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42B1 -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42B1
KR102621142B1 KR1020220001246A KR20220001246A KR102621142B1 KR 102621142 B1 KR102621142 B1 KR 102621142B1 KR 1020220001246 A KR1020220001246 A KR 1020220001246A KR 20220001246 A KR20220001246 A KR 20220001246A KR 102621142 B1 KR102621142 B1 KR 10262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support device
outer frame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677A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ublication of KR2023007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화장실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장치는 상단이 상기 판넬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부재;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상기 판넬의 단변 방향 양 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면 프레임; 및 상부가 상기 내측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판넬의 장변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하는 외측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DEVICE FOR FIXING TOILET PANELS}
본 발명은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특히 복수의 칸으로 구성되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복수의 칸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칸을 구분하는 내측 판넬, 복수의 칸 각각의 전면에 구비되는 개폐형 도어, 개폐형 도어 사이에 설치되고 내측 판넬과 연결되는 포스트 및 내측 판넬과 포스트 각각의 하부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측 판넬과 포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물을 이용한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각 칸의 혼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지대로 내측 판넬 및 포스트 각각을 바닥면과 이격시킴으로써 칸의 하단 일부가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 몰래 카메라 등 사회적 이슈로 인하여 화장실의 내부와 외부, 각 칸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는 방식이 대두되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480189호에서는 공중화장실의 내부 습기로 인해 도어, 판넬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넬의 전후면 합판 사이에 MDF, PB 또는 코어로 이루어진 내부 심재를 접착하고, 내부 심재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기술을 고안하였으나, 이는 보강 프레임을 이용하여 판넬의 변형을 방지할 뿐, 화장실 도어의 하단을 차폐하지 못하여 상술한 이슈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화장실 도어, 각 칸의 사이 및 칸의 내외부를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 칸 내부의 혼탁도가 증가하고, 물을 이용한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목재 판넬이 화장실 바닥면의 습기 등의 요인으로 인해 부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80189호(2016.04.15.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장실의 판넬 하부의 개방 공간을 차폐시키는 판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측면 프레임을 이용하여 판넬 하부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시킬 수 있는 판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장치는 상단이 상기 판넬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부재;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상기 판넬의 단변 방향 양 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에 고정되는 내측면 프레임; 및 상부 및 하부가 상기 내측면 프레임과 결합되는 외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측면 프레임은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판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프레임은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상부 돌출 영역과 결합되는 디귿자(ㄷ) 형상의 상단 삽입 영역 및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하단 돌출 영역과 결합되는 일자 형상의 하단 삽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상부 삽입 영역의 하단 및 하부 삽입 영역은 상기 돌출 영역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만입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장치는 상단이 상기 판넬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부재;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상기 판넬의 단변 방향 양 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면 프레임; 상부가 상기 내측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판넬의 장변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하는 외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측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판넬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일단 및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판넬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회전을 서포트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내측면 프레임 및 상기 외측면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외측면 프레임과 상기 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R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R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외측면 프레임이 차폐된 상태의 판넬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판넬 지지장치의 외측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외측면 프레임이 차폐된 상태의 판넬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R3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판넬 지지장치의 외측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R4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특히 복수의 칸으로 구성되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복수의 칸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칸을 구분하는 내측 판넬, 복수의 칸 각각의 전면에 구비되는 개폐형 도어, 개폐형 도어 사이에 설치되고 내측 판넬과 연결되는 포스트 및 내측 판넬과 포스트 각각의 하부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측 판넬과 포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물을 이용한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각 칸의 혼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지대로 내측 판넬 및 포스트 각각을 바닥면과 이격시킴으로써 칸의 하단 일부가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 몰래 카메라 등 사회적 이슈로 인하여 화장실의 내부와 외부, 각 칸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는 방식이 대두되었다.
다만, 각 칸의 사이 및 칸의 내외부를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 칸 내부의 혼탁도가 증가하고, 물을 이용한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목재 판넬이 화장실 바닥면의 습기 등의 요인으로 인해 부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0)는 측면 프레임(200) 및 커버 프레임(300)을 이용하여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 지지장치(10)는 판넬 지지부재(100), 측면 프레임(200) 및 커버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판넬"은 공중 화장실의 칸과 칸 사이에 배치되어 칸을 구분하는 내측 판넬을 의미하거나, 각 칸의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형 도어(Door) 사이에 배치되는 포스트 판넬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면에 고정 또는 이격되어 공간을 구분하는 모든 종류의 판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판넬 지지부재(100)는 상단이 판넬(20)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판넬(20)을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工" 형상의 판넬 지지부재(1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판넬 지지부재(100)의 형상은 일자 형상, 제형(梯形) 형상 등 판넬(2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00)은 판넬(20)의 단변 방향으로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400)를 통해 판넬(2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측면 프레임(200)은 내측면 프레임(210) 및 외측면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 프레임(210)과 외측면 프레임(220)의 구조에 관하여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커버 프레임(300)은 측면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00)은 측면 프레임(200)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R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R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200)은 내측면 프레임(210) 및 외측면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 프레임(210)은 판넬(20)의 단변 방향 양측면과 고정부재(4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면 프레임(210)은 상부 및 하부에 돌출 영역(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영역(211, 212)은 판넬(20)과 반대 방향, 즉 외측면 프레임(22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 프레임(220)은 판넬(20)을 향하는 방향, 즉 내측면 프레임(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면 프레임(210)의 돌출 영역(211, 212)이 삽입되는 삽입 영역(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삽입 영역(221, 222)은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 프레임(210)의 돌출 영역(211)이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삽입 영역(223)은 일자 형상으로 구현되어 내측면 프레임(210)의 돌출 영역(212)이 바닥면과 하부 삽입 영역(22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삽입 영역(221, 222)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 영역(21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측 삽입 영역(222)이 상측으로 제1 높이(H1)만큼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211)은 두께가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211)의 판넬(20)에 인접한 일 영역은 제1 두께(D1)로 구현되고, 판넬(20)로부터 멀어지는 일 영역은 제2 두께(D2)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2 두께(D2)는 제1 두께(D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측 삽입 영역(222)의 일부가 상측으로 제1 높이(H1)만큼 만입되어 형성되고, 돌출 영역(211)의 일 영역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돌출 영역(211)이 상부 삽입 영역(221, 222)에 보다 견고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상측 삽입 영역(221)이 돌출 영역(211)이 삽입되는 방향, 즉 하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영역(211)은 상측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부 상측 삽입 영역(221) 및 상부 하측 삽입 영역(222)이 모두 돌출 영역(21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삽입 영역(223)은 돌출 영역(21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삽입 영역(223)이 하측으로 제2 높이(H2)만큼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212)은 두께가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삽입 영역(223)이 하측으로 제2 높이(H2)만큼 만입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 영역(212)의 일 영역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돌출 영역(212)이 하부 삽입 영역(223)에 보다 견고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돌출 영역(212)은 하부 삽입 영역(223)과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부 삽입 영역(223) 역시 상부 삽입 영역(221, 222)과 같이 디귿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부 상측 삽입 영역 및 하부 하측 삽입 영역을 이용하여 돌출 영역(212)이 하부 삽입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상측 삽입 영역 및 하부 하측 삽입 영역으로 구현되는 실시예는 전술한 상부 삽입 영역(221, 222)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내측면 프레임(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1개씩의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외측면 프레임(220)이 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돌출 영역 및 삽입 영역의 형상, 개수 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고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0)는 화장실 칸의 판넬 하부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몰래 카메라 등 사회의 불안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외측면 프레임이 차폐된 상태의 판넬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판넬 지지장치의 외측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1)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시키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판넬 지지부재(100), 커버 프레임(300)의 경우 도 1 내지 도 5을 통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게 구현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1)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측면 프레임(201)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01)은 내측면 프레임(230), 외측면 프레임(240) 및 회전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 프레임(230)은 판넬(20)의 단변 방향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프레임(230)은 고정부재(400)를 통하여 판넬(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면 프레임(230)은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측면 프레임(230)은 판넬(20)에 고정되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측면 프레임(201)과 달리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면 프레임(230)의 하단은 판넬(20)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면 프레임(240)은 회전부재(250)를 통해 내측면 프레임(2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재(250)는 내측면 프레임(230)의 일단 및 외측면 프레임(240)의 일단과 결합되고, 판넬(20)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면 프레임(240)의 회전을 서포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250)는 경첩의 구동 원리와 유사하게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250)는 내측면 프레임(230)과 연결되는 고정부분 및 외측면 프레임(240)과 연결되는 회전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회전부분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형의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 프레임(240)은 판넬(2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측, 회전부재(250)의 회전부분과 연결되는 외측면 프레임(240)이 판넬(2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판넬(20)과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180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측면 프레임(240)이 회전하여 판넬(2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판넬(20)과 외측면 프레임(240)은 소정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외측면 프레임(24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경우(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차폐시키고, 화장실 청소, 환기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써 물청소 등이 용이하게 하고, 화장실 칸 내부의 혼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외측면 프레임이 차폐된 상태의 판넬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R3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판넬 지지장치의 외측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R4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2)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시키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판넬 지지부재(100), 커버 프레임(300)의 경우 도 1 내지 도 5을 통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게 구현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넬 지지장치(12)는 내측면 프레임(260), 외측면 프레임(270) 및 회전부재(28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 프레임(260) 및 외측면 프레임(270)의 동작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판넬 지지장치(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장치(12)는 회전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부재(280)는 내측면 프레임(260) 및 외측면 프레임(270)과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281)와, 결합부(28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82)는 연질 PVC(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될 수 있다.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282)를 통해 외측면 프레임(27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판넬(20)과 고정부재(400)를 통해 결합되는 내측면 프레임(260)은 고정되고, 외측면 프레임(270)이 판넬(20)의 외측 방향으로 180도 회전함으로써 판넬(20)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등의 이유로 외측면 프레임(270)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는 연결부(282)의 변형을 통해 외측면 프레임(270)이 판넬(2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재(280)의 결합부(281)와 연결부(282)는 서로 다른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81)는 내측면 프레임(260) 및/또는 외측면 프레임(270)과 동일한 소재로 구현되고, 연결부(282)는 연질 PVC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281)는 외측면 프레임(270)의 회전에도 형상이 유지되고, 연결부(282)는 외측면 프레임(270)의 회전에 따라 일부 변형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측면 프레임(270)이 회전하여 판넬(2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판넬(20)과 외측면 프레임(270)은 소정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외측면 프레임(27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경우(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차폐시키고, 화장실 청소, 환기 등의 경우에는 판넬(20)의 하부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써 물청소 등이 용이하게 하고, 화장실 칸 내부의 혼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 11, 12: 판넬 지지장치
20: 판넬
100: 판넬 지지부재
200, 201, 202: 측면 프레임
210, 230, 260: 내측면 프레임
211, 212: 돌출 영역
221, 222, 223: 삽입 영역
220, 240, 270: 외측면 프레임
250, 280: 회전부재
281: 결합부
282: 연결부
300: 커버 프레임
400: 고정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화장실의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판넬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부재;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상기 판넬의 단변 방향 양 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면 프레임;
    상부가 상기 내측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판넬의 장변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하는 외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판넬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측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판넬 지지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판넬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판넬 지지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프레임의 일단 및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판넬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면 프레임의 회전을 서포트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판넬 지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내측면 프레임 및 상기 외측면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판넬 지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넬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외측면 프레임과 상기 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판넬 지지장치.
KR1020220001246A 2021-11-16 2022-01-05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KR102621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7395 2021-11-16
KR1020210157395 2021-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677A KR20230071677A (ko) 2023-05-23
KR102621142B1 true KR102621142B1 (ko) 2024-01-04

Family

ID=8654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46A KR102621142B1 (ko) 2021-11-16 2022-01-05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56A (ja) * 2006-06-29 2008-01-17 Sekisui House Ltd 間仕切壁
KR101713582B1 (ko) * 2016-04-25 2017-03-08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하부프레임이 구비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설치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071B1 (ko) * 1991-09-09 1993-12-23 테코판넬 주식회사 칸막이 베이스 부재
KR100480189B1 (ko) 1999-02-10 2005-04-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브러시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56A (ja) * 2006-06-29 2008-01-17 Sekisui House Ltd 間仕切壁
KR101713582B1 (ko) * 2016-04-25 2017-03-08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하부프레임이 구비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설치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677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5445A1 (en) External urinal for portable toilets
US20070056701A1 (en) Weeping system for window screen corner keys
EP0428589A1 (en) ASSEMBLY SYSTEM.
KR101834971B1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KR102621142B1 (ko) 화장실 판넬 지지장치
WO2005124064A2 (en) Hinge for an enclosure
KR101889250B1 (ko) 가설 방음벽 조립체
JP6750993B2 (ja) 壁パネルと閉空間ユニット
RU2353745C2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ерхних этажей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US1259358A (en) Sheet-metal cabinet.
JP6489806B2 (ja)
KR102409365B1 (ko) 유골함 안치단의 여닫이문 조립구조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KR101164416B1 (ko) 섀시 및 이를 이용한 문틀
JP7348480B2 (ja) 間仕切り構造
JP4047292B2 (ja) 扉体、およびこの扉体を備えた門扉
KR950003449Y1 (ko) 조립식 우편함
JPH1150569A (ja) 住宅の壁構造
KR20160108275A (ko) 내구성이 향상된 화장실 칸막이
KR20240019452A (ko) 도어폭 1대2의 단측 및 장측 도어의 문턱이 없는 공간활용 양방향 폴딩도어 시스템
KR20240019451A (ko) 도어폭 1대2의 단측 및 장측 도어의 공간활용 양방향 폴딩도어 조인트
KR20240058275A (ko) 수직프레임이 없는 슬라이딩 도어프레임
KR200437276Y1 (ko) 조립식 우편함
JPS63265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