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蛇行修正機構を備えた帯状ワークの露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19B2 (ja) * 1994-07-05 2000-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投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432789Y1 (ko) * 2006-09-29 2006-12-06 주식회사 대선엔지니어링 열교환기용 소음저감장치
JP2009270782A (ja) * 2008-05-08 2009-11-19 Tigers Polymer Corp 吸音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48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1522B2 (ja) 液体気体熱交換型強制通風式冷却装置用減音アセンブリ
CN105423446A (zh) 空调器降噪组件、压缩机组件、室外机及空调器
CN103868221A (zh) 用于空气调节回路的通用衰减装置
US10260772B2 (en) Duct mounted sound attenuating baffle with an internally suspended mass layer
CN105390131B (zh) 一种消声装置及机电设备
KR102621589B1 (ko) 소음기
RU2310762C2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конусного типа
CN117569998A (zh) 一种压缩机缓冲罐
KR20080113431A (ko) 흡착계 가스 분리 시스템을 위한 소음기
CN210768980U (zh) 一种大功率柴油发电机组用消声器
CN108800517B (zh) 扩散共振消声装置及通风通道消声系统
CN201347784Y (zh) 具有吸声尖劈的消声器
CN209944712U (zh) 消声件、消声器以及通风系统
CN209944714U (zh) 消音装置及空调器
RU15712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глушитель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шума
CN220377142U (zh) 一种消声通道型防风声屏障结构
CN210984260U (zh) 空气冷却器的降噪装置
CN210920532U (zh) 一种消音器
CN212113213U (zh) 双圆锥体阵列抗性消声结构
CN219916697U (zh) 一种低阻力损失弯板消声器
CN220488617U (zh) 一种管道式消音器
CN220931354U (zh) 一种空调管路降噪装置
CN113628603B (zh) 一种组合式消音器
CN215638983U (zh) 管路组件及换热设备
CN207865665U (zh) 一种圆柱体微孔岩消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